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新羅王京 周邊 出土 唐式 帶裝飾具의 分布 定型

        崔正凡 한국문화유산협회 2021 야외고고학 Vol.- No.40

        신라 중고기 이래로 고분에서 주로 출토되는 당식 대장식구는 관인의 신분을 드러 내는 물질자료라는 점에 이견이 없다. 그러나 이를 소유하던 사람들의 위계나 분포양상 등 에 대한 접근에 이르지는 못했다. 이를 바탕으로 신라왕경인 현재의 경상북도 경주 일원에 서 출토된 당식 대장식구를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현재까지의 자료로 보건대 경주에서 출토된 대장식구의 재질은 금에서 철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제 2단계인 7세기 후반~8세기 대에 출토 사례가 집중되고 있다. 아울러 대장식 구가 출토되는 고분은 주로 왕경의 북쪽인 현재의 황성동·동천동·석장동 등에 집중되어 있다. 이를 염두에 둔다면 왕경 북쪽은 중·하위 관인들의 묘역에 해당되며 이는 京外埋葬 과도 부합한다. 한편 왕경외곽에서 확인되는 자료는 지방으로 향하는 교통로 선상에 위치 한다. 왕경 주변에서 출토되는 대장식구의 재질과 묘제를 위계의 관점에서 보면 소유자의 위계 를 함께 반영하고 있어 왕경 주변 묘역의 조성 및 계서 문제에 접근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도 그 중요성이 작지 않다. 이는 향후 신라 지방과의 비교연구를 통해 통일신라시대 신라 의 중앙·지방 정치제도를 추론하는 데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다 No one denies the idea that the Tang-style metal belts which have been unearthed mainly from the tombs that date back to the middle ancient period of Silla are artifacts that indicate the identity of government officials. However, erstwhile research has yet to reach its conclusion as to the hierarchy and regional distribution of those who owned them. In light of this, the Tang-style metal belts which were discovered in Gyeongju, North Gyeongsang Province—which used to be the royal capital of Silla—need to be closely examined. Judging from the currently available data, the materials of the belt ornaments which have been uncovered in Gyeongju range varyingly from gold to iron, and the excavated artifacts are concentrated between the late 7th century and the 8th century, which constitutes the second phase. Furthermore, the tombs from which the belt ornaments have been found en masse are concentrated in the northern part of the city, including Hwangseong-dong, Dongcheon-dong, and Seokjang-dong. Based on this fact, the northern part of the royal capital was a cemetery for middle or lower-ranked government officials, which is also in accordance with the supposed rule of ‘burial outside the capital(京外埋葬)’ Meanwhile, the artifacts found outside the royal capital mostly lie on the roads heading to regions. The study has examined the materials of the belt ornaments found around the royal capital and the burial practices gleaned from them. As the ornaments reflect their owners' ranks in the social hierarchy, they are quite significant in that they allow us to re-imagine the cemeteries around the royal capital according to their hierarchical ranks. This can serve as a standard in inferring the central and local political systems of Unified Silla through future comparative studies on the various regions of Silla.

      • KCI등재

        遼寧省 朝陽 出土 唐式 帶裝飾具의 政治的 含意

        최정범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0 한국고대사탐구 Vol.36 No.-

        Comparisons of artifacts such as Tang-style metal belt ornaments excavated from the sites of the Tang Dynasty and Chaoyang, Liaoning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ingzhou Commandery (Yingzhou Dudufu), which enforced the Jimi system on servants, and the Khitan people during the early Tang Dynasty. Examinations of the epitaphs and belt ornaments excavated from the Chaoyang area reveal that they belonged to military government officials of the Yingzhou Commandery throughout the early 7th century to the early 8th century. Meanwhile, among the Tang-style metal belt ornaments excav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similar properties to those excavated from the Chaoyang district were observed. These were believed to have emerged on a short-lived basis through exchanges of ideas and social contacts based on the flow of information, in addition to official exchanges of clothing in what was known as the tributary system. Ultimately, the Tang-style metal belt ornaments unearthed in Chaoyang, Liaoning, not only represent the status of law officials. They also signify the interaction model of Northeast Asian material culture with changes in the political and military relations in the Liaodong area against the cross- section of the Jimi system of the northeastern region during the early Tang Dynasty. 현재까지 唐代 유적에서 출토된 唐式 帶裝飾具 중 遼寧省 朝陽에 출토 사례가 집중되는 현상에 주목하면 唐 前期 契丹과 奚의 羈縻統治를 담당했던 營州都督府와의 관련성을 유추해 볼 수 있다. 朝陽地域에서 출토된 帶裝飾具와 공반된 墓誌銘을 토대로 이를 소유한 계층은 7세기 전반에서 8세기 전반 營州都督府와 관련된 軍政官人에 해당된다. 한편 韓半島에서 출토되는 唐式 帶裝飾具 중 朝陽 출토품과 유사한 속성이 관찰되는데, 朝貢-冊封이라는 공식적인 복식의 교류 외에도 아이디어의 교환, 정보의 흐름에 따른 사회적 접촉 등을 통한 상호작용을 통해 단발적으로 등장한 것으로 보았다. 결국 遼寧省 朝陽에서 출토된 唐式 帶裝飾具는 단순히 律令官人의 신분을 표상하는 도구에서 그치지 않고 唐 前期 동북지역 羈縻統治의 단면과 역사적 변천과정, 정치・군사적인 관계 속에서 遼東地域의 정세변동과 동북아시아 물질문화의 상호작용 모델을 제시해 볼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도 그 의미는 작지 않다.

