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중은행의 수익성, 생산성, 품질의 측정 및 관계의 분석에 관한 연구

        최문경(Moonkyung Choi) 한국생산관리학회 2011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22 No.3

        본 연구에서는 시중은행의 생산성, 수익성과 품질을 정의하고 측정하여 세 변수들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7개 시중은행의 2005년부터 2009년까지의 패널자료를 대상으로, 비방사적이고 산출지향적인 동시에 투입지향적인 Malmquist모형으로 생산성지수와 수익기반 생산성지수를 측정하여, 생산성 및 수익성의 값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두 지수들의 구성요소인 기술적 효율성변화와 기술변화를 측정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한편 서비스품질 값은 SERVQUAL에 기반을 둔 표준협회의 KS-SQI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에서의 시사점은 수익성, 생산성 및 서비스품질은 적어도 장기적으로 볼 때 서로 trade-off의 관계가 아니라는 것이다. 세 변수들의 인과관계는 알 수 없으나, 공분산 산포도를 통하여 볼 때 생산성이 증가할 때 수익성도 증가하고, 품질수준이 상승할 때 수익성과 생산성도 각각 향상됨을 보여 주었다. 그러므로 첫째, 생산성 향상을 위해 고객의 유치, 개인신용대출을 늘리며, 인력의 효율성을 증가시켜야 하며 둘째, 수익성 증대를 위해 새로운 수익모델 개발, 저비용서비스의 제공, 겸업업무의 확대로 수수료수입의 증가 등이 필요하며 셋째, 서비스품질 특히 기술적 품질의 향상을 위해 고객별 다양한 수요충족, 종합 금융서비스의 제공 등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a) to measure productivity, profitability and service quality, and b) to analyze their comparative relationships from 2005 to 2009 of 7 commercial banks. The productivity and profitability were measured by non-radial non-oriented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and Malmquist Profitabity Index. Both of Malmquist Indices were constructed by two measures, efficiency change and technical change. KS-SQI index data based on SERVQUAL model were used for measuring service quality. The relationships among profitability, productivity and service quality are not trade-off. Therefore banks should try to increase productivity by efficient use of inputs and improve profitability by raising interest and commission income. Improved service quality can play as a significant factor in soliciting new customers, boosting productivity and profitability as a result.

      • KCI등재

        출산(出産)과 사회·경제적(社會·經濟的) 제변수(諸變數)와의 관계(關係)에 관한 연구(硏究) 개발도상국(開發途上國)과 선진국(先進國)의 비교(比較)를 중심(中心)으로

        최문경 ( Moonkyung Choi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84 保健社會硏究 Vol.4 No.1

