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 고급중학교 국어문학 교과서의 과학환상소설과 한국 SF의 교과서 수록 가능성

        최애순 ( Choi Ae-soon ) 우리어문학회 2024 우리어문연구 Vol.78 No.-

        본 논문에서는 서구와의 비교보다 이미 과학환상소설을 교과서에 싣고 있는 북한의 과학환상소설을 살펴보고, 우리 교과서에서도 수록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자 한다. 교과서에서 문학사적인 작품이 청소년들에게 과거의 시기를 간접적으로 경험하고 이해하도록 했다면, SF는 현재 자신의 삶에서 더 나아가 ‘미래’에 대한 계획과 고민을 통해 사회 속의 개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 사료된다. SF는 자신의 현실과 미래를 낯설게 들여다보게 함으로써, 청소년에게 사고의 확장과 미래에 대한 인식 지평을 넓혀 줄 것이라 기대한다. 과학환상소설과 과학 관련 글을 이미 싣고 있는 북한 고급중학교 국어문학 교과서는 실화소설도 싣고 있어서 눈길을 끈다. 북한 고급중학교 국어문학 교과서는 과학환상소설과 실화소설을 실어서, 청소년에게 미래에 대한 낙관적인 꿈을 꾸도록 교육하고 있다. 동일선상에서 논하기에는 여러 가지 사상이나 이데올로기, 사회문화적 상황을 고려해야 하지만, 한국 국어와 문학 교과서에 한번도 장르문학이 포함된 적이 없다는 점에서 재고해 볼 만한 의미가 있다. 특히 ‘미래’를 묘사하는 SF는 미래를 살아갈 청소년에게 자신의 삶에 대한 고민과 반성을 할 계기를 마련해 준다는 점에서 교과서에 수록될 가능성에 대해 논해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교과서에 수록될 가능성으로서의 SF 소설을 선택하는 전제에는 ‘청소년이 주요 인물로 등장’하되, 교과서에서 다루는 주제나 영역에 근접한 문제를 다룬 작품, 즉 기존 ‘국어 교과서에 실린 내용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F 소설 중에서 청소년이 등장하고 그들의 관심사에 주목한 작품을 텍스트로 선정하였다. 또한 과거와의 연관성을 위해 식민지시기의 과학꽁트도 시도해 보려 했다. 최영희의 「안녕, 베타」, 남유하의 「로이 서비스」, 과학콩트 「라듸움」, 김초엽의 『원통 안의 소녀』 등의 SF 소설은 10대 청소년의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그들 세대가 ‘미래사회’를 고민해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수 있다고 본다. In this paper, rather than comparing science fantasy novels with the West, we will look at science fantasy novels in North Korea, which already include science fantasy novels in textbooks, and explore the ‘possibility’ of including them in our textbooks. If young people have indirectly experienced and understood past periods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Korean textbooks, it is believed that SF will help them grow as individuals in society through plans and concerns about the ‘future’ in their current lives. SF is expected to help young people expand their thinking and broaden their horizons of awareness of the future by allowing them to look into their own reality and future in an unfamiliar way. North Korea's high-end middle school Korean literature textbook, which already contains science fantasy novels and science-related articles, also attracts attention because it also contains true story novels. North Korean high-end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extbooks include science fantasy novels and true story novels to educate youth to have optimistic dreams about the future. Although various ideas, ideologies, and socio-cultural situations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discuss it on the same line, it is meaningful to reconsider in that genre literature has never been included i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extbooks. In particular, we would like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SF depicting the ‘future’ being included in textbooks, given that it provides opportunities for youth who will live in the future to worry and reflect on their lives. In this paper, the premise for selecting a science fiction novel as a potential material to be included in a textbook is that 'youth appears as a major character', but it is a work that deals with issues close to the topic or area covered in the textbook, that is, 'content in existing Korean textbooks and 'connectivity'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is study, among science fiction novels, works that featured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focused on their interests were selected as texts. We also tried to experiment with scientific concepts from the colonial period to connect with the past. Science fiction novels such as Choi Young-hee's Hello, Beta, Nam Yu-ha's Roy Service, the science Comte Radium, and Kim Cho-yeop's The Girl in the Cylinder arouse sympathy among teenagers and encourage their generation to think about a ‘future society.’

