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자유주의 국제레짐 이론에 관한 고찰

        최위정 동국대학교 2006 사회과학연구 Vol.12 No.2

        This essay reviews the literature in political science and specifically, in international relations on regime formation and stability. Neoliberal or interest-based theories of regimes have been extraordinarily influential in the past two decades and have come to represent the main stream approach to analyzing international institutions. In this essay, I debated two approaches that are the purest representatives of neoliberal regime theory. The first, contractualism, studies the effects of international regimes on the ability of actors to cooperate in situations resembling the Prisoners Dilemma. It develops a functional argument to explain the creation and maintenance of regimes. The second, situation-structuralism, builds on this perspective, taking into account the full spectrum of strategic situations in which actors might cooperate through regimes. It analyzes the implications of these different constellations of interests for both regime formation and the institutional form of regimes. I concluded this essay with a consideration of two approaches whose status as neoliberal theories is less clear. The first, problem-structuralism, regards the nature of issues as an important variable affecting the likelihood and ease of regime formation. The second, Young’ model of institutional bargaining, attempts to rectify the tendency of rationalistic theories to give structure priority over process. It echoes important concerns of the Knowledge-based approaches.

      • KCI등재

        현실주의 국제레짐 이론에 관한 고찰

        최위정 동국대학교 2007 사회과학연구 Vol.13 No.2

        본 논문에서는 국제레짐에 관한 세 가지의 현실주의적 접근들을 고찰한다. 세 가지 접근들은 공히, 국제협력 및 국제레짐을 국제관계 이론을 통하여 설명되어져야 할 중요한 현상으로 간주한다. 우선, 국제레짐과 관련하여 패권안정이론을 검토할 것이다. 시기적으로 볼 때, 신자유주의 이론에 앞서 성립된 현실주의 패권안정이론(hegemonic-stability theory)은 유효한 국제제도들의 존재를 특정 쟁점영역에서의 권력의 단극적 배치(unipolar configuration)에 연계시킨다. 패권안정이론은 비록 추후의 이론적 접근들에 의해 일정 부분 그 적실성을 상실한 측면이 있지만, 분명히 신자유주의적 논의의 발전에 공헌하였고 현실주의와 자유주의의 통합을 위한 시도들과도 관련성을 갖는 것으로 평가된다. 다음으로, 각각 Stephen Krasner 및 Joseph Grieco와 관련된 또 다른 두 가지의 현실주의적 접근들을 다룰 것이다. 이것들은 국제레짐에 관한 Keohane의 계약주의 이론에 대한 비판론으로서 출현하였다. This essay reviews the literature in political science and specifically, in international relations on regime formation and stability. Realist or power-based theories of regimes have taken up the challenge by outlining alternative conceptual frameworks that emphasize relative power capabilities and states’ sensitivity to the distributional aspects of cooperation. This essay examines three realist approaches to international regimes. All three view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regimes as significant phenomena to be accounted for by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The first, hegemonic-stability theory, predates the interest-based approaches. It links the existence of effective international institutions to a unipolar configuration of power in a particular issue-area. Although superseded by subsequent approaches, hegemonic-stability theory played a catalytic role for neoliberal arguments and has relevance to attempts at synthesis. The two other realist approaches which associated with Stephen Krasner and Joseph Grieco emerged as critiques of Keohane’s contractualist theory of regimes.

