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질화물 박막을 이용한 단결정 $\beta$-SiC의 고온 ohmic 접촉 연구

        최연식,나훈주,정재경,김형준,Choe, Yeon-Sik,Na, Hun-Ju,Jeong, Jae-Gyeong,Kim, Hyeong-Jun 한국재료학회 2000 한국재료학회지 Vol.10 No.1

        내열금속인 W, Ti와 이들의 질화물인 $W_2$N, TiN 박막을 이용하여 탄화규소 ohmic 접촉을 연구하였다. 열처리 온도에 따른 고온 안정성과 전기적 특성 및 상호 확산 억제 특성을 고찰함으로써 이들 질화물의 고온에서 안정한 ohmic 접촉으로 이용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새로운 유기화합물 원료인 bis-trimethylsilylmethane을 이용하여 화학기상 증착법으로 증착한 단결정 $\beta$-SiC 박막과 W이 가장 낮은 접촉 비저항, 2.17$\times$10(sup)-5Ω$\textrm{cm}^2$를 보였으며, Ti 계열은 상대적으로 높은 접촉 비저항 값을 나타내었다. 이들 전극 위에 산화 방지막으로 Pt 박막을 증착함으로써 전극의 산화를 막을 수 있었으며, 질화물 전극은 고온에서 금속접촉에 비해 안정한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었고, 상호 확산 방지 특성 면에도 우수한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Refractory metals, W and Ti, and their nitrides, $W_2N$ and TiN, were investigated for using as an ohmic contact material with SiC single crystalline thin films. The possibility of nitride materials for using as a stable ohmic contact material of SiC at high temperatures was examined by considering the thermal stability depending on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their electrical properties and protective behavior from the interdiffusion. W contact with SiC thin films, deposited by using new organosilicon precursor, bis-trimethylsilylmethane, showed the lowest resistivity, $2.17{\times}10^{-5}$Ω$\textrm{cm}^2$. On the other hand, Ti-based contact materials showed higher contact resistivity than W-based ones. The oxidation of contact materials was restricted by applying Pt thin films on those electrodes. Nitride electrodes had rather stable electrical properties and better protective behavior from interdiffusion than metal electrodes.

      • KCI등재

        三別抄 以前 珍島 관련 역사자료의 재검토

        최연식(Choe Yeon-Shik) 역사문화학회 2011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4 No.1

        이 논문에서는 珍島에 관한 역사 자료에 대한 재검토를 통하여 三別抄 이전 시기 珍島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구체적 이해를 시도하여 보았다. 먼저 珍島라는 명칭의 語源이 되는 因珍島에 대해서는 珍이라는 글자가 ‘달(달)’이라는 고유어를 기록하는데 사용되었다는 것을 토대로 본래 ‘인달(달)섬’을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하고, ‘인달(달)’은 주변 지역에 있는 ‘무달(달)(=무등)’산, ‘유달’산, ‘승달’산, ‘한달’산 등과 마찬가지로 산의 명칭일 것으로 추정하였다. 진도를 대표하는 산의 이름이 ‘인달(?)’산이었고, 그것에서 섬의 명칭이 비롯되었다고 본 것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古郡面 古城里에 있는 古城을 고대 및 고려시기 珍島縣의 治所로 보고 있지만, 현재의 성은 조선초에 쌓은 것으로서 그 이전의 治所城으로 보기 힘들다. 고대 및 고려시대의 治所城은 대부분 平地 근처의 야트막한 山 위에 위치한 山城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평지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도 산과 평지를 연결하는 포곡식 산성의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는 점에서도 고성리의 고성 지역에 고려시대까지의 치소성이 있었다고 보기 힘들다. 고려시대까지의 치소는 현재 古城 근처의 산지에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고려말 왜구를 피해 육지로 옮겼던 진도현이 조선초에 섬으로 복귀하면서 이전 치소 근처의 평지에 성을 쌓아 새 치소를 마련한 것으로 생각된다. 고려전기 현종대 재상이었던 崔士威가 왕명을 받아 진도의 占察院을 개창하였는데, 이는 고려시대 진도 불교의 성격을 이해하는데 있어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왕명으로 창건된 점찰원은 진도현의 중심적 사찰로서 기능하였다고 생각되며, 명칭으로 볼 때 占察信仰을 중시하였던 眞表系 法相宗 사찰로 추정된다. 진도현의 대표적 산인 점찰산(첨찰산)의 이름도 이 사찰에서 비롯되었다. 진도는 무인정권과 각별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최씨정권 3대 집정자 崔沆은 승려 시절 진도의 사찰을 거점으로 경제적 기반을 마련하였고, 무인정권 말기에는 國史를 진도로 옮겨 봉안하게 하였다. 삼별초가 對元항쟁의 거점으로 珍島를 선택한 배경에는 그러한 관계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고 생각된다. In this article we tried to find some detailed historical and cultural facts on JIndo Island by re-examining some records on the island before the Sambyeolcho government. Firstly the Injin(do)[因珍(島)], the Baekje period name of Jindo, is believed to be the transcription of old Korean word Indal island, for the Chinese character 珍 is usually used for the pronunciation of ‘dal.’ As there are many mountains in the neighbor areas have similar names such as Yudal, Mudal, Seungdal, Handal, ‘Indal’ also can be the name of a mountain in Jindo. Secondly, contrary to usual belief the the Old Castle in Goseong-ri cannot be the old traditioned administration center from Baekje period. The castle was built in early 14th century and there is little evidence that there were any castle like it before. The administration centers were usually built on a not so high mountains near the flatland before 13th century, when the centers moved to deep mountains and islands to evade the Mongolian invasion. The flatland castles appeared in coastal areas in late 14th century for the protection of the centers which had moved again to the flatland areas in late 13th century after Mongolian war. Thirdly, there Jeomchal temple founded by Choe Sawi in early 11th century must have been the most important buddhist center of Jindo in Goryeo period, for it is founded under the royal command. The name of it hints that it belonged to the Faxiang sect which flourished at the time. And the name of Mt. Cheomchal must have derived from the temple. Fourthly, there was an strong relation between the military regime and Jindo even before the the Sambyeolcho government. Choe Hang, the 3rd ruler of Choe military regime used a temple in the island as his economic base and just before the formation of the Sambyeolcho government the national historic records were moved to the island from another place. It might be because of the special relation that the military regime chose the island as the center of their government.