      • KCI등재

        그래핀/LaVO3 수직 이종 접합 광 검출기 특성 연구

        최정범,박기천,이재준,이호선,신동희 한국물리학회 2023 새물리 Vol.73 No.1

        The heterostructure of graphene (Gr) transparent conductive electrode and the high absorption LaVO3 are ideal for next-generation high-performance photodetectors (PDs). However, the high sheet resistance of pristine Gr limits PD performance. Codoping of Gr with Au nanoparticles and bis(trifluoromethanesulfonyl)-amide is an effective method to increase conductivity while maintaining high transparency. Here, we report Gr/LaVO3 vertical heterostructure PDs employing doped Gr with various dopants. Results show that codoped Gr/LaVO3 PD exhibits the best performance with responsivity of 0.22 AW-1 and specific detectivity of 7 × 1011 cm Hz1/2W-1 at 620 nm. This behavior indicates superior performance over previously reported multilayer Gr/LaVO3 devices. 그래핀 투명 전도성 전극과 높은 흡수계수를 갖는 LaVO3의 이종 접합 구조는 차세대 고성능 광 검출기(PD)로 이상적입니다. 그러나 초기상태 그래핀은 낮은 전도도로 인하여 광 검출기 성능을 제한합니다. 그래핀에 금 파티클과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 설포닐)아미드 (TFSA)를 동시에 도핑하는 것은 그래핀의 높은 투명도를 유지하면서 전도도를 증가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여기서, 우리는 금 파티클, TFSA, 및 금 파티클-TFSA가 도핑된 그래핀/LaVO3 수직 이종 구조 PD를 보고합니다. 결과적으로 금 파티클-TFSA가 도핑된 그래핀 기반 LaVO3 광 검출기 620 nm에서 최대 0.22 AW-1의 광 응답도와 7 × 1011 cmHz1/2W-1 검출능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결과는 이전에 보고된 다층 그래핀/LaVO3 소자보다 우수한 성능을 입증합니다.

      • KCI등재

        新羅 良・尙・康州 出土 唐式 帶裝飾具의 分布 定型

        최정범 영남고고학회 2022 嶺南考古學 Vol.- No.92

        국내에서 당식 대장식구는 2021년 11월 현재 643式을 상회하며 앞으로도 그 수는 증대될 것으로 예기된다. 주지하다시피 당식 대장식구의 소유자를 관인으로 보는 만큼, 이에 대한 검토를 통해 신라 지방사회의 고고학적 접근이 매우 용이하다. 이에 原 신라 영역인 영남지역에서의 분포 정형을 먼저 검토할 필요가 있는데, 이 지역은 통일신라기 양주・상주・강주에 해당된다. 중고기에는 중국과의 교섭을 통해 역심엽형 대장식구와 구분되는 소위 황룡사형 대장식구가 특정 지방에 이입된다. 그러나 기존의 대장식구를 대체하지는 않고 일정기간 역심엽형 대장식구와 공존하며 상대적으로 낮은 계층이 소유한 것으로 판단된다. 김춘추의 唐 服制 도입과 신라의 삼국통일 이후 당식 대장식구는 지방 전역으로 확산된다. 재질은 대부분 청동이며, 옻칠을 부가하는 등의 가시적 차별성을 두어 소유자의 위계를 구분하였다. 그 소유자는 外官 都督 예하의 지방 관인에 해당된다. 하대에 이르러 중앙집권 체제가 동요하면서 지방에서 당식 대장식구의 출토 사례가 급감한다. 이는 지방 세력의 성장과 맥을 같이 한다.

