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파괴적 리더십, 팀 내 갈등수준, 조직다양성과 혁신성과: 3차항 상호작용효과

        최석봉,정기백 한국품질경영학회 2021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

        혁신에 관한 많은 선행연구들은 혁신성과를 높이기 위한 리더십 유형, 개인 및 조직수준의 다양한 선행요인을 발굴하는데 집중하였다. 그러나 팀 수준의 영향 요소와 팀 혁신성과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팀 혁신성과를 저해하는 리더십 유형과 맥락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먼저 파괴적 리더십이 팀 혁신성과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 또한 파괴적 리더십이 팀 혁신성과에 이르는 과정은 팀 구성원의 관계와 조직 환경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가정하고 팀 내 갈등수준과 조직다양성이 이들 관계를 조절하는지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파괴적 리더십, 팀 내 갈등수준, 조직다양성의 3차항 상호작용효과(3-way interaction)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국내 기업의 팀 단위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87개 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파괴적 리더십은 팀의 혁신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팀 내 갈등수준이 높은 경우 파괴적 리더십이 팀 혁신성과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더욱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파괴적 리더십과 팀 혁신성과 간의 관계에서 조직다양성은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파괴적 리더십, 팀 내 갈등수준 및 조직다양성의 3차항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한 결과 파괴적 리더십의 부정적인 효과는 팀 내 갈등수준과 조직다양성이 모두 높은 경우에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리더십 연구에서 잘 다루어지지 않은 파괴적 리더십의 효과를 조명하고 팀 수준의 혁신성과의 결정요인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파괴적 리더십의 부정적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다양한 상황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혁신성과와 리더십 연구에 중요한 이론적, 실무적 함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종업원의 심리적 주인의식, 직무자율성, 그리고 혁신행동: 매개된 조절효과 모델

        최석봉 한국기업경영학회 2018 기업경영연구 Vol.25 No.4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ownership and the innovative behavior of Korean employees. This article also examines whether job autonomy is positively mediate the above relationship. In addition we address the moderating role and mediated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autonomy and innovative behavior. By using a cross-sectional design, with questionnaires administered to 279 employees working in Korean service industry firms, main hypotheses were tested. The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has shown that psychological ownership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both employee innovative behavior. The results has also found that job autonomy positiv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innovative behavior of employees.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PO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autonomy and innovative behavior, the mediated moderating role of POS was found. Uncovering the link between psychological own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with mediating role of job autonomy and mediated moderating role of POS can provide useful implication to the organizations who want to promote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and their innovation performance. 종업원의 심리적 주인의식은 개인의 직무성과 뿐 아니라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혁신활동을 촉진시키는 내재적 동기를 부여하고 나아가 조직에 대한 애착과 긍정적 태도를 증가시키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심리적 주인의식이 종업원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다양한 매개변인과 상황요인을 가미한 연구노력은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종업원의 심리적 주인의식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한다. 더불어 종업원이 주어진 직무를 수행하는 데 느끼는 광범위한 재량권인 직무자율성을 중요한 매개 변수로 간주하고 이들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직무자율성과 혁신행동을 촉진하는 상황요인으로 조직지원인식을 상정하고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종업원의 심리적 주인의식이 직무 자율성을 통하여 혁신행동에 이르는 간접효과가 조직지원인식의 수준에 따라 다를 것으로 예상하고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국내 서비스기업에 근무하는 종업원 297명의 설문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첫째, 심리적 주인의식은 혁신행동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발견하였다. 둘째 직무자율성은 이들 관계를 긍정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직지원인식은 직무자율성과 혁신행동관계를 직접적으로 조절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무자율성을 매개로 하는 심리적 주인의식과 혁신행동 간의 간접영향관계는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끝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이론적, 실무적 기여와 연구의 한계, 차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리더의 피드백은 종업원의 창의적 문제해결 행동을 촉진시키는가? 종업원의 피드백 수용정도와 직무 복잡성의 3차항 상호작용효과

