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잣나무 인공림의 1차 및 2차 간벌에 따른 입목생장 특성 분석

        이대성,정성훈,최정기,Lee, Daesung,Jung, Sunghoon,Choi, Jungkee 한국산림과학회 2022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1 No.1

        본 연구는 잣나무(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 인공림을 대상으로 1차 및 2차 간벌에 따른 입목의 생장특성을 규명하여 산림시업지침 및 매뉴얼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사용된 연구자료는 간벌강도에 따라 설치된 잣나무 인공림 영구고정표준지로부터 수집되었으며, 각 간벌시험림별 4~5회 반복조사된 자료를 토대로 임령 19~43년생 시기의 흉고직경, 재적, 고사목 등 주요 입목 및 임분 현황을 분석하였다. 간벌강도에 따른 일원분산분석에서 개체목의 흉고직경 및 재적 변화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p<0.05), 특히 간벌강도가 클수록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경급분포는 더 오른쪽에 위치하여 입목의 경급이 더 큰 것으로 관측되었다. 흉고직경 정기평균생장량의 경우, 간벌강도가 강하고 간벌 후 경과기간이 짧을수록 생장량이 높았는데, 구체적으로 임령 19~24년생 때 간벌강도별 생장량 범위는 0.48~0.95 cm/year이었다. 이후 2차 간벌에 따른 정기평균생장량도 강도간벌구에서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임령 37~42년생 때 간벌강도별 생장량 범위는 0.29~0.67 cm/year이었다. 개체목 재적의 정기평균생장량은 간벌강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흉고직경과 달리 시간이 지나도 크게 줄어들지 않는 경향이 나타났다. 임분 재적은 전반적으로 임분밀도가 밀한 표준지에서 높은 경향이었으나, 임분재적 정기평균생장량은 시기에 따라 무간벌뿐만 아니라 약도간벌이 이루어진 임분에서 더 높은 것으로도 분석되었다. 고사목은 무간벌구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반복조사가 진행될수록 임분밀도에 따른 고사목 본수 차이는 더욱 증가하였다. 종합적으로 임분밀도가 밀할수록 개체목의 흉고직경과 재적 생장량은 낮아지는 경향이었으나, 적절한 1차 및 2차 간벌이 시행되면 생장량은 다시 촉진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ilvicultural guidelines and manuals. This was achieved through analysis of tree and stan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thinning in Korean white pine plantat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permanent plots installed at Korean white pine plantations according to thinning intensity, and residual tree and stand variables, including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volume, and mortality at age 19-43, were analyzed using data repeatedly collected in 4-5 measurements by experiments. According to one-way variance of analysis, tree DBH and volum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inning intensity (p<0.05). DBH distribution was skewed to the left side over time as thinning intensity was heavier. Thus, tree DBH values were larger in heavy thinning plots with increased age. The periodic annual increment (PAI) of DBH was higher with heavier thinning intensity and fewer years after thinning. The PAI range by thinning intensity was 0.48-0.95 cm/year at age 19-24. In addition, the PAI increased in heavy thinning plots after the second thinning; The PAI range by thinning intensity was 0.29-0.67 cm/year after the second thinning at age 37-42. The PAI of tree volume differed according to thinning intensity, and the PAI value did not decrease obviously, in contrast to the pattern of the DBH PAI. Stand volume was generally higher in high-density stands, and the PAI of stand volume was high in unthinned and light thinning plots. Mortality was highest in unthinned plots, and the differences in mortality according to thinning intensity increased over time. Consequently, the growth of DBH and tree volume was lower as stand density increased, but this growth was facilitated with appropriate first and second thinning operations.