      • KCI등재

        고려시대 원관(院館) 사찰의 출현과 변천과정

        최연식 ( Yeonshik Choe ) 이화사학연구소 2016 梨花史學硏究 Vol.0 No.52

        It is well known that there were many temples which had the hostel and accommodated the travelers in Goryeo period. But it has not been fully understood why and when such temples appeared, what position and functions they took in the Buddhist society. Nor it has not been answered what kind of people had interests in founding and managing them, how they were managed. This paper surveyed the development and the decline of the "Hostel Temples" in Goryeo period. Hoste temples appeared first during the reign of King Hyeonjong(r.1009-1031) and proliferated to all around the country until beginning of the 13th century. Most of them were located at the places where the main roads which connect the capital and southern provinces cross. The Honggyeong-sa built in 1021 was the first Hostel temple found in the records. Some of the temples built following the proposal of Choe Sawi(961-1041), the prime minister during Hyeonjong`s reign, were also regarded as Hostel temples. The appearance of the he Hostel temples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limits of the postal station system at the time. Public hostels managed by th government could only afford to accommodate the officials and public envoys. For the accommodation of other private travellers such as monks and merchants, it must have been the most convenient way for the King and the prime minister to utilize Buddhist properties and manpower. Most of the Hostel temples were built and managed by individual monks and officials. To participate in the building and management of the Hostel temples was to practice the Buddhist benevolence. It also presented the chances to increase their social and economic influences in the society to the monks and the officials. The Hostel temples could be succeeded by their disciples or descendants as their Petition temples. Hostel temples began to decline since 1230 when the overland transportation shrunk according to the invasion of Mongols. In the latter half of 14th century when King Gongmin and his successors tried to restore the overland transportation, many Hostels were made along the main roads. But the new Hostels were much different from the earlier Hostel temples. They were no more Buddhist temples. They were semi public facilities managed under the government provision and supervision, even though some of them were built after the earlier Hostel temples and operated by private people including monks or ex-monks. The government pursued to manage the postal station system by itself without the dependence on Buddhist properties and manpower.

