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Verschwiegene und Schweigende Individuen im Realistischen Roman : 최윤영
최윤영 Rheinische Friedrich - Wilhelms - Univ. Bonn 1993 해외박사
이 논문은 사실주의 소설에 나타난 개인 및 개인성을 주제로 한다. 이를 논의하기 위하여 먼저 이론적 기반으로 사실주의 및 사실주의 논의의 초점을 이루는 헤겔의 소설론이 다루어진다. 헤겔의 「미학」을 대상으로 고대의 영 웅과 근대의 개인의 면모가 각각 분석되었다. 근대는 예술로 보아서는 더 이 상 유리한 환경이 아니다. 그러나 시민혁명이라는 역사적 경험을 통하여 개 인에게는 인식이라는 긍정적인 계기가 주어진다. 이러한 역사적 접근을 통하 여 헤겔이 한 소설의 개인의 규정 (개인과 그를 둘러싼 환경과의 갈등 및 이 와의 해소)의 구체적 의미를 짚어본다. 이러한 정의에 대한 이론적 논구와 정당화를 이론부분에서 다룬 후에 구체 적인 소설분석이 있게 된다. 대상은 이러한 문제를 가장 뚜렷하게 보여주는 고트프리트 켈러의 소설 "녹의의 하인리히"와 테오드르 폰타네의 소설 "에피 브리스트"이다. "녹의의 하인리히"에서는 주인공 "나"와 화자 "나"의 대립, 즉, 보편론적 질서를 세우고자 하는 자아의 의지와 현실에서의 계속되는 거부를 겪는 관찰 하는 자아와의 갈등이 다루어진다. 이러한 계속되는 팽팽한 대립구조에서 주인공과 세계와의 갈등은 소설의 주요한 줄기로 나타나지만 헤겔이 가정했 던 화해는 현실의 무게에 제압당하고 만다. :에피 브리스트"를 대상으로는 이제까지의 연구에서는 개인과 사회의 갈등 이 주요 주제로 다루어져왔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갈등은 헤겔식 의 실제로 동등한 두 세력의 갈등으로 그려지는 것이 아니라, 소설의 개인과 개인성과 관련해 개인을 압도하는 현실에서 개인을 어떻게 소설의 사건 및 진 행의 억압에서 보호할 것인가가 가장 중요한 변화라는 것을 밝혔다. 개인은 사회의 갈등이나 대결 속에서 혹은 이와의 화해를 이룸으로써가 아니라, 소설 사건 및 사회와의 거리를 통하여 자신의 개인성을 회복하며, 이러한 점에서 폰타네 소설 개인의 독특성이 있는 것이다. 이럼으로써 이제까지 통용되어왔던 이상주의에 바탕을 둔 개인이나 이에 대 한 정의가 사실주의 소설과 부합하지 않음을 밝히고 이러한 새로운 방식으로 분리론에 바탕을 둔 루고브스키의 이론을 다루었다.
머루(Vitis coignetiae) 추출물을 이용한 모발 염색 특성
국문초록 머루(Vitis coignetiae) 추출물을 이용한 모발 염색 특성 최윤영 지도교수: 박철호 남부대학교 대학원 향장미용학과 본 연구는 머루 추출물의 안토시아닌 색소를 이용한 모발 천연염색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안토시아닌의 최대흡수파장인 540nm에서 염색온도, 염색시간 및 pH를 변화시켜가며 염착도와 색변화를 관찰하였다. 매염제인 황산제일철, 명반, 황산구리, 아세트산, 질산코발트, 황산망간,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및 탄산나트륨을 사용하여 모발염색에 매염효과를 측정하고 이를 비교분석하여 다양한 컬러를 만들어내기 위한 표준화된 조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모발 염색시 염색온도(25℃ ∼ 60℃)가 증가함에 따라 염착량(K/S)도 증가하였다. 염색온도 25℃, 40℃, 60℃에서 염색시간 10분 ∼ 80분에 따른 K/S값 변화를 보면 25℃에서 15.229 ∼ 33.760(18.531), 40℃에서 22.482 ∼ 37.905(15.423), 60℃에서 28.503 ∼ 44.519(16.014)로 염색시간에 따른 염착량 변화는 염색온도 25℃ > 60℃ > 40℃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몇 가지를 종합한 결과 머루추출물은 염색온도 25℃, 염색시간 40분에서 염색이 효율적이었다. 무매염으로 모발 염색 시 pH에 따른 염착성과 측색효과는 안토시안닌 색소와 동일할거라 예상하였으나 알칼리 환경에서의 염액의 색변화는 모발의 색변화로 이어지지 않았다. pH의 증가에 따라 a* value가 +(red)에서 -(green)으로 진행되거나 본래의 탈색모의 노란색에 색차계가 반응하였다. 안토시아닌 염제가 pH에 특히 민감하게 반응하고 대부분 pH가 증가함에 따라 염착성은 급격히 감소하여 염색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되었다. 머루추출물의 안토시아닌 색소는 pH 3에서는 K/S 값이 56.722로 최고로 염착도가 높아 밝고 진한 적자색을 나타냈다. pH가 증가함에 따라 a*값이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적색이 감소하였으며, pH 8 ∼ 10에서는 안토시아닌 색소의 본래의 색이 퇴색하며 b*값이 증가하여 황색을 띄게 되었다. 모발 염색시 매염방법(선매염, 동시매염, 후매염)은 매염제의 특성(염착량, 명도, 채도, 색상)을 전체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하여 선택해야 한다. 염착량(K/S)만을 기준으로 본다면 선매염은 FeSO4, MgSO4, MnSO4, Co(NO3)2, Na2CO3에, 후매염은 CH3COOH, AlK(SO4)2, CuSO4, CaCO3에 효과적이었다. 매염제 농도에 따른 모발염색 효과는 후매염의 경우 농도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황산제일철과 황산구리를 이용하여 후매염한 결과 매염제 농도가 증가할수록 K/S이 증가하였다. 머루 추출물을 이용하여 염색온도 25℃, 염색시간 40분에서 모발염색한 시료모발 3개를 5회, 10회, 15회, 20회 삼푸한 결과 세정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K/S값이 감소하였다. 머루 추출물의 경우 K/S값은 43.909 ∼ 16.748로 컬러 전용 삼푸제로 세정 후 K/S값 차는 평균 22.272 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머루의 안토시아닌 색소는 인간의 모발에 적용 가능한 천연염모제로서의 가능성을 가지며 다른 천연색소에 비해 다양한 색을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안토시아닌 색소는 열, 햇빛, 산소, pH, 매염제 등에 색소 안정성이 매우 취약하여 실험요소들을 정형화하기가 매우 어려웠으며,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한 매염제중 명반이나 철은 주로 직물의 매염제로도 쓰여왔으며 소량의 경우 인체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황산구리는 주로 살균제로 쓰여 독성이 있으며, 기타의 매염제 역시 인체에 유해하여 이를 모발에 사용하는 이상 매염제에 따른 유독성 연구도 함께 진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자기존중감 향상을 위한 가창 프로그램 개발
최윤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inging activity program to improve adolescents’self-respect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verify their feasibility.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content elements needed to improve the teenagers’ self-respect of multicultural families were extracted through a literature investigation of precedent research, and music activities commonly used were selected through a literature survey of the singing-oriented music therapy intervention study, and then program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developed program has been verified by two music mediators (KCMT) from the National Association of Music Therapists with more than 10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in music therapy. The assessment evaluated by experts is composed of a five-point scale consisting of questions about program composition and progress and the possibility of clinical application, and a comprehensive statement of opinion across the program. The program has two stages: one