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13세기 중엽 조문주의 활동과 정치적 성향

        최영호 한국중세사학회 2004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16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olitical actions and dispositions of Jo, Mun-Ju(趙文柱) about the middle of the 13th century. He was the bureaucrat which got up to participate in the political changes of the serial about the middle of the 13th century. therefore, We looked into the personality of the political changes which he has participated. as a result, We ascertained the according to truths. The Jo, Mun-Ju(趙文柱) is to be identify with the Jo, O(조오). Because the two persons identify with the living-times and the filled government-positions and the processed-activities, and so on. His previous ages were from the Baecheon-Hyangli(白川鄕吏). afterwards, He and his children grew into the famous clan of that time, held a high level and importance position of the government. To tie the marriage relation with a famous clan of that time. His growth background was connected with the political activity. He has become the political growth, because of the Geumgun(禁軍) which guarded over the king. He can strengthen the political location, through merit to the political changes-Muojeongbyeon(戊午政變), Mujinjeongbyeon(戊辰政變). At the time Wonjong(元宗) 10years, he possessed military powers, His power is on a par with the Lim, Yeon(林衍)'s political locations. He was connected with the king and took part in the political changes. He cooperates with his children and sons-in-law, tried to remove the Lim, Yeon(林衍). The chain of political changes which he was privy, was connected with the drift of the royal regime restoration. therefore, We can judge the person which he and his children and sons-in-law practiced the royal-regime-restoration. The other side, He was changed position to the Mongol(蒙古), became to the peace argument. on this, He has been more related to The Wonjong(元宗). His position changes were the thing to stay at the practice with long-term war cessation and the royal regime restoration.

      • KCI등재

        중종 26년 智異山 鐵窟에서 조성된 불교의례집의 성격

        최영호(Young-Ho Choy)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2 동양한문학연구 Vol.62 No.-

