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정중 동맥에 의한 수근관 증후군에서 초음파 검사의 유용성: 증례 보고

        최병산,김채근,김영진,채수욱,김종윤,차명수,Choi, Byong San,Kim, Chae Geun,Kim, Yeung Jin,Chae, Soo Uk,Kim, Jong Yun,Cha, Myoung Soo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12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5 No.2

        정중 동맥은 전완 및 완관절에서 정상적으로 태생 전에 사라져 성인에서 수근관 내에 존재하는 정중 동맥은 드물다. 저자들은 수근관 증후군 환자에 시행한 초음파 검사에서 수근관 내에 정중 동맥이 관찰 되어 보고한다. Median artery of the forearm and wrist is not very frequently observed because it normally involutes before birth. Persistent median artery of the carpal tunnel is not frequently observed in adult life. We report a case of persistent median artery in the carpal tunnel that was examed by ultrasonography.

      • 만성 단독 후방십자인대 파열에서 자가 슬괵건과 후-후 삼각술기를 이용한 만성 후방십자인대 보강술

        김영진,채수욱,최병산,김종윤,이황용,한창완,한수연,Kim, Yeung Jin,Chae, Soo Uk,Choi, Byong San,Kim, Jong Yun,Lee, Hwang Yong,Han, Chang Wan,Han, Su Hyoun 대한관절경학회 2013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7 No.1

        목적: 슬관절의 후방십자인대 파열 시 잔존하는 절단단 또는 이완된 인대를 유지하면서 관절경하 후-후 삼각기법과 단일절개 횡경골 접근법을 이용하여 4겹의 자가 슬괵건을 사용해 손상된 후방십자인대 보강술을 시행한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후방십자인대 파열로 진단되어서 4겹의 자가 슬괵건과 후-후 삼각기법과 단일절개 횡경골 접근법을 이용한 보강술을 시행한 환자 중에서 최소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3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는 5년 5개월(범위: 2-7.9)이었다. 수술 시 연령은 평균 35.2세이었다. 운동 가능 범위, 후방 전위 검사, Telos stress 방사선 검사, Lysholm knee score, Tegner activity score,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의 판정 기준을 이용하여서 술후 기능 평가, 2차적 관절경 검사 등을 시행하여 주관적 및 객관적 지표로 삼았다. 결과: 최종 추시 시에서 후방 스트레스 방사선 사진상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감소 소견이 관찰되었다(p<0.05). 최종 추시에서 IKDC grade는 Group A가 18예, Group B가 11예, Group C가 3예이었고, Group D는 한 예도 없었으며, 각각 통계학적 의미가 있는 호전을 보였다(p<0.05). 결론: 만성 단독 후방십자인대의 파열에서 관절경하 후-후 삼각기법과 단일절개 횡경골 접근법을 이용하여 4겹의 자가 슬괵건을 사용해 손상된 후방십자인대 보강술은 양호한 슬관절의 안정성과 기능 회복을 얻을 수 있는 좋은 수술 방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outcome of arthroscopic posterior cruciate ligament (PCL) augmentation using an autogenous hamstring tendon graft and the posterior-posterior triangulation technique with preservation of ligament remnant or elongated ligament.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2 to December 2009, we performed PCL augmentation using an autogenous hamstring tendon graft and the posterior-posterior triangulation technique in 32 patients. The mean age was 35.2 years. Twenty two cases were male and 10 cases were femal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5 years and 5 months (range: 2-7.9). Subjective and objective parameters were utilized in analyses, such as the mean range of motion, post. drawer test, Lysholm knee score, Tegner activity score,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inittee (IKDC) grade, and second look arthroscopic examination. Results: At last follow up posterior displacement by the Telos stress test decreased from $10.8{\pm}5.1\;mm$ to $2.8{\pm}3.7\;mm$ (p<0.05). The final Lysholm knee score improved from $60.4{\pm}5.8$ to $84.6{\pm}4.8$. Tegner activity score improved from 3.2 to 4.8. The final IKDC grade was A in 18, B in 11, C in 3. Postoperative Lysholm knee score, IKDC grades, Tegner activity scale, and posterior displacement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compared to the preoperative state (p<0.05). Conclusion: Arthroscopic PCL reconstruction using an autogenous hamstring tendon with preservation of ligament remnant showed a good clinical results and posterior stability.

