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면 부족과 과도한 주간졸림증의 관련성

        최윤경,이헌정,서광윤,김린,Choi, Yun-Kyeung,Lee, Heon-Jeong,Suh, Kwang-Yoon,Kim, Leen 대한수면의학회 2003 수면·정신생리 Vol.10 No.2

        Objectives:Sleep loss and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may have serious consequences, including traffic and industrial accidents, decreased productivity, learning disabilities and interpersonal problems. Yet despite these adverse effects, there are few epidemiological studies on sleep loss and daytime sleepiness in the general population of Korea. This study investigates the number of people who suffer from sleep insufficiency, how much recovery sleep occurs on weekend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recovery sleep and daytime sleepiness. Methods:A total 164 volunteers, aged 20 and over, were recruited by advertisement. The subjects were workers and college students living in Seoul, Korea. Subjects were excluded if they were aged over 60;if they had medical, neurological, psychiatric or sleep disorders that could cause insomnia or daytime sleepiness;if they were not following a regular sleep schedule;if they traveled abroad during the study;or if they did not leave home to work or were shift workers. They were interviewed and given a sleep log to complete on each of 14 consecutive mornings. They also completed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ESS) at noontime on the last day of the second week. All statistical data were analyzed by t-test, $X^2$-test or ANOVA, using SPSS/PC+. Results:The results showed that the subjects woke up at 6:50 (${\pm}1$:16) on weekdays, 7:09 (${\pm}1$:29) on Saturdays, and 8:12 (${\pm}1$:39) on Sundays and holidays. They took more frequent and longer naps on Sundays than on weekdays and Saturdays. The mean sleep duration was 6h 35 min. on week nights, with a mean increase of about 1h on weekends. Only 9.1% of the subjects spent more than 8h in bed on week nights, with 67% spending less than 7h, and 49.4% reported recovery sleep of more than 1h on Sundays. The subjects who reported recovery sleep of more than 2h on Sundays, showed significantly more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than those who reported less than 30 min (F=2.62, p<.05). Conclusions:These findings suggest that sleep insufficiency and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are relatively common in Korea, and that the people who get insufficient sleep on weekdays try to compensate for sleep loss with oversleeping and daytime napping on Sundays and holidays. It appeared that daily sleep insufficiency had a cumulative effect and increased daytime sleepiness. 목 적:수면 결핍과 과도한 주간졸림증은 교통사고와 산업재해, 생산성 저하, 학습장애, 대인관계 문제 등의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부정적인 영향에도 불구하고, 수면 부족과 주간졸림증에 관한 역학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수면 결핍을 경험하고 있는지, 주말에 얼마나 많은 회복 수면이 일어나는지, 그리고 회복 수면량과 주간졸림증 간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164명(남 65명, 여 99명)의 지원자가 광고를 통해 모집되었으며, 이들은 서울에 거주하는 20세 이상의 직장인 및 대학생으로, 평균 연령은 남자 $33.4{\pm}11.64$세, 여자 $31.9{\pm}9.68$세이었다. 본 연구의 배제 대상은 60세 이상, 불면증이나 주간졸림증을 유발할 수 있는 의학적, 신경학적, 정신과적 장애와 수면장애가 있는 사람, 수면 스케줄이 불규칙한 사람, 최근 해외여행을 다녀온 사람, 출퇴근을 하지 않거나 교대근무자이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2주일간 매일 아침 수면일지를 작성하였고, 둘째 주 마지막 날 정오 무렵에 Epworth Sleepiness Scale(ESS)를 작성하였다. 모든 분석은 SPSS/PC+를 사용하였으며 t 검증, 카이제곱 검증, 또는 변량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본 연구의 결과는 참여자들이 평일에는 6시50분, 토요일에는 7시9분, 그리고 휴일을 포함한 일요일에는 8시 12분에 잠에서 깨었으며, 일요일에는 평일이나 토요일에 비해 더 빈번하게, 그리고 더 오랫동안 낮잠을 잔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평일에는 야간 수면시간이 평균적으로 6시간 30분인데 비해, 주말에는 약 1시간이나 더 늦잠을 자는 경향이 있었다. 평일에 8시간 이상 수면을 취하는 사람은 연구대상의 9.1%에 불과하였고, 약 67%는 7시간보다 적게 잠을 잤으며, 49.4%는 일요일에 1시간 이상의 회복 수면을 보고하였다. 일요일에 회복수면이 2시간 이상인 사람들은 30분 이하인 사람들보다 유의하게 더 많은 주간졸림증을 호소하였다. 결 론:이러한 결과는 수면 결핍과 과도한 주간졸림이 한국 도시 성인에서 비교적 흔하며 평일에 수면이 불충분한 사람들은 일요일에 늦잠이나 낮잠을 잠으로써 수면 부족을 보충하려고 시도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회복 수면량은 주간졸림증과 관련이 있으며, 수면 결핍은 축적된 효과를 가지고 낮시간의 졸리움을 증가시키는 것처럼 보인다.