      • KCI등재

        국가적 경계의 함의에 관한 연구

        최위정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8 평화학연구 Vol.19 No.4

        There is the thing of 'state borders' on the base of traditional international politics, which takes anarchy as its fundamental principle and pursues peace as its constant purpose. Nevertheless, the studies on the thing of 'state borders' have been easily ruled out regarding as a cognitive frame or a fixed constant already given. And the scopes and subjects of international politics have been adhered to "relations of states with exclusive sovereignty" as external aspects. That is, based on the state borders,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international politics of anarchy emerges and, in the same way, based on the anarchy, the constant purpose of international politics of peace pursues. Here, the necessity of the studies that sit on the thing of 'state borders' itself is required. This study tried to deduce the connotations of the state borders from 'change'. Therefore, this study starts from the concept of the state borders (Chapter 2), passes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te borders (Chapter 3), grasps the strategy of the state borders(Chapter 4), and arrives at the change of the state borders(Chapter 5). 무정부성을 그 본원적 토대로 삼고, 전쟁의 방지와 평화의 창출을 그 목적으로 표방하는 전통적 국제정치학의 기저에는 국가적 경계가 존재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가적 경계 그 자체에 관한 연구는 이미 주어진 인식의 틀 내지 고정된 상수로 간주된 채 배제되어 왔고, 학문적 연구의 범위와 대상은 이에 후행하는 양상으로서의 ‘배타적 주권을 보유한 국가 간 관계’로 설정되어 왔다. 즉, 국가적 경계에 기하여 비로소, 무정부적 국제 체계가 등장하는 것이고, 이 무정부적 국제 체계에 기하여 비로소, 전쟁과 평화의 논리가 출현하는 것이다. 여기에, 국가적 경계 자체에 천착하는 근원적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국가적 경계의 본질을 ‘변화’로부터 추론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경계(borders)를 중심으로 한 국가적 경계의 개념으로부터 출발하여(제2장), 모순(contradictions)으로 규정되는 국가적 경계의 특성을 경유하고(제3장), 영토성(territoriality)을 핵심으로 한 국가적 경계의 전략을 파악한 후(제4장), 지구화(globalization)에 직면한 국가적 경계의 변화로 귀속된다(제5장).

      • KCI등재

        국가적 경계의 본질과 기제에 관한 연구: 국제정치학의 분석 수준을 중심으로

        최위정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21 평화학연구 Vol.22 No.1

        International politics as an independent discipline takes 'anarchy' as a constant, which is a foundation established on the 'state borders'. And international politics takes the core variables as the 'powers' of realism, the 'institutions' of liberalism, the 'thoughts' of reflectivism, and the 'classes' of Marxism. Furthermore, it aims to intervene in the issues surrounding war and peace, conflict and cooperation, based on the perspective of each of schools which are obsessed with these core variables. And the driving force for the growth of international politics had been the debates among schools that had been sharply opposed. The academic growth of international politics, symbolized by the so-called the Great Debates, had been the processes of defining new state borders. Among the Great Debates, the points that are directly connected to this study are the second and third debates. This study focuses on both the debate on the methods of research between behavioralism and realism, and the debate on the ways of thought between positivism and post-positivism. Based on this, it examines the processes of defining new 'state borders' through an analysis of the three levels of international politics. 독자적 분과 학문으로서의 국제정치학은 국가적 경계라는 기저 위에 수립된 무정부성이라는 토대를 상수로 하여, 현실주의의 권력, 자유주의의 제도, 사회적 구성주의를 포함한 성찰주의의 관념, 그리고 마르크스주의의 계급이라는 핵심적 변수들에 천착한 개별 학파들의 관점에서 전쟁과 평화, 갈등과 협력을 진단하고 처방하는 학문으로서 성장해 왔으며, 그 성장의 동력은 첨예한 대립을 기반으로 치열하게 전개되었던 학파 간 논쟁이었다. 이른바, 대논쟁들로 표상되는 국제정치학의 발전적 전개 과정은 역사적 사실을 통하여 확보된 기존의 국가적 경계 개념 위에 학술적 기제를 통하여 구획된 새로운 국가적 경계를 획정하는 과정이었다. 여기에서 본 연구와 직결되는 논쟁의 지점은 제2차 논쟁과 제3차 논쟁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행태주의와 전통주의 간의 연구 방법 논쟁과 실증주의와 탈실증주의 간의 사유 방식 논쟁이라는 양자의 구도 속에서 표출되었던 국제정치학에 있어서의 세 가지 분석 수준, 즉 국가적 수준, 국제 체계적 수준, 그리고 지역적 수준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새로운 국가적 경계의 획정 과정을 파악한다.

