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말한다는 것, 이른 바 ‘왈(曰)을 둘러싼 한글 소설 향유층의 의사소통 이해와 실천 : 한국서사문학사의 발화동사를 둘러싼 ‘어휘군/어휘장’ 분석을 경유하여

        최기숙(Choe, Keysook)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1 동방학지 Vol.195 No.-

        이 글에서는 조선시대 서사문학의 발화동사 ‘왈’의 역동적 변화에 주목해, 소설 향유층이 공유한 ‘말하기’를 둘러싼 사유와 의사소통에 대한 이해의 실제를 해명했다. 연구 대상으로 고려시대부터 19세기 초까지 총 4,550개의 발화표지(‘없음’ 포함)에 대해 ‘말하기’를 둘러싼 ‘어휘군’, ‘어휘장’의 개념으로 접근하여, 통계적ㆍ수사적 차원에서 분석했다. <삼국유사>에 서술된 발화동사는 ‘曰’(84%), ‘云’(10%), 기타(5%), 없음(1%) 순이다. <수이전>의 경우는 ‘曰’이 전체 발화동사의 89%다. 발화동사가 중첩된 경우는 존대, 명령, 질문, 대답, 보고, 청유, 의논, 통지, 부탁, 위장(속임) 등을 지시하는 한자를 ‘曰’과 결합한 형식이다. 15세기 소설 <금오신화>에서는 ‘曰’이 전체 발화동사의 99%를 차지할 정도로 전면화되었다. 이 중에서 25%는 대사의 성격이나 문장 형식(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등)을 지시하는 한자와 결합해, 말하기를 둘러싼 정보성이 구체화ㆍ분화된 양상을 보였다. 17세기 한문소설 <최척전>과 <운영전>에서도 ‘曰’은 한문소설에서 ‘말하다’를 대표하는 발화표지로 정착했음이 확인된다. 17세기 한글소설 <숙향전>과 <사씨남정기>에서는 각각 85%, 56%의 발화표지가 한문 ‘曰’을 한글표기 ‘왈’로 대체했고, 0.4%, 23%는 한글표현에 ‘왈’을 결합해 사용했으며, 각각 14%, 15%에서는 고유어 발화동사를 택하되, 문맥과 상황, 존대법에 맞는 다양한 단어를 사용했다. 18세기 소설 <유씨삼대록>에서 ‘왈’은 74%가 사용되었고, 전체의 74%는 감정수사와 결합했다. 한글 발화동사(대사/인용/독백)는 24%이며종류는 17개로, 17세기 한글 소설의 사례와 대동소이하다, 19세기 <남원고사>에서 발화동사의 표기에 비약적 변화가 발견된다. ‘왈’은 전체 발화동사사의 1%에 불과해, 한글 발화표지가 전면화되고, 감정 수사의 비중도 높아졌으며, 고유어 발화표지가 증가했다. 이 논문은 이러한 변화를 한글 소설의 문화문해적 역량 강화 및 언어 차원의 미학적 실천으로 간주하고, 발화동사에 결부된 감정 수사의 확대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말하기’란 소리-전달의 문제가 아니라 ‘전신적 의사소통’임을 해명했다. 결론에서는 21세기 디지털 시대에 이러한 의사소통에 대한 축적된 이해를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제안했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dynamic changes surrounding the use of ‘wal (曰)’, which marks the utterance of the speaker in the text recorded in Korean during the Chosǒn Era, and invests the thoughts and communication surrounding the ‘speaking’ shared by the novel audience/reader. For the study, narrative texts recorded in Korean/Chinese script from the Goryǒ Era to the early 19th century were selected, and a total of 4,550 utterance words were analyzed with the concepts of ‘vocabulary group’ and ‘lexical field’ surrounding ‘speaking’. Statistics of the utterances used in [conversation/monologue/quote/commentary/eulogy] described in Samkuk-yusa are as follows: ‘曰’ (84%), ‘云’ (10%), and others (5%), ‘none’ (1%), etc. In the 15th-century novel Keumoh-shinhwa, ‘wal’ was widespread, accounting for 99% of all utterance words. The conversion of ‘曰’ continued in the 17th century novel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Ch’oe-ch’ǒk-jǒn and Unyǒng-jǒn. In the 17th-century Korean novels Sukhyangjǒn and Sassi Namjǒnggi, 85% and 56% of the utterance words replaced the Chinese character ‘曰’ with the hangeul ‘wal (왈)’. Of the 1,031 utterances of the 18th-century novel Yussisamdaerok, 74% of ‘Wal (왈)’ was used. In the 19th century Namwongosa, the notation of utterance words showed a drastic change. First of all, ‘wal (왈)’ is only 1% of all utterances. Hangul utterances will be full-scale. This thesis named this as the cultural literacy capacity reinforcement of Hangul novels and the aesthetic practice of the language level, and analyzed the expanding aspects of the emotional investigation associated with the utterance history.

