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藏書閣 소장 『官服章圖案』 연구

        崔圭順(Choi Kyu-soon)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장서각 Vol.0 No.19

        근대 서양식 관복제도는 '規則' '製式' '圖式'의 세 형태로 나뉘어 제정된다. 藏書閣에 소장된 『官服章圖案』 No4372~5는 그 중 도식의 존재를 입증하며, 또 복식의 세부형태를 파악함에 있어 문자로 규정된 제식과 비교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본 연구는 이들 총4種의 자료에 대해 그 구성과 내용을 전체적으로 정리한 후, 자료의 성격을 밝히고, 그 중 No4372 · 4의 세부형태를 분석하여 그림으로 제시하였다. 또 『관 · 도』과 관련 공문서를 참고로 서양식 관복제도 제정에서 시행 및 착용에 이르기까지의 全과정을 추적해 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무궁화를 주요무늬로 하는 No4372 · 4는 1900년 4월 17일 제정된 칙령 제14호 '文官服裝規則'과 제15호 '文官大禮服製式'과 함께 반포되었어야 할 부속 도식이다. 그 중 기름종이를 쓴 No4372는 원본이고, 투명지를 쓴 No4374는 그 위에 대고 그린 복사본인 것으로 보인다. No4373은 일본의 근대 서양식 禮服을 제작하던 ?飼(UKAI)양복점에서 들여온 것이다. 근대 일본에서 실제 사용된 여러종류의 문무관 예복이 그려져 있고, 우리나라 근대 서양식 관복 제정 및 제작에 있어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No4375는 궁내부 관원의 대례복일 것으로 추정되나, 이에 대해서는 별도의 연구가 진행중이므로 본고에서 상세한 서술을 생략하였다. No4372 · 4 · 5는 각12매이고, 燕尾服 形 上衣 · 帽子 · 劍 · 조끼[下衣: 胴衣] · 바지[袴] 등의 복식이 勅任關과 奏任官의 신분을 구별하여 그려져 있다. No4373은 23매이고, 총 7가지 유형의 복식이 그려져 있다. 근대 서양식 관복 제정 및 착용의 전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일본에서 참고가 될 제도와 도식을 들여온 후 주요무늬를 대한제국을 대표할 수 있는 것으로 바꾸어 '규칙'과 '제식'을 규정하고 '도식'을 제작한다. 도식은 원본과 복사본을 갖추고, 별도로 『관보』에 반포할 축소본을 제작한다. 축소본 제작은 궁내부 소속 화원이 담당하고, 관보과에 가서 작업한다. 국내 · 외의 양복점에서 예복을 제작할 때는 투명지에 그린 복사본이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 현재 남아있는 유품을 통해 도식이 반포되기 전에 국외에서 예복이 제작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것으로 도식이 완성된 후 관보 반포에 앞서 복사본이 외교관에게 먼저 보내졌음을 알 수 있었다. The modern Western-style official uniform system consisted of 'rules,' 'making methods' and 'figures.' No4372~5 of Guanbokjangdoan in Jangseogak prove the existence of figures, and are valuable materials for figuring out the details of dress style by comparing with making methods prescribed in word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four types of materials, sorted out their structure and contents, and expla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s. In particular, we analyzed the detailed forms of No4372 · 4 and presented them as figures. In addition, referring to Gwan-Do and related official documents, we traced the whole process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Western-style official uniform system to the enforcement of the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No4372 · 4, whose main pattern is althea, were figures attached to Royal Order No. 14 'Rules of the Uniform of General Civil Officers' and No. 15 'Methods of Making the Court Dress of General Civil Officers.' Among them, No4372 written on oil paper seems the original, and No4374 written on transparent paper a copy of No4372. No4373 was imported from UKAI, a tailor shop in Japan that made modern Western-style court dress. It shows the pictures of several kinds of court dress for civil and military officers used in modern Japan, and is believed to have been used as an important reference in establishing and making modern Western-style official uniforms in Korea. No4375 is presumed to be the court dress of Gungnaebu officers, but there is related research going on, it was not described in detail in this paper. No4372 · 4 · 5 are composed of 12 sheets each, presenting the styles of tailcoats, hats, sabers, vests and pants, distinguishing between officers of royal appointment and general officers. No4373 is composed of 23 sheets, and shows 7 styles of dress. The process that the modem Western-style official uniform system was established and enforce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fter making methods and figures were imported from Japan, with the patterns replaced with those representing the Daehan Empire, 'rules' and 'making methods' were provided and 'figures' were designed. For the figures, the originals and copies were made, and reduced copies were also made to be published in the official gazette. The reduced copies were made by painters at Gungnaebu, who did the work at Gwanbogwa. It is believed that a copy drawn on transparent paper was used when court dress was made at a tailor shop in Korea or in a foreign country.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rough articles extant until now that court dress was made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before the figures were announced. This suggests that after the figures were completed their copies were sent to diplomats before they were published in the official gazett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1905~1906년 서구식 大禮服제도 개정에 나타난 일제의 한국병탄 준비 : 일본 서구식 대례복 제도와의 비교를 통하여