for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anotherfor program composition and development. In the first stage of the review, the components of the program were extracted through the review and analysis of prior research to improve youths’ self-esteem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selected through the review and analysis of the music therapy intervention study to improve self-esteem. In the second stage of development, a total of 10 singing programs were developed, with objectives set in the program based on the content extracted through consideration and programs that fit the sub-factors of the variables. The program developed through two stages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is program presents a program consisting of step-by-step arbitration procedures that promote a sense of value, ability, and belonging, which are sub-factors of self-respect. Second, the program was structured by presenting the composition of the session and the objectives of the activities at hierarchical levels. Third, a singing program was presented to justify the arguments for music and the contents of the activities. As a result of the validity verification of the program, the average validity was 4.0 points for the first validation, but the improved validity was 4.5 points for the second validation. Experts suggested that the goal should be reset in relation to the sub-factors of the variables, and the musical features of the example songs used in the activity should be analyzed and described and then the therapist supplement the content by providing specific questions to the physician at the end of the activity. The researchers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program by the opinions of the arbitration experts and completed the final program. The singing activity program consists of a small group choir and teenag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ged 14 to 17. A total of 10 sessions of the program are held once a week, for 45 minutes. The program consists of three stages, and the goals of each session include self-discovery, recognition, self-acceptance, and acceptance, which affect the sub-factors of self-respect, ability, and belonging. The contents of the program consisted of voice exploration, harmony experience, single-track melody singing, 2nd, 3rd, 4th vocal choral, CD production, and music concerts that meet the goals of each session. Through this program, we hope to develop various programs for singing activities and actively conduct research on music therapy programs for teenag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 also hope follow-up research will be conducted to use as a therapeutic tool i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reas.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자기존중감 향상을 위한 가창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자기존중감 향상을 위한 선행 연구의 문헌 조사를 통하여 활동에 필요한 내용 요소를 추출하였고, 가창 중심의 음악치료 중재 연구의 문헌 조사를 통하여 공통적으로 사용된 음악 활동을 선정하여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타당성 확보를 위해 음악치료 임상 경력 10년 이상의 (사)전국음악치료사협회 음악 중재 전문가 (KCMT) 2인에게 검증을 받았다. 전문가의 평가 내용은 프로그램 구성 및 진행구조와 임상 적용의 가능성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된 5점 척도와 프로그램 전반의 종합적인 의견 서술 문항으로 제작되었다. 프로그램은 문헌 고찰 및 분석을 위한 1단계, 프로그램 구성 및 개발 단계인 2단계, 총 두 단계에 걸쳐 개발되었다. 1단계인 고찰 단계에서는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자기존중감 향상을 위한 선행 연구의 고찰과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를 추출하였으며, 자기존중감 향상을 위한 음악치료 중재 연구의 고찰과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의 단계와 활동의 내용을 선정하였다. 2단계인 개발 단계에서는 고찰을 통해 추출한 내용을 기반으로 프로그램 내 목표를 설정하고 변인의 하위요소에 맞는 프로그램을 단계적으로 구성하여, 총 10회기의 가창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두 단계에 걸쳐 개발된 프로그램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프로그램은 자기존중감의 하위요소인 가치감, 유능감, 소속감을 촉진하는 단계적 중재 절차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둘째, 회기 구성과 활동 목표을 위계적인 단계로 제시하여 프로그램을 구조화하였다. 셋째, 활동에 사용된 음악 논거와 활동 내용의 논거가 타당화된 가창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타당도 검증 결과를 살펴보면 1차 타당도 검증 시 평균 4.0점 이였으나 2차 검증시 평균 4.17점으로 향상된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전문가들은 변인의 하위요소와 연관되게 목표를 재설정하라는 의견을 제안했으며, 활동에 사용된 예시곡의 음악적 특징을 분석하여 기술할 것과 활동의 마무리 단계에서 치료사가 내담자에게 구체적 질문을 제공하여 내용을 보완할 것을 제안하였다. 연구자는 중재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였고, 최종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가창 활동 프로그램의 구성은 소그룹 합창의 형태이며 14-17세의 다문화 가정 청소년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의 회기는 총 10회기로 주 1회, 45분에 걸쳐 활동이 진행된다. 프로그램은 4단계로 구성하였으며, 자기존중감의 하위요소인 가치감, 능력감, 소속감에 영향을 주는 자기 탐색, 자기 이해, 자기수용, 타인수용을 회기별 목표로 설정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목소리 탐색, 화음 경험, 단선율 멜로디 제창, 2·3·4성부 합창, CD제작, 음악회로 각 회기별 목표에 부합하는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본 프로그램을 통해 가창 활동 중심 프로그램의 다양한 개발과 다문화 가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음악치료 프로그램 연구의 활발한 진행을 기대하는 바이다. 또한 심리·정서적 영역에서 목소리를 치료적 도구로 사용하는 후속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란다.