      • KCI우수등재

        『묵재일기』, 16세기 양반의 감정 기록에 대한 문학/문화적 성찰

        최기숙(Choe, Keysook) 국어국문학회 2020 국어국문학 Vol.0 No.193

        이 논문은 이문건(李文楗. 1496-1567)의 『묵재일기(默齋日記)』에 서술된 감정 기록에 대한 통계분석을 바탕으로 수사학과 담론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16세기 조선양반의 감정 경험과 인지, 재현 방식에 담긴 개인적, 사회적 의미를 탐색했다. 『묵재일기』에 기록된 긍정감정은 총 2,794건이고 부정감정은 총 4,112건이다. 이 문건은 42세부터 사망 2년 전까지 [감사≫고통≫기쁨/즐거움≫분노≫슬픔≫불평≫걱정≫위로≫무사]의 순으로, 감정의 인지·경험ㆍ교환했음을 기록했다. 가장 높은 빈도수를 차지한 감사에 대한 기록은 일상생활을 지탱하는 배경 감정이자 정서적 장력의 역할을 했다. 『묵재일기』에 기록된 감정은 자신과 타인의 정체성을 인지하고 판단하기 위한 정보로 간주된 경우가 많다. 감정은 일상적 삶의 질을 결정하며, 감정 경험에는 인간과 세계에 대한 판단력이 작동했고, 인생관과 가치관이 매개되었다. 감정은 주체를 통해 신체화ㆍ행동화되었으며, 배경 감정이 특수한 판단과 결합해 사건화되어, 다시 신체상태에 영향을 미쳤다. 일기에 재현된 감정 수사 및 기록을 통해 이문건이 자신의 감정을 통제하고 가족과 노비, 이웃과 지친의 감정을 관리하는 과정이 파악된다. 이문건은 지친과 이웃의 고통에 책임감 있게 반응하고 돌봄에 관여함으로써 사회적 연결망을 형성하고 유지했다. 감정은 사적 차원에서 인지, 재현, 교환되었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 제도적으로 의례화된 형식으로 삶의 의미를 구축하는 매개로 작용했다. 일기에 잦은 기록을 보이는 점술과 굿은 이문건이 자신과 가족의 걱정, 불안, 공포를 관리하는 일종의 감성관리의 장치였음이 확인되며, 이들을 매개로 노비와 마을 공동체와 신분적 위계를 넘어 감성적 커뮤니티를 형성했던 정황이 파악되었다. 『묵재일기』를 통해 감정이란 자신과 타인의 정체성을 이해하는 매개이며, 감정 기록은 일상을 의미론적으로 갈무리하는 장치였음이 확인된다. 『묵재일기』의 감정 기록을 통해 보건대, 삶이란 감정의 인지, 경험, 표현, 교환, 공유로 점철되며, 안부를 주고받고 감사를 표하는 행위는 타인에 대한 배려를 표하는 사회적 기호이자 스스로를 존엄하게 하는 인문성 확인의 장치이자, 일생을 통해 불변하는 관계성의 항수다. 감정은 일상적 상황과 사건에 따라 하루의 흐름을 결정하는 정서적 배경이자, 사건과 관계를 이어 다음 시간으로 나아가게 하는 경첩의 기능을 했다. This paper researched the personal and social significance of the 16th century Joseon yangban’s emotional experience, cognition, and reproduction method by analyzing rhetoric and discourse based on statistical analysis of the emotional words recorded in Yi Mun-geon’s diary. A total of 2,794 expressions of positive emotions were recorded in the diary and a total of 4,112 expressions of negative emotions. Yi Mungeon recorded that he had recognized, experienced, and exchanged emotions from the age of 42 until two years before his death, in the order of [gratitude≫pain≫joy/enjoyment≫anger≫sad≫complaining≫worry≫comfort≫safe], etc. The emotions recorded in the diary are often regarded as information to recognize and judge the identity of oneself and others. Emotions determine