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삼국사기』 「백제본기」 초기 기록의 불신론 비판

        최범호 대동사학회 2005 대동사학 Vol.4 No.-

        We reveal substance of the Baekje(百濟) the history of the early periods, but a the most important problem is just the Samguksagi(三國史記) initial record distrust. The most Korean ancient history researcher a few values of the Samkugji Dongijeon(三國志 東夷傳) to have listened to are distrusting an initial record of the Samguksagi. They cannot bring a reason to distrust of the early Records in the Samguksagi based on only the existing common view to light concretely while being reasonable. However, the outline that the Three States are early rather can be somewhat exposed if they see the early Records in the Samguksagi in a viewpoint to admit. If this that those the historical materials admits the possibility that a selection or rejection became when it edites the Samguksagi, even which remain historical materials which did cannot throw away. Therefore, the researcher whom we just stand the Baekje the history of the early periods while admitting a record, and go out is necessary for the Samguksagi(三國史記) Baekjebongi(百濟本紀)

      • KCI등재

        7세기 전반 백제와 신라의 공방전과 함양지역의 역사 지리적 위치

        최범호 전북사학회 2021 전북사학 Vol.- No.63

        백제가 7세기 전반인 무왕 시기(602~633년)에 신라의 서쪽 접경지대를 점 령하는 가운데 함양지역이 차지하는 역사 지리적인 위치를 살펴 보았다. 함 양지역은 백제와 신라가 영토를 쟁취하기 위한 전쟁이 가장 치열하게 일어난 곳의 중심에 있다. 이 지역은 백제에서는 경남 서부지역으로 동진하기 위한 중요한 통로이며, 신라에서는 백제지역으로 뻗어나가기 위한 군사 지리적 요 충지이다. 신라는 경남 서부지역을 효율적으로 통치하고 백제의 공략에 적극적으로 방 어하기 위해 군사적인 거점인 하주의 주치를 565년에 대야주(합천)로 옮겼다. 이곳을 거점으로 신라는 서진하여 거열성(거창)을 지나 속함(함양)에서 팔량치 를 넘어 아막성(운봉)까지 진출하였다. 602년에 백제 무왕은 아막성(운봉)을 공격하였으나 실패하였고, 616년에 아막성을 점령하였다. 이어서 624년에 백 제는 속함(함양) 비롯한 앵잠·기잠·봉잠·기현·혈책 등 6개성을 공격하여 점령하기에 이른다. 함양지역은 서부 경남권역에 위치하면서 북으로는 안의-거창-고령을 잇는 교통로이고, 육십령을 거쳐 전북 장계로 이어지고, 함양에서 인월을 거쳐 장 수 번암으로 통한다. 서쪽으로는 팔량치를 넘어 운봉, 남원에 이르고, 남으로 는 하동으로 이어지고, 동남쪽으로는 남강을 따라 산청을 지나 진주로 통하 는 서부 경남지역의 교통 요충지이다. 이러한 함양지역의 지리적인 위치로 인하여 7세기 백제는 운봉의 아막성 점령한 뒤 동진하여 함양의 속함성을 비롯한 인근 5개 성을 점령하였다. 백 제는 함양지역을 차지함으로써 신라의 서부 경남지역을 확보하는 발판이 되 었다. 이를 계기로 대야성(합천)을 함락하는 기반되었으며, 이러한 점이 함양 지역이 차지하는 역사 지리적인 위치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and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battle between Baekje and Silla in the first half of the 7th century and the Hamyang region. This area is a geographically important transportation route for Baekje to advance eastward from the western frontier of Silla to Gyeongju. In 602, King Mu of Baekje attacked Amakseong, but failed due to resistance from Silla, and again attacked and occupied it in 616. In 624, Baekje attacked and occupied six castles including Sokham, Aengjam, Gijam, Bongjam, Kihyeon, and Hyolchaek. Hamyang region is located in the western Gyeongnam region and an important transportation route connecting Anui(안의)-Geochang(거 창)-Goryeong(고령) and hapchon(합천). Then, it leads to Jeonbuk region through the yuksipryeong, and from Hamyang(함양) to Beonam(번암) in Jangsu) through Inwol. and leads to Hadong in the south. To the southeast, along the Gyeongho River, through Sancheong, and going to Jinju, it is a key transportation hub in the western Gyeongnam region. To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Hamyang area, Baekje occupied Unbong in the 7th century, and then moved east and occupied five neighboring fortresses including Hamyang's subordinate castle. Baekje occupied the Hamyang region and used it as a stepping stone to secure the western Gyeongnam region of Silla. The historical and geographical location occupied by the Hamyang area is the base for the capture of Daeyaseong<hapchon>.

