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시 슬개골 비치환술

        조세현,정운화,천충우,윤영필 대한슬관절학회 2002 대한슬관절학회지 Vol.14 No.2

        슬개골-대퇴골 관절의 합병증은 슬관절 전치환술 후 가장 흔한 합병증 중의 하나로, 이런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슬관절 전치환술 시 슬개골을 치환할 것인가, 아니면 보존할 것인가에 대하여 아직도 많은 논란이 되고 있다. 1993년 8월부터 200년 8월까지 퇴행성 관절염 및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슬개골 치환을 하지 않고 인공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환자 중 2년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36명, 43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전례에서 슬개골의 퇴행성 변화에 관계없이 슬개골 보존술(즉 슬개골을 치환하지 않고 슬개골 성형술만 실시함)을 시행하였으며, 추시 기간은 최단 2년에서 최장 10년으로 평균 54개월이었다. 수술전 슬개골의 방사선 사진으로 정상 슬개골을 A군 (10례), 중등도의 퇴행성 변화를 B군 (20례), 심한 퇴행성 변화를 C군 (13례)으로 분리하여 세군의 슬관절 전방부 동통, 운동범위, 계단 오르기 능력 등의 임상적 소견과 슬개골 경사(patellatilt) 및 외측 슬개골 전위(lateral patella shift)의 두 가지 방사선사학적 소견을 비교 분석하였다. 35명중 퇴행성 관절염이 29명, 류마티스 관절염이 6명였으며, 임상적 분석은 American Knee Society Score(KSS)를 사용하였다. 최종추시시 평균 Knee Society Score (KSS)는 A군 93.1점, B군 92.7점, C군 94.2점이었다. 총 43례중 슬관절 전방부 동통을 호소한 예는 A군 2례, C군 2례로 4례 (9.3%)뿐이었으며, 이들은 보행 시는 동통이 없으나, 쪼그린 자세나 계단을 오르내릴 때 동통을 호소하였다. 세군간의 슬관절 운동범위, 계단 오르기 능력 등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방사선학적 비교에서 외측 슬개골 전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슬개골 경사는 A군과 B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C군에서는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으므로 술전 슬개골의 퇴행성 변화가 심할수록 슬개골 경사가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p=0.01). Patello-femoral problem is one of the common complications in total knee arthroplasty and whether to replace the patella or retain it has long been controversial in order to prevent the complications. 43 cases (35 patients) of total knee arthroplasty with patellar retention performed by single surgeon between August 1993 and August 2000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follow-up period averaged 54 months (range, 24-120months). The whole cas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preoperative radiographs. Group A was normal patella (10 knees), Group B was borderline arthritic patella (20 knees), and Group C was severely deformed patella (13 knees). All of 43 knees, regardless of preoperative radiological degree of arthritis received patelloplasty including removal of osteophytes, subchondral shaving and lateral retinacular release was performed in 20 knees (47%). Each groups was evaluated in terms of the objective criteria of anterior knee pain, range of motion, stair climbing ability, and roentgenographic findings. All 35 patents were diagnosed as osteoarthritis in 29 and rheumatoid arthritis in 6. American Knee Society Score (KSS) was assessed for the clinical analysis and lateral patella shift and patella tilt were assessed for roentgenographic analysis. The mean Knee Society Score at final follow-up was 94 in group A, 93 in group B, and 94 in group C. Mild anterior knee pain was reported in 9.3% (Group A: 2 cases, Group C: 2 cases). patellar til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 group (oneway ANOVA test, p=0.01), representing that advanced patello-femoral arthritis caused increased patellar tilt. There was nither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range of motion, and stair climbing ability nor of patellar shift among all three groups. TKA with patelloplasty, not resurfacing the patella, provided satisfactory results without significant problems regardless of the preoperative degree of patello-femoral arthritis.

      • KCI등재
      • KCI등재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Fabella 충돌증후군의 관절경적 치료

        정운화(Un-Hwa Jung),천충우(Chung-Woo Chun),박철수(Chul-Soo Park),변준호(June-Ho Byun),하용찬(Yong-Chan Ha)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6

