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三論玄義』의 성립배경에 대한 검토

        최연식(Choe, Yeon Shik) 한국불교연구원 2014 불교연구 Vol.41 No.-

        吉藏의 저술로 전하는 현재의『삼론현의』는 일본 불교계에서만 전해진 문헌이며, 이 책은 9세기의 문헌에 처음으로 나타나고 있다. 9세기에 활동한 安澄, 玄叡등의 저술에 이 책이 처음으로 인용되고 있고, 10세기의 불전목록에 길장의 저술로 확실하게 나타나고 있다. 9세기 이전의 자료들 중에도『삼론현의』라는 책 이름이 보이고 있지만 이 책은 현재 吉藏의 저술로 전하는『삼론현의』와는 별개의 책으로 확인된다. 나라시대의 寫經관련 고문서들에『삼론현의』라는 책이 보이지만, 이 책은 元曉의 저술로서 審詳이 8세기 중엽 일본에 전래한 문헌 중 하나로 확인된다. 현재『삼론현의』는 단일한 문헌으로 유통되고 있지만 내용을 검토해 보면『中論』『百論』『十二門論』등 三論의 근본취지[大歸]를‘破邪’와 ‘顯正’으로 설명하고 있는 전반부와 三論각각의 특성과 상호 관계를 논하고 있는 후반부는 용어의 사용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삼론학 논서들을 전반부에서는 三論이라고 표현하는데 반해 후반부에서는 四論이러고 일컫고 있다. 또한 『中論』의 이름을 전반부에서는 正觀論이라고 부르는데 반해 후반부에서는 中觀論이라고 일컫고 있다. 전반부와 후반부의 연결도 자연스럽지 않다. 현재의『삼론현의』는 서두에서 책이 크게 두 부분 즉 ‘通序大歸’와 ‘別釋衆品’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밝히고 있는데, 전반부의 내용은 ‘通序大歸’에 해당하지만 후반부의 내용은 ‘別釋衆品’으로 보기 힘들다. 내용상으로도 후반부 처음에 나오는 ‘次明經論相資’는 앞부분과 잘 이어지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이 현재의『삼론현의』는 전반부와 후반부의 성격이 서로 다르고, 연결도 자연스럽지 않아서 두 개의 다른 두 문헌을 결합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와 관련하여 나라시대의 寫經문서들에는 나타나지만 헤이안시대 이후에는 보이지 않는 삼론학 문헌인 『三論玄義』,『中觀論宗要』,『三論宗要記』,『中觀論記』등이 주목된다. 이들은 제목으로 볼 때 三論혹은 그 대표격인『中論』의 핵심 사상을 정리한 綱要書성격의 문헌으로 생각되는데, 이는 현재의『삼론현의』의 성격과 상통하는 것이다. 그런데 고문서에 나오는 모습으로 볼때『三論玄義』와『중관론기(현)』,『중관론종요』와『삼론종요(기)』는 각기 동일한 문헌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현재의『삼론현의』전반부와 후반부를 두 문헌에 대비해보면 내용상 전반부는『중관론종요』(=『삼론종요(기)』), 후반부는『삼론현의』(=『중관론기(현)』)에 대응되는데, 분량상으로도 나라시대 고문서에 보이는『三論宗要』(16紙)와『中觀論記』(20紙)의 분량은 현재 大正藏에 수록되어 있는『三論玄義』의 분량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 이상의 상황으로 볼 때 현재의『삼론현의』는 나라시대 사경 문서에 보이는『중관론종요』(=『삼론종요』)와『삼론현의』(=『중관론기』)를 결합하여 새롭게 편집한 책일 가능성이 대단히 높다고 생각된다. 두 책은 모두 심상이 신라에서 일본으로 전래한 문헌들로 나타나고 있는데, 그렇다면 현재의『삼론현의』는 기존에 알려진 것처럼 吉藏의 저술이 아니라 신라에서 편찬된 삼론학 관련 문헌들을 토대로 일본에서 새롭게 편찬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현재의『삼론현의』의 저본이 된 책들의 성격, 특히 길장 저술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앞으로 더욱 자세히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The Sanlunxuanyi , the famous catechism of Sanlun philosophy regarded to be a work of Jizang, was circulated only in Japan before 19th century. The earliest mentions of this book was found in the 9th century Japanese Sanlun literature and the 10th century Buddhist catalogues clearly recognized it as Jizang’s work. Though the same title is found in some lists of buddhist books contained in the documents of Nara period, it was different from the present Jizang’s work. It was the Wonhyo’s lost work and one of the books brought to Japan from Shilla by Shinzo in 8th century according to the documents. The present Sanlunxuanyi consists of two parts; the former tells about the intents of the main texts of Sanlun philosophy, while the latter explains the peculiarities and greatness of Sanlun texts and the samenes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selves. Though they are the components of the same book, the two parts show some differences in style. The former uses the term ‘Sanlun(three sastras)’ to mention the main texts of the school, while the latter uses‘Silun(four sastras).’ Also the former calls the Zhonglun, the core text of the school, as Zhengguanlun, while the latter calls it Zhongguanlun. The connection of both part is unnatural. At the beginning of the book it is said that it is composed of the general explanation of the intents of the Sanlun texts and the specific explanations on the individual chapters of the texts. The former part can be regarded as the general explanation, but the latter part can not be the specific explanations on the individual chapters. There is no reason that the first passage of the latter part should follow the last passage of the former part. Seeing the differences in the style and the incongruity 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two parts of the present Sanlunxuanyi , it is very probable that the work is a compound of two different works. With this, the Sanlun works such as the Sanlunxuanyi , the Zhongguanlun zhongyao, the Sanlun zhongyaoji and the Zhongguanlunji which were shown in the Nara period documents but missed in the Buddhist catalogues of Heian period are attended. Considering the titles, these works must have been the catechisms or introductions to the Sanlun philosophy like the present Sanlunxuanyi . Comparing the book lists which contain the works, it is very probable that the Sanlunxuanyi is identical with the Zhongguanlunji and the Zhongguanlun zhongyao with the Sanlun zhongyaoji . Considering the titles, the former part of the present Sanlunxuanyi matches with the Zhongguanlun zhongyao or the Sanlun zhongyaoji , and the latter part with the Sanlunxuanyi or the Zhongguanlunji . Also the volume of the Zhongguanlunji and the Sanlun zhongyaoji recorded in the Nara period documents is the same with that of the former part and latter part respectively. Considering these things, it is very probable that the present Sanlunxuanyi is the compound of the Zhongguanlun zhongyao and the Sanlunxuanyi of Nara period. It is noticeable that the two works which consist the present Sanlunxuanyi were brought to Japan by Shinzo who had studied in Shilla. They might have been written in Shilla by Shilla monks. Then it can be said that the present Sanlunxuanyi is not a work of Jizang, but a compound made in Japan with the works written in Shilla.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works, especially the relations with the works of Jizang, should be examined in detail.

