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동해 병기문제가 한미동맹에 미치는 영향

        최양선 ( Choi Yang-sun ) 한국군사학회 2019 군사논단 Vol.99 No.-

        한국과 일본은 한반도와 일본열도 사이에 위치한 바다의 국제적 공식 명칭을 둘러싸고 첨예한 논쟁을 벌이고 있다. 국제적으로, 2개국 이상이 공유한 지형에 대한 지명은 관계 당사국 간의 합의에 따라 결정하고, 합의가 불가능할 경우에는 각국에서 사용하는 지명을 병기하도록 하고 있다. 1921년에 설립된 국제수로국(IHB)은 1929년에 바다와 해양의 경계(S-23)라는 책자를 출간하였다. 출간된 이 책자에 씌여진 일본해를 바탕으로 일본해는 국제사회에서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게 되었다. 그리고 이 S-23의 제 2판(1937년)과 제 3판(1953년)판이 순차적으로 발간되었을 때도 일본해는 지속적으로 표기되었다. 불행하게도, 한국은 이 시기에 일제강점기(1910~1945)와 6.25 전쟁(1950~1953)을 겪고 있어서 동해 바다에 대한 국제적 지명 결정에 참여할 수 없었다. 한국 정부는 1991년 유엔에 가입한 후, 1992년 유엔에서 국제사회에 동해 표기의 문제를 제기하기 시작하였다. 유엔지명표준화회의(UNCSGN)에서 북한 대표도 ‘동해’ 명칭에 동의하였었다. 그 이후 지속적으로 한국 정부는 동해의 바다 이름을 되찾으려 노력해 왔다. 국제사회가 기억해야 할 한 가지는 일본이 일제강점기 기간 한국에서 동해라는 바다 이름뿐만 아니라 국가의 이름, 개인의 이름 심지어는 언어 등 수 많은 것들을 강탈했다는 것이다. 한국과 북한은 동해 명칭 회복을 위해 노력했지만, 일본은 원상회복을 원하지 않고 있다. 이러한 동해 병기문제는 단순히 한국과 일본 사이의 문제만이 아니라 역사적으로 미국도 관계되어 있다. 이 동해 병기문제는 동아시아에서 한·미·일간의 역사를 통해 탄생한 것이며, 한·미·일 3국 관계를 악화시키고 있다. 미국은 한미 동맹을 위해 일정 수준의 건설적 역할을 해야만 한다고 본다. The sea, located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is at the center of acute controversies surrounding its international official name between Korea and Japan. Internationally, it is recommended that the geographical name of the topographical feature shared with two or more countries should be decided according to the agreement of the involved parties and if impossible, names used in each country should be marked side by side. International Hydrographic Bureau(IHB), being established in 1921 and published a book, Limits of Oceans and Seas(S-23) in 1929. On the basis of this book, the Sea of Japan as a dominant appellation was commonly adopted in international society. The second(1937) and the third(1953) edition of S-23 were published in turns, still, yet the sea was recorded as Sea of Japan appellation in the books. Unfortunately, Korea wa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1910~1945) and went through a civil war(1950~1953) at that time, Korea was not able to take part in the decision-making progress. It was not until 1992 after entering the United Nation in 1991 that the Korean government raised the issue of East Sea appellation officially toward international society at the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he Standardization of Geographical Names (UNCSGN). Also, North Korea representative concurred the ‘East Sea’ at that time. From that time onward, the Korean government has kept trying to recover the sea name of the East Sea. One thing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hould remember is that Japan took away from Korea during the colonial period not only the sea name of East Sea, but also by countless others, including its national name, individual names and even language itself. South and North Korea have tried for the recovery, but Japan did not want to restore it. This dual naming issue is related to the United States in history, and not simply a question of between Japan and Korea. This issue is created throughout the history of Korea, U.S., and Japan in North East Asia, and deteriorating the trilateral relationship. U.S. should do some constructive role for the ROK-US alliance.

