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에서 분리한 미국흰불나방 핵다각체병 바이러스의 전장 유전체 분석

        최재방,김현수,우수동 한국유기농업학회 2023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31 No.4

        The morphology and whole genome sequence of Hyphantria cunea nucleopolyhedrovirus W1 (HycuNPV-W1) isolated in Korea were analyzed for the use as an eco-friendly control agent against H. cunea. The HycuNPV-W1 had irregular tetrahedral polyhedra with a size of 1.5-2.2 µm which is similar to that of previously reported HycuNPV isolated in Korea. As a result of whole viral genome analysis, HycuNPV-W1 was composed of 131,353 bp, which is 1,606 bp shorter than that of the previously reported HycuNPV. The G+C content was 45% and six of the homologous repeated regions were found, s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previous report. As a result of ORF analysis, HycuNPV-W1 contains total of 145 ORFs which is three ORFs less than the previous report, while two ORFs were exclusively found in HycuNPV-W1. The functions of these ORFs remains unclear and are not considere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ycuNPV. The genome vista analysis showed that the overall sequence identity between HycuNPV-W1 and the previously reported HycuNPV was very high. The whole genome of HycuNPV-W1 analyzed was found to be similar to those of the previously reported HycuNPV, however, it is supposed to be a novel resource in Korea with different isolate.

      • KCI등재

        한국에서 분리된 파밤나방 핵다각체병 바이러스의 전체 유전체 분석

        최재방,김현수,우수동,Jae Bang, Choi,Hyun-Soo, Kim,Soo-Dong, Woo 한국응용곤충학회 202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61 No.3

        The morphology and whole genome sequence of Spodoptera exigua nucleopolyhedrovirus K1 (SeNPV-K1) isolated in Korea were analyzed for the use as an eco-friendly control source against S. exigua. The polyhedra of SeNPV-K1 was amorphous with a size of 0.6-1.8 ㎛, and there was no external difference with the previously reported SeNPV.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whole genome, it was composed of 135,756 bp, which is 145 bp more than that of the previously reported SeNPV. The G+CG+C content was 44% and there were 6 homologous repeated sequences, s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previous report. As a result of ORF analysis, SeNPV-K1 had 137, two fewer than those previously reported, and 4 ORFs present only in SeNPV-K1 were confirmed. These 4 ORFs are non-essential genes and were not considere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NPV. The genome vista analysis showed that the overall sequence similarity between SeNPV-K1 and the previously reported SeNPV was very high. The whole genome of SeNPV-K1 analyz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was found to be similar to the previously reported SeNPV, but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a novel resource in Korea with different isolate.

      • KCI등재

        Evaluation of Daphniamagna for the Ecotoxicity Assessment of Alkali Leachate from Concrete

        최재방,배성민,신태영,안기용,우수동 한국잠사학회 2013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Vol.26 No.1

        The cladoceran Daphniamagna has been used as an aquatic test species in aquatictoxicology. To evaluate the aquatic toxicity of leachate from concrete, the immobilization ofD. magna was observed after treatment of various concentrations of leachate specimens. Reliabilities of the culture condition and the experimental protocol for acute toxicity test weresuccessfully achieved from the standard toxicity test. The leachates were prepared from themixture of Ordinary Portland Cement (OPC) and pozzolanic admixtures, Pulverised fuel ash(PFA),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GGBS) and GGBS containing loess. Acutetoxicity test showed 100% immobilization of D. magna for OPC or PFA. The leachates fromOPC or PFA had high pH 10 to 12. However, GGBS and GGBS containing loess showedless toxicity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s. Especially, immobilization was not observed atthe concentrations below 12.5% of GGBS containing loess. Also the range of pH for thesespecimens was 8 to 9. This suggested that the use of loess as the admixture in concretemay be useful to reduce eco-toxicity of leachates from concrete. This our study provided theharmfulness of the alkali leaching from concrete in aquatic environment and the usefulness ofD. magna to evaluate the toxicity of leachates from concrete.

      • KCI등재

        한국에서 분리된 파밤나방 핵다각체병 바이러스의 전체 유전체 분석

        최재방,김현수,우수동 한국응용곤충학회 202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61 No.3

        광식성 난방제 해충인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의 친환경적 방제원으로써 이용을 위해 국내에서 분리된 파밤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S. exigua nucleopolyhedrovirus K1: SeNPV-K1)의 형태 및 전체 유전체 서열을 분석하였다. SeNPV-K1의 다각체(polyhedra)는 0.6-1.8 um 크기의 부정형으로, 기 보고된 SeNPV와 외형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전체 유전체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기 보고된 SeNPV와 비교할때 145 bp 더 많은 135,756 bp로 확인되었으며, G+C 함량은 44% 였고 상동반복영역은 6개로 두 바이러스간에 차이는 없었다. ORF 분석결과, SeNPV-K1은 기 보고된 것과 비교할 때 2개 더 적은 137개를 가지며, SeNPV-K1에만 존재하는 ORF는 4개가 확인되었다. 이들 4개의 ORF는비필수 유전자로 바이러스의 특성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여겨졌다. 유전체의 vista 분석 결과, SeNPV-K1과 기 보고된 SeNPV의 전체 염기서열 유사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분석한 SeNPV-K1의 전체 유전체는 기 보고된 SeNPV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서로 다른 분리주로 국내 고유자원임을 확인하였다.