      • KCI등재

        수면위생의 실행과 효과에 대한 연구

        최윤경,김인,서광윤,신동균,Choi, Yun-Kyeung,Kim, Leen,Suh, Kwang-Yoon,Shin, Dong-Kyun 대한수면의학회 1997 수면·정신생리 Vol.4 No.2

        연구배경: 불면증을 경험한 적이 있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어떤 수면위생 수칙들을 얼마나 실행하고 있으며 또 실행했을 때 수면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실행이 많이 되고 있지는 않지만 수면에 특이하게 도움이 된다고 보고된 항목들이 있다면, 불면증 치료 프로그램을 계획 적용하기 전에 그에 대한 경험적, 이론적 근거를 확립하고 이를 실제 임상에서 적극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방 법: 불면증을 경험한 적이 있는 만 18세 이상의 성인 226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변인, 불면증 경험, 수면위생 수칙에 대한 실행과 효과를 평가하는 항목들로 구성된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조사원이 일대일로 면담을 실시하여 질문지에 답하도록 하였다. 결 과: 잠자리에서의 각성과 관련된 수면위생 수칙은 비교적 많이 실행되고 또 수면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매일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 '잠자기 전에 뜨거운 물에 목욕을 한다'와 같은 수면의 항상성 추동과 관련된 수면위생 수칙들과 '잠자기 전 긴장을 풀어준다'와 같은 항목들은 평상시 실행도는 낮으나, 불면증이 있을 때 실행을 하면 매우 효과적이라 평가되었다. 결 론: 본 연구의 결과, 좀 더 강조해서 교육해야 하고 실행하도록 지도해야 할 필요가 있는 항목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불면증의 치료 프로그램에 이러한 수면위생 수칙에 대한 교육을 포함시키고 좀 더 실제적인 실행을 할 수 있도록 항목별로 자세하게 주지시킬 필요가 있겠다. 특히, 평소에 실행도는 낮지만 실행하였을 때 효과적이라고 평가된 세가지 항목들에 대해서는, 임상실제에서 불면증환자들을 대상으로 개별 항목별 치료효과를 측정하는 후속 연구가 시도될 만 하다고 사료된다. Objectives :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practice of sleep hygiene and its effectiveness in general population who had experienced insomnia. If we find the items which be little practiced but especially effective, we would establish empirical an and theoretical basis to design the treatment program for insomnia, therefore apply it in clinical practice. Methods : The 226 subjects who had experienced insomnia, were at the age above 18 in Seoul, Korea. The questionnaire included the demographic data, the experience of insomnia, and the practices and effects of sleep hygiene instruction. The interview was administered face to face by the investigators. Results : The subjects reported that they practiced many of the sleep hygiene items related with arousal in sleep setting, and that those items were effective. The items such as 'get regular exercise each day(H)', 'take a hot bath(H)', 'concentrate on the pleasant feeling of relaxation(A)' were not usually practiced, but these items were reported very effective for sleep. Conclusion : The findings suggested that there were sleep hygiene items which should be educated and directed to practice actively in treatment program for insomniacs. Some items, which were especially reported low practice but highly effective, would be recommended to be studied about each therapeutic effectiveness in follow-up studies.

      • Image Guided에 기초한 Body Stereotatic Radiosurgery의 과정

        최윤경,이두현,조정근,김종원,염두석,김태윤,최계숙,Choi Yun-Kyeung,Lee Doo-Hyun,Cho Jung-Keun,Kim Jong-Won,Youm Doo-Seok,Kim Tae-Yoon,Choi Gye-Sook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05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17 No.2

        Purpose : In the radiosurgery, to obtain CT image to find more accurate tumor position during respiration, and using them, to increase the accuracy of radiation treatment by applying image guided. Materials and Methods : Using the self-made vacuum cushion for the body SRS, CT images were obtained three for each patient during respiration (shallow, inhalation, exhalation). They were transformed to the RTP computer and then were fused. Global GTVs were delineated on the fused images and more appropriated treatment planning was established. Results : We can find the tumor position is moving toward cranio-caudal with max 10 mm margin and volume is transformed. As a result from the comparision of DVH (pre & post radio surgery), we observed about 100% dose to tumor. Conclusion : BSRS was skeptical due to the tumor movement during respiration. More accurate by the combination of the development of immobilization devices and BSRS based on Image Guide, it will be applied to more cases for BSRS.