      • KCI등재후보

        표재비골신경 포착증후군(1예 보고)

        채수욱,김영진,최병산,송하헌,Chae, Soo-Uk,Kim, Yeung-Jin,Choi, Byong-San,Song, Ha-Heon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12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6 No.1

        Superficial peroneal nerve entrapment is an uncommon compression neuropathy, and is frequently associated with a fascial defect and a muscle hernia. The standard treatment of that was the nerve decompression by complete or limited fasciotomy. But, we experienced a case of superficial peroneal nerve entrapment had satisfactory surgical outcome by fascial repair of peroneus muscle.

      • KCI등재

        척골 신경 내에 발생한 혈관종

        김태균(Tae Kyun Kim),최병산(Byong San Choi),강홍제(Hong Jae Kang),노성현(Sung Hyun No) 대한정형외과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6 No.4

        신경 내에 혈관종은 매우 드물게 보고된다. 이에 척골 신경내에 발생한 혈관종을 현미경적 탐색술 및 절제술 후, 합병증 없이 치료됨을 경험 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An intraneural hemangioma is an extremely rare condition. We report here on an intraneural hemangioma of the ulnar nerve. Microscopic exploration and excision of the lesion resulted in complete relief of the patient’s symptoms.

      • 만성 경추 동통 환자에서 초음파를 이용한 후관절 차단술의 진단 및 치료적 유용성

        김태균,심대무,오성균,최병산,한상수,Kim, Tae Kyun,Shim, Dae Moo,Oh, Sung Kyun,Choi, Byong San,Han, Sang Su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3 No.2

        목적: 만성적으로 경추 동통을 호소하는 환자의 통증의 근원은 대부분 후관절인데, 증상을 일으키는 관절의 정확한 위치 확인의 어려움과 합병증 및 위약효과의 가능성으로 인해 임상에서의 적용에 의구심을 가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만성 경추 동통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후관절 동통의 유병율을 평가하고 진단 및 치료적 목적의 초음파를 이용한 후관절 차단술의 유용성에 대해 보고한다. 대상 및 방법: 만성적이면서 비특이적인 경추 동통을 6개월 이상 호소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통을 동반한 추간판 탈출 관련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는 그 대상에서 제외되었으며, 물리 치료나 척추 교정 요법, 약물 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 요법에 실패한 환자 1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경추 동통에 대한 진단적 후관절 차단술은 1% 리도카인(lidocaine)을 사용하여 시행하였으며, 리도카인에 양성 반응을 보인 환자에 대해서는 2주 뒤 0.25% 부피바카인(bupivacaine)을 사용하였으며, 후관절 차단술 시행 이후 경추 운동시 75% 이상의 통증 감소를 보일 경우를 양성 반응으로 고려하였다. 결과: 만성 경추 동통을 호소하는 환자 160명 가운데 리도카인을 이용한 후관절 차단술에 96명, 60% 양성반응을 보였으며, 리도카인에 음성반응을 보인 환자 64명 가운데 부피바카인에 48명, 75% 양성반응을 보였다. 리도카인에 양성반응을 보였으나 부피바카인에 음성반응을 보인 가양성 환자는 48명, 50%에 해당하였다. 총 160명의 환자들의 시술 전 VAS는 평균 8.5이었으며, 2주 추시시 2.7 (p=0.001), 4주 추시시 3.6 (p=0.001)로 감소하였다. 초기 시술로 증상의 호전이 만족스럽지 않았던 8명과 경과 관찰 도중에 악화되었던 3명은 4주째 후관절 차단술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여 통증의 완화를 보였다. 결론: 만성 경추 동통을 호소하는 환자에 대해 초음파를 이용한 단일 차단술은 가양성 반응이 높아 진단적 가치가 상대적으로 낮으며, 후관절에 시행한 두 번의 차단술은 만성 경추 동통 환자의 중재적 통증 조절에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In patients with chronic cervical pain, the facet joint is the source of the majority. Due to the difficulty of identifying the exact location of the joint that causes these symptoms, the possibility of complications and the placebo effect brings clinical application into question.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prevalence of patients with chronic cervical pain and report the diagnostic and therapeutic usefulness of ultrasonography - guided facet joint block 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with nonspecific chronic cervical pain for more than 6 months were selected. Patients with disc herniation, sciatica-related pain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and 160 patients who failed in conservative treatment (physical therapy, chiropractic therapy, medication) were included in the study. Diagnostic Ultrasonography-guided facet joint block was performed with 1% lidocaine, and after two weeks, Bupivacaine 0.25% was used in patients who tested positive for lidocaine. Patients with more than 75% pain reduction during movement after facet joint block were considered positive. Results: Among the 160 patients with chronic cervical pain, 96 patients(60%) had a positive reaction after facet block using lidocaine. Among the 64 patients with a negative reaction to lidocaine, 48 patients(75%) had a positive reaction to bupivacaine. There were 48 false positive patients(50%) who showed a positive reaction to lidocaine but a negative reaction to bupivacaine. The mean VAS of the total 160 patients before blocks was 8.5, after 2 weeks follow up it decreased to 2.7 (p = 0.001) and after 4weeks 3.6 (p = 0.001). The 8 patients as an initial improvement of symptoms are not satisfied with the procedure and the 3 patients had been worsened during observation, were showed pain relief after additional ultrasonography-guided facet joint block at 4th week. Conclusion: A single ultrasonography-guided block to chronic cervical pain patients has relatively low diagnostic value since high false positive rate. The twice facet joint blocks is thought to be a useful method for interventional pain management of patients with chronic cervical pain.