the quality of everyday life. In the emotional experience, judgments about humans and the world worked, and the view of life and values were mediated. Emotions were embodied and acted through the subject. Background emotions were combined with special judgments to become events, which in turn affected the subject’s physical state. Through investigating the records of the emotions represented in the diary, it can be analyzed the process of Yi Mungeon’s control of his emotions and of his family, the servants, maids, the neighbors and relatives. He formed and maintained social networks by responding responsibly to the suffering of his family, relatives, friends, and neighbors and being involved in care. Emotions were not only recognized, reproduced, and exchanged at the private level, but also became commonplace in social and institutional ritualized forms. Fortune-telling and shamans’ performance (gut) frequently recorded in his diary confirm that these were kinds of emotional devices to manage worry, anxiety, and fear of oneself and his family, and through them. It can be seen that there were formed and shared emotional community between hima and his family and servants/maids, village community. By analyzing Mukjse’s diary, this paper confirmed that emotion is a medium to understand the identity of oneself and other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motional record was a device that meaningfully reconstructed everyday life. According to the emotional record written in the diary, life is marked by the recognition, experience, expression, exchange, and sharing of emotions, and the act of giving and receiving regards and expressing gratitude is a social sign that expresses consideration for others and humanities that dignify themselves. Emotion is a device for confirming humanity that dignifies the subject itself, and it is a constant in a relationship that is unchanged throughout life. Emotion is an affective background that determines the flow of the day according to everyday situations and events, and functions similar to the hinge of time that leads to the next time by connecting events and relationships.

