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최정희의 후반기 소설 연구

        정보람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정희의 후반기 소설 연구 본고는 ‘여성-작가’이자 문단의 ‘대가’라는 평가를 받았던 최정희의 후반기 삶과 그의 소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그동안 최정희 소설에 대한 연구는 그의 전반기 소설에 두드러져 있어 불균형한 형국이었다. 본고는 최정희 문학 세계의 총체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그의 후반기 작품을 연구함으로써 최정희 연구에서 결락된 부분을 보충하고자 했다. 서론에서는 먼저 최정희의 소설 세계 전반에 대한 시기 구분을 재설정했다. 최정희의 후기 소설의 범위를 1960년대 초반 발표된 『인간사』부터 1980년에 발표된 마지막 작품인 「화투기」까지로 축소했다. 해당 시기에 최정희가 발표한 소설을 연구 대상으로 삼으며 최정희의 후반기 소설에 담긴 작가 의식을 찾고자 했다. 아울러 선행 연구에서 논의되지 않았던 소설을 살핌으로써 최정희의 소설 연구에서 후반기 소설이 갖는 의의를 재정립했다. 본론의 각 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논의했다. Ⅱ장에서는 1960년대부터 영면에 이르기까지 최정희의 삶을 검토하고 그의 문단 활동과 역할을 살펴보았다. 최정희는 ‘여성-작가’로서 문단의 중심권력을 욕망했다. 하지만 ‘여성’이라는 한계와 시대의 흐름 앞에서 문단의 권력이 이동하자 그의 욕망은 좌절된다. 하지만 그는 특유의 ‘살롱문화’를 형성함으로써 ‘살롱’의 명예로운 ‘여주인’이 되었다. Ⅲ장에서는 3기의 작품 『인간사』, 『강물은 또 몇천 리』를 다루었다. 『인간사』는 식민지기 지식인 문오를 중심인물로 내세워 격동의 한국 현대사를 회고했다. 최정희는 이전의 소설들에서 최정희 자신으로 의심될 만큼 작가와 비슷한 정체성을 지닌 여성 인물을 내세워 그가 겪고 있는 동시대의 당면과제를 논했던 것과는 달리 『인간사』에서 ‘지식인-남성’ 주체를 통해 과거를 재구성한다. 이때 식민지 조선은 ‘적막’하고 지식인들 역시 ‘적막’에 사로잡혀 있다. 최정희는 그들이 실패할 수밖에 없었던 것은 ‘적막’한 시대의 숙명 탓이라고 해명하면서 과거를 돌아보지 말고 미래를 향해 나아갈 것을 주문하고 있다. 그는 미래지향적인 자세를 지닐 것을 강조함으로써 ‘적막’이라는 장막 속에 과거의 잘못을 감추고 있다. 『인간사』에 이어 발표한 『강물은 또 몇천 리』에서도 그는 식민지기를 회고한다. 이때 최정희는 자전적 자아의 목소리를 빌려 지극히 개인적인 아픔을 말함으로써 있는 그대로의 과거를 ‘고백’하겠다는 의도를 밝히지만 그의 ‘고백’은 반쪽에 불과했다. 친일의 행적에 대한 고백이 철저하게 삭제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는 친일행적에 대해 고백해야 할 지점에 이르면 소설의 국면을 전환해버린다. 그는 ‘고백’이라는 형식을 이용해 과거를 은폐하는 기만술을 택하고 있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최정희가 자신의 ‘친일’ 행적을 은폐, 축소하기 위해 식민지기를 다룬 두 편의 장편 소설을 발표했음을 설명하고자 했다. Ⅳ장에서는 4기에 발표된 단편 소설을 중심으로 최정희가 ‘나이든 여성’으로서 ‘주변부’의 위치에 적응하고 ‘소멸’에 대응하는 방식을 살폈다. 4기는 최정희가 식민지기 회고를 중단하고 현실의 문제로 눈을 돌린 1960년대 중후반부터 마지막으로 발표된 소설 「화투기」(1980)까지의 시기를 가리킨다. 이 시기 최정희는 자신이 도약하고자 했던 중심이 달라졌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그는 자신의 위치가 ‘주변성’에 불과하다는 사실에 적응하기 위해 노력한다. ‘나이든 여성’으로서 에로스를 재배치하고 소멸의 의제를 수용하는 자세가 단편 소설로 형상화되었음을 밝히고자 했다. 특히 마지막 작품인 「화투기」에서 최정희는 죽음의 공포와 불안을 수용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는 후반기 최정희의 작가 의식이 명징하게 드러나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혹독한 현실 앞에 불가피하게 내몰려왔지만 최정희의 과거는 참혹했다. 그의 소설은 한국의 근ㆍ현대사에서 살아남기 위한 처절한 생존기로 읽을 수 있었다.