      • KCI등재

        최서해 번안 탐정소설 <사랑의 원수>와 김내성 <마인>의 관계 연구

        최애순(Ae Soon Choi) 한국현대소설학회 2010 현대소설연구 Vol.- No.45

        This paper intend to announce The enemy of the love which of Choi Seo-hae`s adapted detective story. This text is the adapted story of Gaston Leroux` Le Mystere de la Chambre jaune. As discovering this text, the creating surrounding of Ma-in to have been questioned was also announced. Choi Seo-hae translated Gaston Leroux` Le Mystere de la Chambre jaune centering on a love triangle without mentioning the yellow room not once. On the other hand, Kim nae-sung created Ma-in realizing Gaston Leroux` a locked-room mystery from beginning to the end. But the people of the day enjoyed the empathy for a criminal rather than a locked-room mystery.

      • KCI등재

        1930년대 『과학조선』과 식민지 조선의 발명·발견에 대한 기대

        최애순(Choi, Ae-soon) 한국근대문학회 2021 한국근대문학연구 Vol.22 No.1

        식민지시기 공상과학은 현실에서는 실현 불가능한 ‘꿈’이었기 때문에 그 안에 미래에 대한 기대를 담았다. 식민지시기 공상과학의 한 형태가 미래 이상사회를 제시하는 것이라면, 다른 한 형태는 발명·발견으로 마법 혹은 기적 같은 세계가 펼쳐지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1920년대부터 1930년대 『과학조선』으로 이어지기까지의 식민지 조선인의 발명·발견에 대한 기대를 『과학조선』의 발명과학소설 혹은 발명 소재 소설을 다루어 보고자 한다. 더불어 당대 사회문화적인 분위기를 파악하기 위해 『과학조선』 기사와 비슷한 시기의 특별히 발명을 소재로 차용한 다른 지면의 소설도 함께 다루어 보고자 한다. 지금까지 1933년 창간된 『과학조선』을 다룬 논문은 과학데이 행사에 주목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그 안에 실려 있는 과학데이 행사 이외의 기사들의 경향과 함께, 그 기사의 내용과 과학발명이 당대 소설의 소재로도 등장한다는 점에 주목한 연구는 없다. 과학데이 행사나 발명학회의 창설 등은 대중성보다는 전문성에 가까울 수 있다. 당대 대중들이 과학발명을 어떻게 받아들였는지를 들여다보려면, 그것을 소재로 한 소설에 녹아 있는 모습들을 살펴보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조선』의 과학 관련 기사뿐만 아니라 그 안에 실린 과학소설이나 당대 발명과학 소재의 소재들을 함께 고찰해 보았다. 그러면서 우리가 거부해왔던 공상과학의 ‘공상’이 식민지 시기 1930년대에는 미래에 대한 기대를 뿜어내는 발명과학의 영역에서 아이디어의 중요한 원천이었음을 밝혀주고자 했다. 서구의 과학발명·발견이 1910년대부터 시간적 격차를 두고 계속 신문과 잡지에 실리면서 퀴리 부인의 라듐 발견과 독일의 질소비료나 오줌에서 인을 발견한 사건 등은 식민지 대중에게 ‘화학’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돌덩이, 공기, 오줌과 같은 주변에 널려 있는 평범한 것에서 화학 물질을 발견한다는 놀라움과 충격은 1930년대 식민지 조선인에게 ‘실현가능한’ 발명과학에 대한 기대감을 고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오줌에서 인을 발견한 사건은 김동인이 똥에서 식량을 개발하려는 「K박사의 연구」 과학소설을 낳았고, 퀴리 부인의 라듐 발견은 김자혜의 「라듸움」 (『신동아』, 1933.2)이라는 과학꽁트에서 소재로 차용되었다. 평범한 것에서 귀중한 것을 발견한 사건은 그동안 무심했거나 무가치했던 주변에 관심을 돌리게 만들었다. 그러나 막연하고 추상적인 기대감으로 발명 이전의 공상 단계는 정말 어처구니없고 우스꽝스러운 분위기로 연출되었다. 연구 재료가 똥이라서 사람들이 똥을 누는 족족 가져오는 것이나, 그 와중에도 낡은 똥은 쓸 수가 없다고 하는 것은 우스꽝스럽기 짝이 없다. 과학발명 소재의 소설이나 글이 코미디나 꽁트와 결합하는 것은 이런 우스꽝스러운 상황의 연출 때문이다. 김동인의 「K박사의 연구」는 당대 대중에게 발명이 얼마나 엉뚱하고 우스꽝스럽게 인식되었는지를 반영해준다. 또한 발명이 완성품으로 나오지 않고 공상 단계로 끝나게 되면, 그 괴리감이 얼마나 큰지도 여실히 보여준다. 「K박사의 연구」는 식민지시기 ‘발명과 공상의 관계’를 리얼하게 포착해서 보여준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서로 밀어내지만 마치 동전의 양면과 같이 공존할 수밖에 없는 발명과 공상은 같은 아이디어에서 나왔지만, 대중의 인식에서 오는 괴리는 그만큼 컸던 것으로 보인다. 과학발명은 생활이나 문명의 이기를 추구하기도 하지만, 군수품이나 신병기, 살인 무기의 어두운 면을 불러오기도 한다. 발명가는 과학이 사람을 이롭게 할 수도 해롭게 할 수도 있는 대립적인 이용에서 자신의 신념을 유지할 수 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과학조선』의 기획과는 달리 식민지 개개인은 자신의 삶이 조금이라도 더 나아졌으면 하는 평범한 일상의 반전을 꿈꾸었다. 제국주의 열강 대열이 아니라 식민지 입장이었던 조선인에게 발명과학은 어떤 의미로 인식되었을까. 실패와 좌절을 겪을 줄 알면서도 바늘구멍으로 보이는 실낱같은 기대와 희망일 수밖에 없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SF가 그리는 미래사회로의 초대 - 한·영 SF에서 나타난 문제의식과 교육과의 접점