      • KCI등재

        전승과 창작의 관점에서 본 판소리 정체성의 재규정과 제언

        최기숙 ( Key Sook Choe ) 판소리학회 2012 판소리연구 Vol.34 No.-

        판소리는 한국의 대표적 문화유산으로서, 멀티 미디어를 통한 장르 변경과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면서 글로벌 차원의 하위문화(subculture), 또는 민속 음악·공연의 지위를 형성했다. 판소리의 세계화와 현대적 장르로의 확산은 전통 판소리와 균열 지점을 생성하면서 판소리에 대한 재정의를 요청하고 있다. 사설 짜기의 측면에서 판소리의 본질을 재조명한다면 이는 ‘다성성’의 구현으로 정의할 수 있다. 판소리는 향유층, 언어생활, 교양문화, 예술 향유 등 다층적의 차원에서 다성성의 요소가 삼투되어 있는 복합적 문예 장르다. 따라서 전통 판소리를 계승하거나 장르 변형을 할 경우, 또는 새로운 창작 판소리를 제작할 경우, 판소리의 사설 짜기의 원리를 활용하여 판소리 정체성을 유지하고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판소리의 사설이 지닌 다성성은 다음과 같은 차원에서 구성된다.: 첫째, 시간성과 창작의 차원에서 판소리는 역사성과 당대성, 전통과 유행을 포용한다. 둘째, 공간성과 수용 층 차원에서 판소리는 지역성과 세계성, 토속성과 보편성을 통섭한다. 셋째, 사회성의 차원에서 판소리는 신분·젠더·세대·지식 위계를 둘러싼 갈등을 포착하고 카니발적 화해를 구현한다. 넷째, 정보성의 차원에서 판소리는 서민과 상층부의 일상생활을 백과사전처럼, 풍속정보지적 망라하여 보여준다. 다섯째, 감정과 감성 의 차원에서 판소리는 사람이 일생동안 겪는 감성을 만화경적으로 재현한다. 또한 감정의 수사는 감정 상태의 육체적 반응을 재현하는 형식으로 표현된다. 여섯째, 수사학의 차원에서 판소리는 다성성·혼종성·대화성의 요소를 유희적으로 재현하며, 이는 열거법을 활용한 치레 구성으로 구현된다. 이와 같은 이러한 판소리의 사설 구성 원리는 앞으로 판소리를 ‘창작’하고 ‘전승’하는 실제 작업에 활용할 수 있다. 판소리 창작자나 전승자는 새로운 스토리를 짜면서 세대·젠더·지역·민족·국적·인종 등의 차이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창작 판소리를 통해 세계적인 유행가가 탄생될 수 있으며, 전통 판소리가 팬덤 문화를 형성한 것과 같은 새로운 문화 유형을 창안할 수 있는 역량이 판소리의 정체성 안에 잠재되어 있다. As a representative of Korean cultural heritage, p`ansori has expanded its scope by engaging in multi-media and attempting to change the genre. The modern adaptation and globalization of p`ansori endows it with a reputation as a “subculture” and an “ethnic performance” of Korean culture. The expansion of its genre, however, also has a negative side. It produces a growing chasm between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p`ansori. This problem appeals for a definition of the authenticity of p`ansori. In discussing authentic features in the narrative of p`ansori, I find it useful to employ the concept of “polyphony,” a Bakhtinian term. Based on this term, I show that polyphonic features permeate the p`ansori text, and I suggest that the polyphonic features of p`ansori should constitute contemporary p`ansori in the ongoing process of adaptation and re-creation. Also, this paper analyzes the polyphonic aspects of p`ansori by categorizing them into six elements: time, space, reality, knowledge, emotion, and rhetoric. First, I contend that p`ansori engages in temporal expression by juxtaposing the past and the present and combining tradition and contemporary fashion. Second, p`ansori not only describes the landscape and geographical background but also expresses locality and universality by mingling native culture with worldwide perspective. Third, p`ansori deals with the description of social reality by manifesting the tensions in social stratification, but it also reveals a reconciliatory process by commingling and reversing hierarchical relationships, thus taking on the form of “carnival literature.” Fourth, p`ansori contains encyclopedic knowledge and memory on every level of society. Fifth, p`ansori deals with various kinds of feelings that every human being experiences in one`s lifetime. The emotional landscape, however, is represented by the description of physical reactions and conditions rather than through direct expression. Sixth, the rhetoric of p`ansori demonstrates polyphony, hybridity, and dialogue. For instance, by the narrative skill of ch`ire, a singer can enumerate various words without any syntactic or grammatical restraint. These aspect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re-creation and transmission of p`ansori. I argue that the new p`ansori producers and singers must engage the differences of generation, gender, region, ethnicity, and culture, but the new compositions need to be based on the features that I have found in the text of p`ansori. Despite concerns and problems, contemporary p`ansori has great potential. Through the modernizing process, p`ansori is gaining recognition as a well-known genre and a popular song, and I wish to see the newly created p`ansori not only widely consumed but also creating a fandom.