      • 1930년대 여성작가의 여성의식 연구 : 박화성, 강경애, 최정희 소설을 중심으로

        정수희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7676

        930년대 여성작가의 여성의식 연구 - 박화성, 강경애, 최정희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정 수 희 본 연구의 목적은 1930년대 여성작가의 소설 속 여성인물의 양상을 살피고, 그를 통해 여성작가의 여성의식을 살피는 것에 있다. 30년대 여성작가 가운데 박화성, 강경애, 최정희를 선정하여 그들의 소설 속 여성인물이 처한 현실과 그에 따른 행동양식을 살펴보았다. 여성인물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작가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을 연관 지어 살펴보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분석해낸 소설 속 여성인물의 모습을 통해 세 여성작가의 여성의식을 고찰하였다. 소설 속 여성인물은 크게 지식인 여성과 하층민 여성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각각 그들이 처한 현실과 그에 대한 대응양상을 살펴 다시 몇 가지 유형으로 세분하였다. 우선 작가 자신들의 모습과 닮아있는 소설 속 지식인 여성은 ‘관찰자로서의 현실인식과 고발’, ‘지식인 여성의 이중성과 자아성찰’, ‘여성문제의 인식과 모성회귀’ 세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세 여성작가는 소설 속 여성인물을 통해 당시 지식인 여성이 처한 문제와 그 대안을 제시하고, 더 나아가 지식인 여성의 역할과 시대적 여성상을 제시하려 노력하였다. 이들은 식민지하 조선 여성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하층민 여성들의 삶도 놓치지 않고 소설 속에 다양한 모습으로 그려내고 있다. 중첩의 고통을 당하는 하층민 여성의 비참한 삶을 형상화함으로써 당시 사회의 모순을 고발하고 있다. 소설 속 하층민 여성은 억압적 현실에 체념하고 순응해 살아가는 인물과 소극적이나마 현실에 저항하는 인물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여성인물들을 통해 세 여성작가의 여성의식을 고찰하였다. 작가들 간에 차이점과 공통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는데, 우선 여성문제에 대한 시각에서 차이점이 발견된다. 박화성과 강경애는 여성문제를 독립적으로 다루지 않고 식민지하의 시대적 현실문제의 일환으로 다루고 있고, 최정희는 모성의 문제와 같은 여성문제를 작품의 주요 소재로 삼아 여성세계에 천착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를 통해 박화성, 강경애보다 최정희의 여성의식이 심화되었다고 평가하였다. 또 다른 차이점은 강경애의 지식인 여성에 대한 의식에서 발견된다. 지식인 여성의 의식과 행동이 분열된 이중적 면모를 소설에 비판적으로 그려내고 있으며, 이에 그치지 않고 지식인인 자신을 돌아보고 반성하는 자아성찰의 계기로 삼고 있어 지식인 여성에 대한 남다른 의식을 보인다. 이처럼 각자 개성을 갖고 작품 활동을 한 세 여성작가를 1930년대 여성작가로서 묶이게 하는 특징도 발견되고 있다. 세 여성작가는 모두 식민지 현실을 인식하여 작품 속에 반영하는데 진지하고 적극적이었다는 것이다. 특히 하층민 여성의 비참한 삶은 세 여성작가의 작품에서 모두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여성문제에 관심을 갖고 여성의 억압된 현실을 많은 작품에 형상화하여 고발하는 모습에서 세 여성작가의 여성의식의 자각을 엿볼 수 있었다. 그러나 전통적 여성상으로 회귀하는 모습이 부분적으로 나타나면서 여성의식의 한계점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는 세 여성작가의 개인적 한계라기보다는 당시 변화하고 있는 사회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며, 전대 여성 작가들에 비해 진보된 여성의식을 보이면서 긍정적 평가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당시 남성 작가들의 계급과 민족의 문제에 제한된 시선에 여성의 문제를 더함으로써 여성 해방의 시각을 확보하였고, 따라서 한국문학사의 심화와 확대에 기여하였다고 평가하였다.

