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발달장애에 관한 심리학적 치료와 평가

        천성문(Cheon Seong-Moon),김상희(Kim Sang-Hee)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1 인문학논총 Vol.3 No.-

        This study is examining relations between personality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as psychological approach, specific models to explain child psychopathology and problem behaviors and factors of developmental disorder and diagnosis, assessment and treatment programs for developmental disordered children. Personality development theory related to developmental disorder is focused on object relations theory and models accounting for developmental disorders are based on two different attitudes of developmental contextualism and developmental functionalism. Accounts for causes, diagnosis and assessment of developmental disorder are focused on autism and mental retardation of major developmental disorders. Psychology emphasizes emergence and process of developmental disorders and improvement and measurement of test instrument for them, and recently therapy methods are studied with concerns. As developmental disordered children have individually unique characters and disordered behaviors caused by various factors, great efforts are required to improve and apply programs for prevention, education and treatment for them in educational . medical . psychological terms.

      • KCI등재후보

        중년 남성의 심리적 위기감과 자기성찰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정성훈(Jung, Sung-Hun),심운경(Sim, Woon-Kyung),천성문(Cheon, Seong-Moon)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학논총 Vol.41 No.-

        본 연구는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하여 심리적 위기감과 자기성찰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부산, 경남 소재 501명의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심리적 위기감과 자기성찰, 심리적 안녕감에 대하여 설문 조사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8.0을 이용하여 상관관계 검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는 첫째, 심리적 위기감과 심리적 안녕감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성찰과 심리적 안녕감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위기감은 심리적 안녕감에 대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성찰은 심리적 안녕감에 대해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sychological crisis and self reflection of middle aged men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 survey was conducted for 501 middle aged men, who reside in Busan and Kyungnam area. SPSS 18.0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correlation verific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First,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among the psychological crisis, self refle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 aged men showed no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the psychological crisis and self reflection. Second, psychological crisi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self reflec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the results, finding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푸드아트테라피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정서표현 및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효과

        김상희(Kim Sang-hee),김현정(Kim Hyeon-Jeong),천성문(Cheon Seong-Moon)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9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푸드아트테라피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정서표 현,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 선정을 위해 U시 M지 역아동센터 다문화가정초등학생에게 프로그램내용과 진행에 대한 공고와 설명을 하였고, 학부모동의를 거친 실험집단 7명과 U시 D지역아동센터와 B시 다문화가정 초등학생 7명을 통제집단에 각각 배치하였다. 연구진행은 2016년 1월 14일부터 2월 29일까지 주 2회 80분 씩 총 10회기 실험집단에게 푸드아트테라피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자기효능 감 척도, 정서표현 척도와 적응유연성 척도를 사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사전-사 후검사를 하였고, 공변량 분석을 통하여 유의성을 확인하였으며 프로그램을 통한 경험분석 과 회기별 관찰내용을 분석하여 결과를 보완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자기효능감의 하 위 척도 중 과제난이도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정서표현의 하위 척도 중 친밀한 정서표현과 긍정적 정서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적응유연성의 하위 척도 중 교사지 지, 의사소통, 문화수용성 영역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 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를 위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food art therapy for self-efficacy, emotional expression and resili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experimental group for this study consisted of sev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who belong to the regional children center of Ulsan. Four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the regional children center in Ulsan and thre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Busan were selected to be the control group. The program was composed of 10 sessions. Each session ran 80 minutes and was carried out twice a week. Tests to measure the participants self-efficacy, emotional expression and resilience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Covariance (ANCOVA) was used as a statistical method and SPSS/WIN 21.0 was employed for statistical treatment on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changed their self-efficacy further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emotional expression abilities more than the control group.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resilience more than the control group. Limitations to the current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미룸예방 집단상담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김상희(Kim Sang-Hee),류미경(Ryu Mi-Gyung),천성문(Cheon Seong-Moon),전은주(Jeon Eun-Ju)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인문학논총 Vol.1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을 위한 미룸예방 집단상담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 프로그램이 자기조절학습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인지-행동적 집단상담을 10회기로 구성,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시 전과 실시 후, 그리고 54일 후에 자기조절학습과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각 척도별로 평균과 표준펀차를 구했으며, 실험-통제집단간의 점수 차이 및 실험집단의 사전-사후-추후 점수 차이를 t검증 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미룸예방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피험자들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자기조절학습 검사 점수가 크게 증진되었다 둘째, 미룸예방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피험자들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자기효능감 검사 점수가 크게 증진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미룸예방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과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며, 나아가 자기관리능력의 향상으로 학업성취까지 도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composed of the program that balenced both cognitive aspect and behavioral aspect well. This program is composed of 10 parts of psychology of procrastination, overcoming procrastination, Do it now, time management tactic and so on. The participants in the program were 20 volanteers of the first grade male students of K high school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20 students were randomly separated into two group,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ith 10 students in each group. In order to vers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program, I examined both self-regulated learning and self-efficacy before and after testing program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I did the post test for the two groups agter 54 days of program completion. The conclusions of my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 regulated learning test score of students that participated in the preventive procrastination group counsel program is much more enhanced than the control group who is not participated the program. Second, the self-efficacy test score of students that participated in the preventive procrastination group counsel program is much more enchanced than the control group who is not participated the program. Consequently, the preventive procrastination group counsel program is effective and useful to improve the self-regulated learning and self-efficacy of rugh school students.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스마트폰중독 간의 관계: 대인관계만족의 매개효과