        In recent years, most of the less developed countries have population pressure. In this study, I intended to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fertility and economic development which brings into the fertility decision, the taste changes in fertility control associated with development. Birth rate is high in the less developed countries, commonly more than twice as high as in the developed countries. Maybe, fertility is one of the single socio-economic variables distinguishing developed and less developed countries. Kuznets says in his book that during the early stage of modern economic growth in Europe, birth rate rose initially as per capita income increased, but a secular downward trend in birth rates followed which dominated over the long run. Simon confirmed this argument by showing empirical evidence that the birth rate increases in early stages of development but decreases as income increases in less developed countries. That is,fertility is more sensitive to socio-economic variables in later stage of development. Fertility responses to a given change in explanatory variable vary with the level of modernization. I hoped that empirical result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development and fertility at different stages of economic maturity, and relative importance of income and demographic variables in fertility decline. My empirical data are a combined time-series cross-section of 25 Latin American and Asian countries (1950, 1960, and 1970) for less developed countries (LDC),and cross-section of ten more developed countries (MDC) including Canada, U.S.A., and European countries. In addition to these data, multiperiod sample, from 1966 to 1982, for Korea is used for this study on the fertility-economic variable relationship. Fertility is hypothesized to be a function of following. CBR = F (PCG, IMR, FPR, IL, AG) where, CBR is Crude Birth Rate. PCG is Per Capita GNP. FPR is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IL is Illiteracy Rate. AG is Agricultural Employment Rate. Fertility is total number of births per woman in different age cohort. But since this measure is not available for many countries, I used crude birth rate to measure fertility. I tested model by choosing linear and logarithmic form, and running by ordinary least square (OLS) method. The significance of each regression coefficient in the fertility equation is tested by t-statistic. T-statistic shows that in 1970 for the MDC, female participation rate and illiteracy rate are significant at 0.1 level, using a two-tailed test, while per capita GNP, infant mortality rate, agricultural employment are not significant. But, for LDC, 1950, 1960 and 1970 have the same significance test result: both agricultural employment and female participation rat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zero. For Korea, during 1966 1982, all the variables except female participation rate are significant. With some exceptions, most of the signs of the coefficients are the same as I expected. Economic causes do not adequately explain the high level of fertility for LDC, during early stage of economic development. R-squares are 0.3569 in 1950 and 0.5012 in 1960, whereas in 1970, the R-square improves to .6349. In linear model, “Chow Test” indicates that, in the year of 1970, the effects of variables on fertility are almost the same for two different groups of countries. Table 2 (Elasticity Multipliers) shows that crude birth rate can be reduced in MDC by encouraging greater female participation in the labor forces (where a one percent increase in the female participation rate reduces the birth rate by .28 percent.) Also for MDC a one percent increase in the agricultural employment results in .28 percent reduction in the birth rate.

      • KCI등재

        광역지방자치단체 주민들의 생활환경 수준에 미치는 경제요인 분석

        최문경(Choi, Moonkyung) 한국산업경제학회 2015 산업경제연구 Vol.28 No.4

        주성분분석을 이용하여 생활환경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의 대표 지수를 설정하였다. 이를 통하여 다양한 경제·사회적인 변수들이 광역지방자치단체의 주민들의 생활환경 수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생활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각 지방정부의 지방세 수입액, 종업원 300인 이상의 대기업의 수와 종업원의 수, 공유재산액, 인구밀도 등을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생활수준에 따라 단체별 순위를 매길 경우 2013년과 2008년의 스피어만 순위상관계수는 0.90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어느 한 요인이 압도하여 순위가 높거나 낮은 경우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분석의 목적에 맞게 주성분분석에 의해 생활환경 수준을 추계한 결과는 강건성 및 안정성이 보장되었다. 광역지방자치단체별 생활환경 수준의 분포는 왼쪽으로 치우친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순 평균치에 미달하는 지자체의 수가 평균치를 넘는 지자체의 수보다 압도적으로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체별 생활환경 수준의 차이는 극심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순위가 중간에 해당하는 지자체가 순위가 1위인 서울특별시와 같아지기 위해서는 지방세, 공유재산액 등과 같은 지표들이 현재보다 30배 이상 증가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지방 공공재를 공급하는 원천인 중앙정부의 재원을 지자체별로 배분하는데 있어서 현재의 생활환경 수준의 차이를 적절하게 고려하는 방향으로 제도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measure quality of local life index about major cities in Korea. That major cities in Korea"s quality of local life indices are estimat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n Econometrics. Factor affecting quality of local life are found to be local tax revenue, number and size of large firms, values of local public properties and population densities. If the ranks of major cities are assigned in accordance with the quality of local life indices, the coefficient of rank correlation is calculated as 0.90 for both years of 2013 and 2008. This implies that quality of local life indices are satisfied robust and stable by Spearman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Also, the distribution of quality of local life index is found to be left skewed. This implies that the number of major cities, the quality of local life index of which are less than the average, surpass 50% of the total number of major cities. Quality of local life index differentials are found to be extremely large. In order to change the rank from 8th, which is about middle class city, to be extremely large. to the 1st, local tax revenues and values of local public properties should be increased by 30 times approximately. Since the power of local public finance is the major determinant of quality of local life index, the inter-governmental resource allocation mechanism is suggested to be modified in order to consider the quality of local life index differentials.