      •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과학문화확산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 : 'KIST 과학탐방' 참여자의 과학선호도, 참여동기, 만족도를 중심으로

        최정희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과학문화확산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과학선호도와 참여동기, 프로그램만족도가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최근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경제사정의 급변으로 학생들의 직업세계관에 대한 사회적 상황 변화는 청소년들의 이공계 기피 현상으로 사회문제화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책임을 중요시하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성과를 통한 체험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과학적 인식 변화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살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최초 종합과학기술연구소인 정부출연연구기관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이하 KIST)의 고유의 특성을 갖춘 교육기부프로그램‘KIST 과학탐방’을 사례중심으로 초등학생들의 과학선호도와 참여동기, 프로그램만족도가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KIST 과학탐방에 참여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서베이 방법의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측정항목은 기존 진로인식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결과로 도출된 요인으로 과학선호도, 참여동기, 프로그램만족도, 진로인식을 문항으로 작성하였다. 설문지는 KIST 본원 문화경영팀과 강릉분원의 협조를 통해 예비설문조사 테스트를 거쳐 직접 배포 및 회수하였다. 설문시기는 약 3개월 동안 총 8회 설문을 실시하여, 총 100명이 응답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 SPSS Windows 18.0 version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생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인 참여횟수와 참여경로(KIST 앎), 과학선호도, 참여동기(내재적참여동기), 프로그램만족도(내용만족도, 지도자만족도, 시설·환경만족도) 요인들이 종속변수인 진로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냈다. 첫째, 초등학생의 사회인구학적 요인중 참여경로의 하위요인인 KIST앎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참여횟수의 특성은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미한 부적관계가 있었다. 둘째, 과학선호도가 높은 학생일수록, 내재적참여동기가 높을수록, 진로인식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프로그램에 참여한 횟수의 양보다 과학을 좋아하는 과학선호도가 높은 학생들이 본인 스스로 참여하는 내재적참여동기와 프로그램의 질적인 내용이 진로인식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반면, 과학선호도는 진로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나, 프로그램만족도 투입시에는 진로인식에 영향력은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여동기 하위요인인 내재적참여동기는 진로인식에 정(+)의 영향을 미치나, 과학선호도의 특성과 같이 프로그램만족도 영역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로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과학선호도와 내재적참여동기가 높은 학생일수록, 프로그램만족도 수준이 높았고, 진로인식에 정(+)의 영향을 나타났다. 넷째, 프로그램만족도 요인을 투입한 결과, 프로그램만족도는 하위요인중 지도자만족도가 진로인식에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다수의 진로인식에 대한 선행연구와 같이 과학선호도, 내재적참여동기가 중요한 핵심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프로그램만족도 투입시 더욱 진로인식을 잘 설명할 수 있었다. 이에, 과학선호도, 내재적참여동기, 프로그램의 지도자만족도가 중요한 요인임을 제시한다. 본 연구를 통해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과학문화확산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과학선호도와 내재적참여동기, 프로그램 지도자만족도가 진로인식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있음을 실증적으로 밝히고 있다. 기존의 주입식 과학교육체계를 벗어나, 과학기술의 창의적인 체험학습활동에 있어 접근성이 용이하고, 인적·물적 인프라를 갖춘 정부출연연구기관인 KIST의 차별화된 교육기부프로그램을 초등학생들에게 제공함에 있어 학생의 과학적 인식 변화를 확인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학생들의 개인적 특성(과학선호도, 내재적참여동기)에 따라, 과학기술을 쉽게 전달하고 흥미로운 체험활동을 제공하기 위해 정부출연연구기관의 특성을 살린 특화된 양질의 교육기부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둘째,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지도자에 대한 전문성과 실제 연구기관의 체험활동 교육기부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진로인식에 직접적인 영향으로 매우 중요함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의 사례와 같이, 공공성이 강조되는 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는 과학문화확산활동 교육기부프로그램의 창의적인 체험활동을 위한 프로그램 질을 확보하기 위해 과학지식을 보유하고 있는 전문 과학자들의 기여자를 확보하고, 기여자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에 대한 자긍심을 제고하기 위한 구체적인 제도가 필요한 현실이다. 또한, 정부에서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의 미래인재 양성을 위하여 사회적 책무를 다 할 수 있도록, 사회에 공헌하고 나눔을 실천할 수 있도록, 교육기부에 대한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정부의 지원과 정책적 배려 및 보완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활동들은 오늘날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새로운 변화를 위한 가장 기초적인 것이면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새로운 변화 발전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더 나아가 국가의 미래 발전을 주도해 갈 수 있는 것으로서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한다. 끝으로, 과학기술은 개인, 집단,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모든 국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국가 발전전략에서 정부출연연구기관이 복지사회를 실현시킬 수 있는 매개 역할의 경로로서 올바른 과학에 대한 인식과 이해도 및 관심 등에 대한 보다 더 심화된 연구들이 이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 중년기 직장남성의 적응에 관한 질적 연구