      • KCI등재
      • KCI등재

        외측 반월 연골판 관절경적 부분절제술 후 발생한 외측 하 슬동맥의 가성동맥류 -1예 보고-

        김영진 ( Yeung Jin Kim ),채수욱 ( Soo Uk Chae ),최병산 ( Byong San Choi ),김종윤 ( Jong Yun Kim ),한창완 ( Chang Wan Han ),한수현 ( Su Hyoun Han ) 대한스포츠의학회 2012 대한스포츠의학회지 Vol.30 No.1

        Arthroscopic meniscectomy of the knee is generally a safe and effective procedure with a low rate of vascular complications. The authors encountered a case of a pseudoaneurysm of the lateral inferior genicular artery after arthroscopic partial meniscectomy of lateral meniscus. The pseudoaneurysm was treated successfully using transcatheter embolization. No recurrence of the hemarthrosis was observed in the patient after a follow-up of 2 years.

      • KCI등재

        인공슬관절 재치환술 시 경골 폴리에틸렌 삽입물 단독 치환술의 결과

        전철홍(Churl Hong Chun),김정우(Jeong Woo Kim),권석현(Seok Hyun Kweon),최병산(Byong San Choi),전근철(Keun Churl Chu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6 No.2

        목적 : 인공 슬관절 재치환술 시 경골 폴리에틸렌 삽입물 단독 치환술 시행 후 단기 추시 결과에 대해 조사하여 보았다. 대상 및 방법 : 1991년 6우러부터 2003년 8월까지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받고 평균 69 (64-89)개월 후에 경골 폴리에틸렌 삽입물 단독 치환술을 시행받은 19명 20예 중 추시관찰이 가능했던 17명 18예를 조사했다. 모든 경골 삽입물 단독 치환술은 1998년 5월에서 2008년 10월 까지 본원에서 시행되었으며 추시 기간은 평균 48 (22-142)개월이었다.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평가를 하였으며, 임상적 평가에는 관절운동범위, HSS score 및 환자군의 하루 평균 노동 시간과 비만도를 조사하였고, 방사선학적 평가에는 대퇴 경골각, 방사선 투과선을 조사하였다. 결과 : 추시상 관절 운동 범위는 평균 110.6°, HSS score는 평균 86.9점, 대퇴경골각은 외반 5.3°로 조사되었다. 하루 평균 노동 시간은 9.7시간으로 조사되었으며 평균 비만도는 25.9로 나타났다. 방사선 투과선은 총 4예에서 보였으나 모두 2 ㎜ 미만의 비 진행성 병변으로 확인되었다.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에서 생존율은 100%로 조사되었다. 결론 : 인공 슬관절 재치환술에서 제한된 적응증으로 경골 폴리에틸렌 삽입물 단독 치환술을 시행시 인공 슬관절 재치환술의 성공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Purpose : We investigated the short term outcomes of isolated tibial polyethylene insert exchange after revision total knee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 We selected 18 cases from 17 patients among the 20 cases from 19 patients who took isolated tibial polyethylene insert exchange after mean 69 months-follow up of TKA, which was carried out from June 1991 to August 2003. Two cases were excluded on account of loss to follow-up. In all cases, isolated tibial polyethylene insert exchange was carried out from May 1998 to October 2008 in our institute and the mean follow- up period after operation was 48 (22-142) months. We evaluated the following clinical and radiologic aspects: range of motion, HSS score, average labor time, and BMI. Together, these factors were used in clinical evaluation while femorotibial angle and radiolucent line were used in radiologic evaluation. Results : The average range of motion was 110.6 degrees and HSS score was 86.9 in follow up period. The average femorotibial angle was valgus 5.3°. The average labor time was 9.7 hours and BMI was 25.9. Although radiolucent line was found in 4 cases, there were all confirmed to be non progressive lesion less than 2 ㎜. Survival rate was 100% in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Conclusion : Selective isolated tibial polyethylene insert exchange can be the successful method for revision TKA in limited cases.

      • KCI등재

        요추 추간판 탈출증에 대한 수술 준비 단계에서 실시한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의 유용성