      • KCI등재

        여성의 정신건강에 대한 고찰 : 젠더 편향과 여성 고유의 위험요인을 중심으로

        최윤경(Yun-Kyeung Choi)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0 젠더와 문화 Vol.3 No.1

        미국 정신의학회(1994)의 정신장애진단 및 통계 편람에 따르면 여성은 남성에 비해 우울장애, 불안장애, 신체형장애, 섭식장애, 연극성, 의존성 및 경계선 성격장애의 유병률이 더 높다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진단 구성개념 혹은 진단기준 자체의 편향, 진단적 역치의 편향 및 진단기준 적용의 편향과 같은 젠더 편향의 원인을 살펴보고, 심리적 장애를 유발하고 그 경과와 치료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젠더 불평등과 몇 가지 젠더 특정적 위험요인들을 기술하고자 한다. 여성의 정신건강 관련 이슈를 다루는데 특별한 관심이 필요하며, 전통적인 치료적 접근의 대안으로서 여성주의 심리치료 및 상담이 논의되었다. DSM-IV(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ition; APA, 1994) states that depressive disorder, anxiety disorder, somatoform disorder, eating disorder, histrionic, dependent an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re more prevalent among women than among men. This study reviews the possible causes of gender bias such as biased diagnostic constructs or criteria, biased diagnostic thresholds, and biased application of criteria. And this paper describes gender inequality and a series of gender-specific risk factors, which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riggering mental disorders in females, or to worsen their course and treatment outcome. Special attention needs to be given to addressing mental health issues among women. Feminist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are discussed a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approach to therapy.

      • KCI등재후보

        교류분석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보 상담자의 역전이에 미치는 효과

        김영아 ( Young A Kim ),최윤경 ( Yun Kyeung Choi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1 동서정신과학 Vol.1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보 상담자의 역전이 관리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교류분석의 이론과 기법에 기초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학원에서 임상 및 상담심리학을 전공하고 있는 대학원생 중 10명의 초보 상담자를 대상으로 총 8회기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후에 역전이 행동 및 역전이 관리능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들은 적극적 역전이 행동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자기 통찰, 공감능력, 및 사례 개념화 능력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교류분석에 기초한 집단상담이 초보 상담자들의 역전이 관리능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교류분석 집단상담의 활용 가능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group therapy program based on the theory and skills of Transactional Analysis(TA) and to test the efficacy of the TA group therapy program which can enhance the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skills of novice therapists. The study was conducted to accomplish these goals to participants who were studying clinical and counseling psychology at Graduate school. The program consists of 8 modules of 90 minutes. At post-treatment compared to pre-treatment, significant improvements occurred in positive countertransference behaviors, self-insight, self-integration and conceptualizing ski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A group therapy can improve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skills of novice therapists. The limitations and applications of TA group therapy program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에서 스트레스가 수면에 미치는 영향

        강승걸,윤호경,함병주,최윤경,김승현,조숙행,서광윤,김린,Kang, Seung-Gul,Yoon, Ho-Kyoung,Ham, Byung-Joo,Choi, Yun-Kyeung,Kim, Seung-Hyun,Joe, Sook-Haeng,Suh, Kwang-Yoon,Kim, Leen 대한수면의학회 2002 수면·정신생리 Vol.9 No.1