      • KCI등재

        신라 통일기 6정(停)의 성립과 10정(停)의 역할

        최범호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3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4 No.1

        Silla(新羅) established and operated Jeong(停) for effective control over the occupied territories and the military mobilization system needed in the process of expanding territory. The 6-jeong(6停) of Silla was the highest military organization in the Silla region from 544 to 685, when 9-ju(州), 5-sogyung(小京) system was established. This was the organization that served as an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nd was the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9-ju(州), 5-sogyung(小京), and 10-jeong(停) offices. 10-jeong(停) was installed in a strategic military location for the purpose of efficient local control within the 9-ju(州) system. Silla deployed a military organization called '6-jeong(6停)' in each province of Ju(州).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Silla reorganized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of the country as the governing area expanded. 9-Ju(州), 5-sogyung(小京) started in 677 and was established in 687. In the province of Ju(州), a separate military organization called 10-jeong(停) was established. there was a Juchijeong(州治停) in charge of security, and 10-jeong(停)was organized separately in the strategic base area. Juchijeong(州治停) changed its role from the strategic corps base system to mobilize for territorial expansion wars, and played a role as a security force resident in 9-ju(州). Therefore, the regional military system was divided into 'Juchijeong(州治停)' and '10-jeong(停)' and changed into a dual system operated with different roles. 신라는 영토를 확장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군사적 동원체제와 점령지에 대한 효율적인 지배를 위하여 정(停)을 설치하여 운영하였다. 정은 중고기에 새로운 정복지역의 요충지에 설치되었고 상황에 따라 이동하였다. 정의 성립과 변화과정은 첫째로, 동해안을 따라 북진하면서 실직정(삼척)을 처음 설치한 뒤 비열홀・달홀로 이동하다가 우수정(춘천)이 되었고, 하슬라정은 북소경이었다가 하서정이 되었다. 둘째로, 한강유역으로 진출하여 설치된 신주정은 주치를 남천과 북한산 등으로 자주 옮기다가 한산정(하남)이 되었다. 셋째로, 비사벌정은 감문・일선으로 이동하다가 사벌주로 돌아와 상주정이 되었고, 하주정은 완산주를 비사벌(창녕)에 설치한 뒤 대야・압량・거열 등으로 옮기다가 완산주의 완산정(전주)이 되었다. 주에 주둔한 정은 5개의 지방 군단으로 성립되어서 처음부터 6정체제로 편성된 것은 아니며, 통일기에 자주 변화하다가 신문왕 5년(685)에 왕경의 대당과 함께 6정으로 정비되었다. 문무왕때 전국의 행정구역을 재편하여 9주 5소경의 체제가 갖추어지자 지방 6정은 9주의 주치에 주둔한 주치정 성격의 부대로 변하였고, 10정은 9주의 군사적 요충지에 별도로 기병 군단의 성격으로 재편되었다. 9주체제 안에서 효율적인 지방지배를 목적으로 하여 군사 지리적 요충지에 10정을 설치하였다. 10정의 위치가 주치의 인근에 있기도 하지만, 주의 행정구획적 특징으로 상당히 멀리 떨어져 있기도 하였다. 9주체제에서 6정은 단순한 주치정의 역할로 변하였으며, 10정은 전략상 요충지에 설치된 부대로서 특수한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통일기 이후 신라의 지방 군제는 주치정과 10정으로 분리되어 서로의 역할을 달리하면서 운용되는 이원적 체제로 변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신라 통일기 6정(停)의 성립과 군사 지리적 관계

        최범호 전북대학교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2023 디지털문화아카이브지 Vol.6 No.1

        신라는 영토를 확장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군사적 동원체제와 점령지에 대한 효율적인 지배를 위하여 정(停)을 설치하여 운영하였다. 정을 설치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신라가 동해안을 따라 북진하면서 실직정(삼척)을 처음 설치한 뒤 비열홀・달홀로 이동하였다. 그 이후 우수정(춘천)으로 옮겨 자리를 잡았고, 하슬라정은 북소경이었다가 하서정이 되었다. 한강유역으로 진출하여 설치한 신주정은 주치를 남천과 북한산 등으로 자주 옮기다가 한산정(하남)이 되었다. 비사벌정은 감문・일선으로 이동하다가 사벌주로 돌아와 상주정이 되었다. 하주정은 완산주를 비사벌(창녕)에 설치한 뒤 대야・압량・거열 등으로 옮기다가 완산정(전주)이 되었다. 신라의 주에 주둔하였던 정은 5개의 지방군단으로 설치되었다. 통일기에 여러 번의 변화를 거쳐서 신문왕 5년(685)에 왕경의 대당과 함께 6정으로 정비되었다. 지방에 설치한 정은 신라가 영토를 확장 과정에서 군사적인 거점과 육로・수로・해로로 연결되는 지리적인 요충지에 설치하였다. 백제나 고구려 지역에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로서 통일전쟁과 나당전쟁을 거치면서 독자적인 전쟁 또는 연합전선을 구축하여 전투 군단으로 역할을 하였다.