        최애순 ( Choi Aesoon ),손나경 ( Sohn Nagyung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3 한국어문교육 Vol.43 No.-

        2020년대를 전후로 하여 SF 장르가 떠오르며, 과학기술로 구현된 미래사회와 인간에 대한 고민이 드러나게 되었다. SF가 건드려주는 미래사회의 문제는 사실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이다. ‘미래’라는 시공간적인 거리감으로 인해 그 고민을 직접적으로 다룰 때 생길 수 있는 반감은 줄어들고, 대신 신선하고 낯선 충격을 안겨준다. 과학소설을 통한 이런 문제 제기는 교육의 현장에서 미래세대에게 ‘익숙하지만 낯선’ 효과를 통해 새로운 시각으로의 접근과 미래사회에서의 ‘나’와 ‘우리’를 고민하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는 영미 SF 작품 중에서 특히 많이 다뤄지는 작품인 메리 셸리와 필립 K. 딕의 작품, 아이작 아시모프, 엘리자베스의 문의 작품에서 인간됨의 조건과 노인과 장애의 문제를 들여다볼 것이다. 한국 SF의 경우 여성 작가들의 시선이 머무른 곳에 청소년 등장인물이 자리하기에 김초엽, 천선란, 정세랑의 작품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는 2020년대를 전후하여 붐을 맞은 SF에서 교육과의 접점을 마련하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시도하였다. With the rise of science fiction genre in the 2020s, concerns about the future society and human beings were revealed. The problems that science fiction touches are the problems that we face. Because of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ance of ‘the future in science fiction,’ the antipathy that can arise when directly touching these concerns is reduced, and, instead, a fresh and unfamiliar shock is given to its readers. Raising these issues through science fiction make it possible to approach new perspectives and to think over 'me' and 'we' in the future society. In this study, we look into the conditions of being human, the problems of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in the works of Mary Shelley, Philip K. Dick, Isaac Asimov, and Elizabeth Moon. In the case of Korean science fiction, the works of Kim Choyeop, Cheon Seonran, and Jeong Serang were selected because their adolescent characters are located where the gaze of female authors have been.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a way to establish a contact point between education and science fiction which is on the rise.