        최정희 동의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사회는 지식정보화사회를 기반으로 세계에서 유래가 없는 급격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이는 정치경제 및 사회구조의 변화와 함께 개인과 가족, 직업생활 전반에 걸쳐 다양하고 급격한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이로 인해 우리사회의 중년남성들에게 요구되는 새로운 가족역할, 직업역할은 그들의 과업과 부담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 우리사회의 주류이자 인구의 절반이 남성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중년기 남성들의 삶의 질이 어떠한가는 개인적 측면을 넘어 가정은 물론 우리사회 전체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사안이다. 따라서 중년남성들의 적응은 중년남성 자신의 문제임과 동시에, 우리사회 전체까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사회에서 여러 모습으로 살아가는 중년기 직장남성들의 적응과정과 그 과정에서 스스로를 살피고 돕는 보호요인들의 상호작용을 탐색하여, 그들의 삶에 다가오는 변화에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사회적지지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중년기 직장남성의 삶은 어떠한가? 둘째, 중년기 직장남성의 적응과정은 어떠한가? 셋째, 중년기 직장남성의 적응과정 중 어떻게 학습이 발생되는가?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문제에 따라 중년기 직장남성들의 적응과정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중년기 직장남성들이 직면해온 갈등과 위기상황들을 어떻게 극복하고 현재에 이르렀는지, 중년남성들이 말하는 그들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그 적응과정을 살펴보고, 그들의 이야기 속에 드러나는 그들의 삶터인 가정과 직장에서의 역할수행의 적응과정 중 어떻게 학습이 발생되는가를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Strauss &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 방법에 따라 접근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의 선정은 직업경력이 최소 10년 이상인 울산지역에 거주하는 40대 기혼 재직남성 6명으로, 이들은 연구자의 개인적인 친분관계, 지역에서 교류하는 사람의 추천 등 두 가지 방법으로 섭외하였다. 둘째, 자료 수집은 반구조화 된 질문지를 바탕으로 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심층면담내용은 연구 참여자의 서면동의를 얻어 녹음을 하고 이를 필사하여 원자료로 활용하였다. 셋째, 자료 분석은 근거이론 연구방법에 따라 전사된 원자료를 근거로 지속적인 질문과 메모, 비교분석의 절차를 통하는 개방코딩을 통해 개념을 도출한 후, 축코딩의 과정에서 범주분석과 과정분석을 하고, 선택코딩에서 중심범주를 발견하고 이야기윤곽을 작성하였다. 이러한 연구절차에 따라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직장남성들이 인식하는 그들의 삶은 급격한 사회 환경의 변화로 인해 가족역할과 직업역할에의 어려움과 함께 나이 듦과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중년기 직장남성들의 적응과정은 중심범주 ‘여러 역할 속 자신을 위한 삶과 타인을 위한 삶 간의 중심 찾기’로 설명되어지며, 과정분석으로 ‘삐걱거림을 감지의 단계’, ‘갈등표면화의 단계’, ‘변화의 필요성인식의 단계’, ‘이해와 타협의 단계’ 그리고 ‘잠정적 결론의 단계’가 도출되었다. 셋째, 중년기 직장남성들의 적응과정 중의 학습은 ‘성찰하기’, '행동하기’, ‘재구성하기’ 의 세 가지 행위가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풀어나가는 경험학습의 모습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른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사회의 중년남성들과 그들의 환경으로 작용하는 가족구성원들의 그들을 이해할 수 있는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며, 이러한 인식의 전환을 도울 수 있는 사회적 지원시스템이 필요한 시점에 와 있다고 본다. 둘째, 중년기 직장남성의 적응을 돕는 사회적 지지방안은 여러 차원에서 여러 가지 수단과 방법으로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언제 어디서 누구나 행복한 학습을 할 수 있는 근거리 학습망 구축사업'으로서의 행복학습센터를 지원하는 평생학습시대에 걸 맞는 개개인의 적응을 도울 수 있는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개인의 적응을 도울 수 있는 상담 및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그럼으로써 이 시대를 살아가는 누구나가 필요한 시기와 장소에서 적절한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기반을 갖추게 될 것이다.

      • 소상공인의 일터학습과 서비스품질, 경영성과 간의 관계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최정희 대전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Relationship Among Workplace Learning, Service Quality and Management Performance in Small Businesses :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Jeong-Hee Choi Dept. of Business Consulting Graduate School, Daejeon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Byung-Hwan Hyun) Economic development has brought about knowledge and technology, and this has led to an increase in importance of learning. The forms of learning have made progress for development and potential, and since workplace learning emerged, it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as well. However, we must admit most of the previous works are qualitative studies, and there is an unreasonable lack of quantitative studies. The majority of the existing studies on workplace learning have targeted enterprises, which means there have been