      • KCI등재

        잣나무 인공림의 흉고직경 등급별 생장변화에 관한 연구

        정성훈,서영완,이대성,최정기,Jung, Sunghoon,Seo, Yeongwan,Lee, Daesung,Choi, Jungkee 한국산림과학회 2022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1 No.1

        본 연구는 장기 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잣나무 인공림의 흉고직경, 수고, 흉고단면적, 재적, 바이오매스 생장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또한, 인자별 입목의 상대적 크기에 따른 생장을 비교하여 향후 인공림의 경급별 생산·수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흉고직경 기준 20%씩 총 5개의 등급인 I등급(1~20%, 상위 20%), II등급(21~40%), III등급(41~60%), IV등급(61~80%), V등급(81~100%, 하위 20%) 및 전체등급(0~100%)으로 구분하여 등급별 생장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9년간 9회 조사된 자료를 이용하여 총생장과 연평균생장량이 산출되었으며, 입목평균을 이용한 개체목 특성과 단위면적 ha당 산출값을 이용한 임분 특성이 분석되었다. 인자별 총생장 분석 결과, 흉고직경, 흉고단면적, 재적, 바이오매스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등급 간 총생장의 차이가 증가하였으나, 수고생장의 차이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지 않았다. 연평균생장량 분석결과, 평균흉고직경의 I등급 최대값은 23년생 때 0.92 cm·yr<sup>-1</sup>로 관측되었으며, 전체등급의 최대값은 17년생 때 0.69 cm·yr<sup>-1</sup>로 파악되었다. 평균수고의 I등급 연평균생장량은 23년생 때 0.52 m·yr<sup>-1</sup>로 최대였으며, 전체등급의 최대값은 20년생 때 0.49 m·yr<sup>-1</sup>로 파악되었다. 개체목 및 임분 단위의 흉고단면적, 재적, 바이오매스의 경우, 본 조사기간인 46년생까지 I등급과 전체등급의 연평균생장량 최대값은 관측되지 않았다. 따라서 해당 인자들의 연평균생장량 최대값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보다 장기간의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In this study, growth changes of the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height, basal area, volume, and biomass of Korean white pine (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 on a plantation were examined via long-term monitoring. In addi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imber production in line with DBH class by comparing the growth of the relative DBH size. Growt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BH class were analyzed by categorizing trees into five classes based on sorted DBH rankings: class I (1%-20%; upper 20%), class II (21%-40%), class III (41%-60%), class IV (61%-80%), class V (81%-100%; lower 20%). A total class (0%-100%) was also used. Total increment and mean annual increment (MAI) were calculated using data from nine measurements taken over 39 years. Tree characteristics based on average values and stand characteristics based on unit area per hectare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total increments of variables, the differences in DBH, basal area, volume, and biomass among classes I-V increased over time, whereas the height difference did not continually increase. According to MAI, the maximum DBH value was 0.92 cm·yr<sup>-1</sup> at age 23 in class I, whereas the maximum value in all trees was 0.69 cm·yr<sup>-1</sup> at age 17. The maximum value of height MAI for class I was 0.52 m·yr<sup>-1</sup> at age 23, whereas that for all trees was 0.49 m·yr<sup>-1</sup> at age 20. In terms of basal area, volume, and biomass growth at tree-and stand-level, the maximum MAI of class I and all trees was not observed during the measurement period. Therefore, additional long-term monitoring data are required to determine the maximum MAI of the variables.

      • KCI등재

        공간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한 트레킹길 이용 활성화 방안 -인제 햇살마을을 중심으로-

        김소연 ( Soyeon Kim ),최정기 ( Jungkee Choi ) 한국사진지리학회 2020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30 No.4