      • KCI등재

        고소설의 감성 문법과 감정 기호 -<소현성록>의 감정 수사를 중심으로

        최기숙 ( Key Sook Choe ) 한국고소설학회 2015 古小說 硏究 Vol.39 No.-

        이 논문은 국문필사본(이화여대 소장본) 장편소설 <소현성록>을 대상으로, 텍스트 내부에 서술된 감성 문법과 규칙, 감정 언어의 작동 원리를 인물 정체성의 구성, 인물간 의사소통 방식. 감성 통제의 관점에서 분석했다. <소현성록>을 매개로 한 감성 기호는 서사 내부에서 일정하게 규칙화되어 있었고, 텍스트 내부(인물간, 인물-서술자 간)와 외부(소설과 독자) 사이에 모종의 공감각을 형성했다. 고소설에서 감성 기호는 의사소통의 주요한 매개로서 표정, 신체, 행동에 대한 관찰과 재현으로 수행되었다. 인물의 발화사(‘왈’)에는 거의 대부분 감정 수사가 병치되었으며, 인물은 상대의 표정과 기색의 탐색, 행동 관찰을 통해 의사소통을 수행했다. 인물간 소통에서 감성 기호가 위장되거나 왜곡되어 오독이 발생할 때는 갈등이 고조되었다. 또한 감정은 그 자체로 역사화된 경험을 담은 기호로 인지되고 재현됨으로써, 소설의 인물이 타인의 감정을 이해한다는 것은 곧 그의 생애사 전체를 이해하는 것이라는 심층적 이해가 상정되어 있었다. 타인의 감정을 읽는 것은 진면목을 파악하는 직관과 통찰의 ‘능력’이며, 감정의 외연과 내포가 괴리될 때는 이면에 초점을 맞추어 대화하는 것이 ‘진정’에 도달하는 소통방식이라는 감성 문법이 발견되었다.< 소현성록>에 재현된 감성 기호는 도덕성(예, 배려)이 매개된 인격적 조정과 권력적 위계(젠더, 이념, 권력)에 따라 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두 법칙은 교차 적용되기도 했으며, 타인의 감정을 조정하기 위해 술법이나 비방을 사용하는 것은 ‘악’으로 상정되었다. 감정규칙이 억압적으로 작용할 때에는 극한 정념과 감정 폭발이 재현되었는데, 징후적으로는 질병, 우울증, 분노, 출가, 공격성(살해욕구), 자살충동 등으로 외화되었다. 감성 통제는 젠더적 요건에 영향을 받았으며, 개인의 성생활에 대한 호기심과 충동을 교환하는 조절하는 매개로도 활용되었다. 여성 인물은 다른 여성의 감정을 이해하기보다는 (남성지배의) 상층부의 감성 규율을 내면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소현성록>에 재현된 감성문법과 감정 규칙은 전체 서사의 대략 1/4 지점에서 거의 모든 사례가 확정되었으며, 이후는 이들의 반복, 응용, 왜곡, 치환 등의 서사화를 통해 유희성을 유지하고 강화했다. This paper analyzed the affective principles and emotional signs which were represented in Sohyeonseongrok, one of the representative Korean novels which was scripted in Eonmun, a Korean vernacular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with focusing on character`s identity, communication skill and regulation of emotion. The emotional signs which were written in the text showed certain rules and shared common senses between readers and characters of the text. Body language like face expression and physical sign, mood and atmosphere of the characters were considered as meaningful elements which reflected their inner mind and thinking and also were regarded as effective communicative devices. The description on the characters` emotional responses gave the pleasure of reading; deep understanding of the human-being`s mind and feelings, approaching to the complex motivation of emotional expression, and discerning the social principle on the emotion. The affective grammars and emotional principles which were working Sohyeonseongrok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first, character’s telling means that she or he let the listener know their emotion. The second, all of character`s emotions are historicized. Without understanding of the other`s life, without sympathy nor understanding with the others. The third, when the character`s mention is in discord with the face expression and physical sign, the meaningful and productive communication can be led with focusing on the emotional sign. The fourth, the emotion was regulated by the social power; status, social hegemony, age and gender. The fifth, in this reason, some characters often blow off their emotions as a symptom of sickness, suicidal impulse, becoming a Buddhist monk, desire to killing and vicarious expression of emotion with servant, maid and child. The sixth, the gender perspective had influential power in the affect which was represented in the text in these dimension; imagination, relationship, and reader`s recognition on the society. Almost affective grammars and emotional principle were completed in the 1/4 parts in the whole text. After that, this text repeated, creatively applied, twisted and replacing (by gender, age and status) the same affective disciplines and emotional signs.