few studies targeting small business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workplace learning, which ha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businesses. Prior to conducting the study on small businesses, workplace learning, job satisfaction, management performance and service quality were selected as variables, and significances were verified depending on the causal relation of variables. It was found that many small businesses were in poor surroundings. Therefore, this study is focused on helping small businesses develop and reinforce their capabilities. It was thought that there was a need to improve and settle issues regarding self-support by providing small businesses in poor surroundings with an opportunity for workplace learning, which could be the foundation for further growth. Moreover, this study is intended to remind local governments and government agencies of the need for learning, and suggest political and institutional systems. In order to identify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of variables related to workplace learning of small businesses, research hypothese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empir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hypothesi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workplace was selected as a variable influencing management performance and service quality, and job satisfaction was selected 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_service quality and workplace learning. For this study, 203 small business representatives and workers were surveyed, and for data validation, empir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Ver. 24. After collecting 203 questionnaire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In addition, factor analysis for analyzing significances of variables,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for analyzing the correlation among variables and demographic analysis were executed. To identif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influenc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3-step regression analysis was implemented to inquire into the relationship among simple, multiple and mediating effects. The analysi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workplace learning had a partially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ly, workplace learning had a partially significant effect on service quality, and ha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management performance. Thirdly,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service quality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irdly,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service quality and management performance. Fourthly, formal learning did not show a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and management performance, and informal learning showed a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and management performance. As shown in the above analysis results, formal learning was rejected, because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service quality and job satisfaction, and there is a need to figure out the reason for the rejection. It was revealed that small businesses in a poor situation did not receive any chance to experience or be provided with self-learning and formal learning from local governments or government agencies. It is obvious that this loophole is caused by environmental factors of society, economy and politics. Despite these poor environments, small businesses were making constant efforts for their livings. The partial influence of workplace learning, on service quality and management performance implies that small businesses have a life instinct and an empirical will to do their best with their own efforts and experiences and increase sales. Also,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displays a mental state of small businesses. It is expected that finding a way of establishing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a proper way will help in improving service quality and management performance by stabilizing lives of small businesses. Accordingly,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need