      • KCI등재

        진도 용장성 출포 명문과 및 청동합 명문의 내용을 통해 본 용장성내 사찰의 역사적 성격

        최연식(CHOE, Yeon-Shik)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019 島嶼文化 Vol.0 No.53

        이 글에서는 진도 용장성에서 발견된 명문와 12점과 청동합 2점의 명문 내용을 검토한 후 그 내용을 토대로 용장성 안에 있던 고려시대 사찰의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명문와 [01]에는 太平 10년(1030)경에 건립된 金沙寺가 보이는데, 이 사찰은 용장산성 지역에 존재했던 최초의 사찰로 생각된다. 명문와 [02]와 [03]에는 진도 바깥의 해남과 구례 지역에 있던 別珍莊과 沙等山村 지역에서 제작한 기와가 공급되었음이 기록되어 있는데, 이들은 13세기 전반기에 무인집정자 崔瑀(崔怡)의 아들 萬全이 이곳에 사찰을 새로 건립할 때에 활용된 것으로 생각된다. ‘願堂主’라는 내용이 보이는 [04]도 이때의 사찰 건립과 관계된 것으로 보인다. 명문와 [09]의 내용으로 볼 때 1243년경에 이 지역에 산성이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며, 그로부터 멀지 않은 시기에 만전이 월출산 남쪽에 새로 月南寺를 창건한 것으로 볼 때 만전은 자신이 근거지를 진도에서 월출산 지역으로 옮긴 것으로 생각된다. 나머지 명문와들은 단편적 내용이어서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없다. 청동합 명문와 [13]에는 최우의 진양부에서 月南社에 이 청동합을 만들어준 사실이 기록되어 있는데, 이 月南社는 만전이 건립한 용장성의 사찰을 근거지로 한 신앙결사의 이름으로 생각된다. 만전이 월출산에 새로 지은 사찰의 이름인 月南寺는 이 진도의 月南社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또 다른 청동합에는 ‘卅四’라는 숫자가 기록되어 있는데, 진양부에서 만들어준 청동합의 숫자와 관련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과 같은 명문와와 청동합의 명문으로 볼 때 11세기 초에 진도 용장성에 출현하였던 金沙寺는 12세기 중엽 萬全이 축조한 새로운 사찰로 계승되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용장성의 축조로 그 흐름이 단절된 것으로 보인다. 만전이 건립한 사찰은 월출산 남쪽으로 옮겨져 月南寺라는 이름으로 조선후기까지 그 맥이 계승되었다. Twelve kinds of roof-tiles and two bronze bowls bearing inscriptions on themselves have been found in the excavation of the Yongjang Castle in the Jindo Island. In this paper we tried to survey the history of the Buddhist temple located in the castle through the examination on the inscriptions. According to the inscription of the roof-tile 01, the Geumsa-sa temple was founded in the April of 1030, which must have been the first Buddhist temple on this site. Roof-tile 02, 03 and 04 show that the temple was re-built in the 1230s by Manjeon, the tonsured son of the general-dictator Choe Woo, and not a little roof-tiles were provided by the people of Byeoljin-jang village of Haenam and Sadeungsan-chon village of Gurye for the construction. But the re-built temple could not survived long. According to the roof-tile [09] a castle was constructed for the defence against the Mongolian invaders after 1243. The stele of Seon Master Hyeshim, the teacher of Manjeon, shows that Manjeon moved his temple to the area at the time. The inscriptions of other roof-tiles are short and difficult to find the historic backgrounds. The inscriptions of the bronze bowls tells that they were made by the Jinyag-bu, the general office of Choe Woo, and presented to the Wolnam-sa(月南社) society, the religious society which must have been found by Manjeon in Jindo. The name of the society is the similar to the the new temple built at the Mt. Wolchul, Wolnam-sa(月南社). We can infer that the new temple was named after the society in Jindo.