      • KCI등재

        진도 용장성 출포 명문과 및 청동합 명문의 내용을 통해 본 용장성내 사찰의 역사적 성격

        최연식(CHOE, Yeon-Shik)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019 島嶼文化 Vol.0 No.53

        이 글에서는 진도 용장성에서 발견된 명문와 12점과 청동합 2점의 명문 내용을 검토한 후 그 내용을 토대로 용장성 안에 있던 고려시대 사찰의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명문와 [01]에는 太平 10년(1030)경에 건립된 金沙寺가 보이는데, 이 사찰은 용장산성 지역에 존재했던 최초의 사찰로 생각된다. 명문와 [02]와 [03]에는 진도 바깥의 해남과 구례 지역에 있던 別珍莊과 沙等山村 지역에서 제작한 기와가 공급되었음이 기록되어 있는데, 이들은 13세기 전반기에 무인집정자 崔瑀(崔怡)의 아들 萬全이 이곳에 사찰을 새로 건립할 때에 활용된 것으로 생각된다. ‘願堂主’라는 내용이 보이는 [04]도 이때의 사찰 건립과 관계된 것으로 보인다. 명문와 [09]의 내용으로 볼 때 1243년경에 이 지역에 산성이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며, 그로부터 멀지 않은 시기에 만전이 월출산 남쪽에 새로 月南寺를 창건한 것으로 볼 때 만전은 자신이 근거지를 진도에서 월출산 지역으로 옮긴 것으로 생각된다. 나머지 명문와들은 단편적 내용이어서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없다. 청동합 명문와 [13]에는 최우의 진양부에서 月南社에 이 청동합을 만들어준 사실이 기록되어 있는데, 이 月南社는 만전이 건립한 용장성의 사찰을 근거지로 한 신앙결사의 이름으로 생각된다. 만전이 월출산에 새로 지은 사찰의 이름인 月南寺는 이 진도의 月南社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또 다른 청동합에는 ‘卅四’라는 숫자가 기록되어 있는데, 진양부에서 만들어준 청동합의 숫자와 관련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과 같은 명문와와 청동합의 명문으로 볼 때 11세기 초에 진도 용장성에 출현하였던 金沙寺는 12세기 중엽 萬全이 축조한 새로운 사찰로 계승되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용장성의 축조로 그 흐름이 단절된 것으로 보인다. 만전이 건립한 사찰은 월출산 남쪽으로 옮겨져 月南寺라는 이름으로 조선후기까지 그 맥이 계승되었다. Twelve kinds of roof-tiles and two bronze bowls bearing inscriptions on themselves have been found in the excavation of the Yongjang Castle in the Jindo Island. In this paper we tried to survey the history of the Buddhist temple located in the castle through the examination on the inscriptions. According to the inscription of the roof-tile 01, the Geumsa-sa temple was founded in the April of 1030, which must have been the first Buddhist temple on this site. Roof-tile 02, 03 and 04 show that the temple was re-built in the 1230s by Manjeon, the tonsured son of the general-dictator Choe Woo, and not a little roof-tiles were provided by the people of Byeoljin-jang village of Haenam and Sadeungsan-chon village of Gurye for the construction. But the re-built temple could not survived long. According to the roof-tile [09] a castle was constructed for the defence against the Mongolian invaders after 1243. The stele of Seon Master Hyeshim, the teacher of Manjeon, shows that Manjeon moved his temple to the area at the time. The inscriptions of other roof-tiles are short and difficult to find the historic backgrounds. The inscriptions of the bronze bowls tells that they were made by the Jinyag-bu, the general office of Choe Woo, and presented to the Wolnam-sa(月南社) society, the religious society which must have been found by Manjeon in Jindo. The name of the society is the similar to the the new temple built at the Mt. Wolchul, Wolnam-sa(月南社). We can infer that the new temple was named after the society in Jindo.