      • KCI등재

        "감성적 인간"의 발견과 감정의 복합성,순수성,이념화 -19세기 국문소설 <남원고사>의 "사랑"의 표상화 맥락-

        최기숙 ( Key Sook Choe ) 한국고소설학회 2012 古小說 硏究 Vol.34 No.-

        19세기 서울에서 ``세책``의 형태로 유통되던 국문본 춘향전의 이본인 <남원고사>는 감성적 인간을 서사적 전제로 상정하면서, 인물들사이에 육체적으로 인지되고, 경험되며 교환되는 감정 요소에 대한 전면화된 탐구를 통해, 감성 주체로서의 인간을 재발견하는 서사 기획을 보여주었다. 이는 동시대의 사대부 지식인들이 감정을 억압과 통제의 대상으로 간주하면서 이를 수양의 징표로 사유해 온 것과 대조를 이룬다. <남원고사>는 감정을 자연적인 것으로 정의하면서 성과 사랑, 감정을 등치시키고, 감정 관계가 인간관계의 우위를 점하는 것으로 설정했다. 동시에 감정 요소가 신분·언어·세대·계급·젠더 차이에 따라 복합적으로 작동하는 과정을 조명함으로써, 역설적으로 감정의 순수정이 생성되는 과정을 포착했다. <남원고사>에서 ``사랑``의 감정은 ``선``으로, ``색정``은 ``악``으로써 간주되었는데, 이러한 차이가 만들어지는 지점은 감정의 상호성에 대한 ``인정 구조``속에 있었다. 이에 따라 독자들은 처음부터 사랑의 방해자인 변부사를 ``악``으로 규정하고 그에 대한 정서적 반감을 형성하도록 조율되었다. <남원고사>는 바로 이러한 사랑의 의미 기호를 작중 인물의 심리적·적·정서적·감정적·육체적 반응을 통해, 그리고 타인과의 관계에서 생성되는 사회적 맥락을 통해, 공감적인 것으로 의미화하려는 서사적 전력을 전면화했다. 사랑은 감정의 지속성.상호성을 통해 이념화되었으며, 궁극적으로는 도덕과 결부됨으로써,사회적으로 공감 가능한 요소로 재규정되었다. 동시에 개인의 사랑은 사생활의 영역을 넘어서 사회적 책임의 문제를 환기하는 ``공론화``의 대상으로 조명되었다. Namwongosa is one of the most complete versions of Chunhyangjeon that was circulated in 19th century Seoul in the form of books for lending. Namwongosa depicts a narrative design in which human beings are rediscovered as an agent of emotions through a holistic investigation of emotional factors that are physically perceived, experienced, and exchanged. Namwongosa defines emotions as being natural, placing sex, love, and emotions on equal levels, and establishes that emotional relationships determine the superiority of human relationships. At the same time, by shedding a light on the hybrid and complex process by which emotional factors work out according to differences in social, academic, economic, or gender status, it paradoxically captures the process in which purity of emotion is created. The circumstance, method, and process by which the young Master Lee and Chunhyang approach love is shown to be a hybrid composition due to difference in class and gender. However, Namwongosa tells the story of the ideology of the purity of love by capturing the emotional relationship which homogenizes such differences. The emotion of love is considered good, while lust is considered evil. The difference lies in the mutual exchanging of the emotions. Therefore, the readers are conditioned to perceive Magistrate Byun, the interrupter of love from the outset, as evil and develop sentimental hostility towards him. In Namwongosa, love is portrayed as a factor in a fluid and complex system where it is intricately interwined with emotional factors depending on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conditions. Love became an ideology through the continuity and reciprocality of the emotion, ultimately being re-determined as a factor with social identification by becoming associated with ethics. Furthermore, love went beyond the scope of private life to be seen as the target of public opinion stirring the issue of social responsibility. Through the “vulgar genre” of novel which is true to the grammar of emotions, Namwongosa made the readers accept the experimental design that defines human as an agent of emotions. Namwongosa considers emotional factors as a physical and experiential factor universality seeing all humans ad equal in a novel, a cultural mode of sympathy.