아동복지법제의 개선에 관한 연구 : 권리와 전달체계를 중심으로
최윤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The modern meaning of welfare turned to demander-centered customized welfare from supplier-centered dispensational welfare, and upon signing of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awareness on children's rights was spreaded which led children to acquire position as demander of compassion and dispensation as well as subject of the right and to grow an idea that responsibility of guarantee is primarily on the country. It formed sympathy that subjectivity of children's rights should be strengthened, so that various policies have been enforced. But, in fact, legal basis of child welfare is vulnerable due to lack of legal study, especially study by public law, on the rights and welfare of the child. This thesis has the legal perspective based on these problem and suggests improvement direction to realize child welfare which is able to enhance children's rights throughout classification and consideration of aspects of legislation and delivery system. As a basic premise to discuss of child welfare, first of all, child welfare is defined as activities substantially ensuring children's rights with cooperation between country and society for children to live a happy life as a human being and to make them a foundation of sound growth in physical, emotional, and intellectual development. Furthermore, this thesis elicits an objective point of child welfare throughout the review of ground for existence of child welfare law system, the concept of child welfare to discuss of its responsibility, and principle of realization of child welfare as an outline of how child welfare law system should be operated. Secondly, it conducts comparative legal study on child welfare. It considers contents of 'UN Convention on the Right of the Child' which became a catalyst for recognition of the child as subject of children's rights and comprehension of current situation of implementation in Korea. Also, child welfare legislation, delivery system and current situation of children's rights in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Switzerland, Japan is contemplated herein. These comparative legal study confirms that our child welfare legal system needs improvement in legislation and delivery system in order to combine various government policies and proceed mutual exchanges among each departments. It shows that it is fundamental to child welfare to build coherent legal and administrative systems and to form unified delivery system and integrated approach method with accurate set-up of appropriate responsibility department. In addition, based on the four basic rights of the child, it seems to be necessary to establish medium or long term policy for guarantee of rights of the general child as well as the child in need of protection and to prepare of legal basis of it. Thirdly, it finds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normative system focusing on the legislative aspect on children's rights. National responsibilities and obligations for child welfare can appear in many ways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its child. It figures out features of national responsibility to realize the child welfare in welfare state, via the review of a constitutional principle of Welfare state. Welfare state has to have sustainability in light of the peculiarity that it is a being that makes child grow and develop. In order to discuss an individual status in the welfare state, contemplation of the rights in perspective of an individual, especially a child, is necessory. In a former study, social fundamental rights and social welfare rights are discussed narrowly from a constitutional point of view, and those effect was only limited to the abstract rights. However, the modern country varies social risks and desires of individuals, demonstrates that the social fundamental rights and social welfare rights should be flexibly construed as the meaning that concrete validity should be considered in the feature of those things, which arranges a basis of guarantee of children's rights. To realize the child welfare law system which ensures the subjectivity of children's rights, child welfare law should consolidate its position as a fundamental law for child welfare. If the child welfare law fulfills its function and contents as a fundamental law, it would set up a standard for relevant laws, so that it could form a unified configuraion. Also, child welfare requires substantiation in response