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물인터넷시대에 장애아동을 둔 가족의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가족조직패턴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장원,장대연 한국사물인터넷학회 2022 한국사물인터넷학회 논문지 Vol.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organization patterns of family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A total of 263 participant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by responding to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Parenting Stress Index(PSI), Family Resilience Scale, Parenting Efficacy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Amos 22.0.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There was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of family organization patterns of family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family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장애를 가진 아동을 둔 부모를 대상으로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 중 가족조직패턴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매개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서 부산과 경상남도 지역에 거주하고, 자녀가 장애를 가지고 있으며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부모 236명을 대상으로 양육스트레스, 가족탄력성 중 가족조직패턴, 양육효능감을 측정하였고, Amos ver. 22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매개효과 검증 결과 장애아동 가족의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가족탄력성 중 가족조직패턴은 양육스트레스와 양 육효능감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스트레스원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상황에 대한 대처능력과 자녀의 장애로 인한 스트레스를 긍정적으로 승화시킬 수 있는 정서적 안정성의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하며, 또한 장애아동 가족의 요구를 파악하여 적정한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했다.

      • KCI등재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최장원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 of self-silence in experiencing interpersonal problems for early adult college students who are beginning to have variou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other words, when college students complain of difficulties due to interpersonal problems in the counseling scene, they seek practical intervention factors in counseling from various perspectives in understanding psychological problems. It is intended to provide data that can help college students effectively form and mainta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o achieve this purpose, 412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from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surveyed and analyzed for about eight weeks from February 3 to March 27, 202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nalized shame" of a college student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self-silence." Second, the "internalized shame" of a college student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personal relations problems." Third, the "self-silence" of college students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personal relations issues." Fourth, the "self-silence" of a college student had a mediating effect in "internalized shame" and "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important in that it has first confirmed the relevance of internalized shame to interpersonal problems and further empirically verified how internalized shame affects interpersonal problems through rejection sensitivity and self-silence. Second,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on depression or loneliness through the medium of self-silence, which is meaningful in that the study expanded the study on the role of self-silence by confirming that internalized shame also affects interpersonal problems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self-silence.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대인관계를 맺기 시작하는 성인 초기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문제를 경험하는 데에 자기침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즉, 대학생들이 상담 장면에서 대인관계문제로 어려움을 호소할 때 심리적 문제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관점에서 상담의 실천적 개입요소를 찾고자 하며, 대학생들이 효과적으로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에 소재한 대학교의 남녀 대학생 412명을 연구대상으로 2020년 2월 3일부터 3월 27일까지 약 8주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내재화된 수치심”은 “자기침묵”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내재화된 수치심”은 “대인관계문제”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자기침묵”은 “대인관계문제”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자기침묵”은 “내재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문제”에서 매개효과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문제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더 나아가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문제에 거부민감성과 자기침묵을 통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경험적으로 검증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이 자기침묵을 매개로 우울이나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는데, 내면화된 수치심이 자기침묵의 매개효과를 통하여 대인관계문제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본 연구에서 확인하여, 자기침묵의 역할에 관한 연구를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일본어의「``へ``자(への字)」발화에 관한 유효성 검증

        최장원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05 일본연구 Vol.4 No.0

        本稿では、日本語の發話中に現れる韻律の特徵を「への字」タイプとして、アクセント核の位置が變形された合成音聲を實驗材料とし、「東京語話者」と「韓國人學習者」と「中國人學習者」に「日本語らしさ」の觀点で評價を依賴した。その結果、「東京語話者」の判斷する「日本語らしさ」には本來單語に付隨しているアクセント核の位置が重要な判斷の根據となっていることがわかり、アクセント核の位置が變形されて、しかも、「への字」の韻律のパタ―ンで現れる音聲に對しては「頭高型」の例文が最も「日本語らしくない」と感じ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このような結果は、韓國人學習者が、日本語の韻律を習得しようとするときの學習方法にとりいれることもできよう。つまり、「東京語話者」は「頭高型」の單語が變形されると日本語らしくないと感じるので、アクセント型の暗記や發話の練習は「頭高型」を中心に行うのが效果的だと言える。また、「韓國人學習者」は、單語ごとに付與されていアクセント核の位置とは關係なく、すべての例文が「への字」タイプで發話されている音聲に「日本語らしさ」を求め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韓國人學習者の日本語音聲に對する先行硏究から得られた「平坦調」という發話における特徵をもち、聽覺の面では「への字」パタ―ンの韻律から「日本語らしさ」を感じ、誤った判斷をする、あるいは、「東京語話者」との大きな違いを示している韓國人學習者にはもっと體系的で學習者の誤用パタ―ンを調べた上での日本語の韻律に對する敎育が必要であることを示す結果となった。さらに、同じ學習者群に屬し、母語が異なるグル―プとして「中國人學習者」も被驗者にしているが、この場合は、母語の聲調パタ―ンに多いとされる句の最後の拍が下がるパタ―ンに「日本語らしさ」を求め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これは、中國人學習者を對象にして、日本語の韻律の習得に妨げとなる要因を調べた先行硏究とも一致した結果であった。このように、目標言語の韻律の特徵を捉えるにあたって、母語の違いによってその捉え方が異なることが學習者にはみられるため、目標言語にある韻律の特徵には注意が向けられにくいのである。ここで目標言語の韻律の特徵が韓國人學習者には「聞き取れない」という表現を避けて、「注意が向けられない」と表現するのは、學習者に日本語の韻律の特徵として現れる高低の差を比較出來るような「比較對象」を持つことで、韓國語のソウル方言では弁別力を持たない聲の高低の差へ注意がむくようになるからである。この「比較對象」を持った場合の聽覺力の效果については今後の課題にし、次期にご報告することとしたい。