      • KCI등재

        동아시아 해양안보환경 변화와 한국의 해로안보

        최양선(Choi, Yang-sun)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17 전략연구 Vol.24 No.1

        오늘날 동아시아의 국제정치 역학관계는 세기적 격변기를 겪고있다. 중국의 군사력 증강과 해양팽창 및 이에 대응한 미국의 2020년 완성 목표 아시아 재균형 전략, 일본의 보통국가화 추구 및 해양진출 등이 진행 중이다. 이로 말미암아, 한국 전략물자들과 수출입 무역의 99.7%가 수송되는 해로가 위험에 처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한국의 해로안보를 한미동맹이라는 현실적 인식에서 바라보고, 이로부터 파생된 동맹 딜레마를 검토하여 한국의 대응방안을 강구한다. 한국은 국가안보 차원에서는 한미동맹 발전을 위한 신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혹은 한미국방협력지침 마련,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인 중국과의 해양협력협정 체결, 해로상의 국가 및 국제기구 등과 다차원의 해양안보협력체계 구축, 자유무역협정을 통한 경제영토 확장 등의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방 차원에서는 해양안보환경을 고려한 원해/해외 대양작전 개념을 정립하고, 미 해군의 전략·작전개념에 부합한 일정수준의 원해 연합작전 능력을 확보하며, 수출입 및 전략물자 수송 등 대응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은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출범시기를 현명하게 활용하여 동맹 딜레마를 극복하고, 한미안보동맹과 한중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를 지혜롭게 조화시켜나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ssesses the changes in the contemporary security environment of East Asia caused by maritime expansion of China, Japan and transnational threats to South Korea’s sea lines of communication(SLOC) through the lens of the ROK-US alliance. The international affairs of East Asia is changing dramatically in the 21st century. The relative declining US hegemony and naval forces in the region alongside China’s maritime expansion and ‘one belt, one road’ policy are big factors influencing this change. The United States, Japan, and ASEAN countries are building up their military power and establishing strategies to cope with China’s rise and maritime expansion. Particularly, the US confronts issues involving China in the East and South China Sea. Consequently, various maritime disputes have surfaced in the seas adjacent to China, with a few disputes raising anxieties about possible naval conflict. This change in the security environmental raises serious concerns for the Republic of Korea(ROK) to secure its crucial sea lanes. Korea has become a maritime power by shifting toward enterprising trade. Hence the SLOC became a lifeline to Korea both in war and peace time for transporting almost of all its energy supply, foods, and other trading goods. Post-Cold War hegemonic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raises serious concerns about the security of Korea’s SLOC. However, since the Korean War, Korea’s concern about the SLOC has been limited due to Korea’s dependence on US naval power. But the traditional means of protection of SLOC is not feasible any more. On account of ‘abandonment’ and ‘entrapment’ dilemmas in the ROK-US alliance, when trying to deal with maritime disputes, Korea should be cautious with the superpower US as a security ally, and with the rising power China as a main economic partner. With the changing situation and need for caution, several recommendation are in order. In terms of national security, Korea should seek opportunities to develop a new level of ROK-US alliance beyond the antiquated Cold-War alliance to include SLOC security. If this is not feasisble, the ROK-US Defense guideline should be prepared and periodically updated; formulate new maritime cooperation system with China; enhance maritime cooperation multidimensionally with SLOC neighboring countries; expand cooperation with friendly nations through free trade agreements(FTAs); and construct new SLOC including the Artic sea lane. In terms of defense security, opportunities should also be sought out. Korea should create a new concept for blue water/overseas operation; formulate cooperation system to enhance ROK-US combined operation in overseas theaters including operational concept and training of specialists; acquire naval capabilities including nuclear powered submarines and lightweight aircraft carrier; setup sectional (e.g., governmental organization, strategic materials, etc.) contingency reaction plans to deal with severed or obstructed SLOC. It is time for the Republic of Korea to increase its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SLOC and formulate a new security strate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