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1920년대 『동아일보』 기사에 나타난 이성-감정

        최이숙(Choi, Yisook)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4 젠더와 문화 Vol.7 No.2

        이 연구는 전통적인 유교사회에서 낯선 것이었던 ‘이성-감정’의 이원론이 언제부터 정착되었는가에 대한 궁금증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 문화 통치기 『동아일보』에서 이성-감정이 어떻게 의미화되었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분석 결과 다양한 주제에서 유학생을 비롯한 근대적 교육을 받은 집단에 의해 논의된 이성-감정은 근대적 주체를 구성하는 요소였고, 당대의 현실인식에 중요한 틀로 자리하였다. 이성과 감정은 서로 다른 특질을 지닌 것으로 규정되었지만, 이성-감정의 관계나 위치는 다양한 사상이 범람했던 시대적 조건 속에서 안정적이지만은 않았다. 근대적 인격의 구성요소로서의 감정은 여성에게 해방적 가능성을 열어주는 것이었다. 동시에 미약하게나마 나타난 감정에 대한 젠더적 가정은 식민지 현실에서 여성의 부차적 지위를 일정 부분 반영하거나 정당화시켰다. This study examines the way reason-emotion dualism has been established in Korea through analyzing the representation of the reason-emotion dualism in 1920’s Dong-a Ilbo daily newspaper. Reasonemotion was the symbol of the modern subject. Korean elites recognized emotion as a contrary of reason or different from it, but the inferiority of emotion was not securely established under the colonial situation. Emotion opened the space for women to be free from Confucian conventions as well as of any reasons to view women as inferior to men. The meaning of emotion during the 1920’s was complexly constructed.

      • KCI등재

        ‘미투 운동(#MeToo)’ 이후 젠더 이슈 보도의 성과와 한계

        최이숙(Yisook Choi),장은미(Eunmi Jang),김세은(Sae-Eun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20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04 No.-

        미투 운동(#MeToo) 이후 언론 보도의 성인지 감수성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 연구는 미투 운동 이후 젠더 이슈 보도에서 나타난 진전과 여전히 남은 문제가 무엇인지 분석하고, 향후 성인지적 보도를 위해 우리 언론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3개 신문사(〈경향신문〉, 〈한겨레〉, 〈중앙일보〉)에서 생산된 ‘안희정 전 지사 성폭력 사건 재판’, ‘불법촬영 편파수사 규탄 시위’, 젠더 갈등 3개 이슈에 대한 양적 내용분석과 프레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안희정 재판 관련 보도가 다른 이슈에 비해 보도량이 많았고 여성 기자들이 젠더 이슈의 주 생산자로 활약했지만, 정치적 성향에 따라 기사 유형, 정보원의 활용, 접근 방식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경향신문〉과 〈한겨레〉는 〈중앙일보〉에 비해 여성주의 성향의 정보원을 적극 활용하였고, 상대적으로 칼럼, 해설, 기획 기사를 통해 사건을 둘러싼 구조적 맥락에 주목한 보도의 비중이 높았다. 향후 젠더 이슈 보도에서 개선을 위해서는 기존에 거론되었던 뉴스 생산자 및 정보원의 다양성을 증진시키는 것 외에 ‘형식적 객관주의’를 넘어 사건의 맥락을 제대로 전달할 수 있는 서사를 개발하는 것이 요구된다. 무엇보다도 기자의 성인지 감수성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고양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하고 조직문화를 만들어가는 일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plores whether there has been any changes in the actual media coverage on gender issues after the #Metoo movement. Specifically, we focus on the aspects that have made progress in reporting gender issues and the areas that still remain a problem, and suggest what the media should consider in the future regarding the gender issue coverage.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we conducted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three newspapers—Hankyoreh, Kyunghyang, and Joongang llbo— on the three gender issues: “Ahn Hee-jeong’s sexual assault case trial,” “protest against Spy Cam Porn”, and “gender conflict”. Among the three issues, Ahn Hee-Jung’s case had more coverage than the other issues, and the newspapers showed differences in the types of articles, the use of sources, and approaches depending on their political stance. Compared with Joongang Ilbo, Hankyoreh and Kyunghyang actively used feminists as sources and relatively reported much on the structural context of the events through column, commentary, and feature stories. In reporting gender issue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diversity of information sources and further develop a ‘narrative’ that can properly convey the context of events beyond the ‘formal objectivism’. To achieve this goal, the media company should establish a system that checks all journalists’ gender sensitivity continuously.