        심대무(Dae Moo Shim),박진영(Jin Young Park),양정환(Jung Hwan Yang),최병산(Byong San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4

        목적: 수술적 치료가 예정된 요추 추간판 탈출증을 가진 환자에서 수술 전에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을 실시하여 그 결과 및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2월에서 2005년 11월까지 본원에서 임상 증상, 이학적 검사 및 자기 공명 영상 검사를 통해 추간판 탈출증으로 진단되고 수술적 치료가 예정된 환자중 신경 차단술을 시행 받은 10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추시 기간은 평균 10개월(2.5-30개월)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35.5세(19-72세)이었다. 선택적 요추 신경근 차단술을 시행한 후 증상 호전이 없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42예와 수술적 치료 없이 증상 호전을 얻었던 6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추시 관찰은 의무기록과 외래 면담, 전화인터뷰를 통해 시행하였고, 수술 그룹과 비수술 그룹간 각각의 신경근 증상 양상과 MRI 상 신경근 압박 단계를 비교하였다. 신경근 압박 단계의 분류는 1단계 인접부(abutment), 2단계 전환부(displacement), 3단계 포착부(entrapment)로 나누었다. 결과: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로 증상호전을 보였던 61예 중 단일 신경근 증상을 가진 경우는 37예였고, 신경근 압박 단계는 1단계 인접부가 15예, 2단계 전환부가 4예, 3단계가 1예로 나머지 17예의 경우 명확한 분류가 힘들었다. 신경근 차단술로 호전이 없어 수술을 시행한 42예와 신경근 차단술로 증상 호전을 보인 61예 사이의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여 Independent T-test를 이용한 통계 결과 상에서 두 결과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방사통 양상이나 신경근 압박 정도에 따른 신경근 차단술 그룹과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그룹간의 X 2-test (카이 검정법)을 이용한 통계 결과상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추간판 탈출증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을 이용한 보존적 치료는 효과적인 임상적 결과를 보이며, 방사통 양상이나 신경근 압박 정도는 신경근 차단술의 치료적 효과를 예측 할 수 있는 요소로 볼 수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elective nerve root block (SNRB) in advance to the patient who is going to undergo the operation for lumbar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HIVD). Materials and Methods: 103 cases were selected from among SNRB conducted to the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by this hospital to have lumbar HIVD from December 2004 to November 2005 and assigned for operations. The follow-up period was 10 months in average (2.5-30 months) and the average age was 35.5 years (19-72 years). Patients had been monitored by means of clinical records, interviews and telephone and features of symptoms and stage of nerve root compression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 of operated patients and that of the non-operated. Results: As for stages of nerve root compression, 15 cases could be classified to belong to the 1st stage, 4 cases to the 2nd stage and 1 case to the 3rd stage. Among 42 cases for which operations were conducted because there was no improvement after SNRB. Divided by stages of nerve root compression, 13 cases belonged to the 1st stage, followed by 10 cases to the 2nd stage and 4 cases to the 3rd stag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urned out to exist the clinical results between 42 cases which underwent operations and 61 cases which experienced improvement after nerve root block. No significant difference, either, was confirmed from the statistical outcomes between SNRB group and operations. Conclusion: The preserving treatment using SNRB for the patients with lumbar HIVD seems to have positive clinical effects. Features of radiating pains or stages of nerve root compression, however, can't be regarded to be factors foretelling the treatment effects of SNRB.