        최석봉 한국품질경영학회 2022 품질경영학회지 Vol.50 No.4

        Purpos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leader feedback on employee creative problem-solving behavior. It also explores the relevant conditions that maximize the above relationship from the psychological trait and task nature perspectives. Specifically we examine how employee feedback acceptance and task complexit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feedback behavior on follower creative problem-solving behavior. Finally the three-way interaction among leader’s feedback behavior, employee feedback acceptance and task complexity is analyzed for the best conditions to maximize the positive effect of leader’s feedback on creative problem solving behavior. Methods: This paper used a cross-sectional design with questionnaires administered to 411 employees working in Korean manufacturing and service firms. It applie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test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including three-way interaction effect among leader’s feedback behavior, follower feedback acceptance and task complexity on follower creative problem-solving behavior. Results: The empirical results of the paper indicated that the leader feedback behavior had enhanced employee creative problem-solving behavior. It was also found that follower feedback acceptance and task complexity positive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feedback and follower problem solving behavior. In addition, the test of three-way interaction effects also revealed that the higher the levels of both employee feedback acceptance and task complexity, the greater the positive effect of leader feedback behavior on employee creative problem solving behavior. Conclusion: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leadership and creativity literatures by identifying the role of leader’s behavior enhancing employee creative problem-solving behavior and the specific conditions strengthening the positive effect of leader feedback behavior on employee creative problem-solving behavior.

      • KCI등재

        국내 대기업 R&D 연구원의 경력계획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경력만족과 경력몰입의 매개효과

        최석봉,문재승 韓國生産性學會 2012 生産性論集 Vol.26 No.4

        There is increasing concern with how employees' career management is associated with its outcome at both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s. Previous research has mainly focused on determinants of career outcome and career commitment, however, empirical investigation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areer planing, career satisfaction and career commitment, and their consequences on organization has been limited. Based on 319survey data from employees in R&D department of Korean large manufacturing firms, we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career planing, career satisfaction, career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career planning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areer satisfaction and career commitment. Second, our empirical analysis also shows that both career satisfaction and career commitment have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inally, both career satisfaction and career commitment were positively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lann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provides an useful implication that improvement of individual career management can contributes to better organizational performance.

      • KCI등재후보

        Domain Reversal Dynamics in Ferromagnetic Thin Films of Co/Pd Nanomultilayers

        최석봉,김동현,신성철 한국물리학회 2002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40 No.3

        Domain reversal dynamics in ferromagnetic thin films has been quantitatively investigated by means of a magneto-optical microscope magnetometer (MOMM), capable of grabbing domain reversal patterns in real time under an applied magnetic field and of measuring local magnetic properties with 400-nm spatial resolution. The domain reversal behavior sensitively changed between wallmotion and nucleation-dominant behavior with changing multilayer structure of the Co/Pd multilayers. Quantitative analysis revealed that the contrasting reversal behavior was mainly caused by a sensitive change in wall-motion speed and that the reversal ratio of wall-motion speed over nucleation rate was a governing parameter for the contrasting domain reversal dynamics. The activation volumes of the wall-motion and nucleation processes were generally unequal, and the inequality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domain dynamics. Based on a Monte-Carlo simulation, both the macroscopic magnetic properties and the local magnetic variation were responsible for the contrasting domain reversal behavior.

      • KCI등재

        팀의 지식공유가 팀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팀 심리적 지식 소유감과 팀 리더의 지식전파능력의 3차항 조절효과