      • KCI등재

        반세계화운동의 집단행동프레임 연구

        최위정(Choi, Wi Jeong)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사회과학연구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에 저항하는 반세계화운동에 내재한 집단행동프레임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데에 있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특히, 한국에서 진행된 반세계화운동의 대표적 양상인 한미자유무역협정 반대운동의 핵심 조직인 ‘한미FTA저지범국민운동본부’의 사례에 주목하였다. 집단행동프레임을 설명하는 다양한 이론가들의 연구 결과를 조직 지도의 관점에서 유형별로 검토한 결과, ① 진단프레임, ② 자극프레임, ③ 처방프레임 등으로 구별됨을 인지하였고, 나아가 집단행동프레임을 조직 작동의 관점에서 과정별로 검토한 결과, ① 담론과정, ② 전략과정, ③ 경쟁과정 등으로 구분됨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집단행동프레임의 3가지 유형 중 ③ 처방프레임, 그리고 집단행동프레임의 3가지 과정 중 ② 전략과정을 중심으로 집단행동프레임 분석 모델을 고안하고, 이에 기하여 ‘한미FTA저지범국민운동본부’의 활동을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2006년 3월 28일 결성된 ‘한미FTA저지범국민운동본부’를 중심으로 전개된 한미자유무역협정 반대운동을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하였다. 첫째, 한미자유무역협정 협상 타결기(2006. 02. 03 ~ 2007. 04. 02), 둘째, 한미자유무역협정 추가협상 타결기(2007. 04. 02 ~ 2010. 12. 03), 셋째, 한미자유무역협정 발효기(2010. 12. 03 ~ 2012. 03. 15)의 시기가 그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주로 제1차 자료를 대상으로 질적 담론분석(qualitative discourse analysis)을 주요 분석기법으로 채택하였다. 질적 접근기법을 채택한 연구들은 일반적으로 프레임 분석을 위해 담론분석(discourse analysis)이나 사회언어학(sociolinguistics)의 기법들을 활용하였다. 질적 담론분석을 위한 자료에는 한미자유무역협정 관련 정부 문건 및 ‘한미FTA저지범국민운동본부’가 표명한 성명서, 담화문, 기자회견 자료, 설명서 등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특정 사회운동조직의 동학을 구체적으로 포착하기 위한 도구로서 집단행동프레임 분석 모델을 설계하였고 이에 통하여, 한국적 반세계화운동의 핵심 조직인‘한미FTA저지범국민운동본부’의 행태에 주목하였는바, 이는 세계정치의 핵심 쟁점에 대한 특정 국가, 사회 수준의 반응 양상을 집단행동프레임에 기하여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그 동학을 규명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ologically and substantially analyze the linkage between domination and resistance in global society through the confirmation of the collective action frames within anti-globalization movements. Especially, this study was focused on anti-KORUS FTA movements in Republic of Korea. The creation of free trade area by free trade agreements is a main example of regional integration on bilateralism. Especially, KORUS FTA has the implications: ① in economics, highly comprehensive Free Trade Agreement, ② in politics, strengthening ROK-US Alliance, ③ in international politics, fixation of Republic of Korea on US-centric world order.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focused on Anti-KORUS FTA Movements Headquarter that was leading organization on anti-KORUS FTA movements in Republic of Korea and established the models of collective action frames that were worthy methods for capture behaviors of social movement organizations. This composition had creative meanings for analysis of the interaction of state and society on a main issue of the world politic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feature of collective action frame is distinguished by three sides: ① diagnostic frame:“identification of issues and verification of causes by social movement organization”, ② motivational framing: “the construction of appropriate vocabularies of motive by social movement organization”, ③ prognostic frame: “theoretical and practical prescriptions for issues by social movement organization”. Furthermore, confirmed that the process of collective action frame is divided into three dimensions: ① discursive process: “the speech acts and written communications of movement members”, ② strategic process: “to achieve a specific purpose-to recruit new members, to mobilize adherents, to acquire resources, and so fourth by social movement organization”, ③ contested process: “embroilment of all members within a social movement organization in the politics of signification”. Based on this confirmation,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prognostic frame in three sides of the feature of collective action frame and on the strategic process in three dimensions of the process of collective action frame. Especially, the strategic process is divided into four dimensions: ① frame bridging: “the linking of two or more ideologically congruent but structurally unconnected frames”, ② frame amplification: “the idealization, embellishment, clarification, or invigoration of existing values or beliefs”, ③ frame extension: “the expansion of existing values or beliefs aimed at potential adherents”, ④ frame transformation: “the changing old values or beliefs to new ones”.

