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고출력 Nd:YAG UV레이저를 이용한 polyimide층과 Cu-metal층의 가공상태에 대한 실험적 고찰
최경진,이용현,Choi, Kyung-Jin,Lee, Young-Hyun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 2009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Vol.8 No.4
In this paper, the laser cutting characteristics of the flexible PCB using high power Nd:YAG UV laser were investigated. A specific FPCB model was selected for the experiment. Test sheets were made, which had equal materials and layer structure to those of the outline (OL) region and the contact pad (CP) region in the FPCB. The experiment is made up of two stages. In the first stage of the experiment, the laser cutting fluence was found, which is the threshold fluence to cut the test sheets completely. The laser cutting fluence of the OL sheet is $1781.26{\sim}1970.16\;J/cm^2$ and that of the CP sheet is $2109.34{\sim}2134.34\;J/cm^2$. In the second stage, cutting performance and its qualities were analyzed by the experiment. The laser cutting performance remained almost unchanged for all laser and process parameter sets. The average cutting width (top side/bottom side) of the OL sheet was $40.45\;{\mu}m/11.52\;{\mu}m$ and that of the CP sheet was $22.14\;{\mu}m/10.93\;{\mu}m$. However, the laser cutting qualiti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parameters. The adjacent region of the cutting line on the OL sheet was carbonized as the beam speed was low and the overlap coefficient was high. The surface quality around the cutting line of the CP sheet was about the same. Carbonization and debris occurred on the surface of the cutting line.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cutting qualities were better as the overlap coefficient was made low and beam speed high. Therefore, the overlap coefficient 2 or 3 is proper for the FPCB laser cutting.
최경진,손혜숙,허문열 ( Kyung Jin Choi,Hyei Sook Shon,Moon Yeol Huh ) 한국의류학회 1981 한국의류학회지 Vol.5 No.2
With the advance of technology, the order-made clothes gradually give way to ready-made clothes. It is already well-known that more than 80 percentage of Japanese are choosing ready-made clothes while less than 5 persons out of 100 are spending their money and valuable time to have their clothes order-made in the United States. One of the fundamental steps to reach the system of mass production of clothes is recognized as a reasonable sizing system. Reasonable can be interpreted optimum in the sense of minimum loss from both producers and customers. This paper desires the methodology to obtain the sizing system utilizing the human body measurement data. The suggested methodology could be extended to the sizing system for the design of other items including industrial equipments.
Nonpoint Pollution Potential Assessment in Soyang-dam Watershed
최경진,최중대,임경재,Choi K. J.,Choi J. D.,Lim K. J.,Engel B. A. Korean National Committee on Irrigation and Draina 2001 한국관개배수논문집 Vol.8 No.2
소양강댐 유역의 비점원 오염 포텐셜을 평가하기 위하여 LTHIA/NPS, RUSLE그리고 ArcView GIS 모델을 사용하였다. NPS 오염 포텐셜(VI)계산은 강우유출(RI), 토양유실(EI), 농약사용량(CI), 가축분뇨(LI)와 상업용 비료(FI) 사용량을 대표하는 지수(Index)를 사용하였다. 유역의 유출심은 4.9에서 34.3cm였으며, 토양유실량은 0.25에서 802 ton/ha/year 범위로 평균은 6.46ton/ha/year이었다.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광고를 활용한 브랜딩 효과에 대한 연구
최경진(Kyung Jin Choi),최미세(Mi Sei Choi),최일도(Il Do Choi) 한국광고홍보학회 2011 광고연구 Vol.0 No.91