        목 적 : 스트레스가 단기간 불면의 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고, 환자들은 스트레스로 인한 수면의 어려움을 흔히 호소한다. 그러나, 스트레스와 수면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들은 일관되지 못한 결과를 보이고 있고, 국내에서는 체계적인 연구가 전무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스트레스에 대해서도 이전에는 주요 생활사건에 중점을 두었지만 1980년대 들어 사소한 생활사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고, 이런 일상의 사소한 일들이 개인의 건강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소한 생활사건이 수면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신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한 남녀 대학생 자원자들을 대상으로 스트레스와 수면 등을 평가하는 자가평가지를 배부하였다. 대상자들의 평균적인 스트레스와 수면 상태를 알기 위해서, 일상 생활 스트레스 평가 척도와 매일 수면평가지를 3일 연속 측정하도록 하였다. 이외에 커피, 콜라 등의 카페인 사용량, 흡연, 음주, 우울과 불안의 정도 등도 조사하였다. 통계프로그램으로는 SPSS version 10.0을 사용하였고 기술분석, 피어슨 상관분석, 부분상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등을 하였다. 결 과 : 연구에 포함된 학생들은 총 202명으로, 남녀 각각 101명씩이었다. 스트레스는 비회복 수면양상의 증상들 (기상하기 어려움, 기상시 불쾌감, 못 잔 것 같은 느낌, 기상시 신체적인 불편감이나 통증, 주간 졸음과 우울감, 피곤함, 집중하기 어려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총 PSQI 점수, 수면 시간이나 입면시간, 각성횟수, 낮잠의 횟수와 시간 등은 스트레스 점수로 설명되지 않았다. 스트레스 중에서는 개인적 능력에 대한 스트레스가 다른 유형의 스트레스에 비해 수면에 미치는 영향이 컸으며, 우울과 불안, 카페인과 같은 요소들이 수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였다. 결 론 : 사소한 생활사건이 다른 수면의 요소들 보다 비회복 수면으로 인한 이차증상들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이는 사소한 생활사건이 각성(arousal)을 증가시켜 수면의 회복성을 저해한다고 유추할 수 있으며, 수면다원검사로 직접적인 관련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Stress is known to be a common cause of short-term insomnia and insomniacs often complain that stress induces sleep problems. However, previous studi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sleep do not show consistent results. We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inor stressful events on sleep among college students. Method: Physically and mentally healthy college student volunteers filled out a self-assessment questionnaire to evaluate their stress and sleep. To find out the status of average stress and sleep, the volunteers filled out K-DSI and daily sleep assessments on three consecutive days. In addition, we surveyed the amount of caffeine beverage intake and assessed the degree of depression and anxiety. Results: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was 202, 101 men and 101 women. Minor stress turned out to significantly affect non-restorative sleep and secondary symptoms of insomnia (awakening difficulty, displeasure, feeling of dissatisfaction with sleep, physical uneasiness or pain at awakening, daytime sleepiness, depressive moods, tiredness and concentration difficulty). However, global PSQI score, self-reported sleeping hours, sleep latency, awakening frequency, frequency and duration of napping, were not explained by stress scores. Conclusion: In this study, minor stresses seemed to affect sleep, especially secondary symptoms caused by non-restorative sleep. We can thus infer that minor stresses impair the restorative effects of sleep by inducing arousal, and the direct relationship the two can be confirmed by polysomnogram.

      • KCI등재

        한국 어느 도시지역의 노인성 우울증 역학조사

        이민수(Min Soo Lee),최윤경(Yun Kyeung Choi),정인과(In Kwa Jung),곽동일(Dong Il Kwak) 대한노인정신의학회 2000 노인정신의학 Vol.4 No.2

        노인의 우울증은 인식되지 않고 치료받지 않는다면 생명에 위협적일수 있는 중요한 건강상의 문제이다. 상당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노인성 우울증의 유병율에 관한 일치된 결과는 없다.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에서 주요 우울장애의 유병율을 조사하고 이를 지역사회 정신건강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방 법: 경기도 과천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500명을 대상으로, 숙련된 조사원들이 DSM-Ⅳ에 따른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고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 Korea Depression Scale(KDS), MMSE-K, Korea-Dementia Rating Scale(K-DRS), 등의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 과: 표본에서 경도, 중등도 및 심도의 우울증상의 유병율은 각각 18.8%, 7.4%, 17.8%이었으며, 주요 우울장애의 유병율은 7.8%이었다. 성별, 연령, 학력, 가족 유형과 같은 사회인구통계학적 변인에서 우울군과 비우울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주요 우울증은 신체질환, 스트레스가 되는 생활 사건, 및 인지기능의 장애와 상관이 있었다. 결 론: 본 연구의 결과는 다른 역학조사의 유병율과 유사한 양상을 보여준다. 우울군은 비우울군에 비해 심리적 고 통, 생활사건 및 인지기능의 장애가 유의하게 더 많음을 보여주었다. 우울증의 정확한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는 양호한 예후에 영향을 미친다. Objective:Depression in the elderly is a major health concern that can be life threatening if not recognized and treated. Despite considerable interest, there in no consensus regarding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later life.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in the population over age 65 years and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community mental health programs. Method:500 elderly people aged over 65 years and oner in Kwachon were interviewed according to DSM-Ⅳ and examined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 Korea Depression Scale(KDS), MMSE-K, Korea-Dementia Rating Scale(K-DRS), etc. by trained researchers. Results:Of the sample, prevalence of mild, moderate and severe depressive symptoms are 18.8%, 7.4%, and 17.8%, respectively. Prevalence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is found to be 7.8%.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epressive & non-depressive groups in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sex, age, education, family type, etc. Major depressive disorder is associated with physical illness, stressful life events, and cognitive dysfunction. Conclusion:The results showed similar prevalence rates to othe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ed group showed more psychological distress, stressful life events and cognitive dysfunctions than non-depressed group. Accurate and early diagnosis and adequate treatment favor a good prognosis.