        본 연구는 소양호 둘레길 전체 구간(춘천시,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 홍천군) 중 인제군 햇살마을 주변 12.2km의 둘레길을 이용하였다. 총 구간을 1구간∼3구간으로 구분하였으며 햇살마을과 인근마을의 인식 조사 및 공간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한 트레킹길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둘레길 조성에 관한 인식차이는 지자체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역주민의 의견 반영으로 충분히 해결 가능하다. 둘째, 공간 스토리텔링을 적용하여 마을 특성에 맞는 콘텐츠 사업을 개발하고, 둘레길 조성사업과 병행하여 추진해야 한다. 햇살마을은 마을 및 둘레길 주변의 자산과 이무기 설화를 바탕으로 둘레길 동선에 따라 스토리텔링을 접목하여 모델을 제시하였다. 셋째, 수익사업에 있어서 경제적으로 지역사회에 골고루 배분되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6차 산업의 활동이 요구되며 산림산업 육성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해 지역 주민의 주도가 요구된다. 넷째, 마을 주민과 지자체는 고유한 스토리를 개발하고, 관광객 유치를 위해 다양한 디지털미디어를 활용한 홍보에 앞장서야 한다. 다섯째, 지역 특성과 장소의 가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주민 숲길등산지도사 전문가가 양성되어 마을에 배치해야 한다. This study used the 12.2km of the Trail around Haessal Village in Inje-gun from the entire section of Soyangho Trail(Chuncheon-si, Hwacheon-gun, Yanggu-gun, Inje-gun, and Hongcheon-gun). The total section was divided into 1 to 3 sections, and a study on the way to activate the use of Trail was studied by using the resident awareness survey and space storytelling techniques of the Haessal Village and nearby villag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he creation of the Trail is perceived as a sufficiently solvable problem with the active participation of local governments and the reflection of local residents’ opinions. Second, the local government should develop a content project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 using space storytelling and implement it in parallel with the project to create the Trail. Based on the folktale of Yimugi and assets around the village and Trail, Haessal Village was designed to provide fun and memories to visitors by combining storytelling along the Trail. Third,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the revenue projects are evenly distributed to local communities economically. This requires the activities of the sixth industry, and the initiative of local residents is required to foster the forest industry and create jobs. Fourth, villagers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take the lead in promoting their contents through their unique stories and utilizing various digital media to attract tourists. Fifth, local residents’ forest road climbing instructor experts who provide local characteristics and place value services should be trained and placed in the village.

      • KCI등재

        소나무 모수림 시업지의 임분구조 및 치수생육특성

        이대성 ( Daesung Lee ),최정기 ( Jungkee Choi ) 한국산림과학회 202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0 No.4

        본 연구는 소나무 모수작업에 따른 천연갱신 조성방안 및 산림시업지침을 마련할 수 있도록 2001년 실시된 소나무 천연하종갱신 시업지를 대상으로 작업 후 18년이 경과한 시기에 표준지조사를 실시하고 임분현황 및 치수생육상태를 분석하여 생장특성 및 임분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강원도 춘천시 동산면 원창리 내 강원대학교 학술림에 위치하고 있으며, 설치된 모수시험림에서 2018년 11월 조사된 흉고직경, 수고, 수관급, 수간형질, 수령, 수고생장량 등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시 흉고단면적, 재적, 형상비와 더불어 임분상대밀도, 임목축적도 등의 추가인자를 산출하여 시업지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잔존모수는 58본/ha으로 임목축적도 17.7%이었으며, 치수는 2,330본/ha으로 임목축적도 79.0%로 진단되었다. 치수의 수령은 2001~2007년에 발아분포를 보이고 있었는데 대부분은 15~16년생에 속하였다. 치수 생육상태는 흉고직경 10 cm, 수고 8 m로 파악되었다. 수관급이 우세할수록 흉고직경과 수고가 더 크게 나타났으며, 분산분석 및 Duncan 다중비교검정에서도 수관급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였다(p<0.0001). 형상비는 80~90% 범위에 많이 분포하였으며, 95%이상 대부분 치수의 형질은 수간이 곧고 분지가 없으며, 초두부가 부러지지 않고 병해충의 피해가 없는 양질의 형태로 파악되었다. 치수의 평균 연년수고생장량은 1년생 21.9 cm, 5년생 43.3 cm, 10년생 54.3 cm, 15년생 64.3 cm이었으며, 전체적으로 수령증가에 따라 생장량이 우상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분산분석 결과, 수관급별 연년수고생장량에서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회귀분석의 파라미터 추정치는 수령이 증가하거나 수관급이 우세할수록 연년수고생장량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growth characteristics and stand information in preparation for natural regeneration method and silvicultural treatment of seed tree method in Korean red pine stands by using the field inventoried data 18 years after the seed tree regeneration method in 2001 and analyzing the stand and sapling characteristics. The study area was located in the Research Forest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si, Gangwon-do. In November 2018, we collected tree measurement factors, such as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height, crown class, stem quality, tree age, and annual height increment on the established plots. We calculated the basal area, volume, height-diameter ratio (HD ratio), and additional stand density variables such as the relative density and %stocking to analyze the managed stands. The number of mother trees was 58 trees/ha, with a 17.7% stocking level, whereas the number of saplings was 2,330 trees/ha, with a 79.0% stocking level. In germination, the age distribution of saplings ranged from 2001 to 2007, with most belonging to 15-16 years. The development condition of saplings was 10 cm in DBH and 8 m in height. DBH and height were higher as the crown class is more dominant, and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analysis of variance and Duncan's multiple comparison test (p<0.0001). HD ratio ranged mostly between 80% and 90%, and more than 95% of sapling stems were of high quality, with a straight, unbroken top, non-sweep, and non-diseased stem. On average, the annual height increment of saplings was 21.9 cm at 1 year, 43.3 cm at 5 years, 54.3 cm at 10 years, and 64.3 cm at 15 years. The overall height growth with age increased smoothl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ovariance, the annual height growth by crown class differed significantly. The regression analysis parameters revealed that annual height growth increased with age and dominant crown class.

