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속 집단의 정서적 조직몰입이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다수준 교차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성원(Choi, Sungwon),심희권(Shim, Heekwon) 전북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2024 아태경상저널 Vol.16 No.1

        조직과의 동일시 메커니즘 차원에서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UPB: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의 선행 변수로서 조직몰입이 폭넓게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사회적 교환 이론이 예측하는 조직몰입의 UPB 증가는 실증 연구에서 지지되지 않은 경우가 상당수 존재했다. 본 연구는 UPB와 정서적 조직몰입의 관계를 다수준 분석(multilevel analysis)을 통해 고찰함으로서 이러한 이론과 실증 연구 사이의 갭을 메꾸고자 시도하였다. 육군 19개 소대에서 현역 남성 용사 172명이 사전 설문과 사후 설문에 참여하였다. 구조모형 패키지 Mplus의 TWOLEVEL 분석을 활용해 다수준 교차 조절모형(cross-level moderation)을 테스트하였다. 분석 결과, 집단 수준의 정서적 조직몰입은 UPB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개인 수준의 정서적 조직몰입은 직접적으로는 UPB와 유의한 연관이 없었으나, 집단 수준의 정서 몰입에 의한 유의한 다수준 교차 조절효과가 존재하였다. 즉 집단적 정서몰입이 높은 소대에 속한 경우, 개인 수준의 정서 몰입은 UPB를 증가시켰다. 반면 집단적 정서 몰입이 낮은 소대에 속한 경우, 개인 수준의 정서 몰입은 UPB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서적 조직몰입이 UPB에 끼치는 영향을 다수준 차원에서 규명함으로써 이론적 바탕에도 불구하고 기존 실증 연구들에서 불분명하였던 두 변수 사이의 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이에 조직 관리에 있어 정서적 조직몰입과 UPB의 함의와 실천적 시사에 대해 논의하였다. Under the lens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been extensively examined as an antecedent of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UPB). A substantial amount of literature, however, does not align with the social exchange prediction of increased UPB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aims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oretical expectations and empirical findings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UPB and affective commitment through multilevel analysis. A total of 172 active-duty male soldiers from 19 army platoons participated in the pre- and post-survey. Using the TWOLEVEL analysis of the structural modeling package Mplus, a cross-level moderation model was tested to explore this relationship. The results revealed that group-level affective commitment of platoons significantly increased soldiers UPB. Although individual-level affective commitment showed no direct association with soldiers UPB, a significant cross-level moderation effect was found with group-level affective commitment. That is, when soldiers belong to platoons with high group-level affective commitment, their individual commitment increased UPB. Conversely, in platoons with low group-level affective commitment, individual commitment decreased UPB. These findings extend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UPB to multilevel perspectives, providing a clearer comprehens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and addressing the gap in the existing research. The implications and practical considerations of group-level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UPB in organiz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시점간 선택에 관한 연구

        최성원(Sungwon Choi),장옥진(Ok-Jin Jang),김양태(Yang-Tae Kim) 한국중독정신의학회 2014 중독정신의학 Vol.18 No.2

        Objectives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intertemporal choice in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and to examine whether impulsivity or working memory is related to intertemporal choice in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Methods : Fifty alcohol dependence patients and fifity healthy controls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All participants were male. All patients were subjected to the following tests : Delay Discount-ing Task (DDT), 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 (WCST), the Barratt Impulsiveness Scale-11 (BIS-11), and the Korean version of Michigan Alcohol Screening Test (MAST-K). Results :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alcohol dependence group showed higher delayed reward discounting rate in DDT. The performance on the WCST of alcohol dependence group was significantly poor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lcohol dependence group scored higher than controls in the total score of the BIS-11 and the motor subscale scores. The perseverative error in WCS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1 day indifference point (r=-0.505, p<0.01) and 2 day indifference point(r=-0.388,p<0.01) in DDT. However, the indifference point in DDT did not show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he score of BIS-11 or MAST-K within the alcohol dependence group. Conclusion : Intertemporal choice in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had more delayed reward discounting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Delayed discounting and impaired working memor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Delayed discounting and self-report mea-sure of impulsivity or alcohol dependence were not correlated.

      • KCI등재

        개인 성격유형이 팀 기반 학습 중 학생 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양적·질적 연구

        최성원(Choi, Sungwon),민숙(Min, 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HEXACO 6요인 성격이 대학 팀 기반 문제해결 수업 중 학생 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구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총 155명의 학생이 한 학기 동안 고차 수리 문제해결 과제 팀 활동에 참여하여 성격유형 및 시민행동에 대한 양적 질적 조사에 임했다. 양적 및 질적 연구 결과, 외향성과 성실성 성격유형이 학생 자기 보고에 의한 주관적 시민행동과 교수자 관찰 평정에 의한 객관적 시민행동 모두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여타의 성격요인들에서는 시민행동에 대한 유의미한 영향력을 발견하지 못했다. 이에 관련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다뤘다.

