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빌리 브란트와 김대중: 변방인들의 인문적 삶과 분단극복 정책

        최영태 ( Young Tae Choi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4 역사학연구 Vol.53 No.-

        빌리 브란트(Willy Brandt)는 독일사민당(SPD) 출신 정치인으로서 독일연방공화국(서독) 수상(1969-1974)을 역임했다. 김대중은 민주개혁진영 출신으로 대한민국 대통령(1998-2003)을 역임했다. 이들 두 사람의 삶에는 유사점이 많다. 두 사람은 각각 사생아와 서자로 태어나는 등 처음부터 변방인이었다. 브란트는 청년기에 14년 동안의 망명생활을 했고, 김대중은 정치적 성숙기에 투옥과 연금, 사형선고, 두 차례의 망명 등 큰 정치적 시련을 겪었다. 브란트는 서독의 변방 서베를린을, 김대중은 한국의 정치적 변방 호남을 정치적 근거지로 삼았다. 그들의 경쟁자들은 이들 변방인들에게 사생아, 공산주의자, 민족의 배신자 등 많은 비난과 박해를 가했다. 그러나 이 모든 어려움과 시련들을 극복하고 브란트는 세 번째, 김대중은 네 번째 도전 끝에 각각 수상과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두 사람 모두 동방정책과 햇볕정책 등 동서냉전체제의 완화에 기여한 공로로 노벨평화상을 수상했다. 두 사람 모두 대학 졸업장이 없이 수상과 대통령 자리에 올랐다. 그들은 부족한 학력을 독서로 보완했으며, 책 등 글을 많이 썼다. 그들은 역사를 좋아했고, 항상 역사가들의 평가를 의식하며 정치활동을 했다. 독서와 글쓰기, 그리고 강한 역사의식은 두 사람에게 불우한 삶과 역경을 이겨내고 정상에 오르게 만든 주요한 정신적 자양분으로 작용했다. 두 사람은 자유와 민주주의, 인권, 평화를 위해 헌신했고 여기에 그들의 인문적 삶의 방식까지 그 내용면에서 닮은 점이 많았다. 브란트의 동방정책은 동독을 사실상의 국가로 인정하고, 두 국가 간의 적대 및 대립관계를 완화, 해소하여 민족적 동질성을 유지, 회복하는 것을 당면과제로 삼았다. 대신 정치적 통일은 미래의 과제로 넘겼다. 브란트가 동방정책을 추진하는 동안 동서독 관계는 크게 개선되었으며 소련과 폴란드 등 동유럽 공산권 국가와 서독간의 관계도 개선되었다. 김대중은 브란트보다 30여년 늦은 1998년부터 2003년까지 대통령에 재임하면서 햇볕정책을 추진했다. 그러나 김대중은 이미 브란트가 동방정책에 착수한 직후부터 동방정책에 주목했다. 1970년대에 행한 그의 발언 내용들로 판단하건데 김대중은 이미 1970년대에 훗날 햇볕정책으로 불린 남북화해·통일정책의 윤곽을 완성했다고 볼 수 있다. 브란트의 동방정책은 김대중의 햇볕정책의 롤 모델(role model)이었다. 서방세계와의 돈독한 유대를 바탕으로 공산권 국가와의 관계개선을 시도한 것도 비슷했다. 브란트가 유럽의 평화 속의 독일통일을, 김대중이 동북아의 평화 속의 한반도 통일을 도모한 점도 유사했다. 물론 동방정책과 햇볕정책 사이에는 차이점도 있다. 브란트의 동방정책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독일이 행한 잘못과 역사반성에 토대를 두고 만들어졌다. 통일을 공개적으로 그리고 당면과제로 내세울 수 없는 환경 속에서 동방정책을 제시했다. 반면 김대중은 한반도의 분단은 미·소의 잘못에서 기인되었다고 진단했고, 통일을 필연적 과제로 생각했다. 그가 대통령 재임 중 실행한 햇볕정책은 그의 3단계 통일방안 중 첫 번째 단계인 남북평화와 교류·협력방안에 관한 것이다. 이 단계의 내용이 브란트의 동방정책과 유사한 것이다. Willy Brandt was the Chancellor of West Germany, 1969-1974. Kim Dae-Jung was the President of South Korea, 1998-2002. Brandt and Kim Dae-Jung both received a Nobel prize as a service for the world peace. Brandt and Kim Dae-Jung were both the global leaders, who served the mankind`s universal values, for example, liberty, human rights, democracy and peace etc. Brandt and Kim Dae-Jung were both outsiders from their birth. They read many books instead of a college diploma. They also wrote many essays and books. The reading and writing were a method which extended their knowledge, and overcame their difficulties. They were humanists in both their life and ideal. Chancellor Brandt implemented the Ost Politik, which eased the tensions between Western Bloc and Eastern Bloc. Brandt implemented a practical policy with focus on exchanges and cooperation with East Germany. He targeted ``Germany in European Peace``. Kim Dae-Jung`s Sunshine Policy was made with much influence from the Ost politik of Brandt. As the result, the Ost Politik and the Sunshine Policy have many things in common in terms of philosophy, policies. Both ideas preached unification, never endorsing permanent division of respective peoples. They stressed that unification should come only in a peaceful and phased manner, not through armed or violent force.

