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김수환 추기경의 생명존중사상 연구: 낙태 사례를 중심으로

        최진일 서강대학교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23 신학과 철학 Vol.- No.43

        김수환 추기경은 윤리란 인간이 인간일 수 있는 존재 방식이며, 윤리의 바탕은 모든 단계의 인간 생명에 대한 존중에 있다고 강조한다. 그는 잘 알려진 것처럼 우리사회의 인권운동과 민주화에 지대한 공헌을 한 인물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생명존중을 바탕으로 하는 그의 윤리관이 우리사회문제에 대한 통찰과 인권운동에 토대가 되었을 것이라고 예측한다. 그리고 낙태에 대한 그의 관점도 인권수호와 연결되어 있으리라는 가정아래, 낙태 사례를 중심으로 그의 생명존중사상을 고찰한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는 그의 생명존중사상은 우리사회의 현실을 포괄적으로 읽으면서, 인간의 존엄과 생명존중 그리고 윤리를 존재론적인 관점에서 통합한다는 것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그의 생명존중사상의 특징은 첫째, 태아를 인간이자 약자로서 바라보고, 약자의 한 사람으로서 태아에 대한 돌봄과 관심을 요청한다. 둘째, 생명존중을 위한 실천적 규범은 자연법에 근거한다. 그는 자연법을 인간이 인갑답게 사는 길로서 제시하고 생명을 선택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셋째, 그에게 인간 존엄에 대한 존중은 인간 생명에 대한 존중 없이 성립될 수 없다. 따라서 낙태문제는 교회의 보수성의 문제라기보다는 윤리의 문제이면서 인권의 문제이다. 마지막으로 인간존중과 이웃사랑은 수레의 양 바퀴와 같으며 이 바퀴를 연결하는 축이자 균형은 바로 인간 생명에 대한 존중에 있다.

      • KCI등재

        여성의 자기결정권과 태아의 생명권 사이의 상호보완적 관계 연구

        최진일 서강대학교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20 신학과 철학 Vol.- No.37

        2019년 4월 11일 헌법재판소는 ‘낙태죄 헌법불합치결정’ 을 내렸다. 여기서 태아의 생명권과 그 보호에 대한 국가의 의무를 분명히 밝힌다. 그런데 임부와 태아의 이익이 상호충돌하는 것이 아니라고 하면서도, 임부의 권리에 태아의 생명권이 종속될 수 있고, 태아의 성장단계에 따라 국가의 생명보호 정도도 달리 정할 수 있다고 봄으로써 결정의 논지를 분명하게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주고 있다. 또한 생명존중과 여성존중을 분리하여 이해하고 있다는 점에서 인간학적, 윤리적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인간의 자유와 여성의 자기결정권이 유한하고 제한적이라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는 점도 지적할 수 있겠다. 이런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본 연구는 먼저 태아의 생명에 대한 다양한 견해들이 내포하고 있는 모호성에 대해 살펴본다. 그리고 낙태에 있어서 임부가 갖는 자기결정권과 이 권리의 한계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를 기초로 삼아 태아의 생명권과 임부의 자기결정권과의 상호보완적 관계를 밝힌다. 낙태 논의에서 우리는 생명존중에 대한 근본적인 가치를 회복하지 못하면 여성에 대한 존중과 임부에 대한 배려도 담보하기 어렵다는 사실과 행복을 추구하는 이성적인 존재인 인간은 자유와 책임을 통해 그 행복을 추구하는 존재라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자유는 고립된 인간이 아니라 관계 안에서 행사되므로 그에 대한 책임 또한 상호 관계 안에서 책임을 지게 된다. 그래서 도덕적으로 올바른 행위에 대한 물음은 자유의 올바른 제한에 관한 물음이며 항상 여러 가능성이 다른 이들에게 끼칠 영향을 고려해야만 한다. 임부-태아 사이의 관계는 양자의 생명보존을 목적으로 서로의 차이를 철저하게 존중하는 특징을 갖는다. 임부와 태아의 그 특별한 유대관계는 한 생명이 다른 생명을 제거함으로써 그 행복을 추구할 수 있는 관계가 아니다. 두 생명 모두를 위한 선택이 진정한 의미의 자아실현이며, 이는 오직 자신을 내어주는 삶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임부의 자기결정권과 태아의 생명권 사이의 상호 보완적 관계는 두 생명을 살리고 그들의 행복을 증진시킬 수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게 한다. 우리는 태아만을 살리는 것도 여성만을 살리는 것도 아닌 두 생명 모두를 살려야 한다. 이것이 법과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이다.

