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최원재(Wonjae Choi),김영목(Youngmok Kim)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23 OUGHTOPIA Vol.37 No.3
메타버스는 가상세계를 표방하는 대표적인 개념으로 코로나로 촉발된 비대면 사회 활동에서 특히 두드러졌다. 메타버스 플랫폼은 특히 교육계에서 환영받았는데 그 용어에서 오는 모호함으로 인해 사람들은 혼란을 겪기도 했다. 대면 생활이 조금씩 재개되는 현시점에서는 메타버스의 인기도 한풀 꺾이기 시작했고, 지금의 메타버스 플랫폼이 진정한 가상현실인지에 관해 물음을 제기하는 사람들도 나타났다. 이는 메타버스에 관해 철학적 고민 없이 사용법부터 익히기에 바빴던 지난 2년여의 결과이기도 하다. 앞으로 메타버스가 교육의 큰 축이 될 것이라는 데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가상현실 구현에 있어 교육 철학적 전제가 선행되어야 이를 바탕으로 기술 교육이 정당성을 확보하고 목적과 활용 사이에 균형 잡힌 교과 과정이 구체적으로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해 하이데거, 메를로 퐁티, 혜강 최한기의 철학적 방법을 소개한다. 이 세 철학자의 존재론적 접근에서 보면 실제와 가상은 다름이 아닌 하나이며 양자 간의 ‘포개짐’이 더욱 개선된 교육적 환경을 조성함을 알 수 있다. Metaverse is a representative concept of the virtual world, and it was especially prominent in non-face-to-face social activities triggered by Corona. The metaverse platform was especially welcomed in the education world, but the ambiguity of the term confused people. At this point, when face-to-face life resumes, the popularity of the metaverse has begun to wane, and some people have questioned whether the current metaverse platforms are a true virtual reality. This is also the result of the past two years of being busy learning how to use the metaverse without considering philosophical concerns. There is no doubt that the metaverse will become a major axis of education in the future. However, educational philosophical premise must be preceded in the realization of virtual reality, based on which, technology education can be justified and a balanced curriculum between purpose and application can be developed. For this purpose, this paper introduces the philosophical methods of Heidegger, Merleau-Ponty, and Han-ki Choi. From the ontological approach of these three philosophers, it can be seen that the real and the virtual are virtually one, and the ‘overlapping’ between the two creates a more improved educational environment.
족저굴곡 운동과 스텝퍼가 정상인의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최원재,조은미,천진우,손경현,Choi, Won-Jye,Jo, Eun-Mi,Chun, Jin-Woo,Son, Kyung-Hyun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 2009 PNF and Movement Vol.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lantar flexion exercise and stepper on the balance ability in normal peoples. Twenty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were carried out the program on 6 weeks plantar flexion exercise and stepper.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plantar flexion group(plantar flexion exercise group, n=10) and stepper group(using stepper group, n=10). The effects of plantar flexion exercise and using stepper were evaluated by measurements of normal standing(NSEO, NSEC), and semitandom standing and dynamic type 1 and dynamic type 2, respectively. For each case, the experimental data were obtained about static balance in 3 items: mean X speed, mean Y speed and velocity moment, that of dynamic balance in 2 items: mean X speed, mean Y spe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plantar flexion exercise group,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s were shown on X, Y speed and velocity moment in the case of NSEO, NSEC, semitandom standing, and on X, Y speed in the case of dynamic type 1, dynamic type 2. 2. In using stepper group,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s were shown on X, Y speed and velocity moment in the case of NSEO, NSEC, semitandom and on only X, Y speed in the case of dynimic type 1, dynaimic type 2. 3.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similar on all about case. however, the statistically difference were not shown with intergroup. The above results revealed that plantar flexion exercise and using stepper was effective for improving the balance ability.
최원재,Choi, Won-Jae 대한소아치과학회 2016 대한소아치과학회지 Vol.43 No.4
의료와 관련하여 디자인은 대표적으로 시각디자인(Visual Communication Design), 제품디자인(Product Design) 그리고 환경디자인(Environment Design)이 의료 환경을 미적으로 아름답고 편리하도록 지원하는 형태로 관계를 형성하고 발달해왔다. 그러나 근래 디자인에 있어서 전문성이 증대되고, 다양한 영역과 학문과 융합하여 세분화되고 전문화된 영역이 새롭게 생성되고 있다. 더불어 디자인은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다양한 산업, 학문, 서비스와 융합하여 새로운 형태의 모델을 만들며 끝임 없이 변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디자인의 변화와 발달의 상황을 인식하고 의료 서비스에 있어서 디자인 활용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전통적인 디자인의 영역에 한정적으로 활용되던 디자인에서 벗어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의료 서비스 디자인으로 발전해 나가는 연구를 제안한다.
