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포스터 전시 : 췌담도 ; 혈액담즙증을 동반한 담낭암 1예

        최재원 ( Choe Jae Won ),이지은 ( Lee Ji Eun ),김국현 ( Kim Gug Hyeon ),오희주 ( O Hui Ju ),오현아 ( O Hyeon A ),이은주 ( Lee Eun Ju ),이형철 ( Lee Hyeong Cheol ),김준환 ( Kim Jun Hwan ),장병익 ( Jang Byeong Ig ),김태년 ( Kim Tae N 대한소화기학회 2003 대한소화기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03 No.-

        <서론> 외상이나 질병의 결과로 혈관과 담도계의 연결이 이루어져 혈류가 담도계를 통하여 십이지장으로 내려가는 상태를 혈액담즙증이라고 한다. 원인으로는 대부분 외상에 의해 유발되며, 최근에는 간생검이나 경피경간 담도배액술과 같은 의인성 요인이 증가되고 있으며, 그 외 담석, 담도계 염증 및 기생충, 담낭 절제술, 간동맥류나 간 및 담도의 악성 신생물 등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혈액담즙증의 주요 증상은 우상복부 동통, 위장관 출혈, 그리고 혈괴의 담관

      • SCOPUSKCI등재

        한국인 크론병 환자에서 Azathioprine/6-Mercaptopurine 치료의 안전성과 유용성

        이현주 ( Hyun Ju Lee ),양석균 ( Suk Kyun Yang ),김경조 ( Kyung Jo Kim ),최재원 ( Jae Won Choe ),윤순만 ( Jae Won Choe ),예병덕 ( Byong Duk Ye ),변정식 ( Jeong Sik Byeon ),명승재 ( Seung Jae Myung ),김진호 ( Jin Ho Kim ) 대한장연구학회 2009 Intestinal Research Vol.7 No.1

        Background/Aim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dverse events and efficacy of azathioprine (AZA) and 6-mercaptopurine (6-MP) in Korean patients with Crohn’s disease (C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700 patients with CD (male:female=469:231; median age at diagnosis, 22 years; agerange, 9-74 years) who were treated at the Asan Medical Center between January 1997 and January 2006. Results: Of 700 patients, 372 (53.1%) were treated with AZA/6-MP. The cumulative rates of AZA/6-MP treatment at 1, 5, 10, and 20 years were 17.4%, 51.6%, 73.1%, and 94.5%, respectively. Of 372 patients treated with AZA/6-MP, 217 patients (58.3%) experienced 291 adverse events, requiring discontinuation of therapy in 41 patients (11%). Nausea occurred in 120 patients (32.3%) and led to discontinuation of therapy in 11 patients (3.0%). Leukopenia developed in 116 patients (31.2%), requiring dose adjustments in 100 patients (26.9%) and discontinuation of medications in 16 patients (4.3%). Other adverse events included infections (2.7%), abnormal liver function tests (2.7%), fever (0.8%), hair loss (0.8%), arthralgias (0.5%), pancreatitis (0.5%), headaches (0.5%), and skin rashes (0.3%). Complete corticosteroids withdrawal was achieved in 70.9% of the patients based on an intention-to-treat analysis. The remission rate of perianal fistulas was 32.6%. Conclusions: The risk of leukopenia by AZA/6-MP is higher in Korean patients with CD than in Western patients. Although the adverse events of AZA/6-MP are not uncommon in Korean patients with CD, the actual discontinuation rate of the treatment is low. Therefore, AZA/6-MP can be administered to most Korean patients with CD without serious adverse events. (Intest Res 2009;7:22-31)