본 연구에서는 비중이 커지고 있는 엔터테인먼트 산업 중 뮤직드라마를 활용한 브랜드 제고 전략의 효과를 모색하고 바람직한 방안을 논의하려 했다. 따라서 엔터테인먼트 영역과 가장 밀접한 청소년 및 대학생 계층을 대상으로 뮤직드라마를 활용한 마케팅커뮤니케이션 방법이 브랜드 자산 형성에 관여되는 요소에 미치는 영향과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이 결과 뮤직드라마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가 긍정적이었다. 음악이라는 콘텐츠 영역을 중심으로 서사성이 가미된 드라마 형식을 차용함으로써 거부감 없이 메시지를 전달하고 이미지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즉, 뮤직드라마를 이용한 브랜딩은 기존의 영상 광고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업주의에 대한 거리감을 극복하고 소비자와의 내면적 동의를 구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area of entertainment TV programs, movies, musicals, cartoons, etc. are separated. ``Music drama`` with the music, depending on the activation of the star marketing has emerged as a new stellar genre. In particular, the attention of young layer and the new media industry contacts enhanced by the proliferation of entertainment content areas of the further strengthening of the industrial capacity. This study of the music drama entertainment area, utilizing the branding effect of consumer attitudes and brand equity was measured by forming the center of the element. It presents an efficient brand-building measures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FGI and the survey in September 2011, 8 and 9 were performed two days. These two entertainment content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utilizing the branding effect of the music drama was discussed. The result, music drama utilizing brand marketing communications brand awareness, enhance brand personality, star system, with the promotion of quality, reliability, brand loyalty will be effective in other portions will be judged. This brand equity can strengthen the elements that comprise the premise to mean acceptance of the branding process, so if the music dramas of youth-targeted entertainment content, such as linking to the conclusion that it was very useful.
최경진(Kyoungjin Choi) 한국비교사법학회 2004 비교사법 Vol.11 No.2
The discussion on the legal entity which is entitled to be the subject of rights has been going on with the focus of theory of legal persons. However, the object of rights was not systematically discussed and remained as shortly explained. It is because the competence to be the subject of rights can be discussed on the general and summary level as it is substantially same in different legal relationships, while the competence to be the object of rights is confirmed on the level of particular right, so that nobody felt necessary to discuss it on the general level. In addition, it is impossible and unnecessary in terms of legislative technique to set a general provision on the object. Therefore, current Civil Act has a special provision on Res which constitutes only a part of object of rights. It is meaningful to set the provision on the definition of Res in the general provisions of the Civil Act, especially because it enables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Civil Act to enhance in order to keep abreast of the current situation, focusing on the definition of Res. Based on this viewpoint, this thesis analyzed the concept of Res, which was not seriously discussed traditionally, by analyzing the legislative history and legal status of the Article 98 of the Korean Civil Act, so that we can draw reasonable requirements of Res as a legal concept. Then I found the concept of Res under Korean Civil Act as an abstract legal concept encompassing tangibles and intangibles. Also, about the requirement to be Res, I pointed out that the traditional discussion which draws criteria from relational understanding with real right was not reasonable, and I separated such requirement into General requirement which is applicable to Res in general, and Special requirement which is applicable to object of ownership or obligation.