      • KCI등재

        烏山 紙串洞 遺物散布地3 收拾 唐式 帶裝飾具 檢討와 京畿地域에서의 意味 考察

        최정범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019 야외고고학 Vol.0 No.36

        The archeological third area of scattered antiquities, Jigot-dong, located at 320, Jigot-dong, Osan-si, Gyeonggi-do was identified because of the ground survey by the Museum of Sejong University in 2004-2005 and the Museum of Hanshin University in 2006. In the northwestern hills of this area, the stone chamber tomb with ornaments and the Tang-style metal belts were discovered. Tang-style metal belt, which was found in the stone chamber tomb, consisted one piece of square ornament and two semi circular ornaments, all of which were made of bronze with some lacquer remains on their surfaces. It was later confirmed that the semicircular ornament that had been described as two pieces were not two individual pieces but had separated from one piece into upper and lower plates. Therefore Tang-style metal belts, which was found in Archeological third area of scattered antiquities, Jigot-dong was re-identified as consisting of one square-shaped and one semicircular ornament This result, considered to have taken place in the 7th century, hows that Tang-style metal belt was owned by the mid-ranking province government officials based on the comparisons of previous researches and related data. In addition, the status of the official could be assumed by the location of the stone- chamber tomb. It was located on the traffic route from Hanju-ro to Dangseong Fortress, was adjacent to Hwang-gu Jicheon stream, which is a tributary of Anseongcheon Stream, and with Doksanseong Fortress to the north. Therefore, the Tang-style metal belt, collected from the stone chamber tomb is considered valuable in the study of Silla from the unification period. The observation of the changes in Tang-style metal belt Hanju in the province of Silla based on the above assessment and previous studies of the Gyeonggi area is considered meaningful, because it reveals the reconstruction of the provinces and its implications in political and social aspects. 경기도 오산시 지곶동 320번지 일원에 위치하는 지곶동 유물산포지3은 2004~2005년 세종대학교박물관, 2006년 한신대학교박물관에 의한 지표조사 결과로 존재가 알려졌다. 이 지역의 북서쪽 구릉에서 석곽묘와 당식 대장식구의 과판이 확인되었다. 지곶동 유물산포지3 석곽묘에서 수습된 당식 대장식구는 방형과판 1점과 반원형과판 2점으로 유물 실견결과 모두 청동 재질에 주조로 제작되었으며 표면에 옻칠이 일부 잔존한다. 또한 기왕에 2점으로 보고된 반원형 과판은 별개의 것이 아니라, 표판과 이판으로서 한 개체가 분리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지곶동 유물산포지3 석곽묘 수습 당식 대장 식구는 방형과판 1점과 반원형과판 1점임을 새롭게 확인하였다. 이 자료는 기왕의 연구 성과와 주변자료의 비교를 통해 7세기 후반경에 해당되며 이를 소유한 인물은 중위의 지방관인으로 판단된다. 더하여 대장식구가 수습된 석곽묘의 위치는 한주로에서 당성으로 향하는 지선교통로 상에 위치함과 동시에 안성천의 지류인 황구지 천과 인접하고, 북쪽으로 독산성이 근접한 입지를 보이고 있어서 이를 소유한 피장자의 위상을 짐작케 한다. 이러한 면에서 오산 지곶동 유물산포지3 석곽묘에서 수습된 당식 대장식구는 통일기 신라 지방의 연구에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상의 검토와 경기지역 내에서의 고찰을 바탕으로 향후 신라의 지방 한주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당식 대장식구의 변화 관찰은 지방사회의 복원과 정치·사회적 함의를 밝혀낼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결코 작지 않다.