        이 글에서는 16세기 중엽 지리산 철굴에서 조성된 불교경판의 종류를 새롭게 분류한 다음, 특히 중종 26년 철굴에서 조성된 현존 불교의례집의 기본정보를 정리하고, 해당 불교의례집에 담긴 불교 문화적인 성격을 집중적으로 진단하였다. 16세기 중엽 지리산 철굴에서 조성된 불교경판은 기존 연구에서 정리ㆍ소개된 7종류보다 많은 최소 12종류로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들 불교경판 가운데 불교의례집으로 분류되는 『오대진언』ㆍ『영험약초』의 합부와 『승가일용식시묵언작법』ㆍ『영혼문』ㆍ『증수선교시식의문』ㆍ『구병시식의문』의 인출본에 담긴 외형적 형태ㆍ구성체계ㆍ간행정보 등과 같은 기본정보를 주목하여 정밀하게 정리하였다. 이들 불교의례집에 표기된 원천정보는 현존하는 관찬 사서ㆍ지리지 및 개인 문집 등에서도 거의 확인할 수 없으므로, 중종 26년 당시 지리산 철굴의 존재 실체와 불교경판 조성사례, 현실ㆍ대외인식, 사상적 성격, 조직체계 및 연계망 등 다양한 역사ㆍ문화적인 실체를 진단할 수 있는 핵심적인 자료로서의 가치를 가진다. 우선, 중종 26년 철굴에서는 불교의례집을 왕실 주도로 조성된 판본과 원나라의 승려지식인 蒙山 徳異의 주석 판본을 저본으로 삼아 새롭게 조성하였다. 『증수선교시식의문』은 몽산 덕이가 주석한 판본을 저본으로 활용하였으며, 『오대진언』ㆍ『영험약초』는 성종 16년 인수대비의 주도로 조성된 해당 판본을 원천텍스트로 삼아 동일한 글자 형태로 모사하는 동시에, 후기ㆍ간행정보 등 제한적인 부분에서 새롭게 편집하여 간행하였다. 다음으로, 간행정보에서는 중종 26년 철굴의 역사적인 기본정보와 함께 연계된 사원 및 인적 연계망을 확인할 수 있다. 지리산의 철굴은 중종 26년 당시 지리산의 신흥사와 긴밀한 인적 연계망을 맺고 있었다. 그리고 해당 불교의례집의 조성과정에서는 사회적 연계망도 구축하여 승려ㆍ세속인으로 구성된 敎俗 이원적인 협조체제로 조직체계를 운영하고 있었다. 그 다음으로, 중종 26년 철굴에서 조성된 불교의례집에는 조선 왕실 및 부처ㆍ불교의 전통적인 권위ㆍ위상을 수용하였으며, 명나라 중심의 대외 인식관도 반영되어 있었다. 마지막으로, 중종 26년 당시 철굴에서는 진언의 수지ㆍ독송으로 탈윤회ㆍ해탈ㆍ극락왕생 및 복ㆍ장수ㆍ안녕 등을 기원ㆍ성취할 수 있다는 밀교적인 공덕ㆍ영험신앙도 가지고 있었다. 승려들의 일상적인 의례와 함께 선대ㆍ가족 등의 영혼을 위로ㆍ공양하는 불교적인 제례의식도 주목하고 있었으며, 몽산 덕이의 불교적인 제례를 계승하는 의식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불교적인 제례의식은 성리학적 지배이념이 확산된 조선사회에서도 조상숭배의 제사의례와 연결될 수 있으므로, 사회적인 확장을 모색할 수 있었던 것이다. This paper attempt to analyze into the source information & the Buddhist cultural character of the Buddhist rituals Heritage that the Cheolgul-Temple has created in the King-Jungjong's 26th year(1531) of the the Joseon-Dynasty. in this process, it has been arranged the surface configuration forms & published information of 『the Five Great Mantras(五大眞言) 』& 『the Seunggasisigilyongsiksimuckeonjakbeop(僧家日用食時黙言作法)』 that it was created in the Cheolgul-Temple at this time. and based on these source information, the historical & cultural substance was diagnosed. First, the original text of the Five Great Mantras was used as the edition that the Insu-Queen dowager(仁粹大妃) has published in the King-Seongjong's 16th year(1485) of the the Joseon-Dynasty. in the course of publication, it was newly edited in limited areas such as the postscript(後記) & the publication information. And in the King-Jungjong's 26th year of the the Joseon-Dynasty, the Cheolgul-Temple have closely connected the personal network with the Sinheung-Temple(神興寺) of the Jiri-Mountain(智異山). the published organization of the Cheolgul-Temple have been operated the cooperation of a Buddhist-monk and a officialdom(敎俗). Along with this, the published edition of the Cheolgul-Temple have been reflected the traditional authority of the Joseon-royal family & the Buddhist authority. and the published edition of the Cheolgul-Temple have been reflected the Eesotericism(密敎) viewpoint of the Buddhism at the time.

      • KCI등재
      • KCI등재

        강화경판(江華京板)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의 조성사업에 대한 근대 100년의 연구사 쟁점

        최영호 ( Young Ho Choy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09 石堂論叢 Vol.0 No.44

