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확장된 목표지향 행동모형을 적용한 브랜드 한우의 구매동기에 관한 연구

        김희걸 ( Xi Jie Jin ),최준식 ( June Sik Choi ),노성훈 ( Sung Hoon Roh ),최명래 ( Myung Rae Choi ),송명한 ( Young Han Song ),이종인 ( Jong In Lee ) 한국축산경영학회 2014 농업경영정책연구 Vol.41 No.2

        Becuase of the characteristics of brand korean beef like uniform feeding and management, security and grade quality, the Brand korean beef are recognized as a high-quality meat by the consu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veloped to an extended model of goal-directed behavior (EMGB) in order to identify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customers who purchased brand Korean bee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was employ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latent variables after developing the proper measurement model. The results of the EMGB indicated that desire had the strongest relationship with customers` intentions to purchase brand Korean beef followed by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prior knoledge for brand Korean beef. In the model, desire was determined by mainly positive anticipated emotion, subject norm, attitude, prior knowledge and negative anticipated emotion. In the case of the little study of EMGB model using for agricultural and rural area, this study provide the useful implication which induce the producer of brand Korean beef to strengthen brand awareness and marketing strategy.

      • KCI등재

        임신중 자궁부속기 종양의 수술적 가치

        김주명 ( Joo Myung Kim ),심규민 ( Kyu Min Shim ),이원식 ( Won Sik Lee ),이금정 ( Keum Jung Lee ),최준식 ( June Seek Choi ),허걸 ( Kuol Hur ),정상희 ( Sang Hee Jung ),신중식 ( Chung Sik Shin ),안현경 ( Hyun Kyong Ahn ),한정렬 ( Ju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9

        목적 : 임신중에 진단된 자궁부속기 종양의 수술적 처치의 안전성과 시기 그리고 수술 후 임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6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임신중에 진단된 자궁부속기 종양에 대해 수술적 처치를 시행한 171명을 대상으로 그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종양의 성상, 수술 적응증 그리고 수술 시기 등이 임신예후에 미치는 영향들을 진료기록을 검토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예후가 불량한 임신결과는 조기 분만, 자궁내 태아사망, 자연 유산, 주산기 사망으로 정의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SPSS에 의한 t-test와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였다. 결과 : 임신중 수술을 필요로 하였던 자궁부속기 종양의 발생빈도는 292.3분만당 1이였다. 악성이나 경계성 악성종양은 12예로서 7%를 차지하였다. 43예의 응급수술중에서 31예 (72%)가 염전으로 인하여 수술을 시행받았다. 18예의 예후가 불량한 임신결과가 있었으며, 자연유산 3예, 자궁내 태아사망 1예, 조기분만이 14예 이었다. 응급으로 수술을 시행한 경우가 선택적 수술을 시행한 경우보다도 더 많은 예후불량의 임신 결과를 보였으며 (11/43 [25.6%], 7/118 [5.9%] P=.001), 임신 20주 이후와 20주 이전에 수술이 시행된 경우를 비교해 보았을 때 임신 20주 이후에 수술이 시행된 경우 조산을 비롯한 예후 불량의 임신결과가 더 많았다 (6/16 [37.5%], 12/145 [8.3%] P=.004). 결론 : 임신중 진단된 자궁부속기 종양 중에서 수술의 기준이 되는 경우에는 임신 제2삼분기 초반에 사전 계획된 선택적 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향후에 발생할 수 있는 종양의 합병증 (염전, 파열 등)으로 인한 응급수술을 예방하고 악성 종양의 진단이 늦어져서 생길 수 있는 위험성을 감소시켜 산모와 태아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afety and timing of the surgery and fetal outcome of pregnancy complicated by a persistent adnexal mass that was required surgical intervention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71 cases of adnexal masses during pregnancy that were required surgery at Samsung Cheil Hospital & Women`s Healthcare Center between 1996 to 2001. We analysed medical records for characteristics of tumor, indication and timing of surgery and the effect of pregnancy outcome. Adverse pregnancy outcome is defined as preterm delivery, spontaneous abortion, intrauterine fetal death and perinatal death. The obtained data were analysed using t-test and Fisher`s exact test by SPSS. Results : The incidence of adnexal masses during pregnancy that required surgical management was 1 in 292.3 live births. A malignant tumor or a tumor of low malignant potential was found in 7% of cases. A total of 43 patients underwent surgery under emergency condition, 31 (72%) of which were done due to torsion. There were 14 preterm delivery, 3 spontaneous abortion, 1 intrauterine fetal death, 1 perinatal death and 2 artificial abortion in this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dverse pregnancy outcome between elective and emergency group (7/118 [5.9%] versus 11/43 [25.6%] P=.001), and surgery group that before 20 week`s gestation and those of after 20 week`s gestation (12/145 [8.3%] versus 6/16 [37.5%] P=.004). Conclusion : When necessary and feasible, surgery should be scheduled for the early portion of the second trimester, when organogenesis is complete and most spontaneous abortion have occurred, but before later risks of technical difficulties and premature labor. Also we recommend early diagnostic evaluation and immediate surgical intervention of adnexal masses as problematic adnexal mass diagnosed during pregnancy to prevent the risk of emergency surgery associated with adnexal complication (torsion, rupture and hemorrhage) and the risk of delayed diagnosis of malignancy.