      • KCI등재

        海南 大興寺所藏 ‘塔山寺銅鐘’ 銘文의 재검토

        최연식(Choe Yeon-shik) 한국목간학회 2010 목간과 문자 Vol.6 No.-

        海南 大興寺에 소장되어 있는 塔山寺鐘에 새겨져 있는 두 개의 銘文 중 고려시대의 사실을 기록하고 있는 癸巳年銘文은 다른 고려시대 금석문과 비교할 때 誤字와 잘못된 표현들이 보이고 있다. 이는 이 명문이 원래의 것이 아니라 다른 종에 있던 내용을 후대에 옮겨 기록한 것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탑산 사종에 있는 또 다른 명문인 1593년의 명문 내용을 통해 볼 때 현재의 종은 임진왜란 때 총포 제작을 위 해 징발된 원래의 종을 대신해서 나중에 마련되었으며 이 새로 마련된 종에 원래 있던 종의 명문을 옮겨 적은 것으로 생각된다. 계사년명문은 현재 장흥군 용산면 어산리 지역에 위치하였던 어산향 자복사의 종의 제작에 대하여 기록하고 있다. 어산향 자복사의 승려와 어산향 호장 등에 의해 993년에 만들어진 종은 본래는 어산향 중심지의 사찰에 봉안되어 있다가 고려말 조선초에 향·소·부곡 등의 지역이 철폐되고 고을 중심지에 있던 邑內 사찰들이 철폐되는 사회적 변화 속에 천관산 탑산사로 옮겨졌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다시 임진왜란 때에 총포를 만들기 위해 징발되어 亡失되게 되었고, 종에 있던 명문만이 탑산사에서 새로 마련한 종에 옮겨 새겨지게 되었던 것이다. 비록 종의 실물은 전하지 않고 명문만이 남아 있지만 이 명문은 고려시대 鄕 지역의 불교 신앙에 관한 구체적 모습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The bell of Tapsan-sa temple kept at Daeheung-sa in Haenam have two inscriptions. One of them, the Gyesa(癸巳) inscription, has been regarded as having been recorded in Goryeo dynasty, but compared to other Goryeo dynasty inscriptions it must have some miswritings and omissions. This miswritings and omissions shows that the Gyesa inscription is not the original but transcribed from other bell. Through the contents of the other inscription, the Manryeok inscription, we can infer that the Gyesa inscription originally belonged to a bell which had been at Tapsan-sa temple before the 1593, which was put in requisition as the material for the guns. Soon the temple got a substitute for the old bell and transcribed the original inscription on it. According to the Gyesa inscription the original bell was made in 993 by monks and head officials of the Eosan Hyang. It must have been in the bliss-invoking temple of Eosan Hyang. The bliss-invoking temple which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Eosan Hyang was abolished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when all the Hyang areas absorbed into other bigger areas and most of the town temples aolished. After that the bell moved to the Tapsan-sa located in the Mt. Cheongwan until it was put into requisition and melted to the material for the guns. Though it in not the original one, the Gyesa inscription is an important material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Buddhist activities in the Hyang areas.