      • KCI등재

        완산주(完山州) 설치와 관련한 전주의 지정학적 배경

        최범호 전북사학회 2017 전북사학 Vol.0 No.51

        전주는 완산주가 설치된 이후 호남지역의 정치․경제․문화의 중심지로써 역할을 담당해 왔다. 하지만 백제시기의 전주는 중심지역은 아닌 것으로 여겨진다. 전주가 이 지역의 중심지로 부각되기 시작한 것은 신문왕 5년(685)에 완산주(完山州)를 설치하면서 이며, 경덕왕 16년(757년)에 완산주를 전주로 고쳐 9주 가운데 전북지역의 통할하는 지역이 되었다. 신라는 경주에서 전주에 이르는 남방 루트를 확보함으로써 백제고지에 대한 점령정책을 확고하게 펼쳐나가기 위하여 완산정과 완산주서를 설치하였고, 정치 군사적 중심지로서 완산주를 설치한 것이다. 신라는 옛 백제지역인 금마, 김제, 고부, 정읍 등 서부지역과 진안, 전주, 임실 등 동부지역을 효율적으로 지배하고 통치하기에 적합한 지역을 찾았다. 신라가 경주에서 전북지역에 이르는 교통로 중에서 백두대간을 지나 호남정맥을 바로 넘어서 군사적, 경제적인 요충지로서 조건에 적합하며 가장 빠르게 도달할 수 있는 곳을 찾은 곳이 바로 전주이다. 따라서 신라에서 전주에 9주의 주치로서 완산주를 설치한 것은 경주에 도읍하고 있는 신라 입장에서 옛 백제지역인 전북지역을 효율적으로 통치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지정학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Jeonju became the base city of Jeonbuk region by installing Wansanju in Silla in the 5th year of Sinmun Wang (685). The Wansan(完山) area was designated as an important base for Silla to suppress the Baekje revival movement, and after the evaluation, it was stationed to control the area as a whole. The establishment of Wansanjeong(完山停) and Wansanjuseo(完山州誓) in Wanshan province is intended to effectively control the old Baekje area with its military weight. Silla established a mountain state in order to unfold the occupation policy of the Baekje highland by securing the southern route from Gyeongju to Wansan. In order to select the location for the most effective control of Jeonbuk area, Silla sought a place to efficiently control and govern the western and eastern parts of the old Baekje area. It is Jeonju which is the most convenient place to meet the conditions as a military and geographical center among the traffic routes from Gyeongju to Jeonbuk area.

      • KCI등재

        『삼국사기』초기 기록과 삼국 초기사의 재검토

        최범호 전북사학회 2009 전북사학 Vol.0 No.35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we will actually understand the records of the early times in Samkuksaki(『三國史記』). First of all, this saw how a angle of disbelief in them was formed and have been changed, and then whether the records of "Dong-i chon"(「東夷傳」) in the Samgukchi(『三國志』) were trusted which were used to deny early records of Samkuksaki. And by trying to more actively interpret early records of Samkuksaki, the thesis is to push the button of the transformation of perception that we should newly interpret them. For early history of establishments of the Three-Kingdoms in the surveys of Korean history, history of Shilla was recorded to skip suddenly from founder Park Hyeokgeose(朴赫居世) in 57 B.C. to 17th Nea-mul Maripkan(奈勿麻立干: 356∼402), history of Goguryeo from founder King Dong-myeong(東明王) in 37 B.C. to 6th King Tea-Cho(太祖王: 53∼146) and history of Baekje from founder King On-cho(溫祚王) in 18 B.C. to King Ko-I(古爾王). Contemporary records of "Silla-bonki"(「新羅本紀」), "Goguryeo-bonki"(「高句麗本紀」) and "Baekje-bonki"(「百濟本紀」) in the Samkuksaki were quite rich, and recorded dynamic and varied appearances of Three-Kingdoms. Nevertheless, early history of Three-Kingdoms in the surveys of Korean history was neglected. For most Korean historians mainly avoided that age with accepting the disbelief in early history as the orthodoxy of Korean history. Although some records were mentioned, they were treated as history of Sam-Han(三韓) on the basis of "Dong-i chon" or early histories of Samkuksaki were seen as the later age's articles after Japanese analyzed and readjusted contemporary records' chronology(紀年). Because this phenomenon was influenced by a view of disbelief in early records of Samkuksaki which was produced to limit, distort and obliterate Korean history in the end of 19th. In this manner, they modified the king genealogy(王系) and chronology of Three Kingdoms, analyzed some of records with other records, and reformed early records of Samkuksaki. This, however, was based on the records of “Dong-i chon” in the Samgukchi. After all, they could not believe early records of Samkuksaki in themselves, and thus reform them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Dong-i chon”. While we distrusted the early records of Samkuksaki and denied the history of Three-Kingdoms, Chinese and Japanese have taken up this historical blank, distorted the Korean history and stolen Korea`s ancient history. Accordingly, we need the transformation of perception that we accept positively and interpret the early records of Samkuksaki, and thereby require to fill up the blank in history of Three-Kingdoms.