to the various needs of the child. As a legislative plan of it, autonomy legislation should be enlarged after taking into account child welfare resources and current situation of children in each regions, and ordinance should be enacted to set up a legal basis and budget for conduct of policies and institutions in accordance with each region's characteristic. When it comes to the legislation related to child welfare, a concept of the child is defin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implementation of the individual legal provisions, so that obstructs to compose a unified legal system. Thus, to prevent a child from placing in the blind spot, this thesis clarifies protection obligations of country to its children by adjustment of standard of child age and tries to avoid from leaking of werlfare caused by providing duplicate services. This thesis recommends a concept of 'child' as children from the age of 0 to children under the age of 3 are infants, children from the age of 3 to children under the age of 6, preschoolers, are toddlers, children from the age of 6 to children under the age of 13 are children, children from the age of 13 to children under the age of 19 (including any one in the age of 24 or less who is permitted in exceptional cases) are youths, and these are all included in the definition of scope of 'child'. These substantive improvements of legislative system should be parallel with the procedural improvement of it. Even though the most important thing to achieve this is to set the regulation of right remedies, child welfare law severely lacks it. To relieve violation of child rights, therefore, appropriate laws should be enacted based on administrative dispute system reflecting the special status as a child and state compensation system should be complemented as well. Lastly, focusing on the practical aspects of enforcement of child welfare, it finds a direction of improvement of delivery system.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means organizational scheme that provides services with procurement and distribution of necessary resources to specifically promote and conduct the social welfare services. To ensure child rights to the fullest and deliever it efficiently, child welfare must devise strategies for which organization should be selected for salaries and services to children and their home and how to practice it. The government which is currently being operated dualistically should be integrated with Ministry of Health-Welfare, which it has to play its role as a control tower and child welfare department within a local governments ought to be settled as a public supplier. In addition, efficient and realistic decentralization of welfare must be atta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currently many child welfare-related business are handovered to local entities and carried out there. In the private feature of child welfare system, it is classified as performing under permission from administrative authority and installing private child welfare facilities. If welfare is executed under a private consignment agreement signed by private actor and administrative body, private feature has a status as person entrusted public affairs. If former private consignment agreement had been for efficiency, upcoming private consignment agreement in child welfare must pursue a measure that can ensure rights of the child as a demander as much as possible based on the publicity. If public administration body executes child welfare administration, it would have diposability, and this administrative disposition has a binding or discretional effect upon the welfare benefit or content of service, and it makes responsibility of administrative authorities accompanied by voluntariness or obligation. This thesis identifies characteristic of administrative disposition by patterning of the administrative disposition in child welfare. With these discussions on the public supply system, it also reviews issues on private supplier. Unlike administrative disposition by public supplier, it reviews issues on service use agreement, focusing on a voucher agreement, between private supplier as a service provider and a child as a service user and pursues to ensure children's rights in relationship between private persons as well. To ensure children's rights the most efficiently, in additio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case management and monitoring rights it performs legislative debate of them and review of vitalization of foster care and implementation of smart delivery system which is emerging as an important issue in the field of child welfare in recent years. 