        이 글에서는 강화경판 『고려대장경』의 조성사업과 관련된 연구 성과물 가운데 연구자들 사이에 아직까지 논의되고 있는 내용을 정리·분석하였다. 특히 연구 내용이나 시각에서 핵심적인 영역인 사업 주체를 중점적으로 진단하였다. 그 시기는 1910년대 일제식민지시대부터 2009년 현재까지로 하였다. 일제시대 이래 기존 연구자들의 대다수는 『고려사』 권 129, 열전 42, 崔忠獻 부 崔沆傳을 비롯하여 제한적인 자료와 최씨무인정권이라는 정치 현실을 고려하여 사업의 주체를 최이-최항 부자로 확정하였다. 이 견해는 1970~1990년대 한국학 연구자들에게 보편적인 사실처럼 자리매김하였다. 아직도 일부의 연구자나 전문백과사전류에는 그대로 인용되고 있다. 이러한 해석 방식은 몇 가지 문제를 가질 수 밖에 없다. 우선, 조성사업의 불교 문명적인 가치와 史實을 객관적으로 정립하는데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연구 내용이나 영역의 제한 및 시각의 편향성을 낳게 하고 있다. 그리고 1990년대 이후부터 새로운 자료를 활용하여 밝히고 있는 사실이나 내용을 논리적으로 뒷받침하지 못한다. 따라서 최씨무인정권 중심의 이해 방식에 대한 극복은 조성사업에 함축된 다양한 史實과 불교 문명적 가치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선행작업이 될 수 밖에 없다. 당대의 분산된 여러 자료들 및 최근의 연구 성과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대장도감과 분사도감의 운영과 인사 행정을 비롯한 조성사업의 전반은 국왕을 포함한 국가의 공적인 행정조직체계로 운영되었다. 특히 최항 열전에 서술된 그들의 역할도 과대평가되거나 역사적인 사실과 어긋나는 내용이 발견되었다. 그들의 역할은 대개 국왕을 중심으로 하는 국가의 공적인 행정운영 조직체계 속에서 분담하여 수행한데 불과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조성사업은 국가의 공적인 행정운영 조직체계가 적극 개입되고 있었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견해는 조성사업의 연구 영역을 확대시키고 그 역사적 의미나 불교 문명적 가치를 객관적으로 해명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다. This case study aimed at analysis of a study-history about a making-business of the Ganghwa Woodblock(江華經板)-Koryo Tripitaka(高麗大臧經) that was in research during 100 years of modern. In particular, the issue was focused about the principal of making-business. The period is from 1910-era until 2009. From the Japanese-imperialism, the most researchers have argued a opinion that the Choi`s(崔氏) soldier-regime(武人政權) was a role as a principal of making-business. Up to now, some of the researchers follow to the opinion. Such a opinion cause a researchers to issue. A researchers was unable to can explain the objective history and Buddhist-civilization that was implied in the making-business of the Ganghwa Woodblock-Koryo Tripitaka. Moreover, the enlargement of a new research-areas and research-perspective was constrained. Therefore, this case study has attempted a new analysis about this opinion. A new analysis follows. The Daejangdogam(大藏都監) there was responsible for the making-business. The Koryo-Dynasty`s emperor (高麗國王) and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of the Koryo-Dynasty were responsible for a organizational system of this Daejangdogam and the administrative personnel of a making- business. In particular, a role of the Choi`s soldier-regime was overestimated, or was different with a historical facts. The role was performed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of the making-business. Therefore, the principal of making-business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of the Koryo-Dynasty.

      • KCI등재

        해인사 소장 강화경판(江華京板)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의 일제강점기 보각판(補刻板) 조성현황과 성격

        崔永好 ( Choy Young-ho ) 한국중세사학회 2014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40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into the Ganghwa-Capital-Woodblock Goryeo-Dynasty's Tripitaka of Haein-Temple that were supplemented during Japanese Ruling Era of Korea. in particular, this paper analyzed into the present situation & nature of the Woodblock that were supplemented in 1915 and 1937 year. At the time of this project, the 36 woodblock-plates(57 pages) were supplemented, the 2 woodblock-plates(4 pages) were newly made up. supplement project of 1937 year was again supplemented 18 woodblock-plates that were supplemented in 1915 year. The previous reports have been noted a primary factor of this supplement project due to missing of the original woodblock(the Ganghwa- Capital-Woodblock Goryeo-Dynasty’s Tripitaka that were made in the middle of the 13th century). But the majority of its supplement-woodblock is because it was missing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ng the Ganghwa- Capital-Woodblock Goryeo-Dynasty’s Tripitaka. because an error of its investigating, the corresponding woodblock was supplemented. The supplement project of 1915 & 1937 year is showing a various nature. First, the Korea Government-General(朝鮮總督府) was led this supplement project. the reason was because the national & diplomatic necessity. Second, the supplement-woodblock of this time did not sufficiently reflect a woodcut technique & conservative technology & aesthetic value of the mid 13th century. The technique & aesthetic value is less than the Ganghwa- Capital-Woodblock Goryeo-Dynasty’s Tripitaka of the mid 13th century. Finally, the supplement-woodblock of this time was reflected in the colonial rule-policy of Japanese-imperialism & the historical & cultural recognition of the project officer. The rule-policy & recognition were the discontinuance-theory(停滯性理論) & heteronomy-theory(他律性理論) of the Japanese- imperialism.