      • KCI등재

        전후 1950년대 탈식민 도시 부산 그리고 라디오

        최이숙(Yisook Choi)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5 언론과 사회 Vol.23 No.1

        이 글은 전후 1950년대 탈식민 도시 부산의 방송모습을 당시 지역의 맥락에서 읽고 그려내고자 한다. ‘리틀재팬’이라 불릴 만큼 식민지 시기 일본문화의 영향이 강했던 부산은 해방과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일본문화의 유제, 새로이 부상하는 미국문화, 그리고 피난민 및 귀국 동포의 문화 등 이질적 문화의 용광로로 변모하였다. 부산의 방송지도는 1950년대 냉전의 맥락에서 전파 선전전과 국민위안이 강조되던 중앙의 환경과 선명하게 들려오던 일본방송이 공존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전후 부산방송국(HLKB)은 열악한 송신시설, 지리적 거리감 등으로 인해 중앙방송국의 중계가 원활하지 않았던 반면 흥미 있는 일본방송의 청취가 일상화된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청취자의 귀를 끌어 모으고자 했다. 인적 재정적 결핍 속에서도 지역국 최초로 종일방송을 실시했고, 시청자 참여 음악 프로그램들을 자체 제작하여 지역 수용자에게 다가섰다. 하지만, 라디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았고 일본문화와 방송의 영향력이 여전했던 부산에서 HLKB의 전략은 국영방송이라는 조건과 인프라의 부족 속에 한계에 부딪힐 수밖에 없었다. 이상의 논의는 초창기 한국 방송의 모습이 균질적이지 않음을 보여 주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broadcasting landscapes in Busan in 50s. After Korean War, Busan became a kind of cultural melting pot with Japanese cultures, American cultures and refugees’ cultures. Broadcasting maps in Busan was composed in this post colonial conditions. HLKB made an effort to attract the local audience with extension of air time, new type of local programs(such as “Norae Jarang). However, the strategy of HLKB was not successful because of poor personnel and financial fra, and strong influence of Japanese radio on local citizen’s life. This study shows early figures of Korean broadcasting which was constructed under the condition of political independence and Cold war was not homogeneous.

      • KCI등재

        고립되고 불안한 미생들과 학문공동체로서의 학회

        최이숙(Yisook Choi),김세은(Sae-Eun Kim),김은영(Eun-Young Kim),한선(Seon Han),김미희(Mihee Kim)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2 No.2