아동복지의 문제상황 및 논의필요성 우리 나라에서의 아동복지는 여러 복지 분야에 비해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는 분야가 아니었다 하지만 아동권리협약이. UN 체결되고, 복지의 현대적 의미가 공급자 중심의 시혜적인 복지에서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복지를 지향하게 되면서 아동의 권리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게 되었다. 아동의 권리주체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어 다양한 정책들의 시행되고 있지만, 실제로 아동의 권리 및 복지에 대한 법학적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아동복지의 법적 기반이 취약한 것이 현실이다. 과거 아동을 위협하던 문제뿐만 아니라 최근 새로이 등장한 위험에 이르기까지 아동의 권리가 위협받고 있는 양상은 더욱 복잡해지고 심각해지고 있지만, 아동에 관한 여러 사안들은 정책의 우선순위에서 벗어나 있어 성인 위주ㆍ공급자 위주의 복지가 행해지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 아동은 자신의 삶에 영향을 주는 결정에 의견을 제시하거나, 선택, 결정하는 기회가 드물다. 더욱이 최근의 아동 인구의 감소로 인해 정책결정에 있어 우선순위에서 밀리고 있어 아동복지의 공공성이 점차 감소하여 아동복지에 대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성도 약화되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법학적인 관점을 가지고 아동복지법체계를 법제의 측면과 전달체계의 측면으로 구분하여 검토함으로써 아동의 권리를 강화할 수 있는 아동복지를 실현할 수 있는 개선방향을 제시한다. 아동복지 실현을 위한 기초적 논의 본 논문은 아동복지를 논의하기 위한 기본적인 전제로서 아동복지의 문제상황을 제시하고 개념을 정의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아동의 개념을 요보호아동과 일반아동을 아우르는 넓은 의미로 설명하고, 복지의 개념 역시 광의로 이해한다. 이에 따라 아동복지를 모든 아동이 행복하고 인간다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신체적ㆍ정서적ㆍ지적 발달에 있어 건강하고 건전하게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국가와 사회가 협력하여 아동의 권리를 실질적으로 보장하는 제반의 활동으로 정의한다. 이와 함께 아동복지법체계가 존재해야 할 근거와 그 바탕으로서 책임을 논의하기 위한 아동복지의 이념과 함께 아동복지법체계가 어떻게 운영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기본적 틀인 아동복지의 원리를 검토함으로써 아동복지의 지향점을 도출한다. 아동복지법제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 아동복지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를 수행한다. 먼저 아동의 권리주체성을 인정하는 도화선이 되었던 국제문서인 UN 아동권리협약의 내용과 우리 나라의 이행현황을 살펴본다. 이와 함께 미국, 영국, 스위스, 일본의 아동복지법제 및 전달체계와 아동권리 현황을 고찰한다. 이러한 비교법적 검토를 통해 우리의 아동복지법체계는 다양한 정부정책이 통합되고 각 부서별로 상호교류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법제와 전달체계를 개선해야 함을 확인한다. 일관된 법적ㆍ행정적 체제를 구축하고, 책임부서를 명확하게 설정하여 통일된 전달체계와 통합적 접근방식을 형성하는 것이 아동복지의 바탕이 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아동의 4대 기본 권리인 생존권, 발달권, 보호권, 참여권을 중심으로 요보호아동뿐만 아니라 일반아동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중장기적 정책을 수립하고 이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정책과제를 도출한다. 아동복지법제의 규범적 기초 및 현황 아동복지에 대한 국가의 책임과 의무는 아동이 처한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의 모습으로 나타날 수 있다. 복지국가에 관한 헌법상 원리와 함께 복지국가의 책임에 대한 검토를 통해 오늘날 국가가 아동이 성년이 되어 독립적인 사회구성원으로서 활동할 수 있을 때까지 아동복지의 실현 모습에 따른 다면적이면서도 지속가능하고 연속적인 아동복지체계를 수립ㆍ이행해야 할 책임을 갖는다는 점에 주목한다. 아동의 권리강화 및 아동복지 입법체계의 개선 복지국가에서의 개인의 지위를 논하기 위하여 개인 특히 아동의 관점에서 권리에 대한 논의를 한다. 종래 사회적 기본권, 사회복지권에 대한 논의는 헌법적인 관점에서 한정적으로 이루어졌으며, 그 효력도 제한적으로만 인정되어 추상적인 권리로서만 인정되었다. 하지만, 현대 국가에서 개인들이 처하게 되는 사회적 위험과 그에 따른 욕구가 다양해지면서 사회적 기본권과 사회복지권의 모습도 구체적인 타당성을 제고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탄력적으로 해석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논증하면서 아동의 권리주체성을 인정하고, 제공ㆍ보호ㆍ참여의 내용을 갖는 실질적 아동권리의 구현을 위한 기초를 마련한다. 아동의 권리주체성을 실질적으로 보장하는 아동복지법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아동복지법이 아동복지에 대한 기본법으로서의 지위를 강화하여야 한다. 아동복지법이 기본법으로서의 기능과 내용을 충실히 한다면 아동복지법제의 통일적인 구성을 위한 관련 법률들의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아동복지는 통일적 입법체계를 구성하는 것과 함께 아동의 다양한 욕구에 대응하기 위한 구체성을 가져야 함을 간과하여서는 안 된다. 이를 위한 입법적 방안으로 각 지역의 복지자원 및 아동의 현황을 고려한 자치입법을 확대해야 한다. 아동복지가 직접적 근거리에서 실질적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자치입법을 활성화하고 각 지역의 특수성에 비추어 필요한 정책과 제도를 시행할 수 있는 법적 근거와 예산의 마련을 관련법규와 조례로 뒷받침하여야 한다. 또한 아동복지관련 입법들을 보면 아동 개념이 개별 법률의 실시 목적에 따라 규정되어 통일적인 법체계 구성에 걸림돌이 되고 있으므로, 아동의 연령기준의 정리를 통해 아동에 대한 국가의 보호 의무를 명확히 하여 사각지대에 놓이는 아동이 없도록 하며, 중복되는 서비스의 제공으로 인한 복지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아동 개념에 대한 0세부터 3세 미만의 아동을 영아, 3세부터 6세 미만의 취학 전 아동을 유아, 6세부터 13세 미만의 자를 어린이, 13세부터 19세 미만의 자(단, 예외적인 경우 24세 이하의 자까지 인정)를 청소년이라고 구분하여 이들 모두를 아동의 범위에 포함하는 정의규정을 둘 것을 제안한다. 실현주체 및 조직체계의 개선 사회복지전달체계는 사회복지서비스를 구체적으로 추진하고 실천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을 조달, 배분하여 서비스를 실시하는 조직체계를 의미한다. 아동복지는 아동과 그가 속한 가정에 급여 및 서비스를 아동의 권리가 최대한 보장되면서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어떠한 조직을 통하여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의 전략을 선택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아동복지에 있어 현재 이원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중앙부처를 보건복지부가 컨트롤타워로서의 중심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지방자치단체 내의 아동복지 전담부서를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공적 공급체계를 정비하여야 한다. 또한 현재 많은 아동복지관련사업들이 지방에 이양되어 수행되고 있는 것을 감안하여 사무분담, 재정분담, 입법분담 등 제 분야를 고려한 효율적이고 현실적인 복지분권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공적 실현주체에 대한 논의와 함께 사적 실현주체에 대한 쟁점에 대해서도 검토한다. 민간에서 아동복지를 실현하는 형태는 행정청으로부터 권한을 위탁받아 수행하는 경우와 민간에서 아동복지시설을 설치하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민간위탁계약이라는 행정계약을 행정주체와 사적 주체가 체결함으로써 복지가 실현되는 경우 사적 주체는 아동복지행정의, 수행을 위탁받은 공무수탁사인으로서의 지 위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종래의 민간위탁계약이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었다면, 앞으로 아동복지분야에서 이루어지는 민간위탁계약은 공공성을 기반으로 수요자인 아동의 권리를 최대한 보장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탁자 선정 단계, 계약 단계, 서비스 제공 단계, 사후 관리 단계에서 개선방안을 찾는다. 