      • C.V.D法에 의한 鋼에의 Alumina 被覆의 Kinetics에 관하여

        崔鎭一 단국대학교 1987 論文集 Vol.21 No.-

        Aplication of alumina coating on various substrates were studied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process.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deposition rate increases approximately in proportion to the square root of the gas-flow velocity and favourable result was obtained with H^2/CO^2 mole ratio : 1 and A1C1^3 mole fraction : 0.03. Wear resistance and hardness of alumina coated specimens improved markedly and that of stainless steel was prominent.

      • KCI등재

        유전체 편집에 대한 윤리적 판단의 기초 연구

        최진일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19 인간연구 Vol.0 No.38

        Clustered regulatory interspaced short palindromic repeats-Cas9(CRISPR/ Cas9) has revolutionized genome editing technology. Genome editing researches on the human embryo that was theoretically possible in the past could also be realized through this technology. This paper examines the safety of genome editing technology and its ethical issues in using of the technology. The range of application of this technology is enormous, and the research scope is limited to genome editing studies targeting human embryos for the aim of therapy. I criticize the attitude of solving the ethical problem of genome editing mainly throug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is is because there are problems of bioethics that cannot be solved even if stability is secured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 will also criticize the hasty debate on the ethical issues of genome editing, which are disconnected from the past, to bring it into the paradigm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examine its limitations. In conclusion, it emphasizes that the foundation of ethical judgment on the act of interven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genome editing) applied to human life should be established on the truth about human. Clustered regulatory interspaced short palindromic repeat-Cas9(CRISPR/ Cas9, 크리스퍼-카스9)는 유전체 편집 기술에 획기적인 전환을 가져왔다. 과거 이론적으로 가능했던 배아를 대상으로 하는 유전체 편집 연구도, 이 기술을 통해 실현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은 유전체 편집 기술의 안전성과 그 기술 활용 행위에 대한 윤리적 쟁점을 고찰한다. 이 기술의 활용 범위가 방대함으로, 연구 범위를 치료 목적의 배아를 대상으로 하는 유전체 편집 연구로 제한한다. 필자는 유전체 편집에 대한 윤리적 문제를 기술의 발전을 통해서 주로 해결하려는 태도를 비판한다. 기술의 발전으로 안정성이 확보되더라도 해결하지 못할 생명윤리의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유전체 편집에 대한 윤리적 쟁점을 과거와 단절된 채, 제4차 산업혁명이라는 패러다임 안으로 끌어들이려는 성급한 논의에 대해 비판하면서, 그 한계가 무엇인지 또한 살펴본다. 결론적으로 인간 생명에게 적용되는 과학기술의 개입 행위(유전체 편집)에 대한 윤리적 판단의 기초는 인간의 진리 위에서 정립해야 함을 강조한다.

      • KCI등재

        인간 향상을 위한 인간 배아에 대한 유전적 개입과 그 윤리적 함의

        최진일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4 시민인문학 Vol.46 No.-

        이 연구는 크리스퍼 유전자 편집기술의 개발 이후, 점차적으로 실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인간 향상의 문제를 다룬다. 대부분 인간 배아에 대한 유전적 향상은 트랜스휴머니즘에 의해 적극적으로 지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먼저 트랜스휴머니즘을 검토하고, 그 특징과 인간관을 파악한 다음, 인간 배아에 대한 유전적 향상을 왜 적극적으로 옹호하는 지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인간 배아에 대한 유전적 향상이 ‘더 나은 존재’을 향한 도구적 의미로서, 어떻게 정당화되는지를 살펴보고, 그 함의를 로버트 스파로우(Robert Sparrow)의 구식화(obsolescence) 개념을 통해 조명한다. 이것을 바탕으로, 향상된 인간 배아가 태어난 이후에는 공시적 관점(synchronic perspective)에서 다른 사람들과의 비교 대상이 될 뿐만 아니라, 닉 보스트롬(Nick Bostrom)이 전망한 대로 향상되었을지라도 계속해서 향상을 추구해야 하는 인간은, 통시적 관점(diachronic perspective)에서도 항상 자기 자신이 비교 대상이 됨을 드러낸다. This study delves into the issue of human enhancement, which has been progressively gaining feasibility since the development of CRISPR gene editing technology. Most genetic enhancements on human embryos have been actively supported by transhumanism. Therefore, this paper first examines transhumanism, analyzes its characteristics and views on humanity, and then delves into why it actively endorses genetic enhancement of human embryos. Through this, it can be understood how genetic enhancement of human embryos is justified as a tool for achieving a “better existence,” and illuminates its implications using Robert Sparrow’s concept of obsolescence. Based on this, the enhanced human embryo, born after birth, not only becomes a subject of comparison with others from a synchronic perspective but also, as Nick Bostrom envisaged, consistently reveals that humans must pursue further enhancement, making themselves a point of comparison even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