      • KCI등재

        완주 송광사의 창건 배경 및 조선후기 불교 문파와의 관계

        최연식(CHOE Yeon shik) 보조사상연구원 2017 보조사상 Vol.47 No.-

        완주 송광사는 본래 전주 동북쪽 청량산에 있던 圓巖寺의 승려들이 1622년에 자신들의 사찰이 불탄 것을 계기로 근처에 새로운 사찰을 창건함으로써 성립되었다. 이들은 새로운 사찰터가 옛날 고려의 보조국사 지눌이 사찰을 창건하려던 곳이라고 주장하면서 새로운 사찰 창건의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고, 사찰의 낙성에 즈음하여서는 전라도 관찰사에게 요청하여 명망 높은 의승장이자 지눌이 주석했던 순천 송광사와 인연이 있는 부휴계의 대표적 고승 碧巖覺性을 초빙하여 사찰의 위상을 높이려 하였다. 마침 새로 축조된 무주 적상산성과 史庫의 수호 책임자로 임명되었던 벽암각성은 부담스러운 임무를 맡는 대신에 새로 창건한 승려들의 요청을 받아들여 송광사로 옮겨와 주석하며 새 사찰의 발전을 주도하였다. 문도들과 함께 들어와 본존불의 봉안을 주도하고 사찰의 낙성 행사로 대규모의 화엄법회를 거행하여 신흥 사찰 송광사의 위상을 높였다. 아울러 중앙의 고위 인사들에 부탁하여 새 사찰의 창건과 자신의 주석 사실을 기록한 개창비를 건립함으로써 송광사가 중앙에까지 인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 벽암각성을 초빙한 송광사 승려들은 자발적으로 벽암각성의 문도가 되었고, 송광사는 벽암각성이 속한 부휴계의 거점 사찰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1642년 벽암각성이 떠난 후에도 송광사는 부휴계의 주요사찰로 기능하였지만 18세기에 들어와 새롭게 청허계의 영향력이 대두하였다. 전주 출신으로 송광사에서 출가하였던 無竟子秀는 젊은 시절 청허계의 秋溪有文에게 嗣法한 후 청허계의 계승자를 자처하였고, 그의 영향력이 강해진 1734년에는 청허계 고승들의 진영이 송광사에 봉안되었다. 이후 송광사는 기존의 부휴계 전통과 새로운 청허계 법맥이 공존하게 되었지만 무경자수의 문도들이 번성하는 가운데 청허계의 위상이 더 높아졌던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송광사가 조선후기 불교계 양대법맥의 결절점적인 성격을 띠는 가운데 18세기 후반 조선 불교계의 법맥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자 한 『서역중화해동불조원류』가 이곳에서 편찬, 간행되게 되었다. After Wonamsa temple in the northeast of Jeonju, the capital of Jeolla-do province, was burnt down in 1622, the monks who have resided there started to build a new temple near it. They named it Songgwangsa arguing that they just fulfilled the prophecy of the famous Goryeo dynasty Seon[Zen] master Jinul who dropped by the place and made a mark for a wonderful temple site in the future when wandering all the country before he settled down at Songgwangsa in Suncheon. They also tried to invite the famous patriotic monk-general and Seon[Zen] master Byeogam Gakseong who resided at the Songgwangsa in Suncheon and led the Buhyu school to secure the prestige for their new temple. They asked the provincial governor to order Byeogam Gakseong just appointed as the general manager of a newly built mountain castle for the protection of Dynasty Records in the Jeolla province to move to the new temple as a leader. Following the request Byeogam Gakseong moved to the new temple with his disciples and completed the foundation of it. He presided the enshrinement ceremony of the main Buddha statue and hold the Huayan sutra lecture commemorating it for 50days. The indigenous monks respected him as their master and the new Songgwangsa was regarded as one of the important temples of Buhyu school. Though he returned to Sanggyesa in Jiri mountain, his main temple, in 1642, Byeogam Gakseong maintained the relation with the new temple in Wanju and its monks. It remained as a foothold of Buhyu school during 17th century. But in the 18th century the influence of Cheongheo school, the rival of Buhyu school and most influential Seon lineage in late Joseon dynasty, infiltrated Songgwangsa in Wanju. Mugyeong Jasu, native of Jeonju and ordained at Songgwangsa, had learned under Chugye Yumun of Cheongheo school and established his identity as a successor of the school. Becoming the influential senior of the temple in 1730s, he made the portraits of the eminent monks of the school enshrined in Songgwangsa. Since then the influence of Cheongheo school became stronger in the temple. It must have been because of this special character of this temple that the Seoyeok junghwa haedong buljo wonryu (the Lineage of Indian, Chinese and Korean Patriarchs), the genealogy of Seon monks which cherishes the tradition of both the Buhyu and the Cheongheo school was edited and printed there.