슬링에서 교각 운동이 정상인의 동적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최원재,강찬오,손경현,Choi, Won-Jye,Kang, Chan-O,Son, Kyung-Hyun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 2009 PNF and Movement Vol.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bridge exercise with sling on dynamic balance ability in normal peoples. In general, the sling using exercise was related in the dynamic balance and the function. Fifteen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were carried out the program for 4 weeks to Lumber stability exercise with stretching exercise. The effects of sling using exercise were evaluated by measurements of normal standing of dynamic balance on GOOD BALANCE system, respectively. For each case, the experimental data were obtained in 2 items: mean X speed, mean Y spe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all items between the before and the after exercise. The above results revealed that sling using exercise was effective for improving the dynamic balance ability.
영상 분석장치를 이용한 골 흑화도의 정량적 평가에 관한 연구
최원재,김재덕,Choi Won-Jae,Kim Jae-Duk 대한영상치의학회 1995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Vol.25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nd evaluate the method to detect Quantitatively the serial changes in the size of artificial lesion in the spongious bone by automatic color image analyzer. 15 intraoral radiograms taken before and after endodontic treatment of 5 cases were used for contour line analysis. 30 intraoral radiograms taken by geometrically standardized apparatus before and after serially the formation of artificial lesions of 0.80, 1.20, 1.75, 2.00mm in diameter at the periapical area and interdental area of spongious bone were used. The analysis of image according to the variance of lesion size by 0.25, 0.35, 0.55, and 0.85mm serially was performed by the histogram and the color enhancement with subtraction. The images inputted by CCDcamera were digitized and analyzed by NEXUS QUBE program with NEC PC-9801 computer.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 reliability in the analysis of lesions by contour line 2 .. The mean difference of the grey scale at each pixel was 1 step between reference image and the corrected images. 3. In the analysis by histogram of the artificial lesion in spongeous bone, the change over 0.55mm in the mesiodistal size was detectable by the change of the numbers of pixel showing the change in grey scale. 4. In the analysis by histogram of the artificial lesion in spongeous bone, the change over 0.25mm in the buccolingual size was detectable by the change in grey scale. 5. By color enbancement with- subtraction, each lesion was able to be isolated and the change in it's mesiodistal size was detectable visually , but not in it's buccolingual size.
최원재(崔元載)(Choi, Won-Jai) 일본어문학회 2012 일본어문학 Vol.59 No.-
本稿は、古事記に見える大国主神を中心に古事記神話における英雄の描き方の特徴を見いだそうとしたものである。その結論として次のような三点に要約できる。 一つ目に、少年でありながら優しくて知恵を持った英雄として書かれている。弱い者に意地悪をする兄弟の八十神とは違って、オホナムチは正しい治療法で素兎の皮膚を元の状態に回復させるという、優しさと知恵を兼ね備えた存在として描かれている。 二つ目に、多くの苦難に遭いながらも、それをものともせずに次々と切り抜けていく不死神として書かれている。最初は弱者に過ぎなかったオホナムチが、死と再生を繰り返しながら、いくつかの試練を克服たり、自分の住む世界とはまったく異なる別の世界への旅を無事に終えて帰ってきて王者の資格を獲得したりして、偉大な王者として変身を遂げる。これは古 事記がオホナムチに王権の資格を与えるためにわざわざ死と再生の話型を用意して新たな英雄を作り出していったのではないか。 三つ目に、オホクニヌシの助力者として女性が登場することである。オホクニヌシが危険な目にあった時、母神をはじめ、多くの女性の助力によって様々の試練を克服することができる。おそらくその背後には女性に象徴される大自然の生命力の守護が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観念があったのではないか。
최원재(Choi, Won-Jai, 崔元載) 일본어문학회 2010 일본어문학 Vol.50 No.-