      • KCI등재

        요추 추간판 수술과 관련된 정형외과와 신경외과 병의원 홈페이지에 대한 비교 분석

        심대무(Dae Moo Shim),정을오(Ul Oh Jeung),김태균(Tae Kyun Kim),김정우(Jeong Woo Kim),박진영(Jin Young Park),권석현(Seok Hyun Kweon),박성규(Seong Kyu Park),최병산(Byong San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2

        목적: 정형외과와 신경외과의 개원의 및 봉직의를 중심으로, 요추 추간판 수술 시행 여부에 대한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웹사이트를 이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3월부터 4월까지 포털사이트인 네이버에서, 정형외과와 신경외과를 검색어로 하여 검색하였다. 검색된 68개 정형외과 병의원과 27개 신경외과 병의원 홈페이지를 직접 방문하여 추간판 수술 시행 여부와 병의원에 근무하고 있는 정형외과 및 신경외과 전문의 수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통계학적 검증은 chi-square test를 이용하였다. 결과: 추간판 수술을 시행하는 정형외과 병의원은 45.6% (31/68)였으며, 신경외과 병의원은 85.2% (23/27)로, 의의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1). 정형외과 병의원 중 16.2% (11/68)는 척추 질환 수술을 시행하는 신경외과 전문의가 근무하고 있어, 실제 정형외과 전문의가 추간판 수술을 시행하는 병의원은 29.4% (20/68)였다. 정형외과 전문의가 근무하는 신경외과 병의원은 51.9% (14/27)로, 정형외과와 신경외과 전문의가 동시에 근무하는 경우는 신경외과 병의원이 의의 있게 많았다(p<0.001). 결론: 정형외과 병의원의 70%가 추간판 수술을 시행하고 있지 않았으며, 향후 학회 차원에서 추간판 수술을 잘 시행하지 않는 이유에 대한 조사 및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operability for disease of lumbar intervertebral disc (LID) of practitioners and pay doctors of orthopedic surgeons and neurosurgeons by examining their websit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2006 to April 2006, we searched the internet using the key words orthopedic surgery and neurosurgery, with NAVER as the portal site. There were 68 homepages of orthopedic hospitals and physician's offices (OHP) and 27 homepages of neurosurgical hospitals and physician's offices (NHP). Each homepage was visited in order to survey the operability for disease of an intervertebral disc and the number of board of orthopedists and neurosurgeons.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a chi-square test. Results: In 45.6% (31/68) of OHP and 85.2% (23/27) of NHP, the operation for LID was performed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In 16.2% (11/68) of OHP, neurosurgeons employed by OHP performed the operation for spinal disorders. In 29.4% of OHP, the orthopedic surgeon performed the operation for LID. Orthopedists were employed in 51.9% of NHP. NH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OHP in the cases in whom the orthopedists and neurosurgeons worked together in a single hospital (p<0.001). Conclusion: In 70% of OHP, surgery for LID was not performed. A survey about reasons for not performing operation for LID and improvement of that reasons should be carried out by the medical associ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