      • KCI등재

        海南 大興寺所藏 ‘塔山寺銅鐘’ 銘文의 재검토

        최연식(Choe Yeon-shik) 한국목간학회 2010 목간과 문자 Vol.6 No.-

        海南 大興寺에 소장되어 있는 塔山寺鐘에 새겨져 있는 두 개의 銘文 중 고려시대의 사실을 기록하고 있는 癸巳年銘文은 다른 고려시대 금석문과 비교할 때 誤字와 잘못된 표현들이 보이고 있다. 이는 이 명문이 원래의 것이 아니라 다른 종에 있던 내용을 후대에 옮겨 기록한 것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탑산 사종에 있는 또 다른 명문인 1593년의 명문 내용을 통해 볼 때 현재의 종은 임진왜란 때 총포 제작을 위 해 징발된 원래의 종을 대신해서 나중에 마련되었으며 이 새로 마련된 종에 원래 있던 종의 명문을 옮겨 적은 것으로 생각된다. 계사년명문은 현재 장흥군 용산면 어산리 지역에 위치하였던 어산향 자복사의 종의 제작에 대하여 기록하고 있다. 어산향 자복사의 승려와 어산향 호장 등에 의해 993년에 만들어진 종은 본래는 어산향 중심지의 사찰에 봉안되어 있다가 고려말 조선초에 향·소·부곡 등의 지역이 철폐되고 고을 중심지에 있던 邑內 사찰들이 철폐되는 사회적 변화 속에 천관산 탑산사로 옮겨졌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다시 임진왜란 때에 총포를 만들기 위해 징발되어 亡失되게 되었고, 종에 있던 명문만이 탑산사에서 새로 마련한 종에 옮겨 새겨지게 되었던 것이다. 비록 종의 실물은 전하지 않고 명문만이 남아 있지만 이 명문은 고려시대 鄕 지역의 불교 신앙에 관한 구체적 모습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The bell of Tapsan-sa temple kept at Daeheung-sa in Haenam have two inscriptions. One of them, the Gyesa(癸巳) inscription, has been regarded as having been recorded in Goryeo dynasty, but compared to other Goryeo dynasty inscriptions it must have some miswritings and omissions. This miswritings and omissions shows that the Gyesa inscription is not the original but transcribed from other bell. Through the contents of the other inscription, the Manryeok inscription, we can infer that the Gyesa inscription originally belonged to a bell which had been at Tapsan-sa temple before the 1593, which was put in requisition as the material for the guns. Soon the temple got a substitute for the old bell and transcribed the original inscription on it. According to the Gyesa inscription the original bell was made in 993 by monks and head officials of the Eosan Hyang. It must have been in the bliss-invoking temple of Eosan Hyang. The bliss-invoking temple which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Eosan Hyang was abolished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when all the Hyang areas absorbed into other bigger areas and most of the town temples aolished. After that the bell moved to the Tapsan-sa located in the Mt. Cheongwan until it was put into requisition and melted to the material for the guns. Though it in not the original one, the Gyesa inscription is an important material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Buddhist activities in the Hyang areas.