本稿は、韓․中․日の三ヶ国における烏関連の資料を取り上げて、烏と太陽信仰との結び付きを追及しながら、ヤタガラスのルーツを考察したもので、その結果は次のとおりである。日本の記紀神話におけるヤタガラス伝承は、鳥の種類には若干相違があるものの、その役割において同じモチーフ、つまり軍の先導者、軍使、軍の戦闘勝利への助力者の三要素を同時に持ち合わせていることが確認できた。また、ヤタガラスが高木大神の使者として登場しているのは注目すべきことで、そこには中国伝来の太陽思想、つまり三足烏を太陽のシンボルだとする考え方が知識として生かされていると考えられる。そして韓半島には古文献こそ日本のようなヤタガラス伝承は見受けられないものの、高句麗などの遺物には太陽の中に三足烏を描き入れた壁画や彫刻があり、中国伝来の三足烏と太陽との結び付きが見受けられるのである。こうしたことから日本の記紀神話におけるヤタガラス伝承に見受けられる烏と太陽の結び付きは、おそらく高句麗を通って日本に伝わったのではなかろうかと推測される。
최원재(Choi, Won-jae)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20 동국사학 Vol.68 No.-
This study examined a new role of history (or history research) which was little focused in terms of data science before. We are living in the data era where data is a core in industry, business, and study, and no doubt, anyone should be data literate to live in this data-centred society. However, it does not mean everyone ought to become a computer scientist or computer programmer. History will be where data literacy is taught and experienced with its historical thinking that derives from interpreting big data and small data we can encounter in history or history research. A history researcher comes across the moment when ‘Aha!’ occurs to him or her in researching historical events or episodes from analyzing contexts and weaving them, and it is insight and intuition that is required to whoever deals with data. Historical research results in insight and intuition. History research is not where the past remained only in the past but where data is analyzed and interpreted with insight and intuition of a data researcher who dives into finding a new fact and pursuing after its novel interpretation. By doing so, anyone who is involved in historical research can be literate in data. Data literacy is not limited in the computer field as simply thought. From a broad scope, its bounds are getting expanded to where interpretational insight in data can be harvested, and digital data curation is recommended for a specific way to realize data literacy. Digital data curation calls for both computer skills and interpretational insight or intuition. It is the very best thing in getting the narrative shaped which a researcher explores in the way the data-oriented society welcomes. Digital data curation is hopefully expected to be placed in a curriculum of historical research. 이 연구의 목적은 데이터 시대에 역사학의 새로운 역할에 대해 고찰하는 데 있다. 데이터가 본격적으로 산업의 주재료가 된 지금은 누구나 데이터를 재료로 첨단기술을 활용해 일하고 더 나아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낼 수 있는 데이터 활용 역량을 키울 수 있어야 한다. 데이터 리터러시가 필요에서 ‘필수’인 시대로 접어들었다. 이러한 역량을 이끌 수 있는 학문으로 역사학을 꼽을 수 있다. 역사학은 그 시작점이 데이터가 바탕이 되는 데이터 과학이다. 그리고 역사학에서 요구하는 역사적 사고는 데이터 리터러시 역량과 다르지 않다. 역사 연구에서 펼쳐지는 역사적 사고는 데이터를 수집·정리하고 분석하는 것을 넘어 데이터를 해석할 수 있는 직관과 통찰을 기를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준다. 역사적 사고는 역사적사건과 사실을 분석하고 사건·사실의 상황 맥락을 파악하고 해석하는 사고(思考)를 포함하는데 이런 해석의 과정에서 직관력과 통찰력을 기를 수 있는 것이다. 역사는 데이터베이스의 학문이며 역사 연구는 데이터 해석의 과정이다. 다시 말해 역사는 데이터를 해석하여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내러티브 능력이 발현될 수 있는 영역이다. 역사적 사고력을 데이터 리터러시로 완성시킬 수 있는 구체적으로 방법으로 디지털 데이터 큐레이션이 있다. 디지털 데이터 큐레이션은 구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기획하여 이에 맞는 데이터를 디지털 기술로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여기서 다시 데이터를 추출·연결하여 디지털적으로 재구성하는 내러티브 기법이다. 디지털 데이터 큐레이션을 원활히 구현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엮어가는 사고력과 디지털 기술 응용력이 모두 요구된다. 역사학에서 배울 수 있는 역사적 사고가 디지털 기술과 융합되면 앞으로 데이터 활용에 요구되는 직관력과 컴퓨터 기술을 모두 습득하게 될 것이다. 역사학은 데이터 중심 시대에 더이상 지난 세월의 사료를 읽고 교훈을 얻는 과거에 머물러 있는 학문이 아니다. 디지털 데이터 큐레이션 속에서 구현되는 역사적 사고는 역사적 데이터를 확인하고 그 데이터 사이의 맥락(관계성)을 짚어가는 데 필수적인 직관력을 길러 내러티브할 수 있는 데이터 과학의 주요 분야로 역사학을 본격적인 데이터 과학의 하나로 규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자는 역사학 커리큘럼에 디지털 데이터 큐레이션을 포함할 것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독립운동가 김동수 선생 가문 디지털 큐레이션에서 발견한 스토리를 연구 사례로 들어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인 역사 디지털 큐레이션의 구체적인 연구 과정을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