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 19 대응형 농촌관광 유형 특성 및 콘텐츠 개발 연구

        최찬원 ( Choi Chanwon ),최재문 ( Choi Jaemo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코로나 19 이후 해외여행이 불가능한 시점이라 국내여행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나, 농촌체험휴양마을의 시설 노후화, 양적 성장 대비 질적 서비스의 낙후, 관광객이 만족할 만한 콘텐츠의 부족 등 농촌체험휴양마을의 수용태세는 고객의 니즈를 충분히 반영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이렇게 변화된 시기에 해외여행 수요를 농촌관광으로 유입하기 위해 다양한 콘텐츠 개발뿐 아니라 코로나 19 이후 변화되는 여행패턴에 대응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19에도 불구하고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사례 수집, 분석을 통해 코로나 이후 농촌체험휴양마을에 적용할 수 있는 콘텐츠를 발굴하고 적용 가능한 방안을 찾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코로나 19 이전의 농촌관광 이론과 문헌을 고찰하여 농촌관광의 개념 정의 및 유형 분류를 통해 연구의 방향성을 설정한다. 둘째, 코로나 19 이전 농촌관광의 상황과 국내관광 환경 변화를 분석하고, 농촌관광에서 기회와 위기요소를 도출한다. 셋째, 코로나 19 이후 변화되는 환경에 대한 사례분석을 토대로 농촌관광 유형을 분류하고 이에 따른 시범지구 선정으로 농촌체험휴양마을에 적용 가능한 콘텐츠를 유형별로 종합분석 및 시사점을 도출한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코로나 19 이전과 이후 농촌체험휴양마을의 농촌관광 운영 상황 파악, 국내관광 트렌트 변화에 따른 콘텐츠 유형 변화, 농촌관광 위기와 기회요소에 따른 농촌관광의 방향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힐링·치유, 자연·가족친화, 숙박형, 동물형, 트레킹 유형으로 제시하였다. 농촌관광 콘텐츠의 유형을 제시하였고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하여 관광객들에게 농촌만이 느낄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였다. 코로나 19에도 불구하고 농촌체험휴양마을에 적용할 수 있는 콘텐츠를 발굴하고 시범운영을 통해 앞으로 더 많은 농촌체험휴양마을에 적용 가능성을 실증 조사 및 검증하였다. (결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관광객들에게 깨끗한 우리 농촌을 각인시키기 위해서는 농촌 공동체의 공공 방역에 대한 의식 수준 상향이 이루어져야 한다. 농촌체험장, 음식업소, 숙박업소 등의 집합시설에 철저한 방역과 공동체원들의 방역 교육으로 농촌을 찾은 많은 관광객들이 안심할 수 있는 농촌환경을 만들어 나가길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It is predicted that domestic travel demand will increase as it has become difficult to travel abroad after the COVID-19 pandemic. However, rural experience resort villages lack aging facilities, qualitative services that are inferior to quantitative growth, and content that will satisfy customers. It is difficult to fully reflect the needs of customers in the acceptance posture of rural experience and recreational villages. To introduce overseas travel demand into rural tourism after the pandemic, a study is needed not only to develop various contents but also to respond to new travel patterns. This study aims to discover contents and find ways to apply them to rural experiential and recreational villages after the pandemic through collection and analysis of successfully operating cases. (Method) First, after examining the theories and literature of rural tourism as well as defining its concept and classifying the types, the research direction was established. Second, it analyzes the situation of rural tourism before the pandemic and changes in the domestic tourism environment, deriving opportunities and risk factors. Third, it classifies the types of rural tourism based on the case analysis of the changing environment after the pandemic. In addition,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ontents applicable to the experiential recreational village by type and implications is drawn. (Resul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peration of rural tourism in rural experience resort villages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rural tourism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content type based on the changing domestic tourism trend, the crisis of rural tourism, and the opportunity factor. Then, rural tourism was presented as a healing, nature-family friendly, accommodating, animal experience, and trekking type of tourism. By applying it to the field, an experience program was developed by presenting types of content that only rural areas could provide to tourists. Despite the pandemic, contents that could be applied to rural experience resort villages were discovered. Through the pilot operation, the possibility of applying such contents to the actual rural experience and recreation village was empirically investigated and verified. (Conclusions) In the post-COVID-19 pandemic era, to create a clean rural village for tourists, the level of awareness of public quarantine in rural communities must be raised. It is hoped that many tourists visiting rural areas will create a safe rural environment through thorough safety management in collective facilities such as rural experience centers, food establishments, and accommodation.

