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일제하 ‘지방의회’ 회의록을 통해서 본 보통학교 재정 운용 양상 - 충남 공주의 사례를 중심으로

        최병택(Choi, Byung-Taek) 역사학연구소 2020 역사연구 Vol.- No.39

        일제강점기 ‘지방의회’ 데이터베이스에는 부협의회, 면협의회를 비롯해 일본인 학교조합과 조선인 학교평의회 회의 자료가 다수 수록되어 있다. 이 가운데 학교평의회 관련 자료들은 그동안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했던 일제가 초등교육 확충 정책에 담긴 모순점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일제는 1920년대 이후 보통학교를 증설하는 것을 허용하면서도 그에 필요한 비용을 모두 각 지역 학교비 재정에서 염출하게 했다. 조선총독부는 그 일환으로 학교비 부과금의 부과제한율을 상향 조정했으며, 기부금을 ‘자발적으로 모금’하도록 했다. 그런데 기부금 징수에 대한 여론이 조금씩 나빠지자 학교비평의회가 학교비 특별부과금이나 제한외부과를 신청하는 모양새를 갖추어 학교비 세입을 늘려가게 했다. 그 과정에서 각 지역 학교평의회는 특별부과금을 자발적으로 결의하는 내용이 담긴 문서를 많이 만들어내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이번에 만들어진 일제강점기 ‘지방의회’ 데이터베이스에는 그와 같은 정황이 잘 반영되어 있으며, 이를 잘 활용할 경우 관련 연구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database of “local council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ontains a number of data from meetings of the Japanese school council and the Korean school council, including the deputy council and the state council. In the process of promoting the so-called three-sided one-school policy in the 1920s, the Chosun Governor-General took the method of creating a school by collecting donations from residents of each side. This policy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in the “first Korean primary education expansion plan” announced at the end of 1920 and the second and third plans that followed. The only thing that changed was that in the 1930s, the method of donating money was changed to a method of issuing school expenses or imposing a special levy on residents. In my view, the school council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was a kind of “cooperator” that could be usefully used when the Japanese rule passed on the expenses incurred by the policy to expand primary education to local residents. The school council was also a channel through which residents who sought to resolve educational issues could exude their desire.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documents produced by the school council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are of a nature that cannot be interpreted and understood literally.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the material is less import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work, I believe that a more three-dimensional and multi-faceted analysis can be made on the impact of Japanese imperial education policies on local communities. The more relevant research results in the future, the deeper the understanding of the atmosphere of local communitie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will become.

      • KCI등재

        남장로회선교부 한센병 환자 수용정책의 성격(1909~1950)

        최병택(Choi Byung-Taek)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0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2 No.-