      • KCI등재

        과지압으로 인한 암반의 점진적 취성파괴 과정의 수치해석적 연구

        최영태(Young-Tae Choi),이대혁(Dae-Hyuck Lee),이희석(Hee-Suk Lee),김진아(Jin-A Kim),이두화(Du-Hwa Lee),유광호(Kwang-Ho You),박연준(Yeon-Jun Park) 한국암반공학회 2006 터널과지하공간 Vol.16 No.3

        큰 초기응력을 받는 암반에서의 파괴 과정은 굴착경계에 평행하게 발생하는 응력 유도 균열에 의해지배된다. 특히 지압의 절대크기가 암반 강도의 일정 비율 이상이 되면 응력 집중에 의한 암반의 취성 파괴를 유발하고, 이러한 현상은 터널 굴착 시 발생하는 파괴음과, 굴착면에 평행한 형태로 암편이 탈락하는 취성파괴현상을 동반한다. Mohr-Coulomb과 같은 기존의 구성 모델은 일반적으로 마찰각과 점착력을 일정한 값으로 가정 하므로, 점진적인 암반의 취성파괴 현상을 모사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수치해석 코드에서 취성파괴를 잘 모의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CW-FS 모델을 사용하여 유류 저장공동 주변 암반에 대한 수치해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선형 Mohr-Coulomb 모델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마찰각과 점착력 성분의 전단 소성변형률 한계를 변화시키면서 해석을 실시하여, 유류 저장공동에서 관찰된 취성파괴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 해석 결과를 찾아보았다. 결과적으로 모델은 견고한 암반에서의 취성파괴를 모의하는데 있어 적절한 해석방 . CW-FS 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 rock mass subject to high in-situ stresses, the failure process of rock is dominated by the stress-induced fractures growing parallel to the excavation boundary. When the ratio of in situ stresses compared to rock strength is greater than a certain value, progressive brittle failure which is characterized by popping and spalling of rock debris occurs due to stress concentration. Traditional constitutive model like Mohr-Coulomb usually assume that the normal stress dependent frictional strength component and the cohesion strength component are constant, therefore modelling progressive brittle failure will be very difficult. In this study, a series of numerical analyses were conducted for surrounding rock mass near crude oil storage cavern using CW-FS model which was known to be efficient for modelling brittle failure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linear Mohr-Coulomb model. Further analyses were performed by varying plastic shear strain limits on cohesion and internal friction angle to find the proper values which yield the matching result with the observed failure in the oil storage caverns. The obtained results showed that CW-FS model could be a proper method to characterize essential behavior of progressive brittle failure in competent rock mass.

      • KCI등재

        연구논문 : 5,18 민중항쟁과 김대중

        최영태 ( Young Tae Choi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5 역사학연구 Vol.57 No.-

