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밸런싱 시스템을 이용한 학습 어플리케이션

        최승현(Seunghyun Choi),권수호(Sooho Kwon),김재열(Jaeyoul Kim),오경수(Kyungsu Oh) 한국HCI학회 201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본 논문에서는 밸런싱 시스템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높이고 학습 효율을 향상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을 소개한다. 우리는 밸런싱 시스템을 적용하여 문제 나이도와 문제수를 조절하고, 틀린 문제는 습득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출제한다. 사용자는 자신의 수준에 맞는 난이도의 문제와 문제수를 학습한다. 틀린 문제는 다음 학습에 반복적으로 학습한다. 우리는 사용자가 지속적인 학습 욕구를 느낄 수 있는 문제 수와 적정 난이도를 도출하기 위하여 영단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사용자에게 테스트를 한 후 나온 결과를 토대로 학습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하였다. 밸런싱 시스템은 다양한 학습 어플리케이션이나 기능성 게임에 적용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자신의 능력에 따른 난이도의 문제를 학습하고 틀린 문제는 반복적으로 학습하면서 학습에 대한 흥미와 학습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This paper introduces an application that uses the balancing system to enhance the users' interest and also could improve the users learning ability. We use the balancing system to control the number of problems, and the level of difficulty. The problems that get incorrect continue to appear on the application.The user can learn by the problems and the number of problems that are in the level fit for the user. The problems that get incorrect answers come out automatically in the next level so that the user can learn to get the right answer. In order to develop an English word learning application that could make the user feel the need to learn and both let the user learn in a level fit for the users English skill, we had to test users and we applied the results to the application. The balancing system could be applied in various learning applications or in serious games. The user can learn by the level that is right for their ability, and they could learn through the problems that they've gotten wrong. That way they can feel interest and enhance their learning ability.

      • 중국해외이민의 역사적 자율성 탐구 : 비밀결사 “홍문”과 중국의 역대 정치조직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최승현(Seunghyun CHOI) 한국마이너리티학회 2021 마이너리티연구 Vol.4 No.3

        “화교”는 그 이름에서부터 중국에 의해, 그리고 중국을 위해 움직이는 타율적 존재로 규정되어 있는바, 이에 “화교”의 중국에 대한 애국은 선택이 아닌 운명으로 이해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화교=중국해외이민”이라는 기존의 공식에서 벗어나 “화교”의 역사는 “중국해외이민”의 다양한 선택 가운데 하나라는 가정을 세우고, 비밀결사 홍문의 중국 현실문제에 대한 참여 과정을 추적하면서 “중국해외이민”의 자율적 역사를 발굴코자 시도하였다. 중국해외이민사회는 홍문이라는 조직을 통해 중국의 운명을 바꾼 두 차례의 역사적 선택을 하게 된다. 첫 번째는 19세기 말부터 시작된 보황파와 혁명파에 대한 선택이었고, 두 번째는 20세기 초부터 시작된 중국국민당과 중국공산당에 대한 선택이었다. 보황파와 혁명파의 지도자는 각기 홍문에의 입문을 통해, 그리고 중국국민당과 중국공산당은 각기 홍문과의 합작이나 통합을 통해 중국해외이민사회로부터 선택되길 희망했다. 결국 이들이 내린 두 차례의 선택으로 중국의 운명은 바뀌었고, 더불어 중국해외이민은 “화교”의 신분으로 중국정치에 참여하게 된다. 이는 중국해외이민의 역사가 자율로 움직이고 있음이며, 더불어 “화교”의 신분은 중국해외이민이 선택한 능동적 행동의 결과임을 의미한다. The name “Overseas Chinese(華僑)” itself means a passive being driven by and for China, and the academic community interpreted Overseas Chinese s patriotism toward China as fate, not choice. Thus, the study attempted to break away from the existing formula of “Overseas Chinese=Chinese Overseas Immigrats”, assuming that the history of “Overseas Chinese” is one of the various choices of “Chinese Overseas Immigrats”, and to discover the autonomous history of “Chinese Overseas Immigrats” by tracking the secret gang HongMen(洪門) s participation in China s reality issues. The Chinese Overseas Immigrats Society will make two historic choices that changed China s fate through an organization called “HongMen”. The first was the choice of “Royalists” and “Revolutionary” from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second was the choice of “Chinese Nationalist Party” and “Chinese Communist Party” from the early 20th century. The leaders of “Royalists” and “Revolutionary” hoped to be chosen from the Chinese Overseas Immigrats by joining HongMen, and “Chinese Nationalist Party” and “Chinese Communist Party” hoped to be chosen from the Chinese Overseas Immigrats through collaboration or integration with HongMen, respectively. In the end, the two choices they made changed China s fate, and in addition, overseas Chinese immigrants participated in Chinese politics as “Overseas Chinese”. This means that the history of overseas Chinese immigration is moving at its own discretion, and the status of “Overseas Chinese” is also the result of active activities chosen by overseas Chinese immigration.