        이 논문은 일제하~1950년까지 한센병 환자 수용 시설인 애양원의 환자 수용정책과 그 영향을 다룬 글이다. 그동안 일제하 기독교 선교사들의 한센병 환자 수용 시설이 환자들을 외부사회와 격리함으로써 환자들의 인권을 침해하였다는 비판적 시각이 있어왔다. 그러나 기독교계의 한센병 수용 시설이 그 활동을 시작할 무렵 전세계적으로 한센병에 대해서는 환자들을 격리하는 것이 유일한 대책이었다. 이 점에서 환자들을 격리하였다는 것만으로 이를 비판적으로 바라보기는 어려울 것이다. 서구에서는 한센병 환자를 ‘죄’로 인해 병을 얻게 된 자로 규정하고 이를 차별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선교사들은 환자들을 병을 통해 복음을 접하게 된 ‘선택된 자’로 여기는 경향을 보였다. 애양원의 ‘격리’ 방침은 환자가 외부인을 접촉함으로써 병을 옮기지 않도록 하는 그야말로 전염병 예방 차원에 머무르는 것으로 환자들을 평생 격리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었고, 완치될 경우 환자들은 자유로이 퇴원할 수 있었다. 그러나 환자들이 퇴원 후 격심한 사회적 편견속에 살아갈 길이 사실상 없었으므로 대부분의 환자들은 경제적 안정이 보장된 애양원에 남기를 원하였고 이 때문에 애양원 내 환자 구역은 비교적 안정된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었다. 이 환자 공동체의 질서를 유지하고 규율하는 역할은 교회에 주어져 있었다. 교회는 그리스도의 재림과 함께 병이 완전히 치유될 것이라는 믿음을 심어주는 방식으로 환자들로 하여금 신앙생활에 더욱 전념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조건 속에서 애양원 수용자의 상당수는 외부와 단절된 채 개인적 신앙생활에 매달리게 되었고 결과적으로 1960년대에 정착촌으로 이주할 당시 경제적, 사회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 This article deals with American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ary's activities on treating Hansen’s disease patients and providing shelter for them through AeYangWon. Earlier studies urged that the missionary segregated many patients from society and confined them in leprosy asylums, and by this they treated lepers as social issue for the first time. And on this account lepers be treated discriminatingly. But at that time there were no adequate measures except keeping patients in isolation. Conventionally Western people take lepers as sinner since Middle Ages. By contrast the missionary in korea considered lepers as the blessed for they receive benefits from God through missionary leprosy asylum. The Patients did not protest against segregation and discrimination, but wanted to remain in asylum. In this environment AeYangWon maintained stable relationship between inmate. The leader that keeping order in AeYangWon was the church. pastors of AeYangWon-church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reparing for The Second Advent of Christ, and pushed lepers to concentrate on religious life. Because of them the lepers stuck on religious belief on the millennium, so that they couldn't prepare economical background to meet the new policy on lepers that focus on building settlements in 1960s'.

      • KCI등재

        일제하 학교비 재정 운영의 성격

        최병택(Choi, Byung-taek) 한국역사연구회 2013 역사와 현실 Vol.- No.90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fice increased the number of elementary schools since the 1920s. The education of children required a great deal of expense at the time. Japanese authorities should have put their money into school building, but they held public investment in education and infrastructure under the reason that the purpose of education was to enable the educated people to make more money. Japanese authorities did not consider to help one grow as a whole-person and achieve the interests of the society. Full cost of education fell upon the Korean people. In the 1920s, the Governor-General office established a Local School Board expense(hag’kyo-bi, 學校費) in every county. School board reserved the right to discuss school budget, and was obligated to raise school funds, but they did not have any voting rights on school. The Governor-General office did not give any subsidies to school-boards, so they had to impose heavy additional collection of taxes in order to establish elementary schools on farm land taxes and house taxes. The more schools were established, the more funds were required, so school-boards levied taxes upon local residents. That was why school-boards imposed the houserates(ho’byol-hal, 戶別割). The house-rates was a kind of progressive tax on each family, imposed upon the assets the residents had. But the house-rates were not enough for school-running. As the school-boards’ finances continued to drain, Japanese authorities took up more collections. At that time the collections for school was not voluntary contributions. It was just a mandatory levy.

      • KCI등재

        국정 `국사` 교과서 서술 방향의 문제점과 `민주주의` 교육 원칙의 왜곡

        최병택 ( Choi Byung-taek ) 역사교육학회 2016 역사교육논집 Vol.61 No.-

        This is the dissertation on the government-designated history textbook which issued in the Third National Curriculum Period(1974~1981). At that tim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released `Description Criteria` for history textbook to keep history education under control. By taking this type of action, the ruling party and Park administration could infuse some misconception that the only way to maintain our democratic system is to unite behind `our leader Park` and the group in charge of the power. Nation level curriculum of S. Korea has reached forward to the democratic values under the recognition that education is the basis of our democratic society. Nation curriculum also has provided more specific guidelines to social studies and history education, that is greatly required to cultivate democratic attitude among the people so that they may respect the other side`s opinions and interests as well. But the `Description Criteria` for history textbook which is made by Park administration look at that educational objectives from a biased point of view, and reinterpreted that in their distorted point of view. The educational authorities of that time protected their own and reinterpreted values of democracy by publishing government-published textbooks. Recently, the government decide to republish State-made` textbooks against the protests from the civic groups. With this change in the education policies, history education will be very rigid and will not concede to a variety of viewpoints. And most of all, under these situation history education are more likely to become a part of political propaganda.