      • KCI등재

        마르크스주의 국제레짐 이론에 관한 연구

        최위정(Choi, Wi Jeong)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4 사회과학연구 Vol.21 No.3

        국본 연구에서는 마르크스주의적 인식론과 방법론에 기하여 기존 국제관계 이론의 전개양상을 검토함과 동시에 그에 내재하는 근원적 한계를 발견하고, 그 지점으로부터 국제관계 이론의 새로운 관점으로서의 이른바 ‘비판이론’을 제시한 로버트 콕스(Robert Cox)의 논의를 중심으로 마르크스주의 국제레짐 이론의 정립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한다. 콕스는 기존 국제관계학의 연구 경향들을 체계적으로 검토한 후, 특히 현실주의와 마르크스주의라는 양대 관점(혹은, 사회과학적 의미의 패러다임)하의 이론들을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그는 역사성의 유무라는 척도를 활용하여 각각의 사조에 내재하는 분파적 양상들을 포착한 후, 그로부터 마르크스주의 국제관계 이론으로서의 ‘비판이론’을 전개함으로써 스테판 길(Stephen Gill), 데이비드 로(David Law) 등과 함께 네오그람시주의 국제관계이론을 구축(構築)한다. 제1장 서론에서는 마르크스주의 국제레짐 이론의 의의를 제시한다. 제2장,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좌표와 국제관계에서는 문제해결이론과 비판이론의 구별을 통해 네오그람시주의 이론의 목적을 설정함과 동시에 사적유물론으로부터 확인되는 네오그람시주의 이론의 좌표를 확인한다. 제3장,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개념과 국제레짐에서는 네오그람시주의 이론의 중심 개념으로서의 역사적 구조를 이해하고 그것의 국제관계에의 적용으로서의 헤게모니와 세계질서를 규명한다. 제4장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분석과 국제레짐에서는 기존 국제레짐 이론과의 호환가능성을 타진함으로써 네오그람시주의 이론의 정합성을 발견하고, 아울러 기존 국제레짐 이론에의 교정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네오그람시주의 이론의 강점을 부각시킨다. 마지막으로 제5장 결론에서는 마르크스주의 국제레짐 이론의 공헌을 제시한다. This essay reviews the literature in political science and specifically, in international relations on regime formation and stability. Traditionally there have been three schools of thought, each of which emphasizes a different variables to account for international regimes: interest-based neoliberalism, power-based realism, and knowledge-based cognitivism. This essay recognizes the need to add class-based Marxism. Essentially, Marxist theory stands apart from the prevailing order of the world and asks how that order came about. However there is a wide range of theoretical frameworks within Marxist theory to choose from. Within the discipline of international relations we can identify Marxist, dependency, world systems, neo-Gramscian, feminist and postmodern approaches. This essay focuses on neo-Gramscian approach to correct several deficiencies identified in the mainstream approaches. First, the neo-Gramscian approach to international regimes corrects the state-centrism of mainstream approach to international regime formation. Second, the neo-Gramscian theoretical framework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non-state actors at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 Third, the neo-Gramscian approach draws attention to the ideological dimension of international regimes. Finally, the neo-Gramscian approach corrects the mainstream account of regime transformation by adding the important dimension of political-economic struggle at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level.