        이 연구는 2016년 여성커뮤니케이션 학회에서 진행한 여성신진연구자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여성신진연구자들의 연구/학회활동 상황 및 연구자로서의 자기 인식을 파악하고 학회구성원으로서 이들을 수용하기 위한 학회의 역할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 결과 절반에 가까운 여성신진연구자들은 전업 시간강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이들의 불안정한 고용상태는 전반적인 연구 및 학회 활동에 있어 가장 중요한 장애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여성신진연구자들은 졸업 후 불확실한 미래를 몸으로 직접 체험하게 되면서 ‘아무 것도 아닌 존재’가 될지 모르는 불안감과 어디에도 소속되지 못했다는 고립감에 시달리고 있었다. 연구자들은 학회활동이 이들의 연구 및 인적 네트워크 형성에 도움을 준다고 생각하는 동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에는 경제적, 시간적, 정서적 차원에서 매우 부담스러운 것으로 인식하였다. 학회 활동에 대한 이들의 경험은 언론학 분야 학회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위계를 드러내는 동시에, 우리 학계가 연구자들을 지켜내고 보호하기 위해 어떠한 일을 할 수 있는가를 질문하게 만든다. 여성신진연구자들이 연구자로서의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실질적 지원과 함께 이들을 기존의 제도적 틀에 끼워 맞추기보다는 한 사람의 동료로서 존중하고 함께 성장할 수 있는 활동 및 문화의 조성이 요청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female new researchers’ self-perceptions as a scholar and their activities in academic society. In order to do this, an onlin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Results indicated that nearly half of the female researchers have been working as a part-time instructor, and this unstable employment status has been a major obstacle to their research and academic activities. After their graduation, they were suffering from the anxiety that they might become ‘nothing but being’ and the sense of isolation that they could not belong anywhere. The female researchers thought that the activities of the academic society help to form their research and human networks, but they said that they have economic and emotional difficulties in participating in the activities. Their experience with the activities of the society reveals various hierarchies that exist within the journalism societies and makes us question what we can do to protect the researchers.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female new researchers with financial support programs to encourage their academic activities. Results also show that we need to develop an academic culture that respects newcomers as a colleague.

      • KCI등재

        증언과 저널리즘 : <JTBC 뉴스룸>의 성폭력 피해자 생방송 인터뷰 분석

        최이숙(Choi, Yisook),김은진(Kim, Eun Jin)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9 언론과 사회 Vol.27 No.2

        이 연구는 2018년 상반기 한국 미투운동의 결정적 촉매제인 <JTBC 뉴스룸>의 성폭력 피해자 생방송 인터뷰 중 인터뷰이가 스튜디오에 직접 출연했던 세 건의 인터뷰(서지현, 최영미, 김지은 인터뷰)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진은 생방송 인터뷰를 통한 피해자의 말하기를 일종의 증언 행위로 바라보고, 봉인된 기억에서 벗어나 사회적 고발을 시도하는 피해자들의 목소리가 방송이라는 제도와 만났을 때 어떤 가능성과 한계를 맞닥뜨리게 되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인터뷰 영상과 스크립트를 바탕으로 인터뷰의 전반적인 서사, 질의응답 방식, 화면 구성 등을 분석한 결과, <뉴스룸> 생방송 인터뷰는 피해자의 이야기에 주목하고 긴 시간 동안 가감 없이 말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했다. 그러나 인터뷰 과정에서 기존의 성폭력 보도가 지적받아 온 문제-사실입증에 치우친 경향, 사건에 대한 선정적 접근, 구조적 접근의 부재-를 완전히 극복하지는 못했다. 그 양상은 가해자ᐨ피해자의 위치 및 관계, 관련 사건의 특성, 사건 전개 및 미투운동 과정에서 인터뷰가 놓인 맥락과 상황에 따라 달라졌다. 이런 기존의 저널리즘 관습에 이의를 제기한 것은 피해자들의 ‘말’이었다. ‘말하기’를 통해 피해자들은 스스로의 정당성을 밝히고 가해자와 사회의 위협과 공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한편, 오랜 트라우마에서 벗어나 스스로를 치유하고 다른 피해자들과 연대하고자 했다. 이런 의미에도 불구하고 <뉴스룸> 인터뷰는 성폭력 그리고 트라우마 피해자를 대하는 과정에서 반복된 우리 저널리즘 관행에 묵과할 수 없는 질문을 던지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ree studio interviews with victims of sexual assault on <JTBC Newsroom>(the most popular & trusted prime time news program in Korea) which have been the critical moments in the #Metoo movement in Korea. This research defines victims speakings as testimonies that help to overcome their pain, ask individual and social responsibilities for their traumatic experiences. Generally speaking, live interview in TV studio may not only give interviewee the chance to vividly announce his/her voice to the public, but also make them encounter and tackle journalistic conventions based on formal objectivit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overall narratives, turn-takings between anchor and interviewees, composition of shots,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studio interviews. Live interviews open the spaces for the victims to express agonic experiences, to accuse not only the attackers but also patriarchal social and cultural conditions, and to help to create women’s solidarity. Their voices overcome gendered journalistic rituals based on the myths of objective journalism as well as reveal and question the limitation of traditional male-biased conventions in TV journalism.

