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특수교육대상 학생을 위한 개별화교육계획 개선 방안 연구
최승숙(Seung Sook Choi),강창욱(Chang Wook Kang),김은하(Eun Ha Kim),김호연(Ho Yeon Kim),송승민(Seung Min Song),이재욱(Jae Wook Lee)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 상황에 적합한 개별화교육계획에 대한 개념과 정의 및 그에 따른 기능과 역할에 대한 재정립의 필요성에 따라 개별화교육계획과 관련된 이론적 틀과 실천적 접근 방법을 도출하고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국내 문헌분석과 국외의 개별화교육계획 관련 문헌 및 사례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별화 교육계획의 이론적 틀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낸 후 경기도 관내 특수학교(급)에서 수립되어 적용되고 있는 143개의 개별화교육계획 실물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이론적 틀과 대조, 대비하여 그 간극을 확인하였다. 동시에 개별화교육계획과 직·간접으로 관련되어 있는 총 28명의 교수, 교육전문직, 특수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현장 특수교육 전문가들이 인식하고 있는 개별화교육계획의 목적과 기능, 그리고 특수교육 현장의 실제 운영 실태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나온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특수교육 상황에 맞는 개별화교육계획의 목적과 기능을 설정하고, 개별화교육계획의 단기 및 중장기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실태분석 과정을 통해 현재 교육현장에서 개별화교육계획의 목적과 기능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개별화교육계획과 교육과정 기능의 혼동과 혼용의 결과가 개별화교육계획, 교육과정, 수업 간의 연계성을 갖지 못하게 하는 동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상황에 적합한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전일적(全一的) 개별화교육계획을 제안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개별화교육계획 수립과 운영의 분석을 통해 국내상황에 적합한 단기 및 장기적인 개별화교육계획 발전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박승희(Seung Hee Park),홍정아(Jung A Hong),김수연(Soo Youn Kim),최승숙(Seong Sook Choi),문주연(Ju Yeon Moon)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
이 책은 우리나라 학교교육 현장에서 통합교육 실행자들이 담당해야 할 구체적 역할을 목록화하여 제시함으로써 각 전문가의 통합교육 실행과 협력을 돕기 위한 지침서이다. 이 책은 통합교육이 오롯이 특수교사만의 책무가 아니라 다양한 학교 구성원들의 분업과 협업의 과정임을 강조하며, ‘초등 통합교육 실행 매뉴얼’이란 부제를 달고 있다. 통합교육의 실행자인 통합학급 교사, 특수교사, 학교관리자, 학부모 및 지원인력의 5가지 주체가 담당해야 할 역할을 ‘초등 통합교육 질 지표 46개’를 근거로 목록화하여 일목요연하게 제시함으로써 5가지 주체가 본인의 역할뿐 아니라 서로 다른 주체의 역할을 이해하여 협력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저자들은 통합교육이 모든 학생들을 위한 것이듯, ‘통합교육의 과정’ 역시 학교 구성원 모두가 함께 참여하도록 그 방법을 제시하였다. 통합교육을 어떻게 시작해야 하고, 어떻게 하면 더 잘할 수 있을지를 고민하는 각 급 학교의 실행주체들에게 46개 통합교육 질 지표 각각에 대해 ‘역할 목록 및 지침’, ‘실행 사례’, ‘참고자료’로 나누어 제시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통합교육의 실행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이 책은 초등 통합교육 현장에 초점을 두고 5가지 실행 주체자의 역할 목록을 제시하고 있으나 유아 및 중등 통합교육에서도 대부분 적용가능하다. 이 책은 특수교육 전공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의 통합교육 과목의 교재로 사용가능하며, 학교관리자, 교사 및 장학 전문가들은 이 책을 기반으로 보다 질 높은 통합교육 실행을 이해하고 점검할 수 있다. 이 책에는 실제로 각 학교가 실행하는 통합교육을 자체 점검해볼 수 있는 통합교육 실행자 역할수행 점검표 양식이 제공되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초등학교 특수학급 경도장애학생의 자기옹호기술에 대한 통합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김주용 ( Joo Yong Kim ),최승숙 ( Seung Sook Choi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2 초등교육연구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n self-advocacy skill and components(knowledge of self, knowledge of right, communication, leadership) of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in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class. Self-develop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82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88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special education class on elementary level in Kyoungki-do and Chungcheongbuk-do. Result indicated the both teacher`s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regarding self-advocacy skill wa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actual implementation of it.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wed higher level than general teachers about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of self-advocacy skill of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ith regard to in-service program for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 were discussed.
장애통합어린이집 장애 유아를 위한 개별화교육계획 수립 및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
윤영신 ( Youn Young Shin ),최승숙 ( Choi Seung Sook ) 미래유아교육학회 202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atus of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s(IEP)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belonging to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60 teachers who teac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t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in Seoul, Busan, and Gyeonggi-do.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with a total of 33 questions related to the actual status of the establishment, implementation, the awareness of IEP. Data analysis was performed on frequency analysis along with variance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of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was as follows. First, participating teachers prepared most of the legal components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current learning level, and educational goals etc, but the preparation of special education-related services was written at low level. Second, most of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support teams were operated formally, and since there was no cooperation between members, special teachers were in charge of preparing the actual IEP. Third, teachers feel the greatest difficulty in writing educational goals during the preparation of IEP and the reasons for this are the lack of materials to refer to, the lack of education, and the lack of a method of checking the written content. There were also regional and variable differences in teachers’ perceptions. It is meaningful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by examining the overall perceptions of teachers who take care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특수학급 교사들의 학교언어치료 서비스 모형에 관한 인식조사
김수진(Soo-Jin Kim),최승숙(Seung Sook Choi),김정연(Jung Yeon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1 No.1
한국의 통합환경 상황에 적절한 언어치료 서비스 모형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학교언어치료사가 어떠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고 이를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지원 모형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두 단계의 연구과정을 통해 우리나라 상황에 적절한 학교언어치료 서비스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학교에서 언어치료 서비스를 오랜 기간 제공해 온 외국의 다양한 모형을 조사한 후 설문조사를 통해 현재 학교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특수교사들의 언어치료 서비스에 대한 지식과 욕구에 대해 파악하였다. 구체적으로 특수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언어치료 서비스 요구는 무엇이며, 언어치료사와 교사들이 갖추어야할 요건과 학교 상황에서 언어치료 모형의 적용 시 예상 가능한 문제점이 무엇인지 파악하였다. 특수학급 교사들은 학교현장에서 운영 가능한 모형으로 대상 학생을 위한 개별적인 언어치료 서비스와 언어치료사가 교사에게 언어치료에 관한 전문적인 자문을 제공하는 간접지원의 병행을 제시하였다. 교사와 언어치료사의 전문적인 지식과 지속적인 의사소통을 바탕으로 한 협력이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으며 행정가의 치료실 마련과 같은 행정적 지원과 치료서비스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또한 성공적인 학교 내 언어치료 서비스의 주요한 요건으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현재 우리나라 교육의 큰 흐름이라 할 수 있는 통합교육 상황에서 학교언어치료사 제도를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현 시점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propose a school-based, speech therapy model that was appropriate to the Korean situation through a two-stage research methodology.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first to examine a variety of school-based, speech therapy models suggested in other countries and thus survey the knowledge and needs of special educators about speech therapy. The survey investigated the special educators’ perceptions on speech therapy needs, required qualifications for both teachers and speech therapists, and problems of the school-based speech therapy. The special educators suggested a combination model integrating the direct speech therapy model (in which a speech therapist treats students on an individual basis) and the indirect speech therapy service model (in which a speech therapist collaboratively consults teachers about speech therapy). Other results indicated that collaboration between teachers and speech therapists based upon professional knowledge and ongoing communication rated importantly. Further, administrative supports such as arranging a therapy room and raising the perceived importance of therapeutic service were also suggested in order to provide school contexts with speech therapy.
유아통합교육 현장에서의 사전 개별교육을 연계한 협력교수가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의 수학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윤영신(Youn, Young-shin),최승숙(Choi, Seung Sook)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8 특수교육 Vol.17 No.4
연구목적: 유아통합교육현장에서 협력교수를 활용한 수학활동이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의 수학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통합교육의 효과적인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장애통합어린이집의 만 4․5세 장애유아 6명과 비장애유아 20명을 대상으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연령별 각 20회기씩 총 40회기의 협력교수를 실시하였고 장애유아의 경우 특수교사의 사전개별교육 후 협력교수에 참여하였다. 수학적 역량은 수학적 지식, 과정기술, 태도로 구성하였고 장애유아의 수학적 역량 변화 측정은 회기별 수업관찰의 서술기록 내용분석을 실시하였고, 평정척도 결과는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비장애유아의 경우, 사전-사후 표준화 검사를 실시하였고 결과 분석은 두 종속 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협력교수 중재에 참여한 장애유아의 수학적 지식과 태도의 역량 전반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고, 비장애유아는 수학적 지식의 ‘기초적인 측정하기’ 및 수학적 과정기술, 수학적 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론: 유아통합교육현장에서 협력교수를 활용한 장애 및 비장애유아의 수학적 역량 증진 방안을 제안하였다. Purpose: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thematical activities using co-teaching on the mathematic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inclusive education.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6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20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belonging to a day care center. In the cas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y participated in co-teaching after receiving 1:1 teaching from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mathematical competencies consisted of mathematical knowledge mathematical process skills and mathematical attitudes. They were applied in the co-teaching class. In order to measure the mathematical competence changing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narrative record and rating scale of each class was analyzed by using Wilcoxon signed rank test and content analysis. Two dependent sample t-tests were performed on pre post scores for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thematical knowledge and attitud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at participated in co-teaching interventions. Second,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asic measurement of mathematical knowledge, mathematical process skill, and mathematical attitude.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e teaching approach to improve the mathematic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using co-teaching in the inclusive education.
문제해결교수 기반의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감각장애 대학생의 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임은주(Lim, Eun-Joo),최승숙(Choi, Seung-Sook),주은미(Ju, Eun-Mee) 한국통합교육학회 2018 통합교육연구 Vol.13 No.2
장애인의 고등교육 확대에 따라 장애대학생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건강한 대학생활 적응을 위해서 장애학생은 자신의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이 있어야 하며 이는 장애특성과 학생의 요구에 따른 맞춤형 지원의 형태로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감각장애 대학생의 건강한 대학생활 적응을 위하여 문제해결교수 기반의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참여 학생의 탄력성과 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기도 소재 4년제 K대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시·청각장애 학생 4명을 대상으로 10회기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사전, 사후에 탄력성, 스트레스 및 심리적 안녕감 검사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문제해결교수 기반의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은 참여 학생들의 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 및 심리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장애인 고등교육 분야에서 장애대학생의 학교생활 적응능력 향상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order to support healthy college lif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dividual suppor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isabilities and the situation of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 using social problem solving strategy on the resilience,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college students with sensory disabilities. Four freshmen with sensory disabilities belonged to K university located in Gyonggi-do participated on the resilience intervention including 10 sessions and were conducted resilience,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test and in-dept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 using social problem solving strategy positively influenced on improving of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adaptation ability of college students with sensory disabilities in the future.
발달장애학생의 대학기반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 실행에 대한 관계자의 인식 및 현황 분석
임은주 ( Eun Joo Lim ),최승숙 ( Seung Sook Choi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13 지적장애연구 Vol.15 No.3
As special education seeks inclusive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the needs of postsecondary educ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s been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the perception of persons concerned on postsecondary education based on university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total of 11 participants including professors, directors of support center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ents,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For the interview questions, the purpose of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content of curriculum currently being applied, and academic support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suggested. As result, participants replied the purpose of postsecondary education based on university is to provide the opportunity of inclusive education, empower students themselves, and teach independent life as an adult. Because the curriculum is being applied different from universities, the participants expressed various perceptions regarding university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ith regard to develop postsecodary education system based on university were discussed.
ALACT 모형을 연계한 교육실습 프로그램에 따른 예비중등특수교사의 사회과 교수내용지식(PCK) 형성과정 탐색
이재섭 ( Jae Seop Lee ),이재욱 ( Jae Wook Lee ),최승숙 ( Seung Sook Choi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on formation process of pre-service special teacher’s Social Studie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in special education school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rough ALACT model student teaching. Two pre-service special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inductive analyzing data, qualitative methods including class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lesson plans and teaching practice journal were appl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ed. First, pre-service special teachers made little difference in general education regarding ‘social subject knowledge’, ‘social method knowledge’ and ‘social context knowledge’. While there was a great difference among three subordinate factors which are functional educational objectives setting, interests & roll play in class, lesson contents according to the students with disability. Second, pre-service special teachers were positively changed regarding about teaching social study. They have understood the meaning of the goal social studies, enhanced instruction design skills. improved teaching skills based in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represented a great variety of reinforcement, motivation and questioning methods. Also, they made a good choice of teaching materials and tested the students individually. Implications to develop advanced program for improving pre-service special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were suggested.
자기주장훈련 중재프로그램이 경도지적장애학생의 자기인식과 자기옹호에 미치는 효과
이재섭 ( Jae Seop Lee ),이재욱 ( Jae Wook Lee ),최승숙 ( Seung Sook Choi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assertiveness skills training on the self-awareness and self-advocacy for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The participants were fourteen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seven students belonged to an experimental group received self-assertiveness skills training. Seven students in a control group had traditional instruction. Sixteen experimental sessions were conducted at special education rooms. The students, their parents, and their classroom teachers rated self-awareness and self-advocacy checklist since intervention had been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tatistically improvement on self-awareness and self- advocacy of participants from students students’ rating. According to the parents parents’ perception, self-assertiveness skills training had the effects on improving the self-awareness while there was not the effect on improving the self- advocacy of students. Finally, from teachers teachers’ rating, there was not statistically effects on improving the self-awareness and self-advocacy both. The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were suggested to develop appropriate self-awareness and self-advocacy intervention program for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