to supplement institutional systems for settling issues of small businesses. In spite of these significant research results, this study may have a limitation. For overcoming this limitation, further research will need to target a variety of samples and fields in depth, and the scope of research will have to include practical, academical or political relationships too for enhancing contribution of management performance, service quality and job satisfaction more. Key Words: Workplace Learning, Service Quality, Management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공격성과 자기 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최정희 원광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연구의 목적은 집단음악치료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기 통제력과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함이다. 연구의 대상은 K시에 소재한 중학교의 무단 결석을 3번 이상 한 청소년 가운데 교사의 추천에 의해 10명을 선정하였다. 본연구의 실험집단은 주 1회 1시간 20분으로 총 15회기 집단음악치료를 실시하였고, 실험집단의 자기 통제력과 공격성을 사전-사후에 측정하여 효과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학교부적응 청소년을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 실시의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 간의 대응표본 t-test 검증한 결과 자기 통제력 영역에서 실험집단은 사전-사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격성 영역에서 실험집단의 총점을 비교해 본 결과 약간의 증가는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자기 통제력에서 단기 만족은 약간의 증가를 보였으나 장기 만족에서는 오히려 감소를 보였다. 그 원인은 많은 음악치료 기법 가운데 행동을 통제할 수 있도록 즉흥연주와 신체활동을 선택하였는데 이는 장기 만족도에 해당되는 문제에 대해 사고를 하고 해결점을 찾는 과정이 부족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공격성에 있어서 부정성은 유의미하게 감소되었으며 폭력, 간접적 공격성, 언어적 공격성, 흥분성에도 약간의 감소를 보였다. 부정성은 가장 먼저 변화를 보이는 감정이므로 부정성의 유의미한 감소는 폭력, 간접적 공격성, 언어적 공격성, 흥분성에도 연계가 이루어질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음악치료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기 통제력과 공격성에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는 못했지만 음악치료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기 통제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국내 연구가 부족한 만큼 앞으로의 많은 연구자들에게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group music therapy on self-control and aggressiveness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students absent without leave more than three times in a middle school in K city. Among them, the teachers selected 10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group music therapy in a total of 15 sessions, for 1 hour and 20 minutes each, once a week. It measured the effects on self-control and aggressivenes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test was conducted between the tests before and after the group music therapy with the subjects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In both self-control and aggressiveness, the experimental group didn'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es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But in aggressiveness, a little bit of increase appeared. The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control. But it showed a little increase in short-term satisfaction, while it showed decrease in long-term satisfaction. Improvisation and physical activities were chosen to help them to control themselves. But the process of thinking and finding solution points must not have been enough. Therefore, it is thought not to have had an effect on long-term satisfaction. In negativeness as a sub-field of aggressiveness,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And in violence, indirect aggressiveness, verbal aggressiveness, and irritability, there was a little decrease. First of all, negativeness shows the quickest change, so it is thought that the significant decrease in negativeness is related to violence, indirect aggressiveness, verbal aggressiveness, and irritability. Consequently, the study didn't get the significant conclusion that group music therapy has an effect on self-control and aggressiveness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But considering the lack of domestic researches about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self-control and aggressiveness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it is expected to offer research directions to researchers of the future.