        1980년 5월 18일 전남대생들의 시위는 1980년 봄 민주화운동의 연장선상에서 발생했다. 학생들의 시위는 민주정부 수립을 좌절시킨 신군부의 5·17 계엄확대조치와 계엄군의 야만적 진압행위로 인해 시민들의 참여를 촉발시켰고, 마침내 항쟁으로 발전했다. 김대중은 5·18현장에 없었다. 그와 5·18 현장을 연결해주는 사람도 없었다. 당연히 김대중은 항쟁의 주체가 아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항쟁에 참여하는 사람들 대부분은 시위 현장에서 ‘김대중 석방하라!’는 구호를 외쳤다. 김대중은 사실상 학생·시민들과 함께 있었다. 김대중과 광주시민들의 결합은 지역적 특수성이 반영된 결과이다. 호남지역은 박정희 정권의 인사 및 경제개발정책에서 심한 차별을 받았다. 박정희 독재정부가 사라진 1980년 호남인들은 민주정부 수립을 위한 절호의 기회가 왔다고 생각했다. 호남인들은 자연스럽게 민주화운동 지도자이자 동향인인 김대중의 대통령 당선에 큰 기대를 걸었다. 그런데 5·17쿠데타로 인해 김대중이 체포되었고, 민주정부 수립도 무산되었다. 호남인들의 실망과 분노가 클 수밖에 없었다. 5·18항쟁이 김대중의 사주에 의해 발생했다는 신군부의 주장은 일고의 가치가 없는 완전히 조작된 것이다. 다른 한편 신군부가 자신을 체포한 것이 5·18항쟁 발발의 가장 큰 요인과 배경이라는 김대중의 주장 역시 과장된 면이 없지 않다. 김대중은 항쟁의 전개과정에서 항쟁을 증폭시킨 주요한 변수 중 하나였다고 정의하는 것이 보다 적절한 표현일 것이다. The May 18th Gwangju Democratic Uprising was first started by students in front of the gate of Chonnam University on the morning of May 18th in 1980. The students` demonstration against the May 17th coup d``etat of the New Military Power developed into the democratic uprising by the citizens` participation. The citizens` participation occurred against the coup d``etat of the New Military Power, and against the indiscriminate murder and brutal suppression of soldiers. Kim Dae Jung was suppressed severely by Park Jung Hee dictatorship since the president election of 1971. Likewise, the province of Chonnam, including Gwangju city, were discriminated by Park Jung Hee regime. and the province of Chonnam had lagged far behind the other areas in industry. Kim Dae Jung got great support from the progressive intellectuals and masses since 1970s. But Kim Dae Jung was arrested by the New Military Power on May 17, 1980. The New Military Power tried him to put to death on suspicion of agitation of the Gwangju Uprising. Kim dae Jung was one of the greatest victims of the Gwangju Uprising. The Gwangju citizens became angry at the coup d`etat of the New Military Power, at the indiscriminate murder and brutal suppression of soldiers toward students, and at the arrest of Kim Dae Jung. Kim Dae Jung was not in Gwangju during the Gwangju Uprising. He didn``t know the Gwangju Uprising until July 10. Nevertheless, most of Gwangju citizens thought of him during the Gwangju Uprising, and they shouted slogan: "Release Kim Dae Jung!" Consequently, Kim Dae Jung was with Gwangju citizens during the Gwangju Uprising. He was not the direct background and cause of the outbreak of the Gwangju Uprising. However, he was a very important element at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Gwangju Uprising. After Gwangju Uprising, Honam masses and Kim Dae Jung tried to find out the truth of the Gwangju Uprising, to retrieve the honor of the victims, and to punish Jun Doo Hwan and his followers. In conclusion, Kim Dae Jung had a special connection with the Gwangju Uprising.

      • KCI등재

        19 세기 유럽과 부르크하르트의 문화사관

        최영태(Young Tae Choi) 대구사학회 2001 대구사학 Vol.63 No.1

        Burckhardt recognized the 19th century as the age of crisis and he thought that new historical view and a method of study were needed to overcome the crisis. That was why that he denied the method of a rigid historical material criticism by Ranke that was a method of historical study in the 19th century of German. At that time Burckhadt thought that a method of historical study ought to meet the ideology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development with the change of the times. So, his emphasis was rather placed on the interpretation and the expression of historical material than discovering and examinating the genuineness of it. Also he had concern for the background and the idea of the times in historical material. For him, to understand the times was more important than to describe it. It seemed that his view was different from the method of cultural history at that time but that was similar to historical view by Humbolt. He thought a ideal historian to have sensitivity and imagination for understanding what was its true mature. Burckhadt`s historical study connected with not history for study but history for education of the public. Needless to say, his aim was not the public made meet the needs of the times but their lost sensitivities and imaginations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inspired them again. Finally, he desired that the world preserved traditional humanistic culture of a city state in a pre-industrial society. So his lecture continued in Padagogium, and he thought that a study of high-class culture was the proper of preserving humanistic culture. Accordingly, he thought that a study of high-class culture was the proper of preserving humanistic cultur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W. 브란트의 "문화민족" 개념과 동방정책

