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찰관의 공공봉사동기(PSM)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직무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낙범 ( Nakbum Choi ),전대성 ( Daesung Jun ) 한국정책학회 2016 韓國政策學會報 Vol.25 No.1

        본 연구는 경찰관을 대상으로 하여 공공봉사동기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두 변수간의 관계에서 직무특성을 중심으로 조절변수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찰청 내부포털을 활용하여 총 1,875명의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써 대표성 있는 표본을 수집하여 분석결과의 외적타당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공공봉사동기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표명확성, 업무량 적정성, 상관과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본 조절효과에 있어서는 목표명확성은 부(-)의 효과를 갖고 동료와의 관계는 정(+)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police officers’ public service motivation(PSM) on job satisfaction. This study also explores moderating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M and job satisfaction. Using an Internet survey from the portal system of Korean Police Agency, representative data was collected from 1,875 police officers. This considerably increases external validity of our findings. Results show that enhanced PSM has a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s study also tests moderating effects of goal clarity, work load, and the relationship with superior and co-workers.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relationship with co-workers is found to be positive and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goal clarity shows a nega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M and job satisfaction which goes against our previous assump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성과관리 제도운영 효과성 영향요인 연구: 경찰조직에서 투명성을 중심으로

        강영철 ( Kang Young C ),최낙범 ( Choi Nakbum ) 한국거버넌스학회 2016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3 No.3

        성과관리 제도는 개인과 조직의 성과를 정의하고 업무목표를 규정하며, 성과측정과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지속적으로 조직성과를 향상 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성과관리 제도의 성공적인 운영은 조직전반의 관리, 운영 및 실제 업무와 관련된 여러 가지 요인들에 영향을 받는다. 그간 선행연구에서는 기관장의 관심, 결과의 활용가능성, 성과지표에 대한 신뢰, 업무 연관성, 제도이해와 같은 요인들이 기대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되어왔다. 하지만 명확한 성과기준이 존재하지 않는 공공부문에서 어떤 요인들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여전히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경찰조직의 맥락에서 성과관리 제도운영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투명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경찰업무는 일반 행정기능에 비해 더 복잡한 측면이 존재하며 명확한 성과기준이 존재하지 않는다. 특히 엄격한 명령체계에 따른 위계적인 조직문화 내에서 성과평가와 제도 운영이 투명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은 제도효과성 인식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다. 경찰관 10,61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성과관리 제도 기대효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투명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투명성, 결과활용, 지표신뢰, 제도이해, 업무연관성, 평가자 신뢰는 기대효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투명성은 결과활용, 제도이해, 업무연관성이 기대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찰조직에서 성과관리 제도는 실질적인 운영과정에서의 투명성과 구성원 간의 신뢰확보, 의사소통 측면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PMS) aims to enhan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systematic measurement and sustainable management of performance and goals. Therefore, the success of PMS is determined by many factors relating overall operations and tasks of the organization. Previous studies have revealed that employee`s perception on operations and processes of the system can influence on effectiveness of it. However, empirical research on public organizations is still limited. Therefor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retest results of former studies and explore new influencing factor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influencing factors on employees` perception on expected effectiveness of PMS in police organization focusing on transparency. Measuring police performance is more complicated and difficult than that of other pubic organizations. Therefore, understanding multifaceted features of the police activities is crucial for the success of PMS. Especially, operating the system with transparency can be very influential in an organization like police which has rigidly hierarchical culture. In this study, we examined key factors influencing an individual`s attitude to the PMS using a survey data which was collected from 10,619 police officers. We also tested moderating effects of the perception of transparency. Results show that transparency, applicability, trust on indicators, understanding the system, job relevance, and trust on evaluators have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s on the dependent variable. Results also show that transparency have positive moderating effects on relationships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pplicability, understanding, job relevance- and the dependent variable. Based on the results, this article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the implications for our understanding of PMS in the police organization.

      • KCI등재

        선거주기가 범죄검거율에 미치는 영향

        전대성 ( Daesung Jun ),최낙범 ( Nakbum Choi ) 한국정책학회 2016 韓國政策學會報 Vol.25 No.1

        최근 급증하는 범죄율과 이에 따른 시민들의 사회 불안감의 증가는 정치인들과 정책결정자들에게는 중요한 관심거리가 된다. 왜냐하면 사회 범죄율의 증가는 정부성과의 명백 한 실패에 대한 신호이기 때문에 대통령과 정책결정자들이 범죄율의 증가에 어떻게 대처 하는지에 따라 정부신뢰나 불신에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범죄 율과 정치인들 및 정책결정자들의 행태에 대해서 살펴본 선행연구는 매우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치인들이 재선을 위하여 유권자들의 선호에 반응하는 정책을 선택하게 된다는 정치적 경기주기가설(political business cycle) 이론을 사용하여 선거주기에 따라 범죄검거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분석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한국의 경우 대통령 선거주기에 따라서 범죄검거율이 영향을 받는 선거주기 효과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선거주기에 따른 범죄검거율은 정권 집권 초반에는 증가하다가 집권 말기인 선거가 다가올수록 감소하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 이는 대통령 단임제라는 한국적 정치상황의 특수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선거주기에 따른 범죄검거율에서 정당이념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런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선거주기에 따른 정치인들의 기회주의적 행태가 경제정책뿐만이 아니라 범죄 와 관련된 사회 안전영역 분야에서도 발생하고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해주고 있다. Increased crime rate and fear of crime may attract politicians and policy makers’ attention. Because, crime in our society indicates apparent failure of the government and whether the president or policy makers can implement proper strategies to control crime influences on trust in government. Unfortunately, little research has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rrest rates for crime and behaviors of politicians or policy makers. According to the political business cycle theory, politicians prefer policies that can respond well to the voter’s preferences for their reelection. Based on the political business cycle theory,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a election cycle and arrest rates. Findings indicate that the presidential election cycle may influence on arrest rates. Results show that arrest rates increase in the initial stages of a new administration and decrease towards the end of the presidency. We assume that this is attributed to the single-term system for the presidency of Korea. In addition, results indicate that different political beliefs given by different political parties also influence arrest rates. Overall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opportunistic behaviors of politicians are likely to occur regarding not only economic policies but also social security policies to control crime.