      • 쌀겨를 첨가한 조청의 제조 및 이를 활용한 전통 다식 개발

        최정희 대구가톨릭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e and perception of adults concerning jochu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445 residents in the Daegu and Gyeonbuk area. When purchasing jochung,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considered health and taste. The housewife preferred their jochung 'moderate', 'weak', 'strong', 'very weak' and 'very strong' about sweetness level of jochung The purchase frequency of once or twice a week for jochung was highest. The main reason jochung was purchased was its "Family friend or neighbor" (40.1%) and "For health" (39.2%). The 'diversity of purchase place' and 'development of functional jochung' of improvement were higher. Consumers showed low perceptions of different jochung used in sweetening, and did not exactly recognize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jochung As a result, popularization of jochung was based on internal factor and external factor significantly influenced preference for jochung menus. To increase the consumption of jochung, there is need for hygiene and safety of the jochung products and variations and improvement of the quality. Rice bran as added at 0~50%(w/w) to improve properties of jochung Content of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ash and moisture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rice bran, while carbohydrate contents decreased. Through free sugar analysis, 4 free sugars ere identified and quantified, maltose being the major free sugar. As a amount of added rice bran increased, yield and reducing sugar of jochung decreased. Addition of rice bran in jochung increased DPPH radical scavenging. As the incubation time of jochung increased, the pH increased but sweetness decreased. Addition of rice bran in jochung decreased viscosity In analyzing the visible mold colony during 15 days of storage at 20℃, mold growth in jochung containing rice bran was retarded. Sensory evaluation scores in terms of after swallowing, taste, and overall preference of jochung containing 30% rice bran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Jochung was prepared by adding licorice extract to improve its quality and to give functional propertie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ochung added with licorice extract(0, 25, 50, 75, 100%) were investigated during storage for 20 days. Turbidity, Discoloration degree and reducing sugar increased with increasing licorice extract. As the incubation time of jochung increased, the pH decreased but sweetness increased. The viscosity tended to increased with licorice extract. Increasing the ratio of licorice extract in jochung tended to decrease the lightness, while redness and yellowness in Hunter's color value increased. Although sensory value decreased with increasing licorice extract, use of licorice extracts(25:75; saccharification liquids:licorice extract) is recommended for making jochung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distinct of wheat flour dasik containing added rice bran jochu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traditional confectionery , wheat flour dasik, prepared under different condition and to compare their consumer acceptance in Korea. As a amount of added rice bran jochung increased, moisture contents of jochung decreased. The Moisture content of oven baking method was lower than that of no heating and steaming method. As a amount of added rice bran jochung increased, pH of jochung increased. pH of steaming method was higher than that of no heating and steaming method,. While adding rice bran jochung the jochung decreased the L value, it increased the a value and b value .As for mechanical characters, the higher was rice bran jochung content, the higher were hardness, cohesiveness, chewiness and springiness. As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as for sweetness and overall quality, honey:jochung (1:1) was prove to be desirable most. summing up the above results, Honey:jochung (1:1) showed the most desirable results in the whole. Also after making wheat flour dasik the preference degrees of sample no heating and steaming method were higher than that of oven heating method.