      • KCI등재

        누구의 목소리를 어떻게 전하였는가?: 인터뷰 기사를 통해 본 미투 운동 초기 TV 보도의 양상

        최이숙(Yisook Choi),김은진(Eunjin Kim)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4 No.2

        이 연구는 인터뷰가 활용된 기사를 중심으로 미투 운동 초기 관련 TV 보도의 양상을 지상파 3사(KBS, MBC, SBS)와 JTBC의 저녁 메인 뉴스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서지현 검사의 증언이 있었던 2018년 1월 29일부터 3월 31일까지 총 293개의 기사를 분석한 결과, 해당 기간 동안 미투 운동 보도에 가장 적극적이었던 방송사는 JTBC였고 그 뒤를 SBS, MBC, KBS가 뒤를 이었다. 인터뷰가 가장 많이 활용된 사건은 문화예술계 성폭력 사건이었다. 가장 많이 활용된 인터뷰이는 피해자 또는 피해자 측의 사람들이었고, 피해자의 입장을 옹호하는 발언의 비중이 높았다. 인터뷰 방식으로는 익명-현장 인터뷰가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실명-현장 인터뷰가 뒤따랐다. 인터뷰이 발언내용 분석과 프레임 분석의 결과, 인터뷰 내용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구체적인 정황 묘사였고, 인터뷰 내용의 대부분(당사자와의 관계, 피해자 감정/고통 등)은 사회 구조적 원인보다는 피해 사건 그 자체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터뷰가 피해자들의 목소리를 담고 있었지만, 피해자들이 말하기를 통해 진정으로 전하고자 했던 개인과 사회의 책임을 규명하는데 과연 충실했는가를 질문하게 한다. 영상 역시 클로즈업, 눈물샷, 손동작 등 피해자다움을 극적으로 표현하는 방식을 활용함으로써, 미투운동 참여자들을 피해자화(victimization)하는 데 일조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V news interviews related to #Metoo Movement in Korea. Analyzing 4 prime time evening news programs on KBS, MBC, SBS & JTBC, most frequently introduced interviewees were victims of sexual violence and their supporters. TV news still paid attention to the incident itself rather than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surrounding it. High proportion of interviewees’ interview bites were about detailed explanation on the sexual assaults. In addition, episodic frames were more dominated than thematic frame. In visual representation of sexual victims, close up, shots on victims’ tears, and hand gestures still used which help to dramatize the incidents and victimized the speakers. These results implies TV news programs have made better approach to help the victims voices heard, but failed to break away from traditional narratives on sexual violence.