      • KCI등재

        완주 송광사의 창건 배경 및 조선후기 불교 문파와의 관계

        최연식(CHOE Yeon shik) 보조사상연구원 2017 보조사상 Vol.47 No.-

        완주 송광사는 본래 전주 동북쪽 청량산에 있던 圓巖寺의 승려들이 1622년에 자신들의 사찰이 불탄 것을 계기로 근처에 새로운 사찰을 창건함으로써 성립되었다. 이들은 새로운 사찰터가 옛날 고려의 보조국사 지눌이 사찰을 창건하려던 곳이라고 주장하면서 새로운 사찰 창건의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고, 사찰의 낙성에 즈음하여서는 전라도 관찰사에게 요청하여 명망 높은 의승장이자 지눌이 주석했던 순천 송광사와 인연이 있는 부휴계의 대표적 고승 碧巖覺性을 초빙하여 사찰의 위상을 높이려 하였다. 마침 새로 축조된 무주 적상산성과 史庫의 수호 책임자로 임명되었던 벽암각성은 부담스러운 임무를 맡는 대신에 새로 창건한 승려들의 요청을 받아들여 송광사로 옮겨와 주석하며 새 사찰의 발전을 주도하였다. 문도들과 함께 들어와 본존불의 봉안을 주도하고 사찰의 낙성 행사로 대규모의 화엄법회를 거행하여 신흥 사찰 송광사의 위상을 높였다. 아울러 중앙의 고위 인사들에 부탁하여 새 사찰의 창건과 자신의 주석 사실을 기록한 개창비를 건립함으로써 송광사가 중앙에까지 인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 벽암각성을 초빙한 송광사 승려들은 자발적으로 벽암각성의 문도가 되었고, 송광사는 벽암각성이 속한 부휴계의 거점 사찰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1642년 벽암각성이 떠난 후에도 송광사는 부휴계의 주요사찰로 기능하였지만 18세기에 들어와 새롭게 청허계의 영향력이 대두하였다. 전주 출신으로 송광사에서 출가하였던 無竟子秀는 젊은 시절 청허계의 秋溪有文에게 嗣法한 후 청허계의 계승자를 자처하였고, 그의 영향력이 강해진 1734년에는 청허계 고승들의 진영이 송광사에 봉안되었다. 이후 송광사는 기존의 부휴계 전통과 새로운 청허계 법맥이 공존하게 되었지만 무경자수의 문도들이 번성하는 가운데 청허계의 위상이 더 높아졌던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송광사가 조선후기 불교계 양대법맥의 결절점적인 성격을 띠는 가운데 18세기 후반 조선 불교계의 법맥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자 한 『서역중화해동불조원류』가 이곳에서 편찬, 간행되게 되었다. After Wonamsa temple in the northeast of Jeonju, the capital of Jeolla-do province, was burnt down in 1622, the monks who have resided there started to build a new temple near it. They named it Songgwangsa arguing that they just fulfilled the prophecy of the famous Goryeo dynasty Seon[Zen] master Jinul who dropped by the place and made a mark for a wonderful temple site in the future when wandering all the country before he settled down at Songgwangsa in Suncheon. They also tried to invite the famous patriotic monk-general and Seon[Zen] master Byeogam Gakseong who resided at the Songgwangsa in Suncheon and led the Buhyu school to secure the prestige for their new temple. They asked the provincial governor to order Byeogam Gakseong just appointed as the general manager of a newly built mountain castle for the protection of Dynasty Records in the Jeolla province to move to the new temple as a leader. Following the request Byeogam Gakseong moved to the new temple with his disciples and completed the foundation of it. He presided the enshrinement ceremony of the main Buddha statue and hold the Huayan sutra lecture commemorating it for 50days. The indigenous monks respected him as their master and the new Songgwangsa was regarded as one of the important temples of Buhyu school. Though he returned to Sanggyesa in Jiri mountain, his main temple, in 1642, Byeogam Gakseong maintained the relation with the new temple in Wanju and its monks. It remained as a foothold of Buhyu school during 17th century. But in the 18th century the influence of Cheongheo school, the rival of Buhyu school and most influential Seon lineage in late Joseon dynasty, infiltrated Songgwangsa in Wanju. Mugyeong Jasu, native of Jeonju and ordained at Songgwangsa, had learned under Chugye Yumun of Cheongheo school and established his identity as a successor of the school. Becoming the influential senior of the temple in 1730s, he made the portraits of the eminent monks of the school enshrined in Songgwangsa. Since then the influence of Cheongheo school became stronger in the temple. It must have been because of this special character of this temple that the Seoyeok junghwa haedong buljo wonryu (the Lineage of Indian, Chinese and Korean Patriarchs), the genealogy of Seon monks which cherishes the tradition of both the Buhyu and the Cheongheo school was edited and printed there.

