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의 적용을 위해 보론 확산 공정에서 생성되는 Boron Rich Layer 제거 연구

        최주연,조영준,장효식,Choi, Ju Yeon,Cho, Young Joon,Chang, Hyo Sik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5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28 No.10

        We investigated and compared two methods of in-situ oxidation and chemical etching treatment (CET) to remove the boron rich layer (BRL). The BRL is generally formed during boron doping process. It has to be controlled in order not to degrade carrier lifetime and reduce electrical properties. A boron emitter is formed using $BBr_3$ liquid source at $930^{\circ}C$. After that, in-situ oxidation was followed by injecting oxygen of 1,000 sccm into the furnace during ramp down step and compared with CET using a mixture of acid solution for a short time. Then, we analyzed passivation effect by depositing $Al_2O_3$. The results gave a carrier lifetime of $110.9{\mu}s$, an open-circuit voltage ($V_{oc}$) of 635 mV at in-situ oxidation and a carrier lifetime of $188.5{\mu}s$, an $V_{oc}$ of 650 mV at CET. As a result, CET shows better properties than in-situ oxidation because of removing BRL uniformly.

      • KCI등재

        진피 분말을 첨가한 양갱의 품질 및 항산화 활성

        최주연(Ju Yeon Choi),이준호(Jun Ho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3

        진피 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양갱을 제조한 후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진피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양갱의 pH는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P<0.05), 가용성 고형분의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L<SUP>*</SUP> , a<SUP>*</SUP> , b<SUP>*</SUP> 값은 진피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진피양갱의 경도는 진피 분말 첨가량(3~12%)에 따라 0.08~0.16 kgf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총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은 진피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P<0.05) 상호 간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전반적인 소비자 검사 결과에 의하면 양갱의 관능적 품질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진피 분말의 항산화성 이점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최적 첨가 농도범위는 3~6%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feasibility of incorporating orange peel powder (OPP) as a value-added food ingredient into convenient food products, was investigated using yanggaeng as a model system. OPP was incorporated into yanggaeng at amounts of 0, 3, 6, 9, and 12% (w/w) based on total weight of cooked white beans and OPP. pH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levels of OPP (P<0.05), and moisture content was ranged from 46.28% to 47.87%. In terms of color, l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with increasing levels of OPP. Hardness increased significantly when OPP content was higher than 6% in the formulation (P<0.05).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1,1-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addition of OPP in the formulation (P<0.05). Finally, consumer acceptance test indicated that the highest levels of OPP incorporation (12%, w/w) had an adverse effect on general consumer preferences. In contrast, yanggaeng with moderate levels of OPP (3∼6%, w/w) is recommended (with respect to overall preference score) to take advantage of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OPP without sacrificing consumer acceptability.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高麗時代 ‘煌丕昌天’銘 銅鏡 考察