      • KCI등재

        釜山 福泉洞 65號墳 靑瓷 碗의 再檢討

        崔正凡 한국문화유산협회 2017 야외고고학 Vol.0 No.29

        복천동 65호 석실묘는 복천동고분군의 최종 조영시점을 알려주는 유구로서 그 중요성이 작지 않다. 더불어 여기에서 출토된 신라 토기와 함께 중국에서 제작되어 이입된 것이 확실한 청자 완이 공반되어 일찍이 주목받은 바 있다. 그러나 공반된 신라 토기 연대의 도출을 위해 부차적인 유물로 언급되었을 뿐, 청자 완 자체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측면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청자 완 자체에 주목하고, 기년이 확실한 중국 고분 출토 완에 대한 관찰을 시도하였다. 청자 완은 중국 북조대 이래로 지속적으로 출토되고 있으며, 심복형에서 통형으로의 변화가 감지된다. 특히 복천동 65호분 출토 청자 완과 유사한 기형은 북조대(565~572년)의 기년을 가지는 고분 출토품과 높은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 이에 6세기 3/4분기를 전후한 시점에 중국에서 청자 완이 신라에 유입되고, 복천동 65호분에 부장된 것으로 상정하였다.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자료로 경주 용강동 6호분에서 출토된 양이관을 참고할 수 있는데, 중국에서 용강동 6호분과 비교되는 양이관과 공반되는 청자 완이나 墓誌銘의 기년은 7세기 대로 비정된다는 점이 그것이다. 한편 유물의 전세문제가 지적될 수 있는데 백제 사비기, 일본 고분시대 후기에 이르러 귀중품의 재분배시스템에서 벗어나는데, 신라도 예외는 아닐 것으로 본다. 다만 중국에서 신라로의 이입, 그리고 복천동으로의 부장까지 약간의 시간적 낙차는 고려될 수 있지만, 그것이 편년에 영향을 끼칠 정도로 시간적 대차는 크지 않다. 이와 더불어 신라권역에서 출토되는 당식 대장식구가 주목되는데, 중국 북조에서의 대장식구와 같은 패용법을 유지하고 장식도안을 공유한다는 점에 미루어 신라와 북조 사이에 밀접한 교류가 있었음을 살필 수 있다. 따라서 복천동 65호분에서 출토된 중국 청자 완은 중국 북조 기년묘와의 교차검증을 통해 6세기 3/4분기로 비정될 수 있으며, 이후 신라에 이입되어 부산에 부장되기까지 큰 시간적 대차는 없는 것으로 본다. 아울러 이 유물은 신라권역에서 출토되는 당식 대장식구, 최근에 발견된 창원 석동고분군 출토 녹유 완과 더불어 신라와 북조와의 관계, 그리고 신라의 지방 지배를 살피는 데 유효한 자료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Bokcheon-dong stone chamber tomb No. 65 carries considerable significance as the remains could inform us of when the Bokcheon-dong tombs were ultimately built. Also, it has already drawn much attention since celadon Wan, which must have been manufactured in China and spread to this region, was discovered here along with Silla pottery. However, previous research has touched upon Wan only as anancillary relic used to derive a date when the accompanying Silla pottery was made, but few studies have examined Wan itself. As such, this paper focuses on Wan and attempts to investigate Wan from a Chinese tomb with a definite construction year. Celadon Wan has been steadily unearthed since the era of the Chinese Northern Dynasty, and its shape has changed from spherical (心腹形) to cylindrical (筒形). The Wan from Bokcheon-dong chamber tomb No. 65, in particular, is very similar to what was discovered from a tomb that was erected during the period of the Northern Dynasty (565–572).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celadon Wan was introduced from China to Silla around the third quarter of the sixth century, and one of them was buried in Bokcheon-dong chamber tomb No. 65. Meanwhile, YangikWan, which was excavated from Gyeongju Yonggang-dong camber tomb No. 6, may serve as a complement. It is worth noting that celadon Wan or epitaph in China, which is associated with YangikWan, is believed to date back to the seventh century. While some may point out that the relic might have been inherited, people stopped redistributing their valuables since the Sabi period of Baekje and the late Kofun period in Japan, and Silla must have been no exception. It may have taken some time for Wan to be introduced from China to Silla and then to be buried in Bokcheon-dong, but the time lag was not significant enough to affect the chronology. In addition, the Tang-style metal belts that have been discovered from the Silla region are worth exploring. Considering that they were worn in the same way as metal belts in China’s Northern Dynasty and the two share the same ornamental designs, it can be inferred that frequent exchanges were made between Silla and the Northern Dynasty. Thus, through a cross examination with a tomb from the Northern Dynasty in China, it was found that the Chinese celadon Wan, which was excavated from Bokcheon-dong tomb No. 65, was produced in the third quarter of the sixth century; therefore it seems that there was not a huge time difference between its introduction to Silla and the burial in Busan. Furthermore, the artifact warrants much attention as a useful reference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illa and the Chinese Northern Dynasty, and Silla’s control of the provinces, along with the Tang-style metal belts often discovered in the Silla area, and the NokyuWan that was recently excavated in the Changwon Seok-dong chamber tomb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