      • KCI등재

        1214년에 조성된 해인사 소장 『金剛般若波羅蜜經』의 역사,문화적 성격

        최영호 ( Young Ho Choy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5 石堂論叢 Vol.0 No.61

        이 글은 고종 원년(1214) 10월 군생사에서 조성된 해인사 소장 『금강반야바라밀경』(鳩摩羅什한역)의 기본정보와 역사·문화적 성격을 분석하였다. 먼저, 본 경판의 다양한 분석지표를 정리하였다. 경판의 외형적 형태, 형태서지학적 정보, 경전의 구성 체제, 간행기록 등과 같은 기초적인 원천정보를 분석하였다. 이로써 경판에 새겨진 다양한 사실을 새롭게 확인하여 기존연구의 오류를 바로잡는 한편, 본 경판에 반영된 시각적 예술성과 인경의 편의성 및 보존의 과학성을 확인하였다. 본 경판의 조성 역량이 강화경판 『고려대장경판』의 조성사업에도 계승되었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본 경판의 다양한 분석지표를 근거로 그 역사·문화적 성격도 새롭게 밝혔다. 첫째, 본 경판은 13세기 전반 고려사회에서 조성·유통된 4종의 鳩摩羅什한역 『금강반야바라밀경』 가운데 독특한 체계로 구성된 판본으로, 풍부한 기초정보를 담고 있는 최고의 현존경판이다. 둘째, 본 경판의 구성 체계는 우리나라 및 중국에서 간행된『금강반야바라밀경』이나 그 주해 경전을 저본으로 참조하여 창조적으로 재구성한 경판이다. 아울러 그 구성 체계는 13세기 초기 이후 우리나라에서 간행된 여러 유형의 『금강반야바라밀경』 판본들 가운데 특정 종류의 주요 저본으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셋째, 본 경판은 受持·讀誦用의 대표적인 사례로 13세기 초기 고려 불교계의 실상을 파악할 수 있는 핵심적 원천텍스트이다. 특히 본 경판에는 『금강반야바라밀경』을 수지·독송하면서 관련 불교의례를 강화하고, 본 경전의 불교적 장엄의식과 신성성을 확보하려는 의도가 반영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본 경판에는 13세기 초기사회의 역사·문화를 복원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가 담겨져 있다. 또한 본 경판은 외형적 형태, 판각형식, 서체 등에서도 13세기 중엽에 조성된 강화경판 『고려대장경』과의 출판·인쇄술과 문화적 역량의 계승관계를 복원할 수 있다.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into the historical & cultural character of the Vajracchedika-prajnaparamita-Sutra-woodblock that is stored in the Haein-Temple(海印寺). Its Sutrawas translated into Chinese(漢文) by the Kumarajiva(鳩摩羅什). Its woodblock was constructed at the Gunsyaeng-Temple(群生寺), that time was in first year(1214) of Goryo-Dynasty``s Emperor-Gojong(高宗). First, this paper organized the various analytical indicators that contained in its woodblock. As a result, we was confirmed a fact that its woodblock had been reflected in a visual artistry & convenience of printing & scientific technology of conservation. Next, this paper newly analyzed into the historical & cultural character of its woodblock. First, its woodblock is composed of a unique system and is the oldest example of the existent Vajracchedika-prajnaparamita-Sutra-woodblock. Second, the structure of its woodblock creatively reconstructed the Vajracchedikaprajnaparamita- Sutra that had been created until the early 13th century. Third, its woodblock is a prime example of the memory & recitative-version that was created to ensure a strangeness &magnificence of the Vajracchedika-prajnaparamita-Sutra. Finally, its woodblock contain the various original information that can restored the history & culture of the early 13th century.