      • KCI등재

        위협지각, 낙관성 및 삶의 의미가 암 환자의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전보람(Bo Ram Jeon),최윤경(Yun Kyeung Choi) 대한스트레스학회 2016 스트레스硏究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외상사건에 대한 위협지각, 낙관성, 그리고 삶의 의미가 암 환자의 외상 후 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이었다. 참여자는 암 환자 169명으로 구성되었고, 외상 후 성장 척도, 낙관성 척도, 삶의 의미 척도, 그리고 위협지각과 관련된 변인으로 죽음불안과 암 진행 단계를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의 죽음불안은 외상 후 성장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 진행단계는 외상 후 성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암 진단 시의 죽음불안과 외상 후 성장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낙관성과 삶의 의미 모두 외상 후 성장에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낙관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삶의 의미가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극심한 삶의 위기를 겪는 암 환자들에게 신체적인 건강 회복만이 아닌 심리적 개입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ceived threats, optimism, and meaning in life on cancer patient"s posttraumatic growth. This study also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and to search for posttraumatic growth"s process. The participants were 169 cancer patients and they each completed a measure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the Life Orientation Test-Revised,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and death anxiety and the stage of cancer as perceived threat.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death anxiety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posttraumatic growth. The stage of cancer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osttraumatic growth. Death anxiety at the time of cancer diagnosis, however,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osttraumatic growth. Second, both optimism and meaning in lif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osttraumatic growth. The meaning in life also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optimism and posttraumatic growth. These results suggest that psychological intervention is as important as physical intervention for cancer patient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유사 외상 상황에서 인지적 처리 양식에 따른 주의 소실 양상

        손예지(Ye Ji Son),최윤경(Yun-Kyeung Choi) 대한스트레스학회 2024 스트레스硏究 Vol.3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사 외상 경험 이후 인지적 처리가 순간적 주의 소실(Attentional Blink, AB)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참가자는 교통사고를 직접 경험한 적이 없는 대학생 37명으로, 단일 과제(상향식 처리) 집단과 이중 과제(하향식 처리) 집단 중 하나에 무선 할당되어 신속 순차 시각 제시과제를 수행하였다. 자극 유형 및 자극의 제시 간격에 따른 집단간 표적 자극의 정확반응률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이중 과제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단일 과제 집단에서는 외상 자극이 제시된 후 200 ms 후에 표적 자극에 대한 정확반응률이 감소하는 경향성(즉, AB 양상)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경향성은 외상 자극에 의한 자동적 주의 포착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상향식 처리와 주의 편향의 관련성을 시사한다. Background: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impact of each cognitive processing style (bottom-up, top-down) on attention patterns following a traumatic experience by measuring attentional blink (AB). Methods: Participants were 37 university students with no direct experience of traffic accidents.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single-task (bottom-up processing) group or a dual-task (top-down processing) group, who performed the Rapid Serial Visual Presentation (RSVP) after watching an analogue trauma video. The correct response rate to target stimuli was then compared between groups based on stimulus type and stimulus presentation interval. Results: In the dual-task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However, in the single-task group, a trend towards a decrease in the correct response rate to the target stimulus was observed 200 ms after the presentation of the traumatic stimulus (i.e., AB). Conclusions: This tendency can be explained by the phenomenon of automatic attentional capture by traumatic stimuli, suggesting a relationship between bottom-up processing and attentional bias.

      • KCI등재

        한국 어느 도시지역의 치매 역학조사

        곽동일(Dong Il Kwak),최윤경(Yun Kyeung Choi),정인과(In Kwa Jung),이민수(Min Soo Lee) 대한노인정신의학회 1999 노인정신의학 Vol.3 No.1

        Objective : Dementia is major neuropsychiatic disorder in the elderly.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dementia and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community mental health programs. Method : 500 elderly people aged 65 years and over in Kwachon were interviewed according to DSM-Ⅳ and examined MMSE-K, Korea-Dementia Rating Scale (K-DRS), Clinical Dementia Rating (CDR), Modified Hatchinski Ischemic Scale (MHIS) by trained research assistants. Results : Prevalence of dementia is 10.6% (Alzheimer type 8.0%;vascular type 2.6%). Old age, lower education, cardiovascular disease, head trauma and heavy smoking seem to be risk factors for developing dementia but sex difference is non significant. Conclusion : The results showed similar prevalence rates compared to other epidemiological studies. Demented group showed more cognitive disturbances than non-demented one. For patients of dementia, appropriate treatment and management by family members, other caregivers and mental health professionals a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