        최영태 ( Young Tae Choi ) 호남사학회(구-전남사학회) 2012 역사학연구 Vol.45 No.-

        서독은 1949년 출범 후 1960년대 후반까지 일관되게 국가로서 동독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고 흡수통일을 희망했다. 그러나 1969년 서독 수상에 취임함 SPD(독일사회민주당) 출신 빌리 브란트(Willy Brandt)는 독일 내에 두 개의 국가가 실제로 존재한다는 것을 인정하고 서로 간 동등한 차원에서 정부 당국 간 교섭에 확수하였다. 브란트는 국가와 민족을 분리해서 고찰했다. 브란트의 동방정책에서 표방된 민족개념은 독일이 두 개의 국가로 갈라져 있더라도 민족적 동질성이 유지되는 한 하나의 민족으로 존재하는 것은 변함이 없다는 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국가는 분리되어 있지만, 독일민족에의 소속감은 독일인의 의식을 규정짓고 있는 현존하고 생동하는 현실이라는 것이었다. 이렇게 민족적 동질성이 유지되는 한 실질적으로 독일이 존재하며 정치적 통일도 언젠가 가능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 브란트와 SPD 정부는 그러나 오랜 분단으로 두 독일에서 독일인으로서의 소속감이 약화 내지 소멸될 것을 걱정했다. 그래서 그는 당면한 민족 정책적 파제로서 정치적 통일이 아니라 국가통일까지 과도기 동안 서방과 동방의 독일인들의 민족적 소속감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설정했다. 브란트와 SPD는 ``민족이란 의식과 의지의 문제``라고 주장했다. 공통의 언어, 문화. 전통과 역사가 민족을 이룰 수 있는 기초이기는 하지만, 교류와 접촉을 통해 민족적 동질성을 의식적으로 유지 혹은 강화시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이다. 결국 브란트가 역점을 두려 한 것은 통일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동서독이 하나의 민족으로서 공존할 수 있는 방안이었다. 동방정책은 이련 이념적 토대위에서 진행되었다. 이렇게 문화민족적 차원에서 독일 문제를 바라 본 브란트는 엄연히 존재하는 동독의 존재를 부정하고 당장 실현 불가능한 통일문제를 꺼내는 것은 동독을 서독과 더 멀어지게 만들고 민족적 이질감을 심화시켜 미래의 통일까지 어렵게 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그는 국가로서 동독의 존재를 인정하고 동서독간의 교류 협력 정책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그는 또 독일의 통일은 유럽의 평화 속에서 가능하다는 인식하에 소련 등 동구권 공산국가들과의 관계개선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한편 서독에서는 기본조약을 둘러싼 의회비준과정에서 국가민족, 문화민족, 의식민족(Bewuβtseinsnation) 등의 세 가지 민족개념이 대두되었다. 이 중에서도 국가민족 개념을 옹호한 야당 CDU/CSU와 문화민족 개념을 옹호한 SPD/FDP 연정 사이에 치열한 논쟁이 벌어졌다. 동독은 처음에는 1민족 2국가주의를 취하였으나 동독체제가 서독체제에 비해 열세에 빠지자 동독 및 동독공산체제 보존에 대한 불안감이 커졌다. 이 때문에 브란트가 동독의 존재를 실질적으로 인정하면서 정치적 통일을 미래의 과제로 설정했음에도 불구하고 불안감을 해소하지 못했다. 그 결과 동독은 사회주의 국가로서 서독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주장하며 2민족 2국가주의를 주장하기 시작했다. 결국 브란트의 문화민족 개념은 서독 내에서는 CDU 등 야당과, 그리고 밖으로는 동독과 치열한 논쟁의 주제가 되었다. West Germany(Bundesrepublik Deutschland, BRD) didn`t admit East Germany(Deutsche Demokratische Republik, DDR) as a state since 1949. But West German Chancellor Willy Brandt from SPD in 1969 admitted that there were two states in Deutschland, and he started the negotiation between West Germany and East Germany in the same rank. Brandt thought the reunification still remained an aim but its realization was without any prospect in the immediate future. The present aim, therefore, was to work towards a modus vivendi which would prevent the further drifting apart of the divided German people and keep the way open for a fair solution to the problem of the divided nation in the future European peace settlement. The emphasis was to be shifted from reunification to the easing of human problems and to the overcoming the border with the DDR by recognition it. Brandt took the view that although the existence of the two German states should be acknowledged, the BRD could never accept the DDR as a foreign nation. He put forward the theory of two states within the single German nation who therefore should have a special relationship. According to Meinecke`s argument, nation was divided as the state-nation and the culture-nation. Brandt`s nation concept was the culture-nation. Brandt insisted that national consciousness is a important element to establish the nation. He also insisted that a sense of national identity existed with the communication structure. Brandt`s ostpolitik was politics for maintaining the identity of n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