      • KCI등재

        ‘포전담당책임제’와 ‘임농복합경영제’로 살펴본 북한 정책결정과정 연구

        박소영,최위정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2022 북한학연구 Vol.18 No.2

        While the decisions of the leaders are significant in North Korean policy decisions, th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situation in North Korea and sometimes the interaction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lso influence policy decisions. North Korea’s policy will go through a process of verifying the effectiveness and improving side effects in the policy field through a long-term pilot project. In this stable state, institutionalization legislation is enacted and spread throughout the region. A field responsibility system under sub-workteam management and Agroforestry System have shown common ground in the policy decision-making process, such as the voluntary understanding and needs of the residents reflected in the policy during the pilot project. Although the initiation timing of the pilot projects of the two systems differs, the period of institutionalization, legislation, and proliferation throughout the region, in line with the economic improvement measures that have been in place throughout North Korean society since Kim Jong-un came to power, have similarly been carried out in common. A field responsibility system(under sub-workteam management) took precedence over government policy on cooperative farms to improve agricultural productivity. Therefore, there was no initial policy plan for implementation and no policy consideration. The names of each farm and region were also varied, and the size and method were bound to differ. However, since the Agroforestry System began with the support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e Swiss Agency for Development and Cooperation(SDC) and the World Agroforestry (ICRAF), the difference was that from the beginning of the policy, the recognition of the relevant Cabinet and the various policy considerations were possible. The two systems show that policy rationality is being established through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revision, and feedback when policies are closely related to residents’ lives and the policy field is extensive. Since the 2020s, a field responsibility system under sub-workteam management has settled in each region and is expanding, while Agroforestry System appears to be reduced due to the reduction of international support and the impact of changes in forest restoration policies, requiring continuous observation of policy changes. 북한 정책결정에서 지도자의 결정은 매우 중요하지만, 북한의 정치·경제·사회 상황과 때로는 국제사회와의 교류도 정책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북한의 정책은 오랜 시간 시범사업을 통해 정책 현장에서 효과성 확인과 부작용을 개선하는 과정을 밟게 된다. 이렇게 안정된 상태에서 제도화·법제화가 되며 전 지역으로 확산된다. 포전담당책임제나 임농복합경영제도는 공통적으로 시범사업을 진행하면서 주민들의 이해와 요구가 정책에 반영되었다. 두 제도의 시범사업이 시작된 시점은 차이가 있으나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 사회 전반에서 진행되었던 경제개선조치와 맞물려 제도화와 법제화, 전 지역 확산 시기는 비슷하게 진행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포전담당책임제는 농업생산성 향상을 위해 협동농장 현장에서 우선적으로 진행되었다. 때문에 시행 초기 정책계획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정책적 배려도 보이지 않는다. 농장별·지역별 명칭도 다양하고, 규모와 방법 등도 다를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비해 임농복합경영제도는 국제적 지원기관인 스위스개발협력청(SDC)와 세계혼농임업센터(ICRAF)의 지원으로 시작되면서 정책 초기부터 북한 당국의 인정과 여러 정책적 배려가 가능했던 지점은 차이점으로 나타났다. 두 제도는 주민생활에 밀접하고 정책현장이 광범위한 경우 정책의 수립과 수정, 환류 과정을 통해 정책적 합리성을 갖추어 가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2020년대 이후 포전담당책임제는 각 지역에 정착하여 확대되고 있는 모습을 보이는 반면 임농복합경영은 국제사회의 지원 축소와 산림복구정책의 변화 영향으로 축소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 정책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이 요구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