아동복지시설의 설치에 있어서도 아동복지법상 신고제도의 공급자 중심의 획일적 규정의 문제점을 적시하면서 아동복지시설을 이용시설과 생활시설로 유형화하여 설립규제에 있어서의 구체적 타당성을 도모하였다. 이와 함께 최근 아동복지분야의 중요한 쟁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선가정 후시설보호의 정책 방향에 따라 가정위탁제도의 활성화를 도모한다. 작용형식의 개선 행정주체가 아동복지행정을 집행하는 경우 처분성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이때의 처분은 복지급부 또는 서비스의 내용에 따라 기속성 또는 재량성을 갖게 되며, 행정청이 갖는 책임도 임의성 또는 의무성을 갖게 된다. 아동의 생존과 발달을 위한 필요성이 강할수록 기속성과 의무성을 커진다고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글에서는 아동복지에서의 처분을 유형화함으로써 처분의 성질을 파악한다. 공적 실현주체가 행하는 처분에 대별하여 서비스제공자인 사적 실현주체와 서비스이용자인 아동간의 복지서비스이용계약에 대한 쟁점을 바우처를 중심으로 검토한다. 사인간의 관계에서도 기본권의 대사인적 효력을 인정하는 관점에서 아동의 권리가 보다 적극적으로 보장될 수 있도록 하고, 서비스 대상과 종류에 따라 바우처 방식의 적합성이 판별되어야 하며, 정보제공 및 권리실현을 지원하는 제도적 인프라가 구축되어야 한다. 또한 아동의 권리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보장하기 위해 사례관리 및 권리모니터링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이에 대한 법제적 논의를 한다. 권리구제절차의 개선 이러한 실체적 아동복지법제의 개선과 함께 절차적 아동복지법제의 개선 역시 병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권리구제규정을 정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아동복지관련법에는 전무하다. 따라서 아동이 권리가 침해되었을 경우 이를 구제할 수 있도록 아동이라는 특수한 지위를 고려한 행정쟁송제도의 근거를 법률에 두고, 사회적ㆍ경제적 활동이 없는 아동이 국가배상을 받을 수 없는 현행 국가 배상법은 아동의 청구권 행사 및 손해의 범위 산정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입법적 보완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 아동에 관해 발생한 분쟁이 아동의 성장 및 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하여 쟁송절차에 비해 전문성과 신속성을 담보할 수 있는 재판외분쟁해결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동양화의 구도론에서 나타나는 건축 공간의 재현 방법에 관한 연구 : 칸딘스키 회화론과 비교를 통해
이 연구는 칸딘스키가 그의 회화에서뿐만 바우하우스에서 교육을 통하여 표현하고자 했던 추상적 공간 표현의 방법을 고찰하고, 칸딘스키의 회화 정신에 내포된 동양 회화의 원리를 검토하며, 그 상관성을 바탕으로 하여 왕백민의 「동양화 구도론」에서 보여주는 원리가 실제적인 공간 표현의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는지를 실험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진행은 20C 추상 회화와 칸딘스키의 회화론과 동양화 구도론의 체계에 대한 기본적인 고찰에서 출발하였고, 서양 추상 회화가 3차원의 실제 공간 형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사례를 통해 조사하여, 이를 동양화 구도론과 동양의 고전 건축의 관계성으로 전환, 그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기본적인 고찰을 바탕으로 본문에서는 칸딘스키의 회화 이론과 바우하우스의 건축 교육론의 관계를 성찰하였다. 즉, 정신적 내면의 세계를 표현하고자 했던 칸딘스키는 바우하우스의 수업 시간을 통하여 사물의 본질을 표현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내적 필연성을 표현하는 것에서 동양 회화와의 연관성을 찾을 수 있다. 본론의 후미에서는 대상의 재현보다는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화가의 내면의 축적을 추상적으로 표현하고자하는 동양화 구도론의 13가지 기본 원리와 칸딘스키의 추상 회화의 방법을 비교 분석하고 동양화 구도론의 원리가 실제로 3차원의 공간화하는 과정을 실험으로 진행하였다. 이러한 실험의 과정을 통하여 동양화 구도론의 원리가 실제 3차원 공간화 되는 과정은 단순한 회화 분석과 모델화 과정이 아니라, 실제로 존재하는 대지가 화면으로 전환되어 회화적 공간으로 분석하는 도구로서 사용될때, 건축 공간 표현 방법론으로서 가치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동양화 구도론의 원리를 바탕으로 하는 건축 공간 표현의 방법론을 통해 건축 공간과 표현에 대한 새로운 방법론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This thesis intends to investigate Kandinsky's methodology and philosophy on abstract space expressed in his paintings and teaching classes at Bauhaus, to explore the principles and spirit of oriental painting inherent in Kandinsky's painting, and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Baek Min Wang's theories of「Composition of an Oriental painting」 for expressing real three dimensional space. The study departs from the basic inquiry of avant-garde theories of paintings in 20th century including Kandinsky's theory of aesthetics and 「Theories of Composition of an Oriental painting」. The argument i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intings and real space within the realm of Western modern art, and above all the argument furthers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to transform oriental painting into oriental traditional architecture. Then the relationship of Kandinsky's theory of paintings and the philosophy of the architectural education of Bauhaus is examined. Kandinsky attempted to propose the way of exploring and expressing the essence of things in order to discover the world of spirit as he did in his work. His effort shows the way how to apply the principle of oriental painting to describe the souly essence into the space. After all,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abstract paintings of Kandinsky and 13 principles of 「Theories of Composition of an Oriental painting」 is proceeded and the experiment to create space based on those 13 principles is executed. Throughout the experiment, it is known that the process of creating space through the 「Theories of Composition of an Oriental painting」 is not an analysis of painting or modelling. However, it is valued as a methodology to express three dimensional space when a real site is positioned on a canvas and used as a device to analyze the painting.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pose a new way of expressing architectural spac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heories of Composition of an Oriental painting」