      • KCI등재

        해인사대장경판(海印寺大藏經板)의 역사·문화적 공유의식

        崔永好 ( Choy Young-ho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0 石堂論叢 Vol.0 No.76

        이 글에서는 유네스코(UNESCO)의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해인사대장경판에 담겨진 역사·문화적인 공유의식을 진단하였다. 13세기 중엽 해인사대장경판의 조성사업 당시 고려 사람들이 품고 있었던 당대의 공유의식을 정리한 다음, 해인사대장경판의 조성사업에 담겨진 공유의식을 진단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조성사업 이후 해인사대장경판에 담긴 공유의식의 확장현상도 살펴보았다. 해인사대장경판의 조성사업이 이루어지던 13세기 중엽 고려사회는 잔혹한 몽골 군사들의 침략에 따라 경제적 궁핍과 살상·포로·약탈의 대상으로 극한적인 공포와 위기 상태에 내몰려져 있었으며, 현실적 삶도 더욱 열악한 상태로 치닫고 있는 등 건국 이래 최대의 위기 상태에 직면하고 있었다. 특히 당시에는 고려사회의 핵심적인 전통가치와 상징으로 기능·인식된 불교문화유산과 불교기록유산들도 파괴·훼손되면서 불교계의 위기도 노출되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당대 고려 사람들은 민족적 모순과 현실적 삶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대책들 가운데 핵심적인 하나의 통로를 불교와 불교유산의 조성사업에서 모색할 수 있다는 공유의식을 가지고 함께 실천으로 옮기기도 하였다. 불교와 조성불사가 몽골침략과 함께 현실적 삶을 극복할 수 있다는 공유의식을 가지고 실천하였다. 13세기 중엽 조성된 해인사대장경판에는 몽골침략 등으로, 모든 고려 사람들이 겪던 민족적 위기와 현실적 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불교적 기원의식과 신념이 담겨져 있었다. 국가 및 국왕·왕실의 안녕, 전쟁종식·외적 격퇴 등의 기원은 13세기 중엽 당대 모든 고려 사람들이 함께 바라던 공유의식으로 해인사대장경판의 조성사업에도 반영되어 있었다. 해인사대장경판에는 이러한 공유의식을 담고 있었으므로, 당대 고려 사람들과 불교계가 조성사업에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참여하였으며, 조성사업도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었다. 해인사대장경판은 조성사업 이후에도 현재까지 거의 온전하게 보존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조성사업의 당시나 이후에도 해인사대장경판에 담긴 역사·문화적인 공유의식이 지속적이고 확장적인 생명력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가능하였다. 고려사회에서뿐 아니라 특히 성리학적인 지배이념이 확산되고 불교사상이 억제되었던 조선시대에도 국가로부터 나라의 보물이라는 공유의식과 위상을 확보하면서 안정적인 보존 대책도 마련되는 등 우리 민족의 기록유산으로 인식되고 자리매김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일제강점기를 거쳐 현대의 남북한에서도 국가적인 보물로서의 위상과 인식을 공유하고 있으며, 더구나 일본사회에서도 중세 이래 근대까지도 불교나 세계적인 보물로 인식되는 공유의식이 확산되었다. 이러한 공유의식으로 해인사대장경판은 2007년 6월 유네스코(UNESCO) 기록 유산 국제자문위원회에서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는 등 우리나라를 포함한 모든 인류의 보편적인 기록유산으로서의 위상과 가치가 공간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This paper attempt to analyze into the historical & cultural sharing―consciousness of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that UNESCO has listed as Memory of the World in 2007.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had been carved as a national project in the mid―13th century. at this time, the Goryeo(高麗)-Dynasty was undergoing a brutal invasion of Mongolia. In the process, the whole of Goryeo-people were feeling life threat, were suffering enormous material damage. In addition, Goryeo-society was experiencing destruction of the Buddhist heritage. Goryeo-Dynasty has been experiencing the greatest national crisis and realistic contradictions since its founding. in this realistic environment, the Goryeo-people responded by force to the Mongol invasion. on one hand, they relied on Buddhist beliefs. Goryeo-people carried out Buddhist events and sculptures with Buddhist beliefs. and they wished the stability of the state and the royal family, earnestly prayed for an end of the war(repulsion of Mongolian Invasion) and the well-being of their families. in particular, this origin is inscribed in the Buddhist sculptures that had created in the mid―13th century. therefore, this origin was a shared consciousness of the Goryeo-people in the mid-13th century. A creation project of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was also included in such shared consciousness. therefore, the Goryeo-people of the mid-13th century actively &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project of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they participated actively and voluntarily with all their heart. the participated people of this creation project included from the king to the common people, were also included all Buddhist sects of the time.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is almost completely preserved to date even after the construction work. this was because the shared consciousness of the time had historical and cultural vitality even after the creation project. in particular, the historical & cultural values of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was nationally & continuously shared the Joseon(朝鮮)-Dynasty that the Buddhist faith was suppressed.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was recognized as a national treasure in both Japanese colonial rule and modern society. this documentary heritage was also recognized as a national treasure in Japanese society. this documentary heritage has listed as UNESCO Memory of the World in 2007, is now established a universal heritage of world humanity.