최경진(Choi Kyoung Jin) 한국정보법학회 2011 정보법학 Vol.15 No.1
전자거래기본법이 제정되던 당시에는 전자적 수단에 의한 행위나 거래가 법적으로 유효한가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 없거나 부족했었기 때문에 전자적 거래행위의 유효성을 법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조치로서 전자문서의 유효성을 비롯한 전자문서 관련 규정을 두는 것이 중요하였지만, 전자문서의 이용이 보편화된 현 상황에서는 전자문서의 단순한 법적 승인에 머무르지 않고 전자문서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의 촉진 및 전자문서의 유통이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어서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법제도의 도입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또한 종래의 법제는 전자거래의 사법적 규율에 관하여 실체적 효력에 대하여는 기존의 법률에 의하고, 전자문서의 기술적 특성을 반영한 기술적 규정들을 일부 전자거래기본법에 둠으로써 사법적 규율을 꾀하였다. 그런데, 전자거래기본법에 명확히 실체적 효과를 부여한 규정을 둔 것도 아니고, 종래의 민사실체법이 전자문서에 대한 명확한 해석이나 입장을 밝힌 것도 아니어서 사법적 규율에 있어서 불명확성이나 모호함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어서, 이를 제거하기 위한 입법적 논의가 필요하다. 국제적 측면으로 시각을 돌려보면, 전자거래는 인터넷의 특성상 국내에 머무르지 않고 국제적인 거래도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으며, 특히 기업간 거래의 상당부분을 전자문서에 의하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UNCITRAL 전자계약협약이 채택되어, 우리나라도 이에 서명하였다. 이러한 국제적 규범 통일의 경향을 반영하여, 필요한 범위 내에서 우리의 국내거래에서도 국제규범을 고려하여 가능한 범위 내에서 국제규범과의 조화를 꾀하여야 한다. 이외에도 우리나라가 국제시장에서의 선도적 경쟁력을 갖춘 분야인 전자문서 관련 시장의 촉진 및 지속적 경쟁력 강화와 정부를 비롯한 공공부문에서의 전자문서 유통 촉진을 위한 법제도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이상과 같은 법제 개선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하여 전자거래기본법의 개선방안을 검토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즉, 전자문서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전자문서를 법률 명칭에서도 전면에 등장하도록 하여, 전자문서에 관한 기본법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하여야 한다. 전자거래에 대한 규율을 강화하는 측면에서는 전자문서와 전자적 의사표시를 구별하여, 전자적 의사표시에 관한 실체적 효력을 부여하는 규정을 민법에 두면서, 이를 구체화하는 법률로서 전자거래기본법에 보다 상세한 기술적 규정을 두도록 입법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사법적 규율을 강화하고 법적 불명확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실체적 효력과 관련된 사항에 대하여는 전자적 의사표시를 중심으로 규율하여야 한다. 아울러 국제적 규범과의 조화를 위하여 우리나라가 서명한 UNCITRAL 전자계약협약의 내용 중 국내거래에도 도입하는 것이 합리적으로 타당한 규정을 중심으로 전자거래기본법 개정안에 규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자문서의 유통촉진을 위한 체계를 구축하고, 정부 및 공공부문과의 전자문서의 유통촉진을 위한 체계를 정립하기 위한 근거규정을 두어야 한다. 다만, 공공부문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공공부문의 신뢰성을 유지하는 형태로 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At the first time when Basic Law on Electronic Commerce passed in the National Assembly, it was not enough to understand legal significance of electronic document. So, the law had to provide the legal recognition of electronic documents. Now, environment surrounding electronic document and commerce has changed much more than we had expected at the first legislation. The recent trend is that trafficking of electronic documents and related service are very important in business. And it must be noted that there is an estrangement between substantive law like Civil Law and Basic Law on Electronic Commerce in the point of application of law to electronic declaration of intention. Furthermore, electronic commerce is worldwide based on internet, so United Nations tried to make uniform law and finalized so-called “UN Electronic Communications Convention” which Korea also sign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rmonize between international and domestic law to promote international electronic commerce. Additionally, legal reform plan must consider promotion of electronic document market and expansion of Gov 2.0.
IPTV 이용 동기와 태도가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최경진(Kyung Jin Choi),최일도(Il Do Choi) 한국광고홍보학회 2009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1 No.1
본 연구는 브랜드로서의 IPTV를 이용하는 수용자를 대상으로 이용 동기와 브랜드 자산과의 관계를 태도라는 매개변인을 개입시켜 구조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즉, 본 연구는 브랜드로서의 IPTV를 이용하는 수용자의 이용 동기와 태도의 과정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구조적인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IPTV 브랜드 자산 구축을 위한 과정 중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서비스의 내용 및 방향성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표본은 인구통계학적 근거로 볼 때 IPTV 이용 빈도가 가장 높은 대학생 계층으로 정했다. 전체 표본의 크기는 436명이며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성별 구분은 두지 않았다. 연구 결과 브랜드로서의 IPTV 이용 동기는 브랜드 자산 형성에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조모형의 검증 과정에서 회귀계수가 매우 유의미한 값으로 추출됨으로써 구조적 관계의 정립이 당위성을 지니게 된 것이다. 브랜드별로 볼 때는 태도라는 매개변인의 역할이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이용 동기와 태도는 브랜드 자산 형성 과정에 중요한 구조적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find of structure relation of utilization motive and attitude and brand equity in IPTV consumers. That is to say structure relation of utilization motive and attitude and brand equity for brand equity strategy formation. And a suggestion for direction of on-line brand marketing strategy. An survey was conducted to 436 respondents who were not separated sex distinction by study purpose. The results showed that showing both utilization motive and brand equity formation were more effective by consumers. The result also showed that indicated parameter as impression was effective in brand equity formation process. Moreover,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when maintained the consistency of brand equity between structure relation of utilization motive and attitude. The classified by brand structure model was explained utilization motive and attitude for brand equity. Though attitude wasn`t explained for brand equity clearly in significant level.