      • KCI등재

        임상 ; 자궁 경부 상피내 병변의 보존적 치료 방법인 냉도 원뿔 절제술과 고리전기 절제술이 후속 임신에 미치는 영향

        김윤영 ( Yun Young Kim ),채용화 ( Yong Hwa Chae ),안계형 ( Gye Hyeong An ),우장환 ( Jang Hwan Woo ),최준식 ( June Sik Choi ),김민형 ( Min Hyoung Kim ),류현미 ( Hyun Mee Ryu ),최규홍 ( Kyu Hong Choi ),한정렬 ( Jung Yeol Han ),이시 대한주산의학회 2010 Perinatology Vol.21 No.3

        목적: 자궁경부 원뿔절제술의 방법에 따른 후속 임신의 불량한 결과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연구는 후향적으로 진행된 환자-대조군 연구이다. 연구군은 냉도 원뿔절제술(cold knife conization)치료 후 임신한 여성 170명과, 고리전기 절제술(loop electrosurgical excision procedure, LEEP) 치료 후 임신한 여성 86명이며, 정상 대조군은 자궁 경부 수술의 기왕력이 없는 단태 임신 497명이었다. 임신 결과로는 자연 조산, 저체중아, 주산기 사망률 등을 포함하였다. 연구군을 냉도 원뿔절제술 군과 고리전기 절제술 군으로 나누어 각각의 임신 결과를 정상 대조군의 임신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과: 냉도 원뿔절제술 후 임신한 여성의 34주 미만의 조산과 28주 미만의 조산에 대한 비교 위험도는 정상 대조군에 비해 각각 4.9 (95% 신뢰구간 1.6-15.9)와 7.6 (95% 신뢰구간 1.5-39.6)으로 증가하였다. 냉도원뿔절제술 후 임신한 여성은 저체중아와 주산기 사망에 대한 비교 위험도도 2.6 (95% 신뢰구간 1.2-5.8)과 11.9 (95% 신뢰구간 1.3-107.6)로 증가하였다. 자궁경부의 고리전기 절제술 치료 후 임신한 군에서는 조산율, 저체중아, 주산기 사망의 비교 위험도가 정상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지 않았다. 결론: 자궁경부의 원뿔절제술 중 냉도 원뿔절제술은 향후 임신의 34주 미만의 조산, 저체중아, 주산기 사망의 위험율을 증가시킨다. 자궁 경부 상피 병변으로 보존적 치료 방법에 대한 상담 시 향후 임신 예후에 대한 적절한 상담이 필요하다. Objective: In this study, we evaluated whether different methods of conization of the cervix we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adverse pregnancy outcomes in subsequent pregnancy. Methods: A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was conducted. The study group included women who had undergone cold knife conization (n=170) or a loop electrosurgical excision procedure (LEEP) (n=86) and then had subsequent singleton pregnancies. The control group (n=497) included women with no history of cervical surgery. The outcomes were spontaneous preterm delivery and various neonatal outcomes such as low birth weight (LBW) and perinatal mortality. Results: Cold knife conization was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ly increased risk of preterm delivery less than 34 weeks (relative risk 4.9, 95% confidence interval 1.6-15.1), preterm delivery less than 28 weeks (7.6, 15-39.6), LBW (2.6, 1.2-5.8), and perinatal mortality (11.9, 1.3-107.6). LEEP was not associated with a increased risk of adverse pregnancy outcomes. Conclusion: Cold knife cone biopsy, but not LEEP of the cervix,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preterm delivery less than 34 weeks of gestation and adverse neonatal outcomes. Clinicians counsel women appropriately before conservative treatment of cervical intraepithelial lesions.