      • 도둑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의 특성과 병원성 검정 및 대량생산

        최재방,이재경,신태영,배성민,차예림,오정미,구현나,우수동 한국응용곤충학회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05

        최근 친환경농업의 보급에 따른 유기농업의 확산으로 유기농 배추재배농가 포장에서 도둑나방의 발생이 급증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 등록된 유효약제 로 방제가 어렵다. 이러한 점에서 도둑나방의 효과적인 친환경적 방제를 위해 서는 곤충바이러스를 이용한 살충제의 개발이 시급하며 본 연구에서는 국내 에서 분리된 MabrNPV-K1의 전체게놈 특성과 더불어 도둑나방유충 영기별 병 원성 그리고 바이러스의 대량생산을 위한 적정 온도 및 증식 개체군의 크기 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MabrNPV-K1 DNA를 제한효소로 처리하여 DNA단편을 관찰하고 패턴을 분석한 결과 평균 약 150 kb크기를 보여 기존에 보고된 MabrNPV DNA의 크기와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MabrNPV-K1의 영 기별, 온도별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영기가 낮고 온도가 높을수록 높은 살충 률을 보였고, 제제화를 위한 대량생산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다각체 생산량은 도둑나방 유충 3령 30℃ 조건에서 104 PIBs/larva 로 접종하였을 때 가장 효율적인 생산량을 보였다.

      • 국내에서 분리한 미국흰불나방 과립병바이러스의 전체 게놈 염기서열 분석

        최재방,허원일,배성민,신태영,이준범,제연호,진병래,우수동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05

        미국흰불나방은 가로수에 커다란 피해를 주고 있는 해충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연간 2회 발생한다. 우리나라 곤충바이러스 연구는 1974년 미국흰불나방 (Hyphantria cunea)에서 베큘로바이러스(baculovirus)를 분리하여 병원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면서 해충 종합적 방제를 위해 연구가 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흰불나방 자연 사충으로부터 과립병바이러스(granulovirus)를 분리하고 바이러스 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게놈 분석을 시행하였다. 미국흰불나방 과립병바이러스 의 전체염기서열의 분석은 454 pyrosequencing 방법을 이용하였고, 크기는 114.556bp 로 판명되었다. 또한 G+C 함량은 전체염기서열의 39.30 %를 차지하였 고, 130개의 open reading frame (ORF)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130개의 ORF 중 106개의 ORF가 기존에 보고된 베큘로바이러스와 상동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 다. 기존에 전체염기서열이 분석된 다른 베큘로바이러스들과 계통분석을 수행한 결과, 과립병바이러스 중 씨자무늬거세미방나방 과립병바이러스와 근연관계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국내에서 분리한 누에핵다각체병바이러스의 유전적 계통에 따른 게놈 염기서열 비교 분석

        허원일,최재방,배성민,신태영,이준범,제연호,진병래,우수동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05

        누에핵다각체병바이러스 (Bombyx mori nucleopolyhedrovirus, BmNPV)는 나 비목 곤충을 감염시키는 대표적인 핵다각체병바이러스 중 하나이다. 이 바이러스 는 1970년대 말 증식이 가능한 배양세포계가 확립되고 유전공학의 발달에 의해 분 자유전학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유전자 분석에 대한 연구 가 미미한 실정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분리된 BmNPV-K1, K4, K5 strain의 전체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바이러스 간의 근연관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BmNPV-K1의 전체 염기서열은 126,747 bp로 이루어져 있었고 131개의 open reading frame (ORF)를 가지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반면, BmNPV-K4와 K5 는 각각 128,618 bp, 127,554 bp로 이루어졌고 134개, 133개의 ORF를 가지는 것으 로 예측되었다. 대부분의 ORF는 높은 상동성을 보였으나, 흥미롭게도 baculovirus repeated ORFs (bro) gene의 보유에 따라 전체 ORF의 수가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근연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계통분석을 수행한 결과 가까운 근연관계를 보였으나, BmNPV-K1, K4, K5는 같은 지질학적 위치나 곤충 기주를 가지고 있는 바이러스 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유전형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애완 곤충에 대한 일반인들의 이해도 및 인지도 분석