        최석봉 대한경영학회 2019 大韓經營學會誌 Vol.2019 No.특집호

        Many prior studies on organizational innovation have focused on discovering determinantsof innovation performance at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s. However, studies on team levelfactors affecting innovation performance or team level innovation performance have been relativelylimited. In light of this,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impact of team-level knowledge sharing onteam innovation performance, and explored the relevant conditions that maximize the aboverelationship. Specifically, this study first analyzed the direct impact of team-level knowledge sharingon team innovation performance. In addition, the process of team-level knowledge sharing to teaminnovation is assumed to b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team members' collective psychologicalownership and the team leader's ability to disseminate knowledge. Therefore, we examined moderatingeffects of both team’s psychological ownership and the team leader's disseminate capability ofknowledg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m-level knowledge sharing and team innovationperformance. Finally, the three-way interaction between team knowledge sharing, the team'spsychological knowledge ownership and the team leader's knowledge transmission capabilities wasanalyzed for the appropriate conditions to maximize the positive effect of team knowledge sharingon team innovative performanc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members of 63 teams working at 21 small andmedium-sized enterprises in Korea and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first, knowledge sharing of the tea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team's innovation performance. Second,if the team's psychological knowledge ownership is high, the result has been that the team's knowledgesharing weakens its impact on the team's innovation performance. Third, the knowledge disseminatecapability of the team leader in these relationships has shown no significant effect. Finally, the analysis of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s of team knowledge sharing, team's psychological knowledgeownership and team leader's knowledge disseminate capability showed that the team's psychologicalknowledge ownership is low, and team leader's knowledge transfer ability is high, the team's knowledgesharing effect is most strengthened. On the other hand, if a team has a high knowledge ownershipand the team leader has a low knowledge disseminate capability, the team's knowledge sharing hasthe least effect on the team's innovation performance. These empirical findings provided that psychological knowledge ownership of team, whichhas not been addressed well in previous studies, plays an important role between knowledge-sharingand innovation at team. In addition,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there could be various conditionalfactors aff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knowledge sharing and team innovation performanceand their dynamic interaction effects should be explored.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some practicalimplications in the following respec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knowledge sharing of the teamwas important to improve the team's innovation performanc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interestsand efforts of managers are needed to establish job training program for enhancing knowledge sharingamong team members, proper team climate and organizational support system well so that knowledgesharing within the team can be actively promoted. Second, managers need to encourage sharing ofpersonal knowledge in team and set up appropriate performance assessments and rewards for knowledgesharing team members. Third, it is necessary to support and educate team leaders to properly cultivateknowledge disseminate capability at the organizational level. 조직분야의 혁신에 관한 많은 선행연구들은 혁신성과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개인 및 조직수준의 선행 요인들을 발굴하는데 관심이 집중되었으나, 팀 수준의 영향 요소나 팀 혁신성과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팀 수준의 지식공유가 팀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이를 극대화시키는다양한 조건과 맥락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먼저 팀 수준의 지식공유가 팀혁신성과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 또한 팀 수준의 지식공유가 팀 혁신성과에 이르는 과정은팀 구성원들의 집단적 심리적 기저와 팀 리더의 역량에 상당한 영향을 받을 것으로 가정하고 팀의 심리적지식 소유감과 팀 리더의 지식전파능력이 .이들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팀 지식공유, 팀의 심리적 지식소유감과 팀 리더의 지식전파능력 간 3차항 상호작용효과(3-way interaction)가 팀의혁신성과를 극대화하는 적합조건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국내 21개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62개 팀 단위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실증분석 결과, 첫째, 팀의 지식공유는 팀의 혁신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팀의심리적 지식소유감이 높을 경우 팀의 지식공유가 팀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약화시키는 결과가 나타났다.셋째,, 이들 관계에서 팀 리더의 지식전파능력은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팀의 지식공유, 팀의 심리적 지식소유감 및 팀 리더의 지식전파능력의 3차항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한 결과팀의 심리적 지식소유감이 낮고, 팀 리더의 지식전파능력이 높을 경우에 팀 지식공유 효과를 가장 강화하는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팀의 지식소유감이 높고, 팀 리더의 지식전파능력이 낮을 경우에는 팀의 지식공유가팀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가장 약화시키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그간 지식공유 연구에서 잘 다루어지지 않은 심리적 지식 소유감이 지식공유와 혁신성과 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실증적 증거를제공하였으며, 혁신성과를 다룬 기존연구에는 팀 수준의 결정요인들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팀내 지식공유와 팀 혁신성과 간의 관계에는 다양한 상황요인이 존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팀 내 지식공유,심리적 지식소유감 및 팀 리더의 지식전파능력이 팀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뿐 아니라, 이들 간 상호작용효과가 존재하며 적합한 조건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혁신성과를 연구하는 향후연구에 중요한 이론적함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