        최주연(Choi Ju Yeon) 한국고대학회 2016 先史와 古代 Vol.48 No.-

        Bronze mirrors decorated in relief with ‘HwangBiChangCheon’ which mean especially bright sky were widely found in east Asia such as China, Korea and Japan. It is estimated to be introduced and manufactured in Goryeo period and there still remain a lot of ‘HwangBiChangCheon’ bronze mirrors in Korea. Study of ‘HwangBiChangCheon’ bronze mirrors in Korea has started focused on its shape, design and holding location. As people pays attention to bronze mirrors of Song & Jin dynasties, people tried the Chronological study by using the methodologies of Art. To understand its patterns, recent study proposes various opinions such as approaching with a viewpoint of Buddhism. The study on ‘HwangBiChangCheon’ bronze mirrors emphasized on the interpretation of sailing patterns and inscription until now. On this account, the analysis on various ‘Hwang BiChangCheon’ bronze mirrors were not enough yet. With the concentration upon sailing patterns, some people think that ‘HwangBiChang Cheon’ bronze mirrors are related with the sea. But after careful consideration in this study, by classifying ‘HwangBiChangCheon' bronze mirrors according to its shape(octagon, round), it has proved that inscription was the main materials of bronze mirrors. Based on different appearance between round shaped bronze mirrors manufactured in Korea era and octagon shaped bronze mirrors from China, we can think that ‘Hwang BiChangCheon’ bronze mirrors became localized through introduction of new patterns and well-designed inscriptions. ‘HwangBiChangCheon’ bronze mirror is one type of bronze mirrors which introduced from China. Its production date is not sure because of non-existence of detailed documents and a lot of Artefacts using(傳世品) but it is to be estimated to be manufactured in 12~14 century. Although there remain a lot of ‘HwangBiChangCheon’ bronze mirrors which manufactured in Goryeo period, the study on this mirrors are still at early stage. In this point, this study will have significance for identifying unique characteristic of bronze mirrors of Goryeo period through analyzing ‘HwangBiChangCheon’ bronze mirrors of Korea and China. ‘황비창천(煌丕昌天)’ 4자가 양각으로 새겨진 동경은 ‘밝게 빛나는 창성한 하늘’을 뜻하며, 중국,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에서 다수 발견되는 동경이다. 현재 한국에는 많은 수의 ‘황비창천’명 동경이 남아 있으며, 이는 고려시대에 국내로 유입되어 성행·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 ‘황비창천’명 동경에 대한 연구는 형태와 문양 그리고 소장처 소개를 시작으로, 이후 송, 금대 동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동경에 대해 미술사적 방법론으로 접근하여 편년고찰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최근 연구에서는 문양구성을 불교적 측면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지금까지 ‘황비창천’명 동경 연구는 ‘항해문’ 문양분석에 중점을 두어 다각적 분석이 다소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중 양국의 ‘황비창천’명 동경을 비교하여, 이 동경에 표현된 문양 중 명문이 주된 소재임을 밝혔다. 또한 고려시대 제작된 원형 동경은 팔능형 동경 문양과 상이한 양상을 보이는데, 이는 새로운 문양의 도입, 명문의 문양화 등 ‘황비창천’명 동경이 고려화 되어갔음을 보여주는 증거이기도 하다. ‘황비창천’명 동경은 중국에서 유입된 동경류 중 하나로 그 제작시기에 대해서는 대부분 12~14세기로 설명한다. 이는 동경에 관한 기록이 없고, 동경이라는 소재의 특성상 전세품이 많다는 점에서 제작시기를 명확히 밝히기 어렵다. 이에 대해 ‘황비창천’명 동경과 함께 출토된 동전의 제작시기를 통해 간접적으로나마 동경의 제작시기를 유추하였다. 고려시대 ‘황비창천’명 동경은 가장 많은 수량이 현존하는 동경이나,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기초적인 단계이다. 이런 면에서 볼 때, 본 연구는 중국과 한국의 ‘황비창천’명 동경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고려동경의 독자성을 밝히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 KCI등재

        기원전 1세기 도시 로마의 곡물 문제와 정치 - 클로디우스 곡물법을 중심으로

        최주연 ( Choi Ju Yeon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2 서양고대사연구 Vol.30 No.-