        최규순(Choi Kyu-Soon)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1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39

        본고는 제1차 한일의정서 체결(1904년 2월) 이후인 1905년과 1906년에 개정된 일반 문관과 궁내부 관원의 서구식 대례복 제도를 통해 일제의 한국병탄 준비의 일면을 읽고자 하였다. 형태에 나타나는 특징을 고찰하기 위해 대례복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 중 상의-무늬의 배열 방식 위주-를 비교대상으로 삼아, 대한제국 문관복 및 궁내부 관복을 일본의 문관복 및 궁내성 관복과 비교하였다. 또 1906년에 일반 문관복과 궁내부관복이 이원화되는 배경을 살펴보았다. 대한제국 일반 문관 대례복과 궁내부 관원 대례복 상의의 무늬 변화는 각기 다음의 세 단계로 요약할 수 있다. 일반 문관 대례복은 1900년 4월에 일본과 차별화되는 대한제국만의 독자적 양식으로 규정되었다가, 1905년 1월에 일본과 같은 방식으로 개정되고, 다시 1906년 12월에 일본보다 등급을 낮춘 방식으로 개정된다. 궁내부 관원 대례복은 1900년에 독자적 방식으로 규정된 일반 문관과 같은 복제를 적용받다가, 1905년 1월에 일반 문관과 차별화되는 계기가 마련되고, 1906년 2월에 일반 문관과 차별화된 복제가 규정됨과 동시에 일반 문관보다도 먼저 일본보다 등급을 낮춘 방식으로 개정된다. 국가의 고위 관원인 칙임관과 주임관이 착용하는 대례복은 그 자체로 국가나 황실을 상징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대례복에 대해 일제가 자신들보다 낮은 등급의 복제를 규정한 것은, 일본제국주의를 실현시키기 위한 준비작업의 일환이었다고 할 수 있다. 고대 동아시아에서 복식은 정치적 예속관계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수단이었는데, 일제는 이 점에 주목하여 대한제국의 복식을 자신들보다 낮춰 규정한 것이다. 또 일반 문관복과 궁내부 관복의 이원화는, 궁내부의 기능을 축소하여 궁극적으로 황제권을 약화시키기 위한 의도에서 진행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비대해진 궁내부를 의정부와 완전히 구분하여 그 권한과 기능을 축소하면 황제권이 약화되고, 이는 곧 병탄의 초석이 되기 때문이다. This paper studied on one aspect of the preparation of the Japanese compulsory annexation of Korea through the western-style full dress uniform system of a government official working for the palace and a civil servant which was amended in 1905 and 1906. In order to study their morphological feature, It brought the form of the design arrangement of the top of the dress uniform into comparison, and compared the Korean official uniform system of the government official working for the palace and the civil servant with the Japanese. And It studied the background of the dual system, that is, the civil servant uniform and the government official uniform working for the palace. In summary, the design arrangement of the top of the dress uniform for the civil servant and the government official working for the palace changed covering three stages as follows; The dress uniform for the civil servant which differed from the Japanese one was laid down in the Korean Empire's own style in April, 1900. And it changed to the Japanese style in January, 1905 and then it changed to the style whose grade was lower than the Japanese one in December, 1906. The dress uniform for the civil servant which was laid down in 1900applied to the government official working for the palace, and then an opportunity to differentiate the dress uniform of the official for the palace from that of the civil servant was laid, and the official uniform system for the official for the palace different from that of the civil servant was laid down in February, 1906 and its style changed to the style whose grade was lower than the Japanese earlier than that of the civil servant. The full-dress uniform of the high ranking government official appointed by a king symbolized the country or the Imperial Family.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Japanese provision of the Korean full-dress uniform whose grade was lower than the Japanese was a part of preparation to realize Japanese imperialism. A dress and its ornament in ancient East Asia were the representative means to show political subordination. Noticing this point, Japanese imperialism provided the rules of the Korean full-dress uniform whose grade was lower than the Japanese. Also it can be said that the duality of the official uniform, that is, the uniform for the civil servant and the official working for the palace, was carried out to reduce the function of the government office for the Imperial Household and weaken the authority of the Emperor. Japanese imperialism thought that as the bulky government office for the Imperial Household was completely divided from the highest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nd its authority and function reduced, the Emperor's authority would weaken, and this could play the role of the foundation stone for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出土服飾을 통해 본 朝鮮時代 ‘不紐’의 變容