      • KCI등재

        석당(石堂) 정재환(鄭在煥)선생의 문화유산·기록유산에 대한 계승 노력과 인식

        최영호 ( Choy Young-ho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7 石堂論叢 Vol.0 No.69

        이 글에서는 동아대학교 초대총장 石堂 鄭在煥의 우리민족 문화·기록유산에 대한 계승·발전노력과 인식·위상을 새롭게 진단하였다. 석당은 백과사전류에 법조인·교육자로 정의되고 있지만, 1970년대부터 전문연구자들에게 대표적인 文化愛護家로 평가받았다. 민족 문화·기록유산의 보존과 창조적인 계승·발전에 다양한 노력을 지속하였기 때문이다. 매장문화재의 발굴과 함께 유물의 기증·구입, 방치 유물의 수습, 해외 유출의 저지 및 입수 등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선사시대 이래 근현대에 이르는 문화·기록유산 등을 수집하였다. 수집·지원한 유물·유적 가운데는 국보·보물 및 국가 사적 등으로 지정된 국가문화재도 포함되어 있었으며, 「동궐도」 및 「土器隆起紋鉢」 등의 경우에는 제3국으로 유출될 위기에 있던 문화유산이었다. 석당은 1955년부터 문화·기록유산을 발굴·수집·보존 및 교육·연구하고 계승·발전시킬 수 있는 구조적 기반으로 국문학과·사학과도 설립하였으며, 우리나라의 고고학·고대사·중세사·근세사와 한문학·향가·민속학·한글·서지학 등에서 풍부한 연구·교육역량을 갖춘 저명 인력들도 영입하였다. 학생들의 고적순례·발굴·유물전시회 등과 같은 현장역량강화에도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석당은 문화·기록유산을 체계적으로 보존·관리·연구할 수 있는 도서관·박물관을 개관하고 1950·60년대에는 독립건물도 확보하였다. 이에 1966년에는 우리대학 박물관이 전국에서 으뜸되는 위상을 확보하였으며, 도서관 소장의 古書도 국내에서 손꼽힐 규모였다. 고서 가운데는 『고려사』, 해인사대장경판 및 諸경판의 인출본 완질 등 고려시대를 연구할 수 있는 핵심적인 원천기록유산도 포함되어 있었으며, 박물관에는 국보·보물급의 문화재도 상당수 소장하고 있었다. 석당은 석당학술원의 전신인 古典硏究所·韓國文化硏究所와 같은 전문연구기관도 1958·59년 각각 설립·운영하였다. 고전연구소에서는 1958년부터 남북한 최초로 『고려사』 역주사업을 착수하여 1973년까지 『譯註高麗史』 11책을 완간하였다. 이에 우리대학은 해당 분야에서 전국적인 인지도와 지명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석당이 이런 노력을 지속할 수 있었던 배경은 우리나라의 역사·문화에 대한 지식수준 및 관심과 함께 문화·기록유산에 대한 객관적인 식견과 인식을 가졌기 때문이었다. 漢學·서예와 함께 한국학에도 상당한 지식을 갖추고 있었으며, 특히 민족문화의 창달을 우리대학의 건학이념으로 채택·실천하는 등 문화·기록유산의 창조적 계승·발전을 인식하였다. 이러한 인식태도와 실천노력은 1959년 부산시문화상의 수상으로 객관적인 위상을 확보하였다. 특히 1970년대 鶴山 金廷鶴은 석당의 이러한 공적을 文化愛護家로 평가하였으며, 그 위상과 공적도 전국적인 인지도와 위상을 확보하고 있었다. This paper attempts to newly analyze into the Succession―efforts and perception of Dr. Jeong Jae―Hwan's cultural heritage & recorded heritage. he has served as the first president of Dong-A(東亞) University from the 1950s to the 1970s, has called himself―name to the SeokDang(石堂). The SeokDang has been defined as a law professional & educator in the encyclopedias. However, he has already been evaluated as a lover of cultural heritage & recorded heritage by professional experts who has acted in the local community since the 1970s. because of, he had made the various efforts to preserve the cultural heritage & recorded heritage of the Korean nation that had been built from prehistoric times to modern times. he had continuously collected this heritage from the 1950s to the 1970s, had systematically preserved this heritage. in addition, he had creatively developed this heritage. his collections are currently included in the national treasures & treasures of Korea. The SeokDang has established the Department of History & Department of Korean Literature that can systematically learn about this heritage, has also established the GoJeon(古典) Research―Institute & the Korean culture Research―Institute that can research in depth. the two Research―Institute are the forerunner of the Seokdang―Academy. he has established the Museum(Seokdang Museum) & Library(Hamjinjae : 函珍齋) of Dong-A University that can systematically preserve this heritage, has invited a prominent expert to our university. as a result, the cultural & recorded heritage of Dong-A University's Library & Museum had become the prime scale in the 1960s. especially, he has supported the translation & annotation project of the Koryo-Dynasty's History (『高麗史』) that the nation should carry out. This effort of the SeokDang has grown from considerable insight & interest & perception about the Korean History & Culture. his cultural perception was in the creativ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History & Culture. because of this, he has already been evaluated as a lover of cultural & recorded heritage by professional experts of posterity.

      • KCI등재
      • KCI등재

        해인사대장경판(海印寺大藏經板)의 구성체계와 범위

        최영호 ( Choy Young-ho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7 石堂論叢 Vol.0 No.68