      • 1915년 조선물산공진회의 전시물 선정 및 배치에 나타난 특징

        최병택(Choi Byung-Taek)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9 敎育論叢 Vol.56 No.1

        본 논문에서는 1915년에 열린 시정5주년기념조선물산공진회에 전시물이 어떤 의도에서 선정되었으며, 또 그 배치된 모습에 어떤 담론이 숨어 있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조선총독부는 조선을 일본이 누리는 문명 수준과 동일한 수준까지 발전시키겠다면서 ‘동화’를 식민정책의 방향이라고 제시했다. 이러한 담론에서 조선총독부는 다양한 산물들을 한 곳에 모아 식민지배가 실시된 이후 어떠한 점이 개선되었는지 보여주고자 했다. 이를 위해 산업 품평회, 공진회를 자주 개최하였다. 조선총독부는 지방 각지에서 열리고 있던 물산공진회가 조선인들의 뿌리 깊은 항일 의식을 잠재우고 조선인들을 일제의 시정 지도에 따르는 ‘순량한 백성’으로 바꾸어내는 데에 공진회가 효과를 발휘한다고 생각했으며, 이같은 판단에서 조선물산공진회에서 조선총독부의 지도를 순순히 받아들여 문명화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라는 메세지를 던지려 하였다. In the 1910s, the colonial authorities held a regional Competitive Exhibition to create an image of ‘Japanese people working for the civilization of Joseo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wanted to further strengthen this image through the Joseon Competitive Exhibition in 1915. Japanese colonial rule forced visitors to spread their images that they made through the exhibition to Koreans. but The image that Japan presented to Koreans at the exhibition was not convincing. This exhibition wa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Competitive Exhibitions and Agricultural shows that held in the locals in the 1910s.

      • KCI등재

        조선후기 산림황폐화 현상과 일제 당국자의 산림 문제 인식 검토

        최병택(Choi, Byung-Taek) 부산경남사학회 2021 역사와 경계 Vol.118 No.-

        산림에서 인간생활에 필요한 임산 자원을 채취할 때에는 일정한 계획에 따라 나무를 베고 그 벌채적지에 식목하는 등 주도면밀한 행동 방침이 있어야 한다. 이렇게 하게 되면 매년 수확량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그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임산물을 비교적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임학 분야에서는 이를 ‘보속성의 원칙’이라고 부른다. 보속성 관련 논의에서는 어느 한 사회의 산림문제의 근원은 바로 보속성을 지키지 못한 임업 생산에서 비롯되며, 산림녹화 역시 이 원칙에 적합한 조림정책의 수립 여부에서 시작한다고 본다. 그런데 조선후기에는 이러한 원칙이 제대로 확립되지 못한 것으로 보이며, 국가권력이 이 사안에 주력할 여력도 갖지 못했던 것으로 이해된다. 산림 문제에 관해 논한 연구자들 가운데 혹자는 산림 훼손 문제를 근원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산림 소유권 제도를 우선적으로 확립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 어떤 논자는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가 임야 소유권을 확립하는 것이 산림녹화의 가장 중요한 첫걸음이었다.’는 견해를 내세우기도 한다. 오늘날 일제 강점기 임정 당국자의 산림 문제 인식을 되돌아보면, 임야 소유권 제도를 확립하게 되면 산림녹화라는 목표에 쉽사리 도달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가졌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임야소유권 제도가 갖추어지지 않은 것이 산림 황폐화의 원인이라고 단정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소유권 제도뿐만 아니라 임업 생산의 원칙이 제대로 지켜지고 있었는가, 그리고 국가권력이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유효한 수단을 갖고 있었는가 하는 점이 더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demand for forest products increased, and as a result, merchants frequently collected and sold forest resources in large quantities. In general, when harvesting forest products from the forest, it should not be harvested without a plan. The yield of forest products should be maintained at a constant quantity each year and the forest products needed by society should be supplied relatively stably. However, it seems that these principles were not properly establish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 state power did not have the capacity to focus on this issue. Some argue that in order to fundamentally improve the problem of forest damage, the forest ownership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first. Another point of view is that "the establishment of ownership of forests was the most important first step in forest rehabilitatio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However, it is not appropriate to conclude that the lack of a forestry ownership system is the cause of deforestation. It can be said that the more important question is whether the principle of forestry production as well as the ownership system was properly followed, and whether the state power had effective means to support it.