문제설정 학습과 수학적 모델링 학습이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최윤영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This study's purpose is to verify about courses that uses making a solution and of up a problem making a problem by using the Problem Posing Learning method and Mathematical Modeling method. 1. Which one would be more effective on solving a world problem between using a Problem Posing Learning and a Mathematical Modeling? 2. Which one would be more effective on mathematical behavior between using a Problem Posing Learning and Mathematical Modeling?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first year 2 classes in S Middle School was chosen as research object. First class has 31 students and second class has 32 students. The Problem Posing Learning method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1 and the Mathematical Modeling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2. According to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get the next conclusions. First, we can see that the experimental group 1 that used Problem Posing Learning made a positive resul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more than the experimental group 2 that used Mathematical Modeling. Secondly, we divided each experimental group into three level groups and performed the experimen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s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Problem Posing Learning and Mathematical Modeling. However, in the intermediate level group, Problem Posing Learning is more positive than Mathematical Modeling. Lastly,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on the mathematical behavior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1 that had used the Problem Posing Learning and the experimental group 2 that had used the Mathematical Modeling, but according to the search of mathematical tendency,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both experimental groups on the fields of mathematical confidence, mathematical curiosity, and mathematical value. 본 연구는 문장제 문제를 활용하여 문제를 만들어보는 활동을 강조한 문제설정 학습을 적용한 수업과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및 과정을 강조하는 수학적 모델링을 적용한 수업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 적용하여 검증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가. 문장제 문제 해결에 있어 문제설정 학습과 수학적 모델링 활용 중 어느 것이 더 효과적인가? 나. 수학적 태도에 있어 문제설정 학습과 수학적 모델링 활용 중 어느 것이 더 효과적인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S중학교 1학년 12학급 중 사전 학업성취도를 조사하여 동질성이 검증된 2개 학급, 63명의 학생을 선정하였다. 실험집단Ⅰ은 31명으로 문제설정 학습을 활용한 수업을 진행하였고 실험집단Ⅱ는 32명으로 수학적 모델링을 활용한 수업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문제설정 학습을 활용한 실험집단Ⅰ이 수학적 모델링을 활용한 실험집단Ⅱ보다 학업성취도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문제설정 학습을 통해서 문제를 만들어 보는 학습이 수학적 모델링을 활용한 문제를 풀이하는 과정을 중시하는 학습보다 학업성취도에 더욱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각 실험집단을 상위, 중위, 하위 집단으로 나누었을 때 결과는 상위 집단은 이미 수학학습에 있어서 학습수준이 높고, 하위 집단은 수학학습에 있어서 학습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문제설정 학습과 수학적 모델링을 활용한 학습에 대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단지 중위 집단에서 두 학습 방법에 대하여 그 효과가 차이가 있어 문제설정 학습이 수학적 모델링을 활용한 학습보다 긍정적인 결과가 나왔다. 셋째, 문제설정 학습을 활용한 실험집단Ⅰ과 수학적 모델링을 활용한 실험집단Ⅱ는 수학적 태도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수학적 성향 검사에서 두 집단 간에 차이를 보인 영역은 수학적인 자신감, 수학적인 호기심, 수학적인 가치 영역이다. 즉, 수학적 모델링을 활용한 학습보다 문제설정 학습이 문자와 식에 대해서 수학에 흥미를 느끼고 학습하려는 욕구와 자신감을 가지게 함으로써 학생들의 수학 학습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알코올상담센터의 가족개입 서비스가 문제음주자 가족의 위기대처능력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알코올상담센터의 가족개입이 가족위기대처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가족에 대한 효과적인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 었다.이러한 연구를 위해 전국 30개소 알코올상담센터의 가족개입 서비스를 받고 있는 가족 121명을 대상으로 각 기관의 가족개입 현황과 개입 내용에 따 른 가족위기대처능력을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위기대처능력은 가족과 동거 하고 있는 경우,종교가 있는 경우,고등학교 학력을 가진 조사대상자가 가족 위기대처능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문제음주자의 심각성 정도에 따른 가족위기대처능력은 문제음주자의 심각성이 낮은 경우 가족위기대처능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가족개입 내용에 따른 가족위기대처능력을 살펴보면,가족개입 프로그 램의 참여정도에 따라서는 가족위기대처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프로 그램의 만족도에 따라 가족위기대처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또한,가족개입 내용의 하위요인인 병리이해,대처방식의 습득,정서적 안정이 가족위기대처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정서적 안정을 위한 내 용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넷째,알코올상담센터 이용과 가족위기대처능력의 관계를 살펴보면,알코올 상담센터를 이용한 기간은 6개월 미만이 많았고 대부분 2년 미만인 사람들로 이용기간이 길지 않았으며 이용기간을 1년을 기준으로 비교해 볼 때,1년 미 만인 경우 보다 1년 이상인 경우 가족위기대처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알코올상담센터의 가족개입 프로그램으로 대부분 가족교육과 가족자조모임 을 실시하고 있으며 알코올상담센터에서 더 실시했으면 하는 프로그램으로는 스트레스관리프로그램에 대한 욕구가 많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문제음주자 가족의 회복을 위한 효과적인 개입방 안 모색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지역사회에서 문제음주자의 회복을 위해 일하는 알코올상담센터에서 는 문제음주자는 물론 그 가족의 건강한 회복지원을 위해 단순히 공급자 중심 에서의 서비스 지원이기보다 수혜자의 욕구를 충분히 반영한 서비스를 지원해 야 할 것이다. 