      • KCI등재

        『화엄경문답』과 『일승법계도』를 통해 본 의상(義相)의 화엄경 인식

        최연식 ( Yeon Shik Choe ) 한국사상사학회 2015 韓國思想史學 Vol.0 No.49

        의상의 사상은 주로 『일승법계도(一乘法界圖)』를 통해 논의되었는데, 최근에 그의 강의록으로 알려진 『화엄경문답(華嚴經問答)』의 내용과 관련지어 이해할 때 보다 종합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화엄경문답』에서는 『화엄경』의 가르침만이 진리를 완전하게 전하고 있기 때문에 『화엄경』의 가르침을 통해서만이 온전한 깨달음에 이를 수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그런데 『화엄경』의 가르침은 하나의 단어가 모든 것을 의미하는 법계연기적 언어로 되어있기 때문에 그 가르침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수행자가 먼저 그러한 언어를 이해할 수 있는 무분별지를 갖추어야 한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화엄경문답』의 입장은 불교의 여러 경전 중에서 오직 『화엄경』에만 집중하면서, 『화엄경』의 내용을 이론적 탐구가 아니라 무분별지를 얻기 위한 명상수행을 통해 이해하려는 입장으로 연결되게 된다. 『일승법계도』는 『화엄경』을 절대적이고 완전한 가르침으로 파악한 의상이 그것을 선양하기 위하여 저술한 것이다. 먼저 『화엄경』의 핵심 내용을 7언 30구의 시로 압축하고, 그것을 다시 도상의 형태로 표현하여 <법계도>를 만든 다음 그것을 설명하고 있다. 『일승법계도』는 『화엄경』의 요약이자 『화엄경』 이해를 위한 수행 지침서인 것이다. 특히 여기에서는 『화엄경』의 내용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무분별지를 갖추게 하기 위하여 수전법(數錢法)이라는 구체적 수행방법을 아울러 제시하였다. 수전법은 사물들을 다른 것과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극복하고 하나의 사물이 동시에 다른 사물과 동질적임을 인식할 수 있게 하려는 것으로서, 그것을 통해 얻어지는 인식능력은 다름 아닌 『화엄경문답』에서 강조한 무분별지였다. Uisang`s thought has been examined mainly through his One Vehicle Dharma Realm Seal(一乘法界圖). But as the Questions and Answers on Huayan Sutra(華嚴經問答) transmitted in Japan was found to be the record of his lecture on the Huayan Sutra recently, the contents of the Dharma Realm Seal can be understood more comprehensively when discussed in relation with it. In the Questions and Answers Uisang says that only the Huayan Sutra perfectly represent the truth and we can accomplish the perfect enlightenment only through the teaching of the Huayan Sutra. He also says that as the Huayan Sutra is told in the way of Dharmadhatu dependent arising(法界緣起), in which one is all and all are one, each being a universal cause and which is understood only by the non-discriminative wisdom, the disciplinant who wants to understand the teaching of the Huayan Sutra should master the wisdom. This teaching introduced his disciples to concentrate only on the understanding of the Huayan Sutra not by the logical explanation but through the meditation to get the non-discriminative wisdom. Uisang write the One Vehicle Dharma Realm Seal in order to exalt the Huayan Sutra which he regards as the perfect and absolute teaching among all the Buddhist Sutras. In this work Uisang summed the core contents of the Huayan Sutra into a poem of 30 lines of seven Chinese characters and represent in a seal of concentric circular form. And he explains the contents of the poem and the form of the seal. In this respect the One Vehicle Dharma Realm Seal should be regarded as the summary of the Huayan Sutra and guide for the disciplines. In the latter part he introduces the simile of counting coins as the method to get the non-discriminative wisdom.