      • KCI등재
      • KCI등재

        新羅 上州·下州의 이동 과정과 운영

        최범호 전북사학회 2018 전북사학 Vol.0 No.53

        신라는 영토를 확장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점령지에 대하여 정치·군사적으로 효율적인 지배를 위하여 州를 설치하고 동시에 정(停)이라는 군대를 운영하였다. 이러한 州의 쓰임이 상주, 하주와 같이 넓은 영역을 포괄하고 있는 군관구(軍管區) 성격을 갖는 광역의 州와 비자벌주, 한산주와 같이 어느 한 지역을 군주가 다스리는 주치(州治)를 가리키는 협의의 주로 나뉘고 있다. 이 중에서 상주와 하주는 광역의 주로서 그 치소를 여러 차례 이동하는 것은 신라가 영토를 확장하는 과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중에서 상주와 하주는 광역의 주로서 신라가 영토를 확장하는 과정에서 그 치소를 여러 차례 옮긴다. 상주는 먼저 사벌주(尙州)에 처음 설치된 뒤에 감문주(김천), 일선주(구미시 해평면)로 옮겼다가 다시 사벌주로 돌아왔다가 상주(尙州)로 이름을 바꾼다. 사벌주(상주)는 백두대간을 넘어 신라가 서북부 지역으로 진출하는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어서 군사적인 지원을 담당하는 핵심 전진기지로서 역할을 하였다. 감문주(김천)로 이동한 것은 백제와 본격적인 공방전에 대응하기 위한 측면이 있다. 일선주(김천)는 백제와 고구려 정벌전쟁에서 전초기지 역할을 하였다. 하주는 비사벌주(창녕)에 처음 설치된 뒤, 대야주(합천), 압량주(경산), 거열주(거창)를 거쳐서 완산주(전주)로 옮긴다. 비사벌주(창녕)는 신라에서 낙동강 이서의 가야지역을 점령하여 통제하기 위한 다양한 루트의 교통로를 활용할 수 있는 신라 서남부의 핵심 군단 성격으로 운영되었다. 대야주(합천)로 이동은 가야세력들을 확실하게 통제하면서 백제와의 공격에 대비하기 위한 핵심적인 거점지역 이었다. 신라에서는 대야주가 함락되자 낙동강 이동지역인 압량주(경산)로 하주의 주치를 옮긴 뒤에 백제정복전쟁을 지원하는 중심역할을 하였다. 대야주로 회귀한 하주는 백제 부흥운동 세력을 진압하고 옛 백제지역의 영역을 장악하는 전진기지로서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상주와 하주의 주치 이동과 운영 실태를 보면, 군사적 역할이 강한 군관구로서 운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Silla(新羅) to form a metropolitan area with a military character called Sangju(上州) and Haju(下州). In 555, a new state was built in Bisabeol(比斯伐), and in 525, the already installed Sabeoju(沙伐州) was called Sangju(上州) and Bisabeolju(比斯伐州) was called Haju(下州). The transfer process of Sangju was moved to Gammun(甘文) in 557, becoming Gammunju(甘文州), and in 614 it moved to Ilson(一善) and became Ilsonju(一善州). In 687, moved back to Sabeoju(沙伐州) and in 757 changed its name to Sangju(尙州). Haju(下州) moved to Daiyaju(大耶州) in 565 and moved to Apryangju(押梁州) in 642 when Daiyaju(大耶州) was captured by Bekje(百濟) and after the fall of Bekje in 661 moves to Daiyaju. In 665, it moved to Geoyulju(居列州), and in 685 it moved to Wansanju(完山州). Silla frequently moves Sangju and Haju because jong(停) which is an army unit is installed in ju. This was due to the military and geopolitical role of the ti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