      • KCI등재

        일반논문 : 문초(文超)의 저술(著述)과 원효(元曉) 화엄사상(華嚴思想)의 관련성에 대한 검토

        최연식 ( Yeon Shik Choe ) 한국사상사학회 2011 韓國思想史學 Vol.0 No.39

        본 논문에서는 중국 화엄교학을 집대성한 法藏의 제자로 알려진 文超의 저술을 확인하고 그의 저술에 보이는 新羅 불교사상 특히 元曉 불교사상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현재 文超의 저술로 알려진 『華嚴經關脈義記』와 『自防遺忘集』 등 2종의 저술이 전해지고 있지만, 전자에 대해서는 문초의 저술이 아니라는 견해가 강하고, 『華嚴經義?』라는 이름으로 전해지는 후자에 대해서는 『자방유망집』과 동일한 책인지가 확정되고 있지 않다. 『華嚴經關脈義記』의 경우 서문에서 저자 스스로 자신을 ``起``라고 밝히고 있는데, 화엄교학 초기에 활동한 인물 중 ``起``라는 이름을 갖는 사람이 확인되지 않는 것으로 볼 때 ``(文)超``를 잘못 기록한 것으로 파악된다. 옛 사본에서 超와 起가 혼동되는 사례가 많을 뿐 아니라 실제로 후대의 목록 등에서 文超가 文起로 기록된 사례들이 있기 때문이다. 동아시아에서 찬술된 문헌에 대해 비교적 정확한 정보를 전하고 있는 義天의 『新編諸宗敎藏總錄』에서도 이 책의 저자를 文超라고 밝히고 있는 점으로 볼 때 현재 전하고 있는 『華嚴經關脈義記』의 저자는 문초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한편 『華嚴經義?』의 경우 이 책의 필사기와 내용 및 서술 방식 등으로 볼 때 현재 일부 인용문이 전해지고 있는 『自防遺忘集』과 동일한 책으로 보아 문제가 없다. 필사기의 내용으로 볼 때 ``華嚴經義?``는 이 책의 본래 제목이 아니라 후대에 화엄경에 관한 주석서라는 의미에서 임의로 붙인 제목으로 생각된다. 서술된 내용으로 볼 때 이 책은 본래 『自防遺忘集』의 제1권에 해당되는 것으로 파악된다. 현재의 『華嚴經義?』 즉 『自防遺忘集』 제1권에는 元曉의 『十門和諍論』과 『華嚴經疏』가 중요하게 인용되고 있으며, 『관맥의기』와 『자방유망집』 전체의 내용에서도 원효 사상의 영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 문초의 사상은 『大乘起信論』을 중시하면서 화엄교학과 『대승기신론』을 회통하려는 특성을 갖고 있다고 지적되었는데, 이러한 사상 경향은 원효 사상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이해된다. 후대 澄觀 이후 중국 화엄학에서는 초기 화엄학자들과 달리 화엄교학과 『대승기신론』을 조화시키면서 一心을 강조하는 경향이 강해지는데, 그 배경에는 원효 사상의 영향을 받은 문초의 사상이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In this article we identified the works of Wenzhao, the disciple of Chinese Huayan patriarch Fazang, and also examined the influence of Wonhyo`s thought in them. Though 2 pieces of Wenzhang`s works remains - the Huayanjing Guanmai yiji(華嚴經關脈義記) and Zhifang yimangzhi(自防遺忘集) - they are not confirmed as his works yet. On the former work some later Huayan monks and even modern scholars have argued that it was not written by Wenzhang but other person such as Fazang or his other disciple, while on the latter work, many scholars doubt that the remained text really identifies with Wenzhao`s Zhifang yimangzhi because it has the title of Kegonkyo gisho(華嚴經義?). The former can be identified as Wenzhao`s work, since Uicheon`s bibliography which contatins the most believable informaiton on East Asian buddhist works said it as his work. In fact the preface the author mentions his name as Chi(起), but the character can be the misspelling of Zhao(超). The same kind of misspelling is not rare in the East Asian manuscripts and in a 12th Century Japanese bibliography his name is wirtten as Wenchi(文起). Also the Kegonkyo gisho can be identified as Wenzhao`s Zhifang yimangzhi, since in the style and contents the former is very similar to the paragraphs of the latter quotated in later Huayan works. According to the colophon of this text the title of Kegonkyo gisho might have been arbitrarily added by a medieval Japanese monk who had regarded this work as a commentary on the Huayanjing. Judging by the topics mentioned in it the Kegonkyo gisho can be regarded as the first volume of the Zhifang yimangzhi. It is noteworthy that Wonhyo`s Simmun hwajaengron and Hwa`eomgyeongso are quoted as the important texts in the Kegonkyo gisho, the first volume of Wenzhao`s Zhifang yimangzhi. In both of Wenzhao`s works we can also find the influence of Wonhyo`s thought. It has been said that Wenzhao regarded the Dacheng qishin lun highly and tried to synthesize the Huayan theories with the Dacheng qishin lun thought. This character of Wenzhao`s thought is very similar to Wonhyo`s and can be regarded as influenced by Wonhyo. Chinese Huayan thoughts after Chengkuan was different from those of earlier patriarchs in the points of harmonizing the Huayan theories with the Dacheng qishin lun thought and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One Mind. We can infer that this kind of change in Chinese Huayan school started by Wenzhao who was influenced by Wonhyo`s thought.

