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멀티 레벨 낸드 플레쉬 메모리에서 주변 셀 상태에 따른 데이터 유지 특성에 대한 연구
최득성,최성운,박성계,Choi, Deuk-Sung,Choi, Sung-Un,Park, Sung-Kye 대한전자공학회 2013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0 No.6
멀티 레벨 낸드 플레쉬 메모리에서 주위 셀의 문턱 전압상태에 따른 데이터 유지 특성을 연구하였다. 열을 가해 셀의 데이터 보전특성을 판정하는 열적 열하 특성에서 주목하는 셀의 문턱 전압이 변화하는데 문턱전압의 변화는 선택된 셀 주위에 있는 셀들이 가장 낮은 문턱 전압 상태로 있는 셀들의 수가 많을수록 커진다. 그 이유는 전하의 손실이 이루어지는 낸드 플레쉬 셀의 본질적인 특성 뿐 아니라, 주위 셀 사이의 측면 전계 때문이다. 전계에 대한 모사 결과로부터 전계의 증가 현상을 발견할 수 있고, 이로 인한 전하의 손실이 소자 스케일 다운에 따라 더 증가함을 알 수 있다. The data retention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neighbor cell's threshold voltage (Vt) in a multilevel NAND flash memory is studied. It is found that a Vt shift (${\Delta}Vt$) of the noted cell during a thermal retention test is increased as the number of erase-state (lowest Vt state) cells surrounding the noted cell increases. It is because a charge loss from a floating gate is originated from not only intrinsic mechanism but also lateral electric field between the neighboring cells. From the electric field simulation, we can find that the electric field is increased and it results in the increased charge loss as the device is scaled down.
멀티 레벨 낸드 플레쉬 메모리에서 주변 셀 상태에 따른 데이터 유지 특성에 대한 연구
최득성(Deuk-Sung Choi),최성운(Sung-Un Choi),박성계(Sung-Kye Park) 대한전자공학회 2013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0 No.4
멀티 레벨 낸드 플레쉬 메모리에서 주위 셀의 문턱 전압상태에 따른 데이터 유지 특성을 연구하였다. 열을 가해 셀의 데이터 보전특성을 판정하는 열적 열하 특성에서 주목하는 셀의 문턱 전압이 변화하는데 문턱전압의 변화는 선택된 셀 주위에 있는 셀들이 가장 낮은 문턱 전압 상태로 있는 셀들의 수가 많을수록 커진다. 그 이유는 전하의 손실이 이루어지는 낸드 플레쉬셀의 본질적인 특성 뿐 아니라, 주위 셀 사이의 측면 전계 때문이다. 전계에 대한 모사 결과로부터 전계의 증가 현상을 발견할 수 있고, 이로 인한 전하의 손실이 소자 스케일 다운에 따라 더 증가함을 알 수 있다. The data retention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neighbor cell"s threshold voltage (Vt) in a multilevel NAND flash memory is studied. It is found that a Vt shift (△Vt) of the noted cell during a thermal retention test is increased as the number of erase-state (lowest Vt state) cells surrounding the noted cell increases. It is because a charge loss from a floating gate is originated from not only intrinsic mechanism but also lateral electric field between the neighboring cells. From the electric field simulation, we can find that the electric field is increased and it results in the increased charge loss as the device is scaled down.
5상 유도전동기의 속도응답특성 개선을 위한 직접토크제어 시스템
김민회(Min-Huei Kim),최성운(Sung-Un Choi)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12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26 No.1
This paper propose a improved direct torque control(DTC) system for improving operation of five-phase squirrel-cage induction motor(IM). A five-phase IM drives present unique characteristics due to the additional degrees of freedom and also drives possess many others advantage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three-phase motor drive system, such as reducing a amplitude of torque pulsation and increasing the reliability. In order to maximize the torque per ampere, the proposed motor has concentrated windings and the produced back-electromotive force(EMF) is almost trapezoidal, and the motor is supplied with the combined sinusoidal plus third harmonic of currents, there is necessary to controlled 3rd harmonic current. Also a DTC method is advantageous when it is applied to the five-phase IM, because the five-phase inverter provides 32 space vectors in comparison to 8 space voltage vectors into the three-phase inverter drive system. For presenting the superior performance of the proposed DTC, experimental results of speed control are presented using a 32-bit fixed point TMS320F2812 DSP with 1.5[hp] IM.
ML 기법에 기반을 둔 측정치 융합기법을 가진 다중표적 방위각 추적 알고리즘
류창수(Chang-Soo Ryu),박주태(Ju-Tae Park),최성운(Sung-Un Choi) 한국산업융합학회 2003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Vol.6 No.3
Recently, Ryu et al. proposed a multiple target DOA tracking algorithm, which has good features that it has no data association problem and simple structure. But its performance is seriously degraded in the low signal-to-noise ratio. In this paper, a measurement fusion method is presented based on ML(Maximum Likelihood), and the new DOA tracking algorithm is proposed by incorporating the presented fusion method into Ryu's algorithm. The proposed algorithm has a better tracking performance than that of Ryu's algorithm, and it sustains the good features of Ryu's algorith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