      • KCI등재

        로컬푸드 직매장의 지속 가능한 모델 수립을 위한 입지 선정 방안 연구

        김인재 ( Injae Kim ),최재문 ( Jaemoon Choi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5

        (연구배경 및 목적) 현재 국내외에서 여러 가지 유형으로 진행되고 있는 로컬푸드 운동 중 하나인 로컬푸드 직매장은 판매 공간이기는 하지만, 농민과 소비자, 지역 등 공공의 이익을 위한 공간이라는 특성도 함께 가지고 있다. 2012년부터 조성되기 시작한 로컬푸드 직매장은 현재까지는 직매장이 가지고 있는 특성에 대한 분석과 고려 없이 직매장 조성을 원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일률적으로 지역 간의 형평성에 근거한 배분 형식으로 입지 선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는 로컬푸드 입지 선정을 위한 기준이나 별도의 가이드라인이 전무한 실정이다. 이러한 부분을 개선하여 로컬푸드 직매장의 활성화를 도모 할 수 있는 입지 선정 기준 요소를 분석하여 입지 선정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로컬푸드와 입지 선정에 관련된 기존 연구 문헌 분석과 로컬푸드 직매장의 개념 정립을 통한 특성 분석을 통해 로컬푸드 직매장의 입지 선정을 위한 방향성 및 고려 요소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의 목적은 12개의 우수사례의 입지 여건 분석을 통해 지역 특성별 유형 분류 및 사례별 특성을 분석하고 유형별 특징을 정리하여 유형에 맞는 입지 선정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결과) 기존 공간들의 입지 선정 방법들을 분석 정리 하고 로컬푸드 직매장이 가지고 있는 특수성을 분석하여 로컬푸드 직매장의 입지 선정 방향은 직매장의 성격에 맞도록 상업적 공간과 공공적 공간 특성 중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아야 하고 소비자와 생산자를 조화롭게 고려하여 입지 선정이 이루어 져야 한다는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또한 방향성에 부합하도록 하는 입지 선정 고려 요소를 경제적 가치, 공익적 가치, 소비자 접근성, 생산자 접근성으로 도출 하였고 도출된 요소를 객관적으로 검증된 12개의 우수 사례에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지역적 특성별로 도시형은 생산적 접근성과 공익적 가치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고 농촌형은 경제적 가치, 소비자 접근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복합형은 4가지 요소 모두 보통 수준 정도로 나타났다. 근래에 로컬푸드 직매장은 도시형, 농촌형, 복합형 모두 조성 되고 있으나 우수 사례도 지속 가능한 모델이 되기 위해서는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로컬푸드 직매장이 지속가능한 모델이 되기 위해서는 입지 선정 시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 유형별로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하다. 도시형의 경우는 지역적 특성으로 생산 조직과 접근성 연계방안의 고려가 필요하고 복합형의 경우는 지리적 장점과 공익을 부각 시킬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그리고 농촌형의 경우는 소비자 접근성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연계방안 모색이 고려된 입지 선정이 필요하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local food market, which is one of the local food campaigns currently being carried out in various forms worldwide, is a sales space that also has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a space for public interests, such as farmers, consumers, and local communities. Local food markets, many of which were created in 2012, are currently being selected for distribution based on equality between regions where they want to create stores without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markets. Currently, there are no standards or separate guidelines for selecting the location of a local food market. This study aimed to present guidelines for site selection by analyzing the location selection criteria that can improve the X of local food markets. (Method) This study examined the consideration factors for local food store selection by analyzing the existing literature related to local food markets, location selection, and characterization through conceptualization of local food markets.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12 cases of certified business for the direct sales of farm products, and then classified thes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case. (Results) This study analyzed location selection methods of existing spaces and suggested the following guidelines by analyzing the specificity of local food markets. In selecting a local food location, the space should not be converted to either commercial or public purpose, to match the character of the store, and the location should be selected considering the consumer and the producer simultaneously. The location selection factors that meet the above were derived from economic value, public interest value, consumer accessibility, and producer accessibility. The results of applying the derived factors to the 12 cases showed region-related differences. Urban cases failed to consider the producer accessibility and public benefit value, whereas rural cases lacked economic value and consumer accessibility. In the composite type, all four factors showed a moderate level. The local food market has catered to all types of urban, farming, and complex products, but the best practices need to be supplemented to become sustainable. (Conclusions) To be sustainable, the local food market must have a differentiated strategy according to its area type according to its location characteristics. For urban typ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ays to offer accessibility to the producer organizations, and for composite types, it is important to search for ways to highlight the geographical advantages and public interest. In the case of rural types, the location should be selected after considering various linkage approaches, to ensure consumer accessibility.