      • KCI우수등재

        N-Trimethyl Chitosan Chloride의 합성과 이용

        김영호,최재원,Kim, Yeong-Ho,Choe, Jae-Won 한국섬유공학회 1998 한국섬유공학회지 Vol.35 No.3

        The methods to synthesize water soluble quaternary ammonium chitosan derivatives and the feasibility to use them as antimicrobial finishing agents for textiles were studied. Chitosan with 87% degree of deacetylation was purified and reacted with a solution containing methyl iodide, sodium hydroxide, and sodium iodide in N-methyl-2-pyrrolidone at different reaction conditions to synthesize N-trimethyl chitosan ammonium iodide (TMCI). Pure TMCI was obtained by reprecipitation and soxhlet extraction. To obtain a stable chloride salt form of N-tri-methyl chitosan ammonium chloride (TMCC), the counterion $I^-$ was exchanged with $Cl^-$ by reprecipitating aqueous TMCI solution in HCl/ethanol solution. The proper syntheses of TMCI and TMCC were confirmed by $H^l-NMR$ and FT-IR spectroscopies. Degrees of substitution in TMCI and TMCC were calculated from iodide and chloride contents obtained by a combustion flask method, respectively. The degree of substitution of TMCI was varied with reaction conditions and TMCI became water soluble at the degree of substitution higher than 0.55. Cotton fabrics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aqueous TMCI and TMCC solutions to test feasibility of them as antimicrobial finishing agents.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MCI- and TMCC-treated cotton fabrics were measured by AATCC 100 using Staphylococcus aureus (A.T.C.C. No. 6538) and Klebsiella pneumoniae (A.T.C.C. No.4352). Results showed that the bacteria reduction was almost 100% when treated with solutions at concentrations above 0.025% for both cases.

      • 양극성 경향과 스트레스 취약성:기분장애설문지 양성 반응군과 음성 반응군에서 지각된 스트레스, A형 행동, 그리고 생활습관의 비교

        김병수,김성윤,최재원,주연호,윤대현,한내진,김유신,김선옥,Kim, Byung-Su,Kim, Seong-Yoon,Choe, Jae-Won,Joo, Yeon-Ho,Yoon, Dae-Hyun,Han, Nae-Jin,Kim, Yoo-Shin,Kim, Seon-Ok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0 정신신체의학 Vol.18 No.1