      • KCI등재

        해방 이후 의무 교육 요구와 정책의 전개 방향

        최병택 ( Choi Byung Taek ) 대구사학회 2016 대구사학 Vol.125 No.-

        해방 직후 한국인들은 일제시기에 제대로 시행되지 못한 의무교육제를 하루빨리 실시하자는 데에 뜻을 같이 하였다. 일제는 겉으로 의무교육제 실시를 약속했지만, `수익자 부담 원칙`을 내세우면서 국고보조금을 전혀 지출하지 않았다. 교육의 공공성 원칙이 전혀 지켜지지 않았던 것이다. 미군정은 1946년 1월에 여론을 의식하여 의무교육제 실시를 천명했지만, 학교 시설 확충에 소요되는 비용의 지출을 거부함으로써 사실상 그 실현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 때문에 각 지방자치단체는 학교 관련 부과금의 세율을 올리거나, 단위 학교에 후원회를 조직하는 방식으로 부족한 재정을 보충하는 편법을 택하였다. 이러한 면모는 정부 출범 이후에도 크게 변하지 않았다. 제헌헌법에 의무교육제 실시가 규정되어 있었지만, 재정적자를 의식한 정부는 의무교육제 실행에 필요한 제도적 정비 작업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았다. 그 결과 의무교육재정은 여전히 지방자치단체의 학교비 부과금 수입과 사친회의 기부금 수입으로 충당할 수 밖에 없는 상태가 지속되었다. 사친회는 교사 급여, 교실 신축 비용 등을 모두 부담할 정도로 학교 재정에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그러나 사친회가 반강제로 거두어들이는 기부금의 액수가 상당했고, 그 사용처도 제대로 관리되지 못했기 때문에 일반의 비판적인 여론이 높아졌다. 이에 정부는 1950년대 말 교육세를 신설했지만, 그 역시 기존의 지방 학교비부과금 일부를 국세로 전환하는 데에 그쳤다. Many korean people demanded immediate action for compulsory and free common education just right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ese occupation. They thought that Japanese colonial authority`s education policies was so deceptive, because the colonial power flouted the Publicness of Education by rejecting subsidies for the education. The anger of the public for colonial education system triggered an explosion of interest in educational system reform. Amid such a atmosphere,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made a decision to enforce compulsory primary education. But the budget deficit was do high that U.S Military Government could not maintain heavy investment in education. For this reason, Military authority passed the buck to local self-government by imposing heavy additionals on local-house tax and establishing parent-teacher association(P.T.A) at every school which could take up compulsory collections. This problem on education did not solve even in the period of Rhee Syng-man Administration. Rhee`s administration employed exactly the same policy on compulsory education system. At that time, only the local authorities had a duty to maintaining educational finance stability. This policy was exactly the same thing that the Japanese colonial authority took during Japanese Ruling Era, and opposite to what koreans expected.

      • KCI등재

        일제하 낙동강개수사업의 추진과 지역 주민의 반응

        최병택 ( Choi Byung Taek )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한국학논총 Vol.55 No.-