둘째,문제음주자의 가정 내 가족위기대처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알코올상 담센터에서 문제음주자의 병리를 이해시키고 가족의 정서적 안정을 위한 교육 내용이 더욱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또한 문제음주자의 실생활에 맞는 대처방 식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실질적인 사회적 지지(친지,이웃,원가족 등 의 도움을 구하고 얻는 능력)를 높일 수 있는 교육 내용에 대해 다각적인 노 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문제음주자의 가족은 그들 가정의 병리적인 문제로 인해 사회로부터 매우 고립되고 위축되어 있다.이는 그들로 하여금 소극적인 태도를 조장하여 그들이 마땅히 제공받아야 할 지원서비스에서도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하는 모 습을 보이게 된다.따라서 우리사회는 문제음주자와 그들의 가족은 물론,사회 전반적으로 문제음주자의 음주문제를 병으로 이해하고 지역사회에서는 그들에 대한 편견을 해소하고 그들과 함께 더불어 살아갈 수 있도록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의 향후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는 알코올상담센터의 가족개입 서비스를 위한 사회적 지지자원의 획득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는 방안에 대 한 연구와 알코올상담센터에서 실시하고 있는 가족개입 프로그램 별 효과성에 대한 구체적인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observes the Influences of problem drinker's Family Intervention Services from Alcohol Counseling center on the family's ability to cope with a crisis and intends to come up with a social welfare-wise Intervention solutions with a effectivenes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re 121 family members who are under the Family Intervention services from 30 Alcohol Counseling Centers nationwide.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fter inspecting the family Intervention status of each institutions and analyzing the families' crisis coping abilities are presented as following. First, for the ability to cope with a crises, the 43.8% of participants are jobless(house makers) and the ability was higher in case the families live together, have a religion and are high school graduates. Second, for the families' ability to cope with a crises based on the seriousness of their alcoholic members, when the seriousness was low the coping ability was higher. Third, when the coping ability was not influenced by whether the families' participations were high or low, it is suggested that the families' satisfaction with those programs had meaningful effects on the coping abilities. Also, the influences of the sub factors including 'understanding of the pathologic anatomy', 'acquirement of methods to cope with', 'mental relaxation' explained the greatest part of the coping abilities. Fourth, for the period of using the Alcohol Counseling Center, less than 6 months was the highest in response, mostly less than 2 years and the longer the using terms and the higher the using frequencies, the coping abilities with a crises turned out higher. Through the family Intervention programs in the Alcohol Counseling Center, small meetings are held and educations are provided among the families. Asking for further programs were largely about the 'stress management'. Based on these observations, hereby suggested are as following. First, the services from the regional Alcohol Counseling Center providing helping hands for the recovery of the alcoholic should serving enough the needs of the benefactors rather than simply focused on offering the service itself. Second, to improve the families' abilities to cope with a crisis, the contents of education in the clinics involving the spiritual relaxation should be enhanced and programs concerning the management of preparedness against the crises should be expanded actively. Third, the alcoholic himself and his family members are isolated from the society due to the pathologic problem in his family. This leads to their passive attitudes making them consistently unable to hope to get the granted supports. Therefore, there should be more attempts to perceive the alcoholism as a disease, relive the biased attitude toward it and to live with them as neighbors not only from the alcoholic and their families but from the whole society. Finally, as a post-measure proposal of this study, some effective solutions to secure the socially resources supporting the Family Intervention services from the Alcohol Counseling Center should be studied and a detailed post observation on the effectiveness of each family Intervention programs in those Alcohol Counseling Center should foll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