        배성민,최재방,신태영,고승현,김희정,이승희,곽원석,안용오,김은진,우수동 한국응용곤충학회 2013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10

        일반인들에게 있어 곤충은 주로 나쁜 존재인 해충으로 많이 인식되어져 왔으며 잘 모르는 존재라는 이유만으로 이유 없이 싫어하는 생물중의 하나였다. 그러나 최 근 인간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곤충을 자연의 일부로 그리고 우리와 더불어 살 아가는 생물 중의 하나로 점차 여기게 되면서 곤충에 대한 인식이 바뀌고 있다. 그 에 따라 여가생활의 하나로 애완곤충사육이 증가되고 있으며 더불어 곤충을 주제 로 한 다양한 전시회 및 체험행사 등이 전국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관심의 결과로 곤충을 중심으로한다양한 활동이 국내에서도 문화곤충산업으로 자리매김 하게 되고 그 시장규모가 2008년에는 800억 규모에서 2020년에는 2000억 규모로 예상될 만큼 큰 산업의 하나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근래 곤충산업육성법의 제정 등 은 이러한 곤충산업의 발전을 더욱 가속화 시킬 것으로 여겨져 그 발전이 주목받고 있는 실정이다. 곤충을 키우고 체험하는 다양한 문화행사 등을 통해 우리들이 얻고 자 하는 것은 어떤 직접적인 이득 보다는 정서적인 안정이나 생명에 대한 소중함 등 주로 정신적인 측면에서의 어떤 간접적인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따라서 곤충을 키 우고 관찰하는 것이 실제로 우리들의 정신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곤충을 통한 인간 심리치유의 가능성이 제기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곤충의 심리치유 효과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우선적으로 일반인 들의 곤충에 대한 이해도 및 인지도 등에 대한 빈도 조사 및 상관분석 등을 실시함 으로써 곤충의 심리치유 활용에 대한 가능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 전국 토양에서 곤충병원성곰팡이의 분리 및 분포

        신태영,최재방,배성민,차예림,오정미,구현나,우수동 한국응용곤충학회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05

        현재 주요 해충의 방제제로서 주목받고 있는 곤충병원성곰팡이의 이용을 위해 곰팡이 감염 이병충과 전국의 토양시료로 부터 곤충병원성 곰팡이를 분 리하고 그 분포를 조사하였다. 곤충병원성곰팡이의 효율적인 분리를 위해 기 보고된 선택배지의 조성을 바탕으로 가장 효율적인 선택배지 조성을 결정하 고, 선택배지를 이용하여 11종의 사충으로부터 Beauveria 속 9종과 Metarhizium 속 2종을 그리고 토양으로부터는 213개의 후보군을 1차 선발하고 배양한 후 그 형태학적 증식상으로 2차 분리하여 93개의 곤충병원성곰팡이 시료를 선별하 였다. 서식처별 분포는 산림 41개소 중 14개소(34.1%), 논 49개소 중 12개소 (24.5%), 과수 24개소 중 5개소(20.8%), 하천 87개소 중 18개소(20.7%), 밭 127 개소 중 23개소(18.1%), 수목 117개소 중 21개소(17.9%)에서 곤충병원성곰팡이 가 검출되었다. 이렇게 분리되어진 곤충병원성곰팡이는 여러 가지 다양한 해 충 방제를 위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곤충병원성 곰팡이 배양액의 항산화활성 및 향균활성

        신태영,이원우,최재방,배성민,우수동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05

        곤충에 진균병을 유발하여 사멸케 이르게 하는 곤충병원성 곰팡이는 다양한 해 충의 밀도를 자연적으로 억제하며, 최근에는 친환경적인 방제 수단으로 계발되어 여러 해충방제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곤충병원성 곰팡이는 생장하면서 약학적 치료제로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이차대사산물을 분비 하는데 이 이차대사산물은 목적 생체를 촉진, 저해시키는 물질들이 포함되어 항생물질, 세포독성물질, 살충성 물질로서 쓰이고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토양에서 분리된 많은 수 의 다양한 347개 곤충병원성 곰팡이 균주의 배양액 중에서 식물병원성 세균 Ralstonia solanacearum, 병원성 세균 Escherichia coli에 항균효과를 가지는 곤충 병원성 곰팡이 배양액과 항산화효과를 가지는 곤충병원성 곰팡이 배양액을 빠르 고 쉽게 선발하였다. 그 결과, 전체 347개 균주의 배양액 산물에서 약 7%에 해당하 는 25개의 배양액이 항산화활성효과를 보였고, 약 20%(347균주 중 72 균주) 그리 고 6%(347균주 중 22 균주)에 해당하는 균주의 배양액이 R. solanacearum, E. coli 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선발된 곰팡이 균주들의 배양액 산 물들은 각각의 세균방제 및 약학적 재료로써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