      • KCI등재

        공정성 지각과 직장 내 비인격적 감독 인식 관계에 대한 정서지능의 조절효과 연구: 의료계 종사자를 중심으로

        최성원(Choi, Sungwon) 한국경영교육학회 2021 경영교육연구 Vol.36 No.6

        [연구목적] 본 연구는 상사의 조직 구성원에 대한 비인격적 감독 인식에 대하여 그 선행변수로서의 공정성 지각과 정서지능의 조절 효과를 의료 조직 구성원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한 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총 310명의 구성원이 1회에 걸쳐 온라인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잠재 조절효과 분석이 이루어졌다. 핵심 연구 변수는 총 5개로, 비인격적 감독 인식, 정서지능, 분배 공정성, 절차 공정성, 상호작용 공정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정서지능이 공정성 지각과 비인격적 감독 인식 사이에 조절 변수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구체적으로 정서지능이 높은 구성원들은 정서지능이 낮은 구성원들에 비해 분배 및 절차 공정성이 결여된 방식으로 대할 경우 현저히 민감한 비인격적 감독 인식을 보여 주었다. [연구의 시사점] 주요 시사점을 기술하면 공정성에 문제가 없는 우호적 상황에서는 정서지능이 높은 직원들은 매우 우호적이고 협조적인 조직 구성원일 수 있지만 공정성이 침해받는 경우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이를 직장 내 비인격적 감독으로 예민하게 인식하여 대응해올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이에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 등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ntecedent role of justice percep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EI) for abusive supervision in the context of clinical workplace. [Methodology] A total of 310 clinical workers from a large hospital participated in a survey. A series of structural equ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on five major latent constructs (i.e., abusive supervision, emotional intelligence,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Findings] The results show that emotional intelligence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justice perceptions and abusive supervision, such that the justice perceptions and abusive supervision relationship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stronger among the high EI workers. [Implications] In summary, workers with high EI tend to be more sensitive to perceive distributive and procedural injustice as abusive supervision. Implication and future direction are discussed.

      • 주변 문장 유사도를 이용한 문서 재사용 측정 모델

        최성원(Sungwon Choi),김상범(Sangbum Kim),임해창(Haechang Rim)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 2005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2005 No.10

        기존의 문서 재사용 탐지 모델은 문서 혹은 문장 단위로 그 내부의 단어 혹은 n-gram을 비교를 통해 문장의 재사용을 판별하였다. 그렇지만 문서 단위의 재사용 검사는 다른 문서의 일부분을 재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문서 내에 문서 재사용이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에 의해서 그 재사용 측정값이 낮아지게 되어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다. 반면에 문장 단위의 문서 재사용 검사는 비교 문서 내의 문장들에 대한 비교를 수행하게 되므로, 문서의 일부분에 대해 재사용을 수행한 경우에도 그 재사용된 부분 내의 문장들에 대한 비교를 수행하는 것이므로 문서 단위의 재사용에 비해 그런 경우에 더 견고하게 작동된다. 그렇지만, 문장 단위의 비교는 문서에 비해 짧은 문장을 단위로 하기 때문에 그 신뢰도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문장단위 비교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문장 단위의 문서 재사용 검사를 수행 후, 문장의 주변 문장의 재사용 검사 결과를 이용하여 문장 단위 재사용 검사에서 일어나는 오류를 감소시키고자 하였다.

      • KCI등재

        동일방법편의 확인 및 대응을 위한 CFA 마커 테크닉의 고찰과 용례

        최성원(Choi Sungwon) 한국경영교육학회 2021 경영교육연구 Vol.36 No.2

        [연구목적] 동일방법편의(common method bias)는 자기보고형 설문을 사용하는 연구의 주요 우려 사항 중 하나이다. 동일방법편의로 야기되는 체계적 측정 오류는 연구 변수 간 상관을 교란시키고 정확한 인과관계의 추정을 왜곡하여 연구 결과의 타당성을 저하시킨다. 연구자들이 채택할 수 있는 여러 통계적 보정 기법 중 CFA 마커 테크닉은 구조방정식을 활용해 보다 정교하고 엄밀한 동일방법편의의 확인 및 통제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갖는다. 이에 해당 기법의 절차와 수행 방법론을 사례 데이터를 통해 고찰하였다. [연구방법] 연구 변수는 총 4개로, 상사 괴롭힘, 분배 공정성, 절차 공정성과 마커 변수에 대하여 337명의 응답자로부터 자기보고형 설문을 통해 얻은 횡단연구 데이터를 사용해 4단계에 걸친 CFA 마커 기법 테스팅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이를 통해 동일방법편의의 개념과 적용을 살펴보았고, 최근 주목받고 있는 통계적 방법론인 CFA 마커 기법에 대한 분석 절차를 다루었으며, 사례 데이터를 활용한 결과 해석을 해당 구조방정식 코드와 함께 제시하였다. [연구의 시사점] 이를 통해 동일방법편의를 확인하고 이에 대처하는 연구자들의 통계 방법론적 용이성과 접근성을 재고하고자 하였으며 자기보고 설문을 사용한 횡단 연구 보고의 엄밀성과 타당도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Purpose] It has been a major concern for researchers to detect and control for common method bias in using self-report response data. Common method bias systematically influences the measurement model and deteriorates the validity of studies, distorting correlations and causal inference. With practical examples, the manuscript introduces CFA marker technique which provides better detection and control of common method bias. [Methodology] A cross-sectional dataset composed of 337 responses on the four latent constructs (i.e., abusive supervision,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and a marker construct) was evaluated based on the four-step procedure of CFA marker technique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indings] The manuscript provides a conceptual illustration of CFA marker technique and a practical step-by-step tutorial to implement the technique, shoing how to detect, interpret, and remedy the common method bias situation. [Implications] This instructional study attempts to help researchers to find and treate their common method bias issue better by utilizing the CFA marker technique and improve the analytical rigor of cross-sectional self-report survey data.