      • KCI등재

        비장애 형제의 돌봄 부담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와 장애 수용의 완전매개경로 분석

        최장원,장대연 한국융합과학회 2024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3 No.8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가정 내 비장애인 형제의 돌봄 부담과 그들의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확인하고, 장애 수용의 매개 경로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를 위해 한국장애인개발원에서 2021년 진행된 장애인의 삶 패널조사 4차 데이터를 사용하여, 장애인 가족의 비장애 형제 중 조건에 맞는 284명 데이터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7.0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및 기술분석,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Process Macro 4.3 version을 사용하여 매개경로에 대한 부트스트래핑을 진행하였다. 결과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장애 형제의 30.3%가 자신의 삶에 불만족한다고 보고하였다. 둘째, 돌봄 부담은 삶의 만족도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갖는다. 셋째, 돌봄 부담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장애 수용은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비장애 형제의 경우, 직면한 돌봄 부담이 장애 수용을 저해하여 삶의 만족도 수준이 감소 된다. 이를 토대로 비장애 형제를 위한 심리적 지원 및 서비스 전달 체계 개발의 필요성 등 사회복지 실천적, 정책적 제안을 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diating path of acceptance of disability on the association between caregiving burden and life satisfaction for non-disabled sibling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Methods To examine the present study, ‘the 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4th wave) data’ of Korea Disabled People's Development Institute(KODDI) used and 284 non-disabled siblings of people with disability analized. Results First, 30.3% of non-disabled siblings reported dissatisfaction with life. Second, the caregiving burden h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giving burden and life satisfaction, disability acceptance was found to have a complete mediating effect. Conclusion In the case of non-disabled siblings,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decreases as the caregiving burden they face hinders their acceptance of disability. Based on this, practical social welfare and policy suggestions such as psychological support for non-disabled siblings an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service delivery system

      • KCI등재

        A Case of Nasal Chondromesenchymal Hamartoma Misunderstood as a Sphenochoanal Polyp in an Adult

        최장원,김상민,김지연,김용완 대한이비인후과학회 부산,울산,경남 지부회 2017 임상이비인후과 Vol.28 No.2

        Nasal chondromesenchymal hamartoma (NCMH) is a rare example of hamartoma and mainly involves the nose and paranasal sinuses. We report a case of NCMH in a 24-year-old Asian adult, which was misunderstood as a sphenochoanal polyp. Endoscopic examination showed the nasal passages were obstructed with a polypoid mass originated from left posterior ethmoid and sphenoidal sinus. Computed tomography (CT) demonstrated non-enhancing bulging soft masses. The patient underwent left endoscopic sinus surgery and resection of left sphenochoanal polypoid mass. Histopathology showed an inflammatory polyp with chondroid metaplasia. After 18 months, the patient visited the hospital again with a recurred polypoid mass at the same area. Revision endoscopic sinus surgery was performed. Finally, based on the histologic findings and results of immunohistochemistry, the nasal polyp was diagnosed as chondromesenchymal hamartoma. In the case of chondroid proliferations of the nose and paranasal sinuses, NCMH should be considered a differential diagnosis.

      • KCI등재

        Water-Soluble Red Pigment Production by Paecilomyces sinclairii and Biological Characterization

        최장원,박종필 한국생물공학회 2018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 Vol.23 No.2

        Natural pigments have several advantages over synthetic colorants. In this study, the production of red pigment produced by Paecilomyces sinclairii in microbial fermentation was demonstrated and the pigment was purified and characterized. The red pigment was produced from submerged fungal fermentation and fractionated by medium pressure flash chromatography. After fractionation, the spectrophotometric characterization of the red pigment revealed an λmax at 520 nm.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red pigment fraction was also studied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 and Pseudomonas aeruginosa PAO1. The fraction (F2-F6) of the red pigment exhibited broad-spectrum antimicrobial activity in both bacteria.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potential of this pigment in inhibiting bacterial growth and in food processing and other foodrelated ap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