      • KCI등재

        조선후기 佛敎小話集의 수용과 유통

        최연식(Choe, Yeon-Shik)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7 佛敎學報 Vol.0 No.80

        이 글에서는 조선후기에 수용, 유통된 불교 소화집(小話集)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조선후기 불교계에는 짧은 분량의 불교 일화들을 모아 놓은 불교 소화집이 활발하게 유통되고 있었다. 15세기에 명나라에서 편찬된 『석씨원류』는 17세기와 18세기에 각기 서울과 전라도 지역에서 간행되어 불교계에 널리 유통되었으며, 조선후기의 팔상도와 석가여래 전기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종래 13세기에 한국에서 편찬된 것으로 알려진 『석가여래십지수행기』는 실제로는 15세기 명나라에서 편찬된 것으로 17세기 중엽 충청도 지역에서 번각, 간행되어 불교계에 유통된 것으로 확인된다. 이 책은 간본은 많지 않지만 필사되어 널리 읽힌 것으로 보이며 〈적성의전〉이나 〈금송아지전〉 등의 한글 소설 출현에 영향을 미쳤다. 중국 남북조시대 후기에 편찬된『금장요집경』은 일찍이 고려시대에 목판본으로 간행되었는데, 조선후기에 들어와 새롭게 유통된 모습이 보이고 있다. 18~19세기에 고려시대 목판을 이용한 간본이 보이고, 그 내용을 일부 발췌한 필사본들도 확인되고 있다. 이 중에는 그동안 확인되지 않았던 권5의 앞부분도 보이고 있다. 이처럼 조선후기에는 중국의 불교 소화집들이 새로 수용되거나 새롭게 유통되고 있는데, 이는 조선후기 불교계의 대중화와 관련하여 주목할 모습이라고 생각된다. 정부의 억불정책으로 위축되어 있던 조선의 불교계는 日本과 後金의 잇단 침략을 방어하는데 적극적으로 참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17세기부터 다시 그 세력을 회복하게 되었다. 정부는 기존의 억불정책에서 벗어나 불교계의 발전을 지원하는 대신 그들을 국가 운영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쪽으로 정책 방향을 바꾸었다. 이에 따라 불교계는 체제를 재정비하고 사회의 주요 세력으로서 기능할 수 있게 되었다. 새롭게 발전하는 조선후기 불교계의 모습 중 하나로 불교의 대중화를 생각해 볼 수 있는데, 불교 소화집의 유통은 이러한 불교 대중화의 구체적 모습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 시기에 수용된 불교 소화집들은 일반인들에게 불교의 기본적 가르침을 전파하는데 유효하게 활용되었을 뿐 아니라 일반 서민문화에 불교적 요소가 침투하는 중요한 매개체로 기능하였다. This paper surveyed the Buddhist short story collections circulated in the Joseon dynasty. The Seoksi Wonryu (Ch. Shishi yuanliu) compiled in Ming China in the 15th century was introduced to Korea in the 17<SUP>th</SUP> century and reprinted by woodbolcok both at the Bulam-sa temple near Seoul and at the Seonun-sa temple in Jeolla-do province. The woodblcoks of both temple were used frequently and read by many people. The paintings of 8 great events of Buddha and the biography of Buddha made in the late Joseon dynasty reveals not a little influence of the book. The Seokgayeorae shipji suhaeng-gi (Ch. Shijia rulai shidi xiuxing ji) known as a Korean compilation in the late 13<SUP>th</SUP> century was in fact compiled at the Chinese palace in the 15<SUP>th</SUP> century and reprinted at the Degkju-sa temple in Chungcheong-do province in the middle of the 17<SUP>th</SUP> century. Though there remain very few copies of it, the influence of this work cannot be overlooked. The fact that the famous novels written in Korean characters such as the Jeokseong’ui jeon and the Geumsong’aji jeon were made as the adaptations of some stories of it hints the wide circulation of the work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woodblocks of the Geumjang yojip-gyeong (Ch. Jinchang yaoji jing), a 6<SUP>th</SUP> Century Chinese compilation, were made in the Goryeo dynasty and there remain some prints of them. But not all the prints were made in the Goryeo dynasty. One of the woodblock copy of it was founded to be print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re are some hand writing copies made in the same period. One of the hand copy of it includes the first part of the 5<SUP>th</SUP> volume which has not been recognized before. It means that this work was read by many people in the time. Like this, the Buddhist short story collections were newly introduced or re-discovered among the old books and circulated widely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circulation of Buddhist short story collections can be one of the important aspects of the Buddh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Korean Buddhism revived after the Japanese and Manchurian invasion through the contribution of Buddhist monks to the protection of the country. The reorganized Buddhist society tried to accomplish good support not only from the government but also from the common people. The Buddhist short story collections might have been the useful media for the popularization of the Buddhism among the common people.