        연구목적 : 본 연구를 통해 양극성 장애 I형 혹은 II형 진단 기준에는 부합하지 않지만, (경)조증적 성향 혹은 기분 불안정성 등의 양극성 경향(bipolar tendency, bipolarity)을 가진 사람에게서, 주관적으로 지각하는 스트레스 수준, 스트레스 취약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진 A형 행동 유형(Type A Behavior Pattern, TABP), 그리고 건강하지 못한 생활습관의 위험이 증가되어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방 법 : 정신과적 병력이 없는 30세 이상의 1987명의 연구 대상군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이들 중에서 기분장애설문지 (Mood Disorder Questionnaire, MDQ)의 (경)조증적 증상 경험에 대한 13개 항목 중에서 7개 항목에 "예"라고 응답한 사람들을 양극성 경향군으로 분류하였다. 양극성 경향군과 비양극성 경향군 사이에서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erceived stress scale, PSS), TABP를 반영하는 A/B 생활 습관 설문(A/B Lifestyle ques-tionnaire) 점수와, 음주, 흡연, 불규칙적인 식사, 운동 부족 등의 생활 습관 변인을 비교하였다. 결 과 : 양극성 경향군(329명, 16.6%)은 비양극성 경향군에 비해 TABP를 반영하는 A/B 생활 습관 설문의 총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으며(125.4점 vs. 115.9점, p<0.001), TABP로 판정(총 점수 135점 이상)된 비율도 양극성 경향군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41.3% vs. 30.1%, p<0.001). 주관적으로 지각하는 스트레스 수준의 비교에서도, 양극성 경향군이 비양극성 경향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18.5 vs. 16.5, p<0.001). 생활습관의 비교에서 '불규칙적인 식사'(20.1% vs. 14.3%, p=0.002), '주 4회 이상 음주'(29.8% vs. 16.5%, p<0.001), '현재 흡연'(41.9% vs. 23.0%, p<0.001), '주 2회 이하 운동'(63.2% vs. 55.1%, p=0.007) 이라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이 양극성 경향군에서 유의미하게 높았다. 결 론 : 양극성 경향을 가진 경우는 스트레스에 취약한 행동 양상이 높게 관찰되고, 주관적으로 지각하는 스트레스 수준도 높고 흡연, 음주, 불규칙한 식사와 운동 부족과 같은 건강하지 못한 생활 습관을 가지고 있을 위험도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위험 요소들은 비만, 대사증후군, 당뇨, 그리고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으므로, 양극성 경향을 가진 사람들은 스트레스 관리 및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Objectives:Authors hypothesized that bipolar tendency of non-psychiatric person would be associated with stress vulnerability. To test the hypothesis, we compared perceived stress level, Type A Behavioral Pattern (TABP) and unhealthy lifestyle between person with and without bipolar tendency. Methods:The study cohort consisted of 1987 subjects without past and current psychiatric history. In this study, bipolar tendency was determined by MDQ response which requires endorsement of at least 7 of the 13 "yes or no" questions. We compared the scores of Perceived Stress Scale, A/B lifestyle questionnaire, and unhealthy lifestyle(alcohol, smoking, lack of exercise, irregular meal) between MDQ positive and negative respondents. Results:We identified the bipolar tendency group determined by the MDQ positive response were 329 subjects(16.6%). The overall score of the bipolar tendency group was significantly high on the A/B lifestyle questionnaire compared to the non-bipolar tendency group(125.4 vs. 115.9, p<0.001), and the rate of the subjects defined as TABP was also significantly high(41.3% vs. 30.1%, p<0.001). In comparison of subjectively perceived stress level, the bipolar tendency group was observ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n-bipolar tendency group (18.5% vs. 16.5%, p<0.001). The bipolar tendency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n-bipolar tendency group on the rate of answering:'irregular eating habit' (20.1% vs. 14.3%, p=0.002), '4-or-more-times alcohol intake per week' (29.8% vs. 16.5%, p<0.001), 'currently smoking' (41.9% vs. 23.0%, p<0.001), '2-or-less-times physical exercises per week' (63.2% vs. 55.1%, p=0.007). Conclusion:By clinical diagnosis, even a person who does not meet the criteria of bipolar disorder has a high risk of stress-related behavioral pattern, and perceived stress when possessing bipolar tendencies such as the (hypo) maniac tendency or affective instability. Such individual has significantly higher risk of having unhealthy life-style such as smoking, drinking, irregular eating habit and lack of exercise compared to non-bipolar tendency group. Since these risk factors lead to increase the risk of obesity, metabolic syndrome,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s, the individual with the bipolar tendency requires a more effort to manage stress and to maintain healthy lifestyle.

      • SCOPUSKCI등재

        무증상 한국인에서 대장 종양의 유병률 및 대장암 선별검사로서 대장내시경 검사의 역할

        장혜숙 ( Hye Sook Chang ),최재원 ( Jae Won Choe ),양석균 ( Suk Kyun Yang ),명승재 ( Seung Jae Myung ),정훈용 ( Hwoon Yong Jung ),이진혁 ( Gin Hyug Lee ),홍원선 ( Weon Seon Hong ),김진호 ( Jin Ho Kim ),민영일 ( Young Il Min ) 대한장연구학회 2003 Intestinal Research Vol.1 No.2