        인공슬관절 전치환술후 종자골(fabella)에 의한 충돌증후군은 매우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이에 대한 원인은 대부분 인공관절 삽입물의 위치나 종자골의 크기가 주된 요인 이었다. 또한 지금까지는 고식적인 후외측 도달법에 의하여 제거하는 경우에 대하여 보고하여 왔다. 저자들은 퇴행성 슬관절염으로 진단받은 72세 여자환자의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이후에 불완전하게 제거된 대퇴골 외측 후방골극과 종자골의 충돌에 의해 발생한 예를 경험하였으며, 이를 관절경적으로 제거하여 술 후 1년 추시상 증상의 재발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인공슬관절 치환술후 발생한 종자골에 의한 충돌증후군의 치료에 관절경적인 종자골의 제거는 고식적인 후외방 접근법에 의한 수술을 대체할 수 있는 한 방법이라 생각된다. Fabella impingement syndrome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TKA) is a rare condition. However, the location of the inserted prosthesis and the size of the fabella are considered major causative factors. Thus far, a conventional surgical excision of the impinged fabella is recommended treatment for the impingement. A 72-year-old woman was diagnosed with degenerative arthritis of the knee. She complained of fabella impingement due to an incompletely excised bony spur behind the posterolateral femoral prosthesis after TKA. The fabella and remaining bony spur were removed using an arthroscopic procedure. The impingement has not recurred and the range of motion (ROM) of the knee was improved after a 12 months follow-up. Arthroscopic surgery might be an alternative treatment for fabella impingement after TKA.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시 대퇴골두 중심계측의 정확성 및 대퇴 치환물 정렬의 평가

        정운화(Woon Hwa Jung),김동현(Dong Hyun Kim),천충우(Chung Woo Chun),정재헌(Jae Heon Jeong),하용찬(Yong Chan Ha),서재곤(Jai Gon Seo) 대한정형외과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6 No.4

        목적: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슬관절의 정렬은 수술의 결과 및 예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의 골수강외 정렬기법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은 술 중 대퇴골두의 중심을 확인하는데 한계가 있어 대퇴삽입물의 관상면 정렬이 정확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골수강외 정렬기법을 위해 대퇴골두 중심간 거리를 이용하는 표식자의 정확성 및 대퇴 치환물의 관상면 정렬을 평가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7월에서 2009년 7월까지 90명 100예의 슬관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술 전 PACS system에서 양측 대퇴골두 중심간 거리를 측정하였고 이를 새롭게 고안된 표식자에 적용하여 환자에 정착 후 단순 고관절 전후면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위치 오차를 계산하여 보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시행한 인공 슬관절의 정렬 정도를 대퇴삽입물의 내외반각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술 전 시행한 방사선 촬영상 평균 대퇴골길이는 402.5±16.2㎜였고, 수술장에서 실시한 영상에서 대퇴골두와 표식자와의 평균 거리는 49.6±17.9 ㎜, 대퇴 골두 중심의 평균 오차는 3.78±3.14 ㎜였다. 술 후 시행한 방사선 사진상 90예가 관상면상 1도 오차 범위 안에 들었으며, 모든 예에서 2° 오차 범위 안에 들었다. 평균 역학적 축에 대한 대퇴삽입물의 내외반각은 89.9±1.5°(범위, 84.4-93.6°)였고, 96예에서 대퇴 치환물의 관상면상 정렬이 90±3°였다. 결론: 양측 대퇴골두 중심간 거리를 임상적으로 응용한 표식자의 정확성을 평가한 결과 기존의 대퇴골두 중심을 찾는 방법들보다 편리하고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이러한 방법을 이용한 인공 슬관절의 술 후 정렬 또한 우수하였다. Purpose: Alignment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long-term success of total knee arthroplasty In the total knee arthroplasty, the conventional extramedullary femoral alignment system has significant error in femoral coronal alignment, since it is difficult to find the femoral head center and it is time consuming to determine during the operation.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newly-designed marker system for extramedullary femoral alignment that uses radiologic distance between the 2 femoral head center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uly 2008 and July 2009, 90 patients (100 knees) with knee osteoarthritis underwent total knee arthroplasty using the femoral extramedullary femoral guide system. We measured the distance between the femoral head centers using the radiologic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PACS, General Electric, Milwaukee, WI) system preoperatively, then plastic rods and metal pegs were used to simulate the inter femoral head center distance. By placing the center of the plastic rod after marking the inter femoral head center distance on the central body line, we could trace the coronal mechanical axis. We measured the angle between the femoral mechanical axis and the femoral component in standing long leg antero-posterior radiograph to assess radiologically the accuracy of coronal alignment postoperatively. Results: The average femoral length in the study group was 402.5±16.2 ㎜. The mean distance between the femoral head and the center of the marker was 49.6±17.9 ㎜. The average error in estimation of the distance between the femoral head center and the metal peg of the marker was 3.78±3.14 ㎜. The positional error in alignment was 1° or less in 90% and 2° or less in 100% of knees The average angle of femoral component to femoral mechanical axis was 89.9±1.5° (range 84.4-93.6°). The coronal alignment of the femoral components was within 90o±3° in -96% of cases.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clinical method reported here is a simple and reliable method to localize the center of the femoral head during total knee arthroplas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