      • KCI등재

        다운증후군의 산전진단을 위한 초음파를 이용한 선별검사

        문명진 ( Myoung Jin Moon ),류현미 ( Hyun Mee Ryu ),정진훈 ( Jin Hoon Chung ),임하정 ( Ha Jung Lim ),최준식 ( June Seek Choi ),김주오 ( Joo Oh Kim ),신중식 ( Joong Sik Shin ),안현경 ( Hyun Kyong Ahn ),한정렬 ( Jung Yul Han ),김문영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8

        목적: 다운증후군으로 진단된 태아 중 임신 중기에 정밀초음파를 시행한 59예의 초음파 소견을 분석하여, 유전학적 초음파 검진의 유용성을 평가하는데 필요한 단독 유사비를 얻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1993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성균관대학교 삼성제일병원 산부인과에서 산전 염색체검사를 통하여 다운증후군으로 진단된 태아 중 본원에서 임신중기 정밀 초음파 (level II sonography)를 시행한 총 59예를 대상으로 임상기록 및 초음파 기록을 Objective: To determine the risk of Down syndrome in fetuses with sonographic markers using the likelihood ratios and individual risk assessment. Methods: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the midtrimester genetic sonographic features of fetuses with Down synd

      • KCI등재

        양수과다증 산모에서 태아기형 빈도 및 주산기 예후

        캐더린박 ( Katherine Pak ),김수정 ( Su Jung Kim ),임하정 ( Ha Jung Lim ),김은정 ( Eun Jeong Kim ),이원식 ( Won Sik Lee ),오민정 ( Min Jeong Oh ),최준식 ( June Seek Choi ),허걸 ( Kuol Hur ),정상희 ( Sang Hee Jung ),안현경 ( Hyun Ky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9

        목적 : 산전 초음파검사 중 양수과다증으로 진단받은 산모에서 양수 량에 따른 태아기형 및 주산기 예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 1998년 1월부터 2001년 8월까지 삼성제일병원 산부인과에서 산전 초음파검사를 통해 양수과다증으로 진단된 170예에서 태아기형 및 주산기 예후를 1군은 양수지표가 20.0-25.0 ㎝으로 2군은 >25.0 ㎝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 양수과다증의 빈도는 0.54% (170/31,358)이였다. 대표적인 태아기형은 위장관계 (10/34, 29.4%), 비뇨생식기계 (9/34, 26.5%), 중추신경계 (6/34, 17.7%), 심혈관계 (3/34, 8.8%), 신경근계 (2/34, 5.9%) 호흡기계 (1/34, 2.9%)와 기타 (3/34, 8.8%)로 분석한 결과 두 군간에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143). 두 군의 주산기 예후를 비교하면, 낮은 5분 Apgar score, 출생 후 신생아 집중치료실 입원환아와 출생 전 자궁 내 태아사망 등에서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양수과다증과 동반한 태아기형은 20% (34/170)으로 나타났고 두 군간에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p=0.0143), 주산기 예후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태아기형의 유형을 보면, 제 2군에서 중추신경계, 위장관계와 심혈관계 기형이 더 흔하게 나타났으며 제 1군은 비뇨생식계가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양수지수 25㎝을 기준으로 양수과다증 산모에서 태아기형 빈도 및 주산기 예후를 비교한 것으로, 양수지수가 >25㎝인 경우 더 중한 태아기형의 위험도가 증가한다. Objective :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fetal anomaly and perinatal outcome in pregnant women with polyhydramnios. Methods : Ultrasound examinations from January 1998 to August 2001 were reviewed to identify 170 patients with singleton pregnancy which diagnosed polyhydramnios. Frequency of fetal anomaly and perinatal outcomes were compared with amniotic fluid index (AFI) 20.0-25.0 ㎝ as group 1 and AFI >25.0 ㎝ as group 2. Results : The prevalence of polyhydramnios was 0.54% (170/31,358). The types of structural anomalies were gastrointestinal system (10/34, 29.4%), genitourinary system (9/34, 26.5%), central nervous system (CNS, 6/34, 17.7%), cardiovascular system (CVS, 3/34, 8.8%), neuromuscular system (2/34, 5.9%), respiratory system (1/34, 2.9%) and others (3/34, 8.8%). The structural anomaies between two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 rate of cesarean section, low 5-min Apgar score (<7), large for gestational age (LGL, 95 percentile), Nursery Intensive Care Unit (NICU) visitation and perinatal deat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 The prevalence of fetal anomaly was 20% (34/170) and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p=0.0143). However, the perinatal outcom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CNS, gastrointestinal system and CVS anomalies were more frequent in group 2 (AFI>25.0 ㎝) and genitourinary system anomaly was dominant in group 1 (AFI 20.0-25.0 ㎝). Polyhydramnios (AFI>25.0 ㎝) indicated an increased risk of severe fetal anoma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