      • KCI등재

        『화엄경문답』과 『일승법계도』를 통해 본 의상(義相)의 화엄경 인식

        최연식 ( Yeon Shik Choe ) 한국사상사학회 2015 韓國思想史學 Vol.0 No.49

        의상의 사상은 주로 『일승법계도(一乘法界圖)』를 통해 논의되었는데, 최근에 그의 강의록으로 알려진 『화엄경문답(華嚴經問答)』의 내용과 관련지어 이해할 때 보다 종합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화엄경문답』에서는 『화엄경』의 가르침만이 진리를 완전하게 전하고 있기 때문에 『화엄경』의 가르침을 통해서만이 온전한 깨달음에 이를 수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그런데 『화엄경』의 가르침은 하나의 단어가 모든 것을 의미하는 법계연기적 언어로 되어있기 때문에 그 가르침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수행자가 먼저 그러한 언어를 이해할 수 있는 무분별지를 갖추어야 한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화엄경문답』의 입장은 불교의 여러 경전 중에서 오직 『화엄경』에만 집중하면서, 『화엄경』의 내용을 이론적 탐구가 아니라 무분별지를 얻기 위한 명상수행을 통해 이해하려는 입장으로 연결되게 된다. 『일승법계도』는 『화엄경』을 절대적이고 완전한 가르침으로 파악한 의상이 그것을 선양하기 위하여 저술한 것이다. 먼저 『화엄경』의 핵심 내용을 7언 30구의 시로 압축하고, 그것을 다시 도상의 형태로 표현하여 <법계도>를 만든 다음 그것을 설명하고 있다. 『일승법계도』는 『화엄경』의 요약이자 『화엄경』 이해를 위한 수행 지침서인 것이다. 특히 여기에서는 『화엄경』의 내용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무분별지를 갖추게 하기 위하여 수전법(數錢法)이라는 구체적 수행방법을 아울러 제시하였다. 수전법은 사물들을 다른 것과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극복하고 하나의 사물이 동시에 다른 사물과 동질적임을 인식할 수 있게 하려는 것으로서, 그것을 통해 얻어지는 인식능력은 다름 아닌 『화엄경문답』에서 강조한 무분별지였다. Uisang`s thought has been examined mainly through his One Vehicle Dharma Realm Seal(一乘法界圖). But as the Questions and Answers on Huayan Sutra(華嚴經問答) transmitted in Japan was found to be the record of his lecture on the Huayan Sutra recently, the contents of the Dharma Realm Seal can be understood more comprehensively when discussed in relation with it. In the Questions and Answers Uisang says that only the Huayan Sutra perfectly represent the truth and we can accomplish the perfect enlightenment only through the teaching of the Huayan Sutra. He also says that as the Huayan Sutra is told in the way of Dharmadhatu dependent arising(法界緣起), in which one is all and all are one, each being a universal cause and which is understood only by the non-discriminative wisdom, the disciplinant who wants to understand the teaching of the Huayan Sutra should master the wisdom. This teaching introduced his disciples to concentrate only on the understanding of the Huayan Sutra not by the logical explanation but through the meditation to get the non-discriminative wisdom. Uisang write the One Vehicle Dharma Realm Seal in order to exalt the Huayan Sutra which he regards as the perfect and absolute teaching among all the Buddhist Sutras. In this work Uisang summed the core contents of the Huayan Sutra into a poem of 30 lines of seven Chinese characters and represent in a seal of concentric circular form. And he explains the contents of the poem and the form of the seal. In this respect the One Vehicle Dharma Realm Seal should be regarded as the summary of the Huayan Sutra and guide for the disciplines. In the latter part he introduces the simile of counting coins as the method to get the non-discriminative wisdom.