      • KCI등재

        ‘위험한 미디어 vs 든든한 육아 도우미’ : 영유아 스마트 미디어 이용 담론에 대한 탐구

        최이숙(Yisook Choi),김반야(Banya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8

        이 연구는 영유아들의 스마트 미디어 이용에 대한 담론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스마트 미디어 노출=위험한 행위’라는 경고에도 불구하고, 아동의 스마트 미디어 과의존은 증가해왔다. 이러한 현상은 영유아들의 미디어 이용을 둘러싼 사회적 맥락을 살펴볼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 연구는 10개 일간지 및 경제지를 대상으로 2018년-20년에 생산된 기사를 분석했다. 그 결과, 영유아의 미디어 담론 형성의 핵심적인 발화주체는 관련 콘텐츠 생산자 및 플랫폼 운영자들이었다. 학계 및 시민단체, 부모를 중심으로 한 스마트 미디어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입장이 개진되었지만 산업계는 이러한 위험성 논의를 넘어 영유아의 스마트 미디어 이용에 긍정적 의미를 부여했다. 스마트 미디어는 자녀의 생활습관형성, 학습과 발달을 돕는 미디어, 자녀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부모의 통제권을 확보하도록 도와주는 안전한 미디어로 재정의 되었다. 자녀의 스마트 미디어 과의존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거론되면서 비난과의 대상이자 문제해결의 주체였던 부모는 산업계의 서사 전략 속에서 돌봄 책임자이자 도움이 필요한 존재로 위치 지워졌다. 위험 담론 속에서 불완전한 돌봄의 방식으로 표상되었던 디지털 육아는 이제 최신 기술을 활용한, 부모들이 손쉽게 동원 가능한 육아 방식으로 규정되었다. The study examines how the discourse on infants’ smart media use has been constructed under media-saturated situations. Infants’ use of smart media has been regarded as a dangerous activity, rate of overdependence has been increasing. Newspapers during the recent three years (2018-20) were analyzed. The most prominent speakers in the news field were smart media content producers and platform operators. There were negative views and concerns about infants’ smart media use by academics, civic groups, and parents. However, the industry went beyond these risk discourses and gave positive meaning: Smart media was redefined as safe media for infants and reliable childcare helpers for parents. Parents were portrayed as those responsible for their children’s media use and in need of help for childcare, rather than being blamed for their children’s overdependence on smart media. Digital parenting seems to be emerging as an acceptable and practicable way of childcare rather than harmful and incomplete parenting.

      • KCI등재

        “우리는 더디지만 나아가고 있다” : ‘미투 운동(#MeToo)’ 이후 성평등 보도를 위한 한국 언론의 실천과 과제

        장은미(Eunmi Jang),최이숙(Yisook Choi),김세은(Saeeun Kim)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21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6 No.3

        이 연구는 일선 기자와의 심층인터뷰를 바탕으로 미투 이후 페미니즘의 부상이 젠더화된 뉴스 생산노동에 가져온 변화는 무엇이며, 향후 성평등한 보도를 위해 우리 언론계가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가를 모색하였다. 미투 이후 젠더 이슈에 대한 뉴스 가치가 이전 시기에 비해 상승했고, 형식적 객관주의를 넘어 타자의 목소리에 귀기울이는 취재 윤리가 시도되기도 하였다. 일선 기자들의 젠더 문제에 대한 의식 고양, 성인지적 보도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몇몇 언론사에서는 젠더데스크, 젠더 전담기자, 성평등 연구소 등 성인지적 보도를 위한 기구를 설치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한국 언론의 남성중심성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균질하지 않은 조직 내 성인지 감수성 및 기존의 유제들로 인해, 다른 이슈에 비해 젠더 이슈는 여전히 저평가 되는가 하면, 기계적 중립 및 선정주의적 보도 관행과의 갈등은 여전하였다. 관련 뉴스를 생산해 온 여성 기자들은 온라인 공간에서의 젠더 폭력에 노출되어 있었지만, 이들에 대한 보호는 미약했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해 본 연구는 새로운 사회적 변화에 부응하고 성평등한 보도를 위해 개별 언론사 차원에서 해야 할 노력과 언론생태계가 시도해야 할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front-line reporters, this study explored what changes the rise of feminism after #MeToo brought to gendered news production labor and how the news media should change for gender-sensitive reporting in the future. After #Metoo, the value of news on gender issues increased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and an journalism ethics that listens to the voices of others against formal objectivism was attempted. In response to the social demands for gender-sensitive reporting, some media outlets have set up organizations for gender-sensitive reporting, such as gender desks, gender-specific reporters, and the Institute for Gender Equality. However, the male-centeredness of Korean media did not completely disappear. Gender issues were still undervalued compared to other issues due to the non-homogeneous gender sensitivities, while conflicts with mechanistic neutrality and sensationalist reporting practices continued. Women reporters who have produced related news have been exposed to gender-based violence in the online space, but protection against them has been weak. This study suggested efforts to be made at the level of individual media companies and measures to be attempted by the media ecosystem to provide gender-sensitive repor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