        이 글은 국보 제32호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의 역사·문화적인 성격을 진단할 수 있는 해인사대장경판의 구성체계·범위를 분석하였다. 해인사대장경판의 구성체계와 범위는 현재 大藏과 補遺板에 편입된 개별경판의 역사·문화적인 실체와 성격을 차별적으로 구분하지 않고 함께 묶어 분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해방식은 해인사대장경판이 조성된 13세기 중엽 당시와 차이를 보이며, 조선 고종 2년(1865) 『補遺目錄』이 조성되면서 단초가 제공되었다. 해인사대장경판의 대장에 포함된 1,498종의 경전은 13세기 중엽 당시부터 보유판 16종의 경전과 별도의 구성체계로 분류·기획되었다. 이러한 구성체계의 인식적 틀은 14세기 말 우왕 때와 15세기 중엽 세조 때를 이어 18~19세기 중엽까지 지속되었다. 그러다가 조선 고종 2년 해인사대장경판 인출불사의 직후 『보유목록』이 조성되면서 보유판이 대장과 함께 착종되어 인식되는 계기가 되었으며, 1914~5년 조선 총독부의 인출불사 때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1915년 이후에는 우리나라 승려·불교지식인들과 함께 일제식민주의 연구자들의 대부분이 그 구성범위를 보유판까지 포함하여 이해하였으며, 1934년 조선총독부의 보물 지정과 1962년 국보 제32호로 지정될 때도 그대로 투영되었다. 그러면서 1990년대 이래 다양한 연구성과가 새롭게 도출되고 있으므로 객관적이고 다양한 분석지표를 근거로 재조정의 여지도 가진다. 대장 및 보유판의 구성체계와 범위는 간행기록(刊記)·각수를 비롯하여 형태서지학적 기본정보 및 경판의 외형적 형태 등과 같이 다양한 분석지표로 진단·분류할 수 있다. 그런데 이들 분석지표는 복합적이고 교차적으로 활용할 때 보다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으면서 필요충분조건을 충족하는 개별지표로 제한적인 측면도 발견된다. 이에 비해 필요충분조건의 분석지표로는 13세기 중엽 당시나 그 이후 인출된 인경본의 구성범위와 함께 당대 高麗國大藏都監에서 조성된 『大藏目錄』과 『高麗國新雕大藏校正別錄』에 편입된 개별경전의 종류가 핵심적인 원천자료로 주목된다. 이들 분석지표를 근거로 해인사대장경판에 편입된 대장의 구성체계와 범위는 『대장목록』에 입장된 1,498종류 경전의 개별경판에 해당하는 『대반야바라밀다경』 권1(天함)부터 『일체경음의』 권100(洞함)까지 별도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체계와 범위는 13세기 중엽 당시 이미 하나의 독립적인 구성체계로 기획·분류되었던 역사·문화적인 실체와 성격을 그대로 반영한 것과 일맥상통한다. 때문에 그 집합체의 명칭도 `대장(또는 대장경·장경)`, `고려국신조대장`으로 명명하는 것이 객관적일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into the composition system & bounds of the Haein-temple-Tripitaka Printing Blocks. the source material utilized a various analysis-indexes such as the publishingrecords & sculpturers(刻手) of the Haein-temple- Tripitaka Printing Blocks, the outside form of an individual Printing-Blocks, a printing bounds of the printed Books, and the catalogue of the individual Buddhist-scriptures that have been included among the Koryo- Dynasty`s Tripitaka-catalogue(大藏目錄) & the Koryokukshinjodaechangkyochongbyollock(高麗國新雕大藏?正別錄) etc. At present, the composition system & bounds of the Haeintemple- Tripitaka Printing Blocks is grouped together with the Daejang(大藏) & Boyu-woodblock(補遺板). therefore, we are not discriminately against the historical & cultural character of the individual Buddhist Printing-Blocks that have been included among the Daejang & Boyu-woodblock. this system of classification was provided by the 2nd year(1865) of Year 2 of the Joseon Dynasty`s King Gojong, has been established since 1914~5 year when the Joseon Government-General(朝鮮總督府) has printed the Haeintemple- Tripitaka Printing Blocks. However, this system of classification differs from the mid-century of the 13th century when the Haein-temple-Tripitaka Printing Blocks has been made up. in particular, the Koryo- Dynasty`s Tripitaka-catalogue is included among 1,498 kinds of the individual Buddhist-scriptures that have been listed from 1 volume of the Prajnaparamita-Sutra(大般若波羅蜜多經) to 100 volume of the Ilcheongeum-Sutra(一切經音義). the Koryo-Dynasty`s Tripitaka -catalogue was created in the mid-13th century, is included among 1,498 kinds of the individual Buddhist-scriptures. soon, 1,498 kinds of the individual Buddhist-scriptures are included in the Daejang. therefore, the Daejang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the Boyuwoodblock, should be classified as a separate composition system. this composition system & bounds of the Haein-temple-Tripitaka Printing Blocks reflects the historical & cultural character of the mid-13th century. On the other hand, the title of the Daejang can also be called the Tripitaka(大藏經) & the Changkyung(藏經) & the Koryo-Dynasty`s Shinjo-Daejang(高麗國新雕大藏).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