      • KCI등재

        일반논문 : 해인사 대적광전 비로자나불 복장(腹藏) 백지묵서사본의 기초적 검토 -서지적(書誌的) 특징과 판독을 중심으로-

        최연식 ( Yeon Shik Choe ) 한국사상사학회 2014 韓國思想史學 Vol.0 No.48

        2005년 해인사 대적광전(大寂光殿)에 봉안되어 있던 소형 비로자나불상의 복장물 중에서 기존에 알려져 있지 않던 내용의 백지묵서사본이 발견되었다. 본 사경은 길이가 서로 다른 9장의 종이를 이어붙인두루마리로 앞부분 일부가 결락된 잔권(殘卷)이었다. 문서는 초서로 씌어졌으며, 行과 글자의 간격이 고르지 않고, 다수의 수정과 첨가가 있는데, 이런 점으로 볼 때 불상의 복장물로 납입하기 위해 새롭게 제작한 것이 아니라 전래되어 오던 옛 고승의 유묵을 복장 납입할 때함께 납입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백지묵서사본은 전체 477행인데 이중 170행까지의 전반부에는 유식학 관련 내용이 적혀 있고, 171행 이하의 후반부에는 기존에 규기(窺基)의 저술로 알려진 『아미타경소』가 초략(抄略)되어 있다. 전반부는 앞부분이 결락되어 구체적 제목이나 성격을 알 수 없지만 남아 있는 내용으로 볼 때 유식학(唯識學)과 관련된 주요 개념들에 대한 논의들을 정리한 것이다. 남아 있는 내용은 크게 10여 개의 주제로 구분할 수 있으며 주로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과 『대비바사론(大毘婆沙論)』에 의거하여 대승과 소승의 아비달마에 대해 논하고 있다. 후대의 문헌에 보이지 않는 구체적 정보들을 전하고 있어 7세기 동아시아유식학에 관한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후반부는 기존에 알려진 문헌의 초록이기는 하지만 ‘현법사행진(玄法寺行眞)’이라는 실제 찬술자이름을 명시하고 있는 점에서 기존의 이해를 교정하게 하는 중요한자료이다. 대정장(大正藏)에 수록된 『아미타경소』와 비교할 때 전체의 약 5분의 1 정도의 분량이며, 부분 『아미타경소』의 내용 중에서 경전의 개념과 고유명사에 대한 설명들을 집중적으로 抄略하고 있다. 본 백지묵서사본의 서사시기는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11세기말 이후 고려 불교계에서 『아미타경소』가 규기의 찬술로 알려져 있던 것과달리 찬술자를 ‘현법사행진’으로 밝히고 있는 것으로 볼 때 적어도 11세기말 이전에 필사된 자료로 여겨진다. 서체가 현존하는 고려시대 이후의 문서들에 비해 고풍(古風)이고 전반부의 유식학 관련 내용 중에는 후대의 문헌에는 나타나지 않는 7세기 당시의 유식학 관련 정보들도 보이는데, 이를 고려하면 필사 시기는 고려시대 이전으로 올라갈가능성이 있다. In 2005, The White Paper Manuscript was found during the investigation of the stored articles in a wooden Virocana Buddha statue which locates in the Hae``in-sa(海印寺). It is an imperfect scroll originated from an unknown source. It consisted of nine sheets of papers which are different lengths respectively, and its beginning part was lost. The document is written in rare style of Cursive Chinese with many amendments and additions of letters, and the arrangements of the letters are also irregular. These features represent that when the statue was repaired in twelfth century, the manuscript was not made as a dedication for the statue but a relic which happened to be stored the sake of an important monk. The manuscript contains 477 lines and divides into 2 parts. The first part, up to the 170th line, seems to be the excerpt from an unknown commentary on consciousness-only theory. The latter part, from the 171th line, is the extract of the commentary of Amita Sutra, which has been known as the work of Kuiji(窺基), the famous scholar of consciousness-only. The first part describes a dozen of themes of consciousness-only theory based on Yogacara-bhumi and Abhidharma-mahabhivasha. Because the first part contains a few information unrevealed presently, it could be an important literature for the understanding of seventh century Eastasian Yogacara. the latter part is an extract of an existing theory, but it also describes an important information about the commentary. It states that the name of genuine author of the work. It is not the work of Kuiji, but of Xingzhen(行眞) who abode at Xuanfa-si(玄法寺) in Xian in 7th century. It is an a fifth extract of the original texts and the extracted is mainly the explanations on the notions and the name of disciples of Buddha appeared in the Amita Sutra. The exact moment of the manuscript was made is unknown. But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commentary of Amita Surta was recorded as the work of Kuiji in Uicheon``s catalog edited in the end of eleventh century, the manuscript which specifies the genuine author of it as Xingzhen should be written before eleventh century. The Cursive Style seems more archaic than that of Goryeo period and there are some informations on consciousness-only theory unseen in other Yogacara literature. Considering the facts that mentioned above, the manuscript could be written earlier than Goryeo dynas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