      • KCI등재

        한국적 탐정소설로서 <염마>의 가능성과 의의

        최애순(Ae Soon Choi) 한국현대소설학회 2008 현대소설연구 Vol.- No.37

        Chae Man-sick`s Yem-ma is the work unearthed by Kim Young-min in 1987. But from 1987 to this time, Chae Man-sick`s Yem-ma would cross lips as the work worse than Kim Lae-sung`s Ma-in. The results of those studies are caused by taking the western classical detective novel as a standard. This paper is based on the strong intention to criticize the interior study cases of the detective novel in the 1930`s. Yem-ma is not the type of the classical detective novel but the type of the hard-boiled detective novel. If Yem-ma is the type of the hard-boiled detective novel, the valuation of Yem-ma so far has to be corrected. Yem-ma is likely to the spy novel to act through body not head, to trail after the criminal, to assault on the criminal`s cellar, and to rescue the poor victim from the criminal`s cellar. That features are close to the type of the hard-boiled detective novel not the classical detective novel. But the detective of Yem-ma is different from the detective of the western hard-boiled novel. The detective of Yem-ma has an affair with the victim. Therefore, he displays the aspect not hard-boiled but soft-boiled. The readers can find out features of the Korean detective novel through the soft-boiled detective novel in 1930`s.

      • KCI등재

        식민지시기 탐정소설(探偵小說)의 번역(飜譯)과 수용(受容) 양상 및 장편(長篇) 번역(飜譯) 탐정소설(探偵小說) 서지연구

        최애순(Ae Soon Choi) 한국현대소설학회 2010 현대소설연구 Vol.- No.43

        This paper intended to examine the aspect of the translation of the detective novel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gether with that, I tried to arrange the bibliography of the full-length translation detective novels in order. For the lack of space, I will deal with the aspect of translation and acceptation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oncentrating on the detective novels of Arthur Benjamin Reeve, Emile Gaboriau, Eden Phillpotts. To analyze the aspect of translation and acception of new and unfamiliar genre is to examine the taste of the public of the day. It results from narrow-minded research trends. The study on the detective novels of Korea has concentrated on the classic pattern of the West. Therefore, the detective novels unsuitable to the classic pattern of the West was omitted. Besides with it, the taste of the public of the day has been delet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tore the omitted detective novels and the taste of the public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KCI등재

        50년대 『아리랑』 잡지의 '명랑'과 '탐정' 코드

        최애순(Ae Soon Choi) 한국현대소설학회 2011 현대소설연구 Vol.- No.47

        This paper intended to show the aspect of the popular culture in the 1950`s through the popular magazine Arirang. Arirang is the typical public entertainment magazine in the 1950`s, which claims the complete reading magazine. The best or the most important codes of the magazine Arirang in the 1950`s, are ``the detective`` and ``the merriness``. This paper is to study the social-cultural aspect of the 1950`s through the detective novels and the merriness novels of Arirang. Through that, is to show what the intended effect of the plan of magazine and the ideology of nation is, what the popular desire is. Why had been the detective and the merriness called in the 1950`s. Together with that, this paper intends to write the original history of literature against the regular history of literature centered on the intellectuals. This is to raise the problem about the literature history centered on the regular journals and the intellectuals. The detective novels and the merriness novels of Arirang are full of the episode accidents differently from so-called the intellectuals` novel filled with the intellectual`s inner si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