        1920년대 조선총독부는 한강, 낙동강을 비롯한 주요 하천을 대상으로 하천개수사업이라는 것을 시행했다. 이글은 그 중에서도 낙동강을 대상으로 시행된 개수공사를 분석한 것으로서, 필자는 이를 통해 낙동강개수사업의 배경과 내용, 그리고 조선인들의 반응 혹은 대응을 소개하고자 했다. 낙동강 하류 지역은 예부터 상습 침수 구역이었고, 하천 연안의 땅은 침수로 인해 농사가 어려운 ‘잡종지’로서 가치가 없었다. 일제 강점기에 한반도로 건너온 일본인 중에는 이런 땅을 헐값에 사들인 후 수리조합을 만들어 방수 및 배수시설을 갖추는 사람이 많았다. 이런 방식으로 자신들의 땅을 ‘옥답’으로 바꾸고자 했던 것이다. 그런데 이 지역 수리조합의 토지개량사업은 연이은 홍수로 난관에 부딪혔다. 조선총독부는 이처럼 어려움을 겼던 수리조합을 지원기 위해 당국이 주도해 파괴된 제방을 보강하고 배수 및 방수 시설을 보완하고자 낙동강 개수사업을 시작했다. 이것이 낙동강개수사업의 내용이었던 것이다. 요컨대 낙동강개수사업은 낙동강 하류 지역에 농장을 갖고 있던 일본인들이 상습 수해를 받지 않도록 돕기 위해 기획된 것이었다. 그런데 낙동강개수사업으로 빈발하던 수해가 어느 정도 줄어들 것으로 보았던 조선인 언론이나 지역 주민들은 이 사업의 공사 구역을 보다 확대해달라고 청원하는 등 기대를 걸었다. 한편 이 사업이 실행됨에 따라 예기치 못한 피해를 입게 된 사람도 많았다. 어떤 사람들은 물길이 바뀌어 수해에 노출되기도 했으며, 또 어떤 지역 사람들은 조선총독부의 공사 비용 전가 정책으로 큰 부담을 떠안게 되었다. 상황이 이러했으나 지역 주민과 언론들은 이 사업에 대한 기대를 접지 않았다. 식민지 현실아래에서는 ‘가진 자’를 위해 실시되는 사업에 문제를 제기하는 목소리보다 그 사업으로 조금이라도 수해가 줄어들기를 바라는 목소리가 더 컸던 것이다. In the 1920s,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mplemented a river renovation project targeting major rivers including the Han River and Nakdong River. This article analyzed the renovation work conducted on the Nakdong River. I tried to introduce the background and contents of the Nakdong River renovation project, and the response or response of the Koreans in this article. The lower part of the Nakdong River has been a habitually flooded area since ancient times, and the land along the river coast was of no value-land where farming was difficult due to flooding. Among the Japanese who came to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ere were many people who bought such land at a bargain price and formed irrigation unions to have water and drainage facilities.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started the Nakdong River renovation project to reinforce the destroyed embankment and supplement the drainage and waterproofing facilities, led by the authorities to support the unions that had been in such difficulties. The Korean media and local residents, who believed that the frequent flood damage caused by the Nakdong River Renovation Project would be reduced to some extent, raised expectations, including petitioning for further expansion of the project's construction area. Meanwhile, many people suffered unexpected damage as this project was implemented. Some people were exposed to flood damage due to the change of the waterway, while others in the region were burdened by the government-general's policy of transferring construction costs.

      • SCOPUSSCIEKCI등재

        脈動 電磁氣場이 白鼠의 培養 頭蓋冠細胞에 미치는 影響

        崔炳澤(Byung-Taek Choi),梁源植(Won-Sik Yang) 대한치과교정학회 1990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0 No.3

        Electrical stimulation among several factors that influence bone remodeling has been studied by many investigators with great enthusiasm in orthodontic field. The action mechanisms of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conventional electrode application method in that PEMF induces endogenous current in the living tissues. PEMF is known to have the healing effect in nonunion of bone and osteoporosis. It is widely used in orthopaedic scopes and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method in clinical orthodontics is also conceivable. But the exact mechanisms by which the PEMF exerts its effects are not clearly understood. Therefore, the author wanted to see the effect of PEMF on five groups of rat calvarial cells obtained by sequential enzyme digestion method, and observed the changes in enzyme activation, collagen synthesis and <sup>³</sup>H-thymidine incorpor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Under the effect of PEMF, there were no changes in th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in five groups of cell populations. 2. Both the PEMF group and the PTH with PEMF group showed no changes in acid phosphatase activities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wo experimental groups. 3. Under the effect of PEMF,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of collagen synthesis in the group V cell population. 4. Under the effect of PEMF,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of <sup>³</sup>H-thymidine incorporation in the group IV and V cell popu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