      • KCI등재

        조선시대 사대부 문인의 "환상" 인식과 문학적 향유

        최기숙 ( Key Sook Choe ) 한국문학교육학회 2009 문학교육학 Vol.30 No.-

        Traditionally, literary fantasy was considered negatively and excluded generally in Joseon period. However, there were lots of writings which used fantastic imagination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by the intellectual and noble class in Joseon period; they used the literary fantasy as poetic imagination and episode for everyday life writing like diaries on fantastic dream. This paper analyzed the dual point of view of the intellectual in Joseon period on literary fantasy through researching their writing collections and alsoa nalyzed the topology of the literary fantasy .The first, this paper analyzed the words corresponding literary fantasy; strange(奇), unfamiliar(異), mysterious(怪/怪), ghostly(神), uncertain(愧), unbelievable(虛), queer(誕) etc. And also analyzed their examples amongst their writing like proses and poems. Such words were chosen as fantastic meaning related something suspicious, doubtful, curious, interesting, critic, negative, and hospitable attitude. Such nuance were mixed and fluctuating in each writing. The second, there were remained some critical essay regarding Shanhai jing(山海經), Soushen chi(搜神記), Liao-chai-chih i(聊齋志異) etc. These records showed that the fantasy was regarded positive and general imaginative points amongst the noble class in Joseon period. The third, the intellectual used the fantasy in their writings like these; imaginative motives in poems, ordinary life`s curiosity and taste, specific objects should be proved, and narrative logic and structure of a series of narrative genres like novel, yadam, biographies on extraordinary persons. Most of all, the fantasy was regarded some cultural media of noble class as some sort of encyclopedic knowledge. Some series of encyclopedic collections contained some fantastic section; Lee, Ik(李瀷)`s Seonghosaseol(星湖僿說), Jo, Jae-sam(趙在三)`s Songnamjapji(松南雜識), Lee, Kyu-kyung(李圭景)`s Ozuyeonmunjangzeonsanko(五洲衍文長箋散稿), Kweon, Mun-hae(權文海)`s Daedongunbukunok(大東韻府群玉) etc. Such tendency showed that the fantasy was regarded some knowledge and culture which the noble class should know at that time. The intellectuals in Joseon period showed dual point of view on the literary fantasy. They had been considered the fantasy as literary motives and imaginative media continuously in their every day records, poems, and fictional narratives written Chinese characters. And the other hand they strongly criticize the fantasy on the noble genre. Such tendency showed that the literary imagination could be ranked by the characteristics of writers` and readers` group and the confusing view point on the fantasy was the literary reality in that period.

      • KCI등재

        조선후기 양반 여성의 사회적 평판과 인정구조 재성찰

        최기숙(Choe, Keysook)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1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 No.42