        최규순(Choi Kyu-soon) 비교민속학회 2012 비교민속학 Vol.0 No.47

        전통상례 중의 ‘불뉴’는 시신을 감싸는 묶음베[絞布] 혹은 시신에게 입히고 감싸고 관에 넣는 옷(염습의 및 보공의)의 고름이나 끈을 처리하는 방식을 표현하는 단어이다. 본고는 조선시대 분묘에서 출토된 복식을 자료로 활용하여 다양한 ‘불뉴(不紐)’의 변용 양상을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출토복식은 1941년 이후 2011년 12월까지 총140여 기(基)의 묘에서 발굴된 것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를 대상, 절차, 행위 방식에서의 변용으로 나누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불뉴의 대상은 조선시대 문헌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례와 『주자가례』를 절충하여 옷과 묶음베에 이중으로 적용하는 것이 확인되었지만, 묶음베에 불뉴를 하는 것은 문헌에 나타난 것보다 시기적으로 앞서 적용되고 있었다. 불뉴의 적용은 본래 염(斂) 절차에만 국한되는 것이었는데, 조선시대에는 습(襲)과 보공(補空) 절차로까지 확장되었다. 불뉴의 행위방식은 15세기에서 19세기까지 시기별로 일정한 패턴이 보인다. 그 흐름을 보면 유학자들의 불뉴에 관한 논의가 일정정도 시속(時俗)에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한 번 생성된 시속을 완전히 바꾸지는 못함을 알 수 있다. 출토복식에서 고름이나 끈을 처리한 방식을 확인한 결과, 유학자들의 담론이 심화되면서 고례의 의미와 조선시대에 탄생한 ‘거뉴’의 시속이 절충되어 매우 다양한 형태가 나타나고 있었다. 본문에서 고름을 잘라낸 경우와 남긴 경우로 유형을 대별하고, 후자는 다시 총 9가지로 처리방식을 정리한 후 이해를 돕기 위해 그림으로 제시하였다. 그런데 고름이나 끈을 매우 다양하게 처리했음에도 불구하고 살아있는 사람이 옷을 입을 때와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한 경우는 없었다. 죽은사람에게는 살아있는 사람과 다른 방식을 적용하는 유학(儒學)에서의 원칙을 어떤 형태로든 지킨 것이다. In the traditional funeral rites, ‘Bulnyu (不紐: tying without a bow/non?tying strings)’ means the manner of treating ties or strings on wrapping linen [絞布] of the dead body and clothes used to shroud the body and filling the coffin (shroud and coffin stuffing). This study examined empirically the pattern of changes in various types of ‘Bulnyu’ based on costumes excavated from the tombs of the Joseon Dynasty as materials. For this study, we used costumes excavated from a total of 140 tombs during the period from 1941 to December 2011.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changes in the subject, procedure and practice of Bulnyu are summarized as follows. As to the subject of Bulnyu, it was found that both ancient courtesies and Family Rites of Chu Hsi were applied dually to clothes and wrapping linen as observed in literature from the Joseon Dynasty, but Bulnyu for wrapping linen was applied earlier than what was recorded in literature. The procedure of Bulnyu was initially limited to the preparation of the dead body, but in the Joseon Dynasty it was expanded to shrouding (襲) and coffin stuffing (補空). The practice of Bulnyu showed a uniform pattern over the period from the 15th to 19th centuries, and the trend suggests that Confucians’ discussion on Bulnyu affected the social custom to some degree but could not change it completely once it had been establishe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way of treating ties or strings on excavated costumes, a large variety of forms appeared as a result of Confucians’ advanced discourses and consequent compromise between the meaning of ancient courtesies and the social custom of ‘Geonyu’ born in the Joseon Dynasty. This study identified a total of 9 types and presented figures for easier understanding. Although ties and strings were treated in very diverse ways, however, none of them was treated in the same way as that for living persons. In other words, all of them observed the Confucian principle of applying different rules to the dead from those for the liv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