      • KCI등재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이미진(Lee Mijin),김소연(Kim Soyeon),최정기(Choi Jungkee)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1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5 No.4

        우리나라는 현재 고령사회로 노인 질병 중 치매의 의료비용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노인문제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전산화 신경인지 검사 종류 중 하나인 CANTAB을 사용하여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60세 이상 80세 이하 남녀로, 참여군 20명과 대조군 10명을 선정하였다. 참여군은 산림치유 프로그램 20시간, 체조 및 소도구 운동 10시간, 총 30시간의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CANTAB을 이용해 산림치유 프로그램 전후를 측정하고, 인지기능 및 시간의 변화량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기능 변화량 결과, 참여군은 MOT 및 RVP(주의력과 정신운동속도), OTS(사고력 및 의사결정) 항목이 유의하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SWM(기억력)은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대조군은 MOT, RVP, OTS, SWM이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시간의 변화량 결과, 참여군의 신경인지 검사 소요시간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대조군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고령 인구의 인지기능 개선 및 건강증진을 위해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적극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Korea is currently an aged society and the medical cost of dementia among elderly diseases is increasing, so the need for research on elderly problems is emerging social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forest healing programs on cognitive functions in older people using CANTAB, one of the types of computerized neurocognitive tes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men and women aged 60 to 80 and were divided 20 participant group and 10 control group. Participant group conducted a total of 30 hours of programming, 20 hours of forest healing program and 10 hours of gymnastics and small-scale exercise. Before and after the forest healing program was measured using CANTAB, and changes in cognitive function and time were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 group is cognitive functional change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MOT, RVP (attention and mental exercise speed) and OTS (thinking and decision making) items (p<0.05), and SWM (memory) was not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group was not significant in MOT, RVP, OTS and SWM. Second, as a result of the change in time, the time required for neurocognitive testing in the participant group was significantly reduced (p<0.05), and the control group was not significan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orest healing programs are expected to be actively used in the future to improve cognitive function and improve the health of the elderly population.

      • KCI등재

        남북산림협력에 대한 국민적 인식에 관한 연구

        전진표 ( Jinpyo Jeon ),서영완 ( Yeongwan Seo ),최인화 ( Inhwa Choi ),최정기 ( Jungkee Choi ) 한국산림경제학회 2022 산림경제연구 Vol.29 No.2