      • 작업자 안전 관제를 위한 자세 인식 엣지-클라우드 시스템 아키텍처

        최승현(Choi Seunghyun),김보배(Kim Bobae),원진영(Won JinYoung),박일하(Il-ha Park),최성수(Sung Soo Choi),강용신(Yong-Shin Kang) 한국통신학회 2022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본 연구는 산업현장에서 작업자 안전 관제를 위해 실시간으로 작업자의 자세를 분석할 수 있는 엣지-클라우드 시스템 설계하고 개발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엣지 시스템을 구축하고 가속도/관성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실시간으로 작업자의 자세를 인식하고 원시 데이터와 함께 클라우드에 전송한다. 클라우드는 원시 데이터와 실험데이터를 사용하여 자세 인식 모델을 학습하고 이를 엣지에 전송한다.

      • KCI등재

        정보사회에서 학교교육의 의미: 아감벤의 논의를 중심으로

        최승현 ( Choi Seunghyun ) 한국교육철학학회 2021 교육철학연구 Vol.43 No.4

        마스켈라인과 시몬스(Masschelein & Simons, 2013; 2015)에 따르면 학교교육은 생산성으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의미를 가지고 사람을 대하는 경험 속에서 나의 정체성을 바꿔 준다. 정보사회의 도래, 특히 ‘코로나-19’의 대유행 속에서 우리는 학교교육의 실존적 의미를 재조명할 수 있다. 합리적 의사소통보다는 감정의 무제한적 노출만 난무하는 정보사회는 소수의 인격과 다수의 고립된 개인을 낳고 있다. 정보사회의 주체는 익명의 연쇄적 흐름에 불과한 데이터 자체이기 때문이다. 고립된 개인은 죽여도 되지만 애도할 수 없는 존재인 아감벤의 호모 사케르와 유사하다. 양자는 법 바깥에 내버려진 채 동일자로 환원되지 않는 타자로서 수용소로 상징되는 공간에 속한 존재들이라는 공통점을 가진다. 역설적이게도, 학교교육은 이렇게 버려진 이들을 양산하는 정보사회에서 탈사유화와 세속화 그리고 놀이를 통한 인격 형성이라는 실존적 과제를 떠맡고 있다. 아감벤의 장치 개념은 이 과제가 자율적 주체와 장치 간의 길항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는 점을 보여줌으로써 오늘날 제도로서의 학교와 실존적 경험 간의 괴리가 커지고 있는 현실에서 학교교육의 의미를 생각하게 해준다. According to Masschelein and Simmons (2013; 2015), school changes our identity through experiences in dealing with people in a different way than productivity. With the advent of the information society, especially the COVID-19 pandemic, we can re-examine the existential meaning of schooling. An information society full of unlimited exposure to emotions rather than rational communication is creating a small number of personalities and a large number of isolated individuals. This is because the subject of the information society is data, which only exists in a chain of anonymous flows. An isolated individual is similar to “Homo sacer” of Agamben, who can be killed but cannot mourn. Both are “others”, left outside the law, not reduced to the same person, and commonly belong to a space symbolized by a concentration camp. Paradoxically, schooling is taking on the existential tasks of de-privatization, profanation, and character formation through play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at mass-produces them. Agamben's apparatus shows that this task is formed through the antagonism process between autonomous subjects and apparatus, allowing us to think about the direction thatshould consider with the reality that the gap between school and existential experiences as an institution is growing today.

      • KCI등재

        데리다의 정의론과 정보윤리교육의 (불)가능성

        최승현 ( Choi Seunghyun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21 교육철학연구 Vol.43 No.2

        인공지능을 통한 교육(AIED)이 큰 관심을 받고 있지만 그 바탕인 정보윤리교육(IEE)에 대한 논의는 부족하다. 정보윤리교육을 확립하기에 앞서 필요한 것은 정보사회에 대한 이해이다. 본 연구는 인격과 고립된 개인을 데이터로 정당화하는 사회를 정보사회로 보는 일본의 미디어학자 다이고쿠 다케히코(大黒岳彦, 2016)의 정보사회론을 활용하여 이 사회에서 인간의 주체성이 발휘될 공간이 매우 협소함을 확인하였다. 데리다의 정의론은 법과정의 그리고 폭력을 횡단하는 유령과 같은 존재인 타자를 통해 데이터 자체를 주체로 보는 정보사회에서 정보윤리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데리다는 살아있음에도 불구하고 사람으로 취급받지 못하는 타자의 번역 가능성에 주목한다. 번역 과정에서 기술의 발전은 되풀이 (불)가능한 타자에 대한 번역 가능성을 높인다. 데리다의 정의론은 정보사회의 본질이기도 한 이 공백을 메울 윤리적 근거를 데이터라는 법의 타자에서 찾을 수 있게 해준다. 우리는 이를 바탕으로 도덕의 공백 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는 정보윤리교육에 개입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Derrida’s Justice and the (im)possibility of information ethics education(IEE).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AIED) is currently receiving great scholarly attention, but discussions on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which is the basis of ethics education, is lacking. Before establishing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an understanding of the information society is needed. I see a society that justifies personality and isolated individuals as data as an information society and confirm that the space for human identity to be exercised in this society is minimal. Derrida’s justice suggests the possibility of information ethics in an information society where data are viewed as a subject through law, justice, and the ghostly existence that crosses three violent parties. Derrida pays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of translating batters who are not treated as human despite being alive. Advances in technology in the translation process increase the likelihood of translation for (non-)repeatable batters. Derrida’s justice allows us to find the ethical basis to fill the gap, which is also the essence of the information society, at the batters of the law called data. Consequently, we can intervene in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which is in a moral vacuum.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