        김상하 ( Kim Sang Ha ),천성문 ( Cheon Seong Moon ),조은미 ( Cho Eun Mi ),김정숙 ( Kim Jeung Sook ),진명순 ( Jin Myeong Soon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8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4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 스마트폰중독 및 대인관계만족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가족건강성과 스마트폰중독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부산지역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고학년에 재학 중인 392명이며, 연구도구는 가족건강성, 스마트폰중독, 대인관계만족 척도를 사용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기초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1.0을 사용하여 구조방적식 모형을 분석하고 Bootstrap분석으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스마트폰중독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건강성은 대인관계만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으며, 대인관계만족과 스마트폰중독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방정식모형의 분석결과 가족건강성과 스마트폰중독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만족의 부분매개 모형이 채택되었다. 즉 초등학교 고학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은 스마트폰중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대인관계만족을 거쳐 스마트폰중독에 영향을 미치며, 자녀가 가족건강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대인관계만족이 높아질수록 스마트폰중독이 감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고학년을 위한 스마트폰중독의 예방 및 치료와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실천적 개입 방안에 대해 논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ain variable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health and smart phone addiction perceived by the elementary students in the upper grades. The research conducted the survey on the family health, smart phone addiction, and the interpersonal satisfaction scale by a total of 392 elementary students in the upper grades in Busan.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health and smart phone addiction perceived by the elementary students in the upper grades,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s were used to analyze collected data.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family health, the lower the level of smart phone addiction due to the higher level of interpersonal satisfaction. Second, these results show that family health has a direct effect on smart phone addiction, and indirect effect that affects smart phone addiction through family satisfaction, interpersonal satisfaction. The conclusion deduc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amily health perceived by elementary students in the upper grades influences smart phone addiction indirectly rather than directly, by mediating the interpersonal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은행원의 감정노동과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김명희(Kim, Myung-hee),천성문(Cheon, Sung-moon),윤정훈(Yun, Jung-hun) 한국교육치료학회 2021 교육치료연구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은행원의 감정노동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중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B시, K도, J시도, 기타지역에 소재한 374명의 행원을 대상으로 감정노동, 마음챙김, 정신건강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주요 변인들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고, 변인들 간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은행원 감정노동 중 표면행위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매개변인인 마음챙김이 통제하였을 경우 표면행위의 유의성이 사라진 것으로 보아 마음챙김은 표현행위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은행원 감정노동 중 내면행위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매개변인인 마음챙김을 통제하였을 경우 내면행위의 효과크기가 소폭 감소한 것으로 보아 마음챙김은 내면행위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labor of bank clerks and mental health.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on emotional labor, mindfulness, and mental health was conducted with 374 bank employees in B-city, K-province, J-province, and other region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evance between major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between variables The results reveal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rface acting(the sub-variables of emotional labor) and mental health, the significance of surface acting disappeared when the mindfulness was controlled. Mindfulness was found