        본 논문은 남북산림협력이 분단된 한반도의 평화협력에 기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국민의 남북산림협력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응답자의 70.1%가 우리나라의 산림녹화사업이 세계적인 성공사례로 인식하고 있으며, 산림녹화사업이 성공한 가장 큰 요인은 ‘국가역량의 총동원’ 때문이라고 답하였다. 북한의 산림황폐는 ‘한반도의 기상이변의 초래’ 또는 ‘한반도의 산림생태계교란’에 가장 영향을 미치며, ‘산림녹화물자의 지원’이 북한의 산림녹화를 도울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남북의 산림분야 교류협력이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정부 기구 중 산림청이 산림교류 협력을 주도해야 하며, ‘북한의 군사적 위협 해소와 정부 차원의 협력사업 추진’이 남북 산림교류 협력의 발전에 가장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북한에 대한 가장 인도주의적 지원 분야 및 방법은 ‘산림황폐지의 복구’와 ‘식량의 지원’이며, 남북 긴장 완화와 평화적 관계의 발전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북한의 핵무기 개발 중단’과 ‘남북 정부간 교류 재개’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the Korean people’s perception of inter-Korean forest cooperation projects to provide basic data for contributing to peace cooperation on the divided Korean Peninsula. The result showed that 70.1% of the respondents recognized Korea’s forest greening project as a worldwide successful case, and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success of the forest greening project was due to ‘total mobilization of national capabilities.’ North Korea’s deforestation had the greatest impact on ‘causing extreme weather on the Korean Peninsula’ or ‘disrupting the forest eco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t was recognized that ‘support of foresters’ was the most effective way to help North Korea’s reforestation. In addition, it appeared that inter-Korean forest exchange cooperation should be continuously promoted, the Korea Forest Service had to lead forest exchange cooperation among government organizations and ‘resolving military threats from North Korea and promoting government-level cooperation’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inter-Korean forest exchange cooperation. Finally, South Korea’s most humanitarian aids to North Korea were ‘restoration of deforestation’ and ‘food aid,’ and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easing inter-Korean tensions and developing peaceful relations were ‘the cessation of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development’ and ‘the resumption of exchanges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 KCI등재

        우리나라 주요 침엽수종의 최적 경쟁지수 모형 선정

        이정호 ( Jungho Lee ),이대성 ( Daesung Lee ),서영완 ( Yeongwan Seo ),최정기 ( Jungkee Choi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2018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7 No.2

        본 연구는 국내 주요 침엽수종인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을 대상으로 거리종속 경쟁지수 모델 및 경쟁목 선정방법에 따른 최적 경쟁지수 모형을 선발하고, 수종별 간벌강도 및 입목밀도에 따른 경쟁지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사용자료는 강원도와 경상북도의 국유림 내 분포하는 소나무림, 잣나무림, 낙엽송림을 대상으로 각 2회씩 조사된 표준지 80개소의 총 240개 시험구 내 입목정보를 활용하였다. 경쟁지수가 산출된 입목 수는 수종별로 소나무 1126본, 잣나무 4093본, 낙엽송 3399본 이었다. 최적 경쟁지수 모형 선정을 위하여 흉고단면적 정수, 수고 및 지하고의 각도를 이용하여 경쟁목을 선정하는 방법을 고려하였으며, 기존 Lorimer, Martin-EK, Braathe, Heygi, Daniels 모델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Modified Daniels 모델까지 총 6가지 경쟁지수 모델을 비교하였다. 최적 모형 선정을 위한 상관분석 결과, 흉고단면적 정수 4 m²/ha를 이용한 경쟁목 선정방법과 Modified Daniels 경쟁지수 모델이 이용된 모형에서 가장 좋은 상관이 나타나 최종적인 모형으로써 경쟁지수가 산출되었다. 임분특성에 따른 경쟁지수를 파악한 결과,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모두 간벌강도가 강할수록 입목밀도가 낮을수록 경쟁지수는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the optimal method of competition index computation according to the competitor selection methods and distant-dependent competition index models,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ompetition indices in terms of thinning intensity and tree density targeting Pinus densiflora, Pinus koraiensis, and Larix kaempferi, which are the major coniferous species in Korea. Data was the re-investigated tree information from 240 permanent plots of 80 sites in the stands of P. densiflora, P. koraiensis, and L. kaempferi, which were located in the national forest of Gangwon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s. The number of subject trees with competition index calculated were 1126 trees for P. densiflora, 4093 trees for P. koraiensis, and 3399 trees for L. kaempferi. For the best competition index computation method, three kinds of competitor selection methods were considered: basal area factor, angle of height, angle of height to crown base. Also, six kinds of competition index models were compared: Lorimer, Martin-EK, Braathe, Heygi, Daniels, and Modified Daniels, which was developed in this study. Correlation coefficient was the best when the competitor selection method of basal area factor 4 m²/ha and the competition index model of Modified Daniels were used, and thus, it was selected as the best method for computing competition index. According to the best method by stand characteristics, competition index decreased in all species as thinning intensity was high and tree density was l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