      • KCI등재

        로컬푸드 직매장 사례분석을 통한 공간 면적특성 분석

        김인재 ( Kim Injae ),최재문 ( Choi Jaemo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3

        (연구배경 및 목적) 로컬푸드 직매장은 매년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실질적인 매장운영은 다수가 적자운영이 이루어지면서 활성화가 시급한 상황이다. 그래서 로컬푸드 직매장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나 그동안의 관련 연구는 시설 운영 및 개념적인 연구에 치우쳐 있던 것이 현실이다. 이 시점에 보다 적극적인 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해서는 물리적인 환경에 대한 고민도 함께 진행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현재 조성되는 로컬푸드 직매장의 공간은 단순하게 선행 조성된 시설을 답습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고, 또한 물리적 환경개선을 위해 필요한 실제적인 공간 구성 기초자료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기 조성된 로컬푸드 직매장들의 평면분석과 실무자들과의 인터뷰 분석을 통해 사용 공간의 전반적 특성을 검토하여 추후 로컬푸드 직매장 조성 시 기초 자료 및 참고 자료로서의 활용을 하고자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 현재 전라북도에서 운영 중인 로컬푸드 직매장을 대상으로 공간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로컬푸드 직매장은 2020년 까지 조성된 직매장을 대상으로 하였고 공산품마트 중심의 직매장의 샵인샵 매장은 제외하였다. 이러한 실태조사를 통하여 입수된 공간계획 자료를 정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도면 분석을 통한 내용 분석기법을 이용하였고 위치에 따른 유형별 분류를 통해 시설 위치별 배치의 특성과 규모의 특성, 그리고 공간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위치 및 지역여건에 따라 도시형, 농촌형, 복합형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도시형의 경우는 판매기능 공간의 면적이 넓은 것으로 나타났고 상품관리기능 공간은 상대적으로 적은 면적으로 조성된 것으로 조사 되었다. 농촌형은 판매기능 공간이 비교적 적게 조성된 반면 교류 확장기능 공간이 넓은 면적으로 조성 된 것으로 나타났다. 복합형의 경우는 상품관리 기능 공간과 교류확장 기능 공간의 면적이 다른 유형에 비해 큰 규모로 조성된 것으로 조성 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로 도시형의 경우는 소비자 중심적인 공간의 특성이 나타났고 농촌형의 경우는 보다 생산자 중심적인 공간의 특성이 나타났다. 복합형의 경우는 생산자가 보다 고려되면서 다양한 사람들의 접촉의 확장을 적극적으로 고려한 공간특성이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 내용과 공간별 기초 데이터들은 로컬푸드 직매장의 공간을 계획하는 경우, 유형별 특성이 고려된 효율적인 공간구성 방향을 설정하는 계획 수립의 기준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Local food stores are increasing in quantity every year, but the actual store operation is in an urgent need to be activated as many are operating at a deficit. So,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revitalize local food stores, but it is a reality that related research so far has been focused on facility operation and conceptual research. At this point, in order to find a more active activation pla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hysical environment as well. Currently, the space of the local food store is simply following the previously established facilities and there is a lack of basic data on the actual spatial composition necessary for improving the physical environ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used through the plan analysis of the established local food stores and interviews with practitioners, and to use them as basic data and reference data when establishing the local food stores in the future will be.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pace of local food stores currently operating in Jeonlabukdo. The local food store was targeted at direct stores established by 2020 and shop-in-shop stores in direct stores centered on industrial product marts were excluded. The spatial planning data obtained through this survey were organized and analyzed. The analysis method used a content analysis method through drawing analysis and through classification by type according to lo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layout by facility location, characteristics of scale, and characteristics of space were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regional conditions, it was classified into urban type, rural type, and complex type. As a result, in the case of urban type, the area of the sales function space was large and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product management function space was created in a relatively small area. It was found that the rural type had relatively little space for sales functions, while the space for expansion functions for exchange was created in a large area. In the case of the hybrid type, the area of the product management function space and the exchange expansion function space was created in a larger scale than other type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it could be confirmed that spatial plan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are being made for each type of urban type, rural type, and complex type.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he basic data for each space can be used as a basis for establishing a plan to establish an efficient spatial organization direc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hen planning the space of a local food store.