      • KCI등재

        자영업, 선택인가? 한국과 미국

        최문경(Moonkyung Choi),이명진(Myung-Jin Lee) 한국사회학회 2005 韓國社會學 Vol.39 No.1

        산업화는 노동시장 내 자영업자들의 비중을 감소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부터, 미국에서는 1975년 이후부터, 그리고 선진 유럽 국가들에서도 1980년대 이후부터 산업화 이후 줄어들던 자영업자들의 비중이 다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와 관련해, 자영업을 실업에 대한 소극적 대안으로 바라보는 시각과, 자영업 증가가 후기산업사회적 특성이 제공하는 자영업 기회의 증가와 더불어 개인들이 변화하는 직업가치관에 준해 자영업을 선택하기 때문이라는 시각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KGSS와 GSS자료를 이용하여, 한국과 미국에서 개인들의 직업가치와 자영업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존재하는지 비교검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자영업이 개인들의 선택의 결과인지에 관해 논의하고 있다. 분석결과, 우리나라에서는 자영업 종사를 설명함에 있어 직업가치가 별다른 영향력을 보여주지 않는 반면 미국에서는 직업가치관이 자영업 종사를 설명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와 미국사이에 존재하는 차이점은 비단 직업가치관과 자영업 종사사이의 관계에서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와 미국에서 자영업자들은 인적자본의 수준에서나 직업분포에 있어서도 커다란 차이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후기산업사회로의 이행이 산업화와는 반대로 자영업의 증가를 촉진하는 일련의 변화들을 동반함을 시사한다. It has been generally believed that the industrialization brings a decrease in the proportion on labor force in self-employment. However, since 1990, proportion of workers in self-employment began to rise after decades of continuous decrease in Korea. A similar pattern has been observed in the U. S. and other industrialized nations in Europe. There are two contrasting perspectives on how to understand this phenomenon. One relates the rise in self-employment to the rise in unemployment rate which most nations undergoing transition to a post-industrial society are experiencing. The other relates the rise in self-employment to the change in job values of workers along with the increase in opportunity for self-employment. Using KGSS and GSS data,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values and self-employment in Korea and the U. S. Our analyses show that job values are not related to self-employment in Korea, whereas there is a strong and consistent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in the U. S.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U. S. is not limi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self-employment workers in terms of their level of human capital and occupational distribu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post-industrialization proceeds with certain changes which lead to a rise in self-employment.

      • KCI등재

        대학졸업에서 첫 직장까지

        최문경,이기엽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전국의 대학교 졸업생들을 모집단으로 확률 표본추출방법에 의해 표집된 대규모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대학생들이 첫 직장으로 진입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일반적으로 인적자본으로 거론되는 변수들, 그리고 기회구조를 나타내는 변수들 모두 첫 직장으로의 탈출 확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 중요한 것은 이러한 변수들이 모두 통제되었을 때, 구직과정에 관한 변수들이 첫 직장 진입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즉, 다른 조건이 동일할 때, 좀 더 빨리 구직을 시작하고 다양한 방법을 동원해 직장을 알아보는 것은 첫 직장을 얻는 데 유의하게 긍정적인 효과를 지니며, 특히 좋은 직장의 경우에는 공식적인 방법을 사용해 구직을 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Analyzing a national probability sample on college graduates,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examine the factors which are presumed to have effect in obtaining the first job. Our analyses find that factors that measure the supply side of labor and the factors that measure the demand side of labor are both important in obtaining the first job. More importantly, however, we find that controlling for these factors, variables on job search method and job search period are also important in obtaining the first job. This implies that universities can also play a role in increasing their graduates' probability of obtaining the first job by playing a more active role in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supply and demand side of labor get to meet each 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