        이 논문은 『예기』에 근거해 조선시대 ‘부인의 행실은 문지방/규문을 넘어서지 않는다’는 표현을 일종의 문학적 클리셰처럼 서술했던 조선시대 문헌 자료와 그 외연을 폭넓게 검토함으로써, 이것이 함축하는 당대의 양반 여성에 대한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이해의 실상을 분석해, 조선시대 양반 여성의 사회적 존재감, 관계성, 사회적 연결망, 인정구조를 재성찰했다. 조선 시대에 양반 여성의 존재감이 가정 안으로 한계지어졌고, 사회적 관계망이 남성에 비해 협소한 것은 사실이지만, 여성은 언어, 태도, 감각, 신체성, 글쓰기, 사회적 교섭, 정치적 처신 등을 통해 당대적/역사적으로 존재감과 가치를 인정받았다. 왕실, 양반, 평민, 천민 등 다양한 신분의 여성들에 대한 남성-글쓰기가 여성의 가치를 사회화/역사화했고, 여성 자신이 글을 통해 자기 증명을 한 경우도 있었다. 여성의 구술 대화, 경험, 전언이 남성의 문헌 기록 속에 인용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반 여성을 규문 내의 존재로 한정 짓는 담론 구조는 실제 사회적으로 인정되었던 여성의 가치와 존재감을 다시 지우거나 배제해, 결과적으로 여성의 역량을 보편적으로 평가절하는 일종의 사회적 ‘장치’로 작용했다. 조선시대 여성은 사회적 인정구조에서 배제되지 않았지만, 대상화되어 있었고, 바로 이 점이 역설적으로 조선시대 여성에 대한 사회적 감시망으로 작동할 잠재적이고도 현실적인 동력으로 작용했다. 여성의 덕을 규문 안으로 한정 짓는 글쓰기/사유의 관습은 여성의 언행권에 대한 사회적 통제를 정당화하는 규범으로 작용해 여성의 존재감을 무력화하거나 희석시키는 역할을 했다. 남성이 수행한 여성의 생애사 기록은 여성 존재의 사회화/역사화 경로를 남성에게 위임함으로써, 여성을 대리적 존재로 재구성해 사회적 위치성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 글에서는 소수자 및 하위주체와 공생하는 실천적 문화 문법을 위한 자원 탐색적 연구로서, 이 연구의 문제의식, 논증 방식, 결과를 활용해 성찰적 공론장을 형성하기 위한 토대로 삼고자 했다. This paper extensively examines the documentary materials of the Chosǒn era that described the expression “a wife s conduct does not go beyond the threshold/gyumun”, based on Liji, as a kind of literary cliché. By analyzing the reality of general understanding of women, it reexamined the literary texts, which were written by elite literati, regarding social presence, relationships, connections, and recognition structures of women in the Chosǒn era. It is true that during the Chosǒn period, the activity and presence of yangban women was mainly limited within the family, and the social network was narrower than that of men. However, women were recognized for their presence and value in the contemporary/historical period through language, attitude, sense, physicality, writing, social interaction, and political conduct. Male-writing on women of various statuses, such as the royal family, yangban, commoners, and ordinary people, socialized/historicized women’s values, and in some cases, women themselves proved themselves through writing. Women’s oral conversations, experiences, and messages have also been cited in men s literary texts. Nevertheless, limiting yangban women to the existence of women in kyumun (insede yangban family’s gate) again erased, minimized or excluded women’s values and presence that were recognized socially, and consequently acted as a kind of social ‘appartus’ that universally devalued women’s capabilities. Women in the Chosǒn era were not excluded from the social recognition structure, but were objectified. This, paradoxically, served as a potential and realistic engine to act as a social surveillance network for women in the Chosǒn era. The custom of writing/thinking, limiting women s virtues into the rules, served as a norm justifying social control over women s right to speak and act, thereby neutralizing or diluting women s presence. The record of women s life history written by male literati has resulted in weakening social position by reorganizing women into surrogate entities by entrusting the path of socialization/historization of women s existence to men. No one who was born as a human being and lived in society can become the secret of life and history. No existence, society, or institution can make a real human being a transparent shadow. At the same time, any idea, ideology, ethics, or moral idea that presents a vision for the direction and value of life to humans cannot be freed from the gaze and evaluation of reflection reconstructed in the course of history. It is a truth proven by diachronic history that the praiseworthy virtues of an era are sometimes reconsidered or abolished due to bitter criticism in the course of history. The contradictions and paradoxes of the reputation and recognition structure of women in the Chosǒn era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eriod. This article was written as a resource-exploring study for a practical cultural grammar that coexists with minorities and sub-subjects. By using the problem consciousness, argumentation method, and results submitted in this study, it can be used as a basis for forming a reflective public sphere of modern humanit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