      • KCI등재

        정규-비정규직 임금 격차의 추세와 원인에 대한 분석

        금재호(Jaeho Keum),최재문(Jaemoon Choi) 한국경제연구학회 2021 한국경제연구 Vol.39 No.1

        본 연구는 2004년 8월부터 2019년 8월까지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의 원시 자료를 활용하여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 격차의 추세를 살펴보면서 그 원인과 현상이 어디에서 기인하고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우선 Oaxaca and Ransom의 분해방법론을 사용하여 정규직-비정규직의 임금 격차에 가장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설명변수들로 근속기간, 직업, 학력, 사업체 규모, 성별, 연령 등 6개 변수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6개 변수를 이용하여 Juhn-Murphy-Pierce 임금분해를 실시하였다. 2004년 8월과 2019년 8월 두 시점으로 분석 대상을 한정하여 JMP 분해를 실시한 결과 16년 동안 정규-비정규직 임금 격차가 3.7%만큼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2009년 8월을 전후로 임금 격차의 급격한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고, 2004. 8∼2019. 8의 전 기간에 걸쳐 설명변수의 구성변화로 인한 양적효과는 임금 격차를 악화시키는 방향으로 작동하였으나 가격효과는 반대로 임금 격차를 개선하는 방향으로 움직였다. 따라서 정규-비정규직 임금 격차의 변화는 양적효과와 가격효과 중 어떤 것이 큰가에 따라 결정된다. This paper is to examine trend of the wage gap between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using raw data from the Supplementary Survey of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from August 2004 to August 2019. First, using Oaxaca and Ransom’s decomposition methodology, six variables were selected as explanatory variables that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wage gap between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including tenure, occupation, education, business size, gender, and age. Juhn-Murphy-Pierce wage decomposition was performed using six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JMP decomposition at two points in August 2004 and August 2019, it was found that the wage gap between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expanded by 3.7% over 16 years.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confirm a sharp increase in the wage gap around August 2009. Over the entire period from August 2008 to August 2019, the quantity effect due to the change in the composition of the explanatory variable worked in a direction to worsen the wage gap, but the price effect reversed the wage gap moved in the direction of improving. Therefore, the change in the wage gap between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depends on which effect, between the quantity effect and the price effect, is grea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