        목적: 최근 대장암의 선별검사로서 대장내시경 검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국내 연구는 미비하다. 저자들은 무증상 한국인에서 대장 종양의 유병률을 알아보고, 대장암의 선별검사로서 대장내시경 검사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3월부터 2002년 7월까지 서울아산병원 건강증진센터에서 대장내시경 검사를 시행받은 3,325명의 검진자 중 직장 출혈, 최근 배변 습관의 변화, 대장암 또는 용종의 가족력이나 과거력, 염증성 장질환이나 대장 수술의 과거력 및 지난 10년 이내에 대장 내시경 검사나 대장조영술을 시행받은 적이 있는 환자 1,106명 및 대장내시경 검사가 불완전하게 시행된 11명을 제외한 2,208명을 대상으로 대장 종양의 빈도와 특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군의 평균 나이는 49.2±10.1세였으며, 남자가 1,564명(70.8%)이었다. 대장 종양의 유병률은 선종 18.3%, 진행성 선종 2.0%, 대장암 0.3%이었으며, 50세 이상의 경우에는 각각 25.8%, 3.0%, 0.5%이었다. 남녀 모두 연령이 증가할수록 대장 선종, 진행성 선종 및 대장암의 빈도가 증가하였으며(p for trend<0.05), 여자보다 남자에서 대장 선종의 유병률이 유의하게 높았다(21.0% vs 12.0%, p<0.001). 한편 근위부 대장에서 종양이 발견될 확률은 원위부 대장에 종양이 있는 경우 26.0% (53/2004)로서 원위부 대장에 종양이 없는 경우의 10.3% (207/2004)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1). 그러나 근위부 대장에서 관찰되는 진행성 종양의 69.2% (18/26)가 원위부 대장에 이상이 없이 고립성으로 존재한 경우였다. 결론: 무증상 한국인에서 대장 종양의 유병률은 서양에 비해 다소 낮은 경향이 있으며 또한 남녀 사이에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한국에서의 대장암 선별검사의 지침을 마련하는데 있어 이러한 점들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원위부 대장에 종양이 있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근위부 대장에서 종양이 발견될 확률이 높아지지만, 원위부 대장에 종양이 있는 경우에만 대장내시경 검사를 할 경우 근위부 진행성 종양의 약 2/3를 놓치게 된다. 따라서 대장암 선별 검사로서 대장내시경 검사는 매우 유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Aims: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the importance of screening colonoscopy for colorectal cancer. However, the prevalence of colorectal neoplasms in asymptomatic Korean population has not been determined until now.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colorectal neoplasms in asymptomatic Korean population and to assess the role of colonoscopy in colorectal cancer screening. Methods: We reviewed the endoscopic and pathologic reports of 3,325 patients who underwent colonoscopy at the Health Promotion Center, Asan Medical Center, from 1998 to 2002. Of them, 2,208 asymptomatic patients who underwent colonoscopy for the purpose of colorectal cancer screening were enrolled. Results: The mean age was 49.2 years and 70.8% were men. The overall prevalence of colorectal neoplasms was 18.6% and the prevalence among patients 50 years of age or older was 26.3%. The prevalence of neoplasms increased with age and was higher in the male. Patients with distal neoplasms were more likely to have proximal neoplasms than those without distal neoplasms. However, 69.2% of the patients with advanced proximal neolplasms had no synchronous distal neoplasms. Conclusions: The prevalence of colorectal neoplasms in asymptomatic average-risk Koreans seems to be lower than that in corresponding Westerns and shows a gender-difference. These results should be considered when establishing a guideline for colorectal cancer screening in Korea. Over half of the patients with advanced proximal neoplasms will not be detected if only those with distal neoplasms undergo colonoscopic screening. Therefore, colonoscopy may be useful as a screening test for colorectal cancer. (Intestinal Research 2003;2:179-185)

      • 포스터 전시 : 췌담도 ; 급성췌장염 발생으로 진단할 수 있었던 조기 췌장암 1예

        오희주 ( O Hui Ju ),최재원 ( Choe Jae Won ),김국현 ( Kim Gug Hyeon ),이은주 ( Lee Eun Ju ),오현아 ( O Hyeon A ),이형철 ( Lee Hyeong Cheol ),김준환 ( Kim Jun Hwan ),김태년 ( Kim Tae Nyeon ),정문관 ( Jeong Mun Gwan ) 대한소화기학회 2003 대한소화기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03 No.-

        <서론> 원발성 췌장암과 전이성 췌장암은 드물게 급성췌장염을 유발할 수 있으며 췌장암 환자 중 급성췌장염은 3%까지 보고되고 있다. 급성췌장염은 종양의 췌관 폐쇄나 췌관 상피세포의 파괴에 의해 유발되며 심한 경우 췌장 가성낭종이나 복수를 유발할 수 있다. 저자들은 급성췌장염으로 입원하여 조기 췌장암으로 진단할 수 있었던 환자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70세 여자환자가 내원 당일 시작된 상복부 통증과 오심, 구토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