        공화정 후기 도시 로마에서는 인구 증가에 따른 실업으로 인해 로마 평민들은 구매력을 잃게 되었고 곡물 부족과 곡물 가격의 급등은 공화정 체제 존립 자체를 위협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원전 58년 호민관 클로디우스(Publius Clodius Pulcher)는 곡물 부족 사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 곡물의 무상 배급을 골자로 하는 클로디우스 곡물법(lex Clodia frumentaria)을 제정하였다. 여기에서 주목해야할 점은 클로디우스가 이 법에 근거해서 로마 역사상 최초로 곡물의 무상 배급 조치를 취했고, 이 조치는 이후 제정기의 곡물 정책에까지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는 것이다. 카이사르(Gaius Julius Caesar)와 아우구스투스(Augustus)가 무상 곡물 배급의 수혜자들인 ‘곡물 수혜 평민’(plebs frumentaria)의 수를 제한했을 뿐, 추후의 곡물 배급은 클로디우스의 원칙을 고수하였기 때문이다. 무상 배급의 원칙은 이렇게 계승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클로디우스의 정치적 역할이나 그의 입법 조치의 의미는 제대로 규명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고는 호민관 클로디우스라는 특정 인물에 집중하기 보다는 곡물법을 관철시킨 시대적 배경에 주목하여, 기원전 1세기 역사적 격변기 속에서 정치적 쟁점으로 부각된 곡물문제의 정치적 함의를 고찰하고, 이런 시대적 흐름을 압축적으로 보여주었던 클로디우스 곡물법이 가지는 역사적 의미를 규명하고자 한다. 기원전 1세기 정치적 이해관계의 대립 구도 속에서 클로디우스는 독자적인 노선을 가지고 정치 활동을 하였으며, 곡물법을 제정하여 평민의 이익을 대변하였고, 이를 통해 평민들의 절대적 지지를 획득하였다. 이후 클로디우스의 곡물법에 따라 로마의 곡물 수혜 평민은 매달 정기적으로 밀 5모디우스를 무상 배급 받았다. 요컨대, 클로디우스의 곡물법은 공화정의 해체를 향해 나아가던 정치적 격변기의 사회경제적 상황과 변화의 추이를 압축적으로 제시해 준 것이었고, 공화정 후기 대표적인 사회경제적 현안인 곡물 문제에 대한 국가 차원의 대처 방안으로서 획기적 전환점을 마련한 조치였다. 또한 공화정과 제정이라는 표면상 이질적인 정치 체제가 단절적인 현상이 아니라, 사회경제사적 연속선상에 위치해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개혁법이었다. In the late republican Rome, as the population increased and the rate of unemployment rose, the real purchasing power of poor Roman citizens plummeted. To make the matter worse, the price of grain soared sky-high murderously because of the unprecedented grain shortages. These factors shook the foundations of the Republic. Under the circumstances, Publius Clodius Pulcher, the tribune of the plebs in 58 BC, promulgated the lex Clodia frumentaria, which set up a regular dole of free grain. He intended to provide a fundamental solution to the low grain supplies with this law. It is worth noticing that the regular dole of free grain was first implemented in Roman history and that it influenced the Roman policy of grain supply. Caesar and Augustus held fast to Clodius’s principle even though they brought the number of grain recipients to light, that is, the plebs frumentaria. However, the meaning of Clodius’s legislations and the roles in politics were not identifi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not merely the meaning of lex Clodia frumentaria, which shows the current of the times, but also the implication of grain distribution, which is the political issue during the first century BC. Clodius followed his own line of political conduct and represented the interests of the poor through lex Clodia frumentaria, so that he won the hearts and minds of the poor. The law provided the plebs frumentaria a free monthly ration of five moddii of grain. In conclusion, lex Clodia frumentaria reflects the socio-economic conditions and the transition of the change in the late republican Rome and it is innovative action. Therefore, it was the reform legislation which demonstrated that the Roman empire succeeded to the republic.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피부과를 내원한 한국 여성을 대상으로 한 바우만 피부 타입 설문지를 통한 피부 타입에 관한 연구

        최주연 ( Ju-yeon Choi ),최영준 ( Young Jun Choi ),남재희 ( Jae Hui Nam ),정호주 ( Ho Joo Jung ),이가영 ( Ga-young Lee ),김원석 ( Won-serk Kim ) 대한피부과학회 2016 대한피부과학회지 Vol.54 No.6

        Background: Skin types vary, making it difficult to identify them at a glance. To effectively understand skin type, analysis based on a questionnaire could be helpful.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ccuracy and effectiveness of the Baumann skin type questionnaire (BSTQ) compared with an interview with a dermatologic specialist. In addition, we aim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skin type proportions according to age and develop a modified BSTQ. Methods: Subjects included 202 women (19∼64 years of age) who visited the dermatologic clinic of our hospital. They completed both the BSTQ and an interview with a dermatologic specialist. A modified BSTQ was developed by removing similar and racial questions and adjusting grading scores. Results: The agreement between skin type proportions analyzed by the BSTQ and an interview was not reasonable (κ=0.428, 95% confidence interval [CI]: 0.363∼0.493).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proportion of dryness and age (R2=0.029, p<0.05). However, other skin type proportions (sensitivity, pigmentation, and wrinkles)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ge. The modified BSTQ showed substantial agreement with the BSTQ in skin type proportions (κ=0.691, 95% CI: 0.641∼0.740). Conclusion: We identified the skin types of Korean women of various ages using the BSTQ and an interview. Furthermore, the modified BSTQ might be helpful for accurately recognizing skin types. (Korean J Dermatol 2016;54(6):422∼437)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