      • 실업계 고등학생의 영어학습 동기유발을 위한 방안 : 교과서 재구성을 중심으로

        최정희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영어 교과에 있어서 기초학력이 부진한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를 갖고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학습 동기를 지니게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실업계 고등학교의 영어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교과서와 학습자를 중심으로 그 문제점을 분석학고 영어 학습에 있어 그들의 요구가 무엇인지를 설문을 통해 알아보았다. 설문결과에 나타난 현재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느끼는 가장 큰 문제점은 대부분의 학생들의 영어학습수준이 중학교 저학년 수준에 머물러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문계 고등학교와 동일한 어려운 교과서로 학습함으로써 영어학습에 대한 부담감을 느끼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교과서의 내용도 향후 직장생활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유용한 내용이 아니기 때문에 학습자의 관심과 흥미를 이끌어 낼 수 없었다. 이러한 영어교육의 상황분석을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영어학습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인문계 고등학교와 차별된 실업계 고등학교 학습자들을 위한 교과서를 1과 분량으로 재구성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재구성한 교과서를 바탕으로 교사가 교실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실용적인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 스스로 학습의 주체가 되어 영어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활동중심의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영어학습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높이는데 중점을 두었다. 재구성 교재의 특징과 활용방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학습자 중심의 교재로 구성하였다. 설문을 통하여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영어학습에 대한 어려운 점을 인식하고, 교재의 수준, 소재, 내용, 구성 등에 관련된 여러 사항을 학습자 중심으로 수정, 보완함으로써 학습동기를 유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둘째, 교과서의 난이도를 중학교 저학년 수준으로 맞추어 구성하기 위하여 “중학교 1학년 교과서(디딤돌 출판사)”의 어휘나 문장구조 등을 참고하였다. 셋째, 교과서의 내용은 졸업 후 취업과 관련된 내용인 “Restaurant"으로 하여 실업계 고등학교에 맞는 실용적인 구성을 꾀하였으며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가 되도록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 할 수 있도록 하는 교수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스스로 학습에 대한 목적을 갖도록 유도 하였고, 설문에 근거한 학습자가 선호하는 활동을 적용하여 제시함으로써 학습의 흥미와 관심을 갖도록 하였다.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들과 동일한 교과서로 학습함으로써 겪는 어려움으로 인하여 영어학습에 대한 흥미를 잃어버린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교과서 구성은 학생들로 하여금 영어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어학습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o increase motivation for English learning in commercial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study, I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English education with a focus on students and English textbooks through the survey. It was conducted on 180 samples of second grade students in a commercial high school. The major findings of this survey are as follow: They are not interested in learning English due to various kinds of factors. Especially, their textbook and materials were not appropriate for their learning needs and levels. While their English learning ability is very low, their textbook consists of complex grammar, vocabulary and reading materials. Most of the students in commercial high school also want to get a job right after graduation. But textbooks are not made up of job-related topics. Besides, students in commercial high school use the same English textbook as those from non-commercial high schools. That is, their textbooks fail to reflect the immediate need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 English textbook which is specially designed for commercial high school students, which would be distinct from the mainstream of English textbooks being used by non-commercial high school students. I was able to find through the survey that students in commercial high school also wanted to study with a separate English textbook, and to learn about job related matters. In this study, based on the survey, I revised the textbook to reflect the students' level and needs in order to increase their English learning motivation and showed various kinds of applicable activities in the textbook. The major features of the revised textbook are as follows: First, the textbook puts emphasis on learner-centered construction, which means that the level, material, and contents of the textbook reflect learners' level and needs. Second, the textbook refers to the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 published by Didimdol. Third, the topic in the textbook is a "Restaurant" which is related to their prospective future jobs. Finally, I showed some activities which can be used with the revised textbook in the classroom. The current commercial high school students have trouble in understanding their English textbook. Therefore, the revised learner -centered English textbook for commercial students can give them increased interest in English learning. Some methods used for the revised textbook can also make students take part in their study and motivate them to concentrate on their English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