최경진(Choi, Kyoung-Jin) 한국정보법학회 2013 정보법학 Vol.17 No.1
우리나라의 산업발전에 큰 기여를 한 ICT를 진흥하기 위한 법령이 지난 30여년 동안 제⋅개정되어 왔고, 법령의 내용이나 체계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이 글에서는 과거 우리의 ICT법제 체계의 변화를 뒤돌아보고, 현재 우리의 상황과 미래 ICT의 예측을 토대로 ICT법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 고찰의 대상으로 삼았다. 먼저 ICT법제의 발전 흐름을 살펴보고, 미래 정보 사회의 구현 및 ICT 경제 재도약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한 바람직한 ICT 법체계 개편 방향을 도출하고자 시도하였다. 과거 ICT법제의 변화 중에서 특히 지난 5년여 동안을 돌아보면 여러 법제 개편의 노력이 있기는 했지만, 실제 입법이 이루어지고 법률이 운용되는 과정에서 각 법률 사이의 융⋅복합 및 조화는 잊혔고, 신산업의 창출, 융⋅복합의 활성화, 기존 ICT의 고도화, 수평적 규제체계로의 전환이라는 중요한 이상(理想)은 실현되지 못했다. 결국 이러한 중요한 목표들은 현재까지도 과제로 남겨져 있다. 또한 현행 ICT법령은 법제의 중복 또는 법체계 사이의 정합성이 미흡한 부분이 존재한다. 또한 법령상 거버넌스 측면에서 ICT 진행정책의 추진체계가 분산되어 있다는 문제도 지적할 수 있다. 나아가 융⋅복합 산업 등 새로운 산업의 출현에 따른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법령상의 곤란함도 일부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바람직한 ICT 법제체계를 구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는 체계적 정합성 제고, 글로벌 관점에서의 접근, 탈규제 측면의 미래 한국 사회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ICT 법제의 구현, 새로운 ICT 거버넌스와의 조화 및 효과 극대화, ICT의 기본정신(개방, 중립, 참여, 공유, 자율)을 존중하는 법제의 구현 등이 있다. 이러한 점들을 바탕으로 우리의 ICT법제는 미래 ICT 환경에 적합한 규제체계로의 법제체계 전환, 즉 ICT 혁신 및 재도약기로의 전환을 꾀하여야 한다. 미래 ICT의 비전(미래 혁신 및 고도화 기반으로서의 ICT, 복지 로서의 ICT, 안전으로서의 ICT)을 담는 법제체계의 구현도 중요한 방향의 하나이다. 이를 위하여 ICT 혁신 및 재도약을 위한 플랫폼(Platform) 형 기본법 제정이 필요하며, 불필요한 중복 제거 및 조정기능을 강화하면서도 개별 영역의 자율성과 전문성을 보장할 수 있는 법제이어야 만들어 나아가야 한다. 이 글에서 법령 및 조문 차원의 세부 적인 개선방안이나 제⋅개정안까지 도출하지는 못했지만 전체 체계적 관점에서 “신 ICT법제체계”를 하나의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앞으로 시대가 요구하는 사명에 맞게 ICT법제를 살아있게 만들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전개해야 할 것이다.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content or system of ICT laws which contributed to industry development of Korea during last 30 years. This paper retrospects the previous Korean ICT legal framework and examines its future based on prediction of future ICT technology and environment. For the study, it deals with history of ICT laws and tries to introduce the desirable direction of future ICT legal framework. Looking back on last five years, there were many efforts to amend ICT laws. But the attempt did not succeed and it resulted in still remaining of several problems; harmonization or convergence of related laws, creation of new industry, advancement of ICT, transfer to vertical regulatory system, etc. Another problem is overlapping of regulation among ICT-related laws, breakup of ICT policy propellant, unflexibleness on market change. To resolve the above problems, we must consider the following; systematic coordination, gloable aspect, deregulation, sustainable ICT legal framework, harmonization with new ICT governance, respect of ICT’s basic spirits(openness, neutrality, participation, share, autonomy. This paper cannot provide detail reform plan, but suggests “New ICT Legal Framework” from whole systematic perspective.