      • KCI등재

        범죄자 프로파일링에 대한 인식과 발전 방향

        박지선(Jisun Park),최낙범(Nakbum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6

        범죄자 프로파일링은 점차 지능화 되어 가는 범죄에 더욱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수사 기법 중 하나이다. 그러나 경찰 지휘관 및 일선 수사관들의 이해 부족과 회의적인 태도로 인하여 효율적인 활용과 실질적 수사 지원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찰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범죄자 프로파일링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범죄자 프로파일링의 발전 방향에 대해서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찰대학 재학생 총 156명을 대상으로 프로파일링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일반인들의 프로파일링에 대한 인식과 비교해 보기 위해서 일반대학 재학생 총 16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프로파일링의 필요성이나 효과성, 신뢰성에 있어서는 모두 비교적 높은 평가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국내 사건 해결에 있어 프로파일러의 주도성이나 현재 경찰 조직에서 프로파일링의 활용도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이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경찰대 학생들 가운데 장래 프로파일러가 될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반응이 약 반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나, 이 중 대다수가 어떻게 해야 프로파일러가 될 수 있는지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Offender profiling, as a crime investigation technique, aims to respond more effectively to violent crimes. However, attitude that police investigators hold toward offender profiling is quite skeptical, which prevents offender profiling from making effective and practical contributions to police investigation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explored development strategies of offender profiling by examining perceptions of offender profiling among 156 Korean National Police University students. Furthermore, a total of 166 students from other universities also participated as a control group. As a result, participants showed positive attitude toward offender profiling, in terms of its necessity, effectiveness, and reliability. However, they believed that Korean police agencies are not making the good use of offender profiling and that profilers are not necessarily taking the lead in solving cases. In terms of the profiler education,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who showed interest in becoming a profiler did not know what to learn and how to prepare for becoming one. Finally,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made.

      • KCI등재

        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PSM)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직무특성의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

        이수영 ( Lee Sooyoung ),최낙범 ( Choi Nakbum ) 한국행정연구원 2016 韓國行政硏究 Vol.25 No.1

        공공부문 종사자의 공공봉사동기에 관한 많은 경험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변수들간의 관계에 있어서 조절효과를 탐색하는 노력은 여전히 부족하다. 본 연구는 한국정책지식센터에서 공무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3년 공무원 인식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공공봉사동기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직무특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공공봉사 동기의 하위차원인 자기희생과 공익몰입은 각각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자율성, 평가공정성, 목표명확성을 중심으로 살펴본 조절효과 분석에서는 업무자율성만이 자기 희생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들을 토대로 직무설계 방식 등 정책적 시사점에 대하여 논하였다. A growing body of literature has identified public service motivation (PSM) as an influential factor on job attitude and performance in the public sector. However, little research has explored the moder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M and outcome variables. Researchers need to recognized organizational contexts and idiosyncratic characteristics of public organizations such as goal ambiguity and reward mechanisms of civil servants when exploring its complex relationships. Again, organizational circumstances or job characteristics may alter relationships between PSM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Using the`civil servant perception survey 2013`, this study attempts to verify the effects of PSM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moderating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Results show that PSM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autonomy has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M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절차적 정의와 행정대응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일선 경찰관의 재량권을 중심으로

        장재성 ( Jang Jaeseong ),최낙범 ( Choi Nakbum ) 한국행정학회 2021 韓國行政學報 Vol.55 No.4

        본 연구는 일선 경찰관의 절차적 정의 인식이 행정대응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 분석을 시도하였다. 절차적 정의는 시민과 경찰 간의 관계에서 인식되는 것으로 경찰활동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인정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절차적 정의는 참여, 중립성, 존중ㆍ대우, 신뢰로 구성되는 다차원적인 개념으로 이해하고, 기존 연구들이 시민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반면, 경찰관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행정대응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일선 경찰관 441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절차적 정의의 참여, 존중ㆍ대우, 신뢰는 행정 대응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중립성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변수인 재량권은 참여-행정대응성 관계에서는 정(+)의 영향을 갖고 신뢰-행정대응성 관계에서는 부(-)의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절차적 정의의 분석대상과 인과구조를 규명함으로써 관련 이론의 확장을 시도하였으며,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경찰조직 차원의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street-level police officers’ perceptions of procedural justice and their impact on administrative responsiveness. Research on police legitimacy has revealed the important role of procedural justice in shaping citizen trust in police. Previous studies have primarily focused on the citizen’s perception of justice regarding the police activity. This article approaches this issue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e officers and their behavioral intention with regard to responsiveness to citizen’s interests and demands. The results show that participation, respect, and trust have positive influences on administrative responsiveness. On the contrary, the effect of neutrality is significant and negative. The results also show that discretion has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and administrative responsiveness. However, discretion diminishes the positive impact of trust on administrative responsiveness. These findings imply that management strategy and practices should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dimensions of procedural justice of polic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