      • KCI등재

        고려말 간화선 전통의 확립과정에 대한 검토

        최연식(CHOE, Yeonshik) 보조사상연구원 2012 보조사상 Vol.37 No.-

        Most of the studies on Ganhwa Seon tradition during the Goryeo dynasty have been focused o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the Ganhwa tradition itself, without paying specific attention to the political or sociological background of such a development. In order to understand more objectively the establishment of the Ganhwa tradition as the dominant mainstream in the late Goryeo dynasty Buddhism, however, not only the process of its own development but also the political and sociological background of its ascension to the mainstream must be investigated concretely. This article purports to investigate concretely 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Ganhwa tradition in the late 14th century and its relation with the contemporary political movement in order to examine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the Ganhwa tradition in the late Goryeo dynasty not only from within the Goryeo Buddhism but also from its relation with the contemporary society in general. Hwaeom monk Seolsan Cheonhee(雪山千熙, 1307-1382)’s entry into Yuan for the cultivation and reception of the Ganhwa tradition, the symbolic exampl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Ganhwa tradition as the mainstream of Goryeo Buddhism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political intention of contemporary rulers. The time of his entry to Yuan coincides with the rise of Shin Don(辛旽, ?-1371) as his main supporter with the favor of the king in the political arena. After his return, his official commendation by the Royal House and his appointment as the National Master were also processed as rapidly as had been planned earlier. In the appointment of Seolsan Cheonhee as the National Master, the necessity of the preparatory entry to Yuan and obtaining sanction from a Ganhwa master shows that the contemporary Goryeo Buddhism required such measures for the recognition of a monk as an eminent monk. During the reign of King Gongmin, there appears a new rise to the most high posts and dominance, in the Goryeo Buddhism, of the monks who have studied at Yuan and obtained sanction from the Ganhwa Masters there. King Gongmin, unprecedentedly, attempted to lead the Buddhist circle by promoting not the proper successors of the established main traditions or of distinguished familial backgrounds but new and fresh figures without such backgrounds. In such a period, there grew special attention to the Ganhwa masters who returned from studying at Yuan, including Taego Bowoo, Na’ong Hyegeun and Baeg’un Gyeonghan. In the background of the support by the King Gongmin, Ganhwa tradition came to establish itself as the peerless and proper tradition of Goryeo Buddhism. The Ganhwa masters, who had been free from the existing tradition of Goryeo Buddhism, were active in promoting the Ganhwa tradition while aloof from the existing methods of cultivation. In this atmosphere the investigation of (the Hwadu word of) Mu[無, nothingness] (and the investigation of Hwadu by chanting the name of Amita Buddha) which had been enhanced especially by Taego Bowoo and Na’ong Hyegeun came to be established as the basic cultivation methods of Goryeo Buddhism. And this kind of Ganhwa tradition came to be confirmed more concretely by the activities of Hwan’am Honsu(幻庵混修, 1320-1392), the colleague and disciple Na’ong Hyegeun, and Mog’am Chan’yeong(木庵粲英, 1328-1390), the faithful successor of Taego Bowoo. Taego Bowoo and Na’ong Hyegeun came to be recognized widely as the most eminent monks of the late Goryeo Buddhism, which made numerous monks claim as the successors of their teachings. During the forty-odd years of reign by King Gongmin and his son King Wu, the Ganhwa tradition came to establish itself firmly as the proper and authoritative mainstream of Goryeo Buddhism. 지금까지의 간화선에 대한 연구들은 대부분 간화선 자체의 발전 과정에만 초점을 맞추었고, 간화선이 발전하게 된 정치. 사회적 배경에 대해서는 크게 주목하지 않았다. 하지만 고려말에 간화선이 불교계의 주류적 흐름으로 확립되는 것을 보다 객관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간화선 자체의 전개과정만이 아니라 간화선을 주류적 흐름으로 부상시켰던 정치, 사회적 배경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14세기 후반의 간화선 전통의 확립 과정과 정치적동향의 관련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고려후기 간화선의 전개과정을 불교계 내부만이 아니라 일반 사회와의 관련성 속에서 검토하고자 하였다. 14세기 후반에 간화선이 불교계의 주도적 흐름으로 정착되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인 화엄학승 雪山千熙(1307-1382)의 入元유학 및 간화선 전법 배경에는 설산천희의 구도심 못지 않게 정치적 의도가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었다. 그의 입원 유학 시점이 그의 주요한 후원자였던 辛旽(?-1371)이 국왕의 총애를 받고 정계에 등장하는 때와 일치하고, 그의 귀국 이후 왕실의 표창과 국사 책봉이 매우 신속하게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설산천희를 國師로 책봉하기 위하여 미리 입원 유학과 간화선사로부터의 전법을 기획하여야 했다는 것은 당시 고려 불교계에서 입원 유학과 간화선사로부터의 전법이 고승으로 인정받기 위해 필요한 조건이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입원유학하여 중국 간화선사의 인가를 받아온 승려들이 최고위 승직에 올라 불교계를 주도하는 것은 공민왕대에 나타난 새로운 모습이었다. 기존에 커다란 영향력을 가지고 있던 권문세족 출신들을 배제하고 새로운 인물들을 발탁하여 그들을 중심으로 사회를 운영하려한 공민왕은 이전과 달리 주요 산문의 적통 계승자나 명문 가문 출신이 아닌 새로운 인재들을 등용하여 불교계를 주도하려 하였고, 이때 주목된 것이 입원 유학하여 전법해 온 太古普愚(1301-1382), 懶翁惠勤(1320-1376), 白雲景閑(1298-1374)과 같은 간화선사들이었다. 원나라에 유학하여 강남지방의 선사들로부터 印可를 받고 傳法해온 간화선사들을 중용하는 공민왕대의 정책을 통하여 간화선은 고려불교계의 유일무이한 정통적 흐름으로 자리잡아 갔다. 기존 산문의 배경을 갖는 승려들이 간화선과 함께 전통적인 선수행을 병용했던 것과 달리 기존 산문의 전통에서 자유로웠던 입원유학 간화선사들은 간화선의 우월성 선양에 적극적이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특히 태고보우와 나옹혜근이 강조한 무자화두 참구가 이 시기 간화선 수행의 정통적 흐름으로 확립되었다. 그리고 그들에 의하여 확립된 고려 불교계의 간화선 전통은 그들의 가르침을 계승한 幻庵混修(1320-1392)와 木庵粲英(1328-1390) 등의 활동을 통해 더욱 확고하게 자리잡아 갔다. 고려말 불교계의 최고 고승은 태고보우와 나옹혜근 (및 백운경한)으로 널리 공인되었고, 수많은 승려들이 그들의 가르침의 계승자로 자처하였다. 우왕대에도 공민왕의 불교 정책은 충실히 계승되었고, 공민왕과 우왕이 통치한 40여 년의 기간은 고려 불교계에서 간화선이 주류적, 정통적 흐름으로 자리잡아간 시기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