최경진(Kyoung Jin Choi)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8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5 No.1
사이버공간에서의 소통(이하 ‘사이버컴’이라 힌디) 분야는 그 어떤 분야보다도 역동적이고, 매우 다양한 법영역이 혼재하고 있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회고해본다는 것은 불가능한 작업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사이버컴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법학 연구 과제를 살펴본다는 것을 목표로 하여, 종래의 연구 동향과 함께 향후 과제를 조망하였다. 즉, 2.에서는 사이버컴과 관련된 법학 연구동향을 살펴보기에 앞서 먼저 용어례 및 연구범위에 대하여 검토하였으며, 3. 에서는 사이버컴 간련법의 흐름을 시계열별 및 분야별로 살펴보고, 현재 검토되고 있는 법령정비동향을 소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4. 에서는 사이 버컴 관련 법학연구동향을 시계열별 및 분야별로 회고해보고, 5. 에서는 논의되고 있는 법령정비동향 및 법령정비연구동향과 기존의 법학연구동향에 대한 회고를 바탕으로 미력하지만 향후의 연구동항에 대한 전망과 과제의 제시를 시도하였다. 이러한 사이버컴 관련 법학 연구 동향의 검토와 향후 과제의 조망이라는 작업은 처음 시도되는 것이지만, 향후 이 글이 작은 발단이 되어 연구간 연계를 통하여 끊임없는 과거의 검토와 재발견, 미래의 조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area of cyber communication is really dynamic and related with various law areas, so retrospect of legal study in the area may be impossible. But this paper tries to look back upon the past legal study of cyber communication for the purpose of looking out the future tasks. Firstly, the related various terms was examined. And both laws and legal study trend related with cyber communication were looked into for the following research. Finally, this was concluded with the present and future problems to develop legal research and study in the cyber communication area. I hope this paper will be the threshold of study connection with the future.
면역글로불린 치료 후 호전된 전신경화증 위장관 침범 1예
최경진 ( Kyoung Jin Choi ),황정화 ( Jeong Hwa Hwang ),김현숙 ( Hyun-sook Kim ),이준성 ( Joon Seong Lee ) 대한내과학회 2017 대한내과학회지 Vol.92 No.2
Systemic sclerosis is an intractable clinical subset characterized by diffuse fibrosis, vasculopathy, and immune abnormalities. Diffuse cutaneous systemic sclerosis has a variety of symptoms depending on the internal organs involved, such as the lungs, heart, kidneys, and gastrointestinal system. Gastrointestinal involvement is frequent and one of the major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There is no sustained, effective therapy for treating the active gastrointestinal involvement of systemic sclerosis. Although immunoglobulin is commonly used in the treatment of other autoimmune diseases, its effects in the treatment of the gas-trointestinal involvement in systemic sclerosis are unclear. Here, we report a patient with a severe cough caused by uncontrolled gastrointestinal involvement in diffuse cutaneous systemic sclerosis treated with immunoglobulin. (Korean J Med 2017;92:213-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