      • KCI등재후보

        부하 상사 간 관계 갈등에 대한 업무 갈등과 감성지능의 상호작용 연구

        최성원(Sungwon Choi) 동국대학교 경영연구원 2024 경영과 사례연구 Vol.46 No.1

        본 연구는 부하-상사 간 관계에 있어 업무 갈등의 관계 갈등 전이(spillover 현상)에 대하여 그 조절변수로서의 감성지능의 영향에 관해 고찰하였다. 특히 역량 기반 감성지능 모형에 기반하여 직원의 정서적 역량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었다. 국내 한 직장인 커뮤니티를 통해 총 113명의 참여자가 온라인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 및 계층적 회귀분석이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 부하의 감성지능 수준과 부하-상사 간 관계 갈등 사이에는 유의한 부(-)의 관계가 존재하였다. 나아가 업무 갈등과 관계 갈등 사이에는 유의한 정(+)의 영향이 관찰되었다. 감성지능은 업무 갈등과 관계 갈등의 관계를 유의하게 조절하였다. 감성지능이 높은 직원일수록 업무 갈등의 관계 갈등 전이 현상이 둔화되었다. 요약하면, 정서적 역량이 높은 직원은 상사와의 인간적 갈등 관계를 보다 건설적이고 생산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부하의 감성지능은 업무 갈등이 관계 갈등으로 전이되지 않도록 조절변수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에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다루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oderating role of emotional intelligence (EI) in the spillover of task conflict into relationship conflict in subordinate-supervisor relationships. Grounded in the ability-based EI model, the research focuses on the emotion management ability of subordinates. Data were collected from 113 employees through an online survey, follow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indings reveale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EI and relationship conflict. Additionally, a significant positive link was observed between task conflict and relationship conflict. Emotional intelligence significantly moderates this relationship, with higher EI attenuating the spillover effect of task conflict on relationship conflict. In summary, employees with higher EI effectively manage interpersonal conflicts with their supervisors, fostering constructive interactions. Furthermore, subordinates’ EI acts as a buffering moderator, preventing task conflict from transforming into relationship conflict. This research offers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s avenues for future inquiry.

      • KCI등재

        대학 학습 팀 내 갈등과 팀 효과성에 관한 연구 : 정서지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성원(Choi Sung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9

        목적 본 연구는 대학 팀 학습 중 발생하는 과업 및 관계 갈등과 팀원 정서지능의 영향을 팀 효과성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방법 총 101명의 대학생이 한 학기 동안 팀 프로젝트 활동에 참여하여 상호 평가와 연구 설문에 응답하였다. 결과 팀별 성과가 높았던 팀은 상대적으로 적은 관계 갈등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소속 팀원들의 정서지능이 유의미하게 더 높았다. 팀원 상호 평가에 있어서는, 두 가지 갈등과 정서지능 사이에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정서지능이 높을 경우, 과업 및 관계 갈등 상황 모두애서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팀원 상호 평가를 받음이 드러났다. 결론 이는 팀에서 과업 및 관계 갈등을 빚더라도 정서지능이 높은 개인의 경우 그 효과를 무마하거나 오히려 긍정적 방향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그러한 정서적 능력은 전체적으로 팀 성과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팀 활동 및 팀 학습에 대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 과제를 다루었다.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role of emotional intelligence (EI) in relations to both types of conflict (i.e., task and relationship conflict)and team effectiveness (i.e., team performance and peer evaluation). Methods A total of 101 college students in 19 project teams completed a semester-long study. Results The major finding is that high performance teams demonstrated significant relations with low level of relationship conflict and high level of EI, but not with task conflict. Team-member’s EI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both types of conflict and team-member peer evaluation, such that the relationship was significantly more positive with individuals with high EI. Conclusions Team members with high EI are more capable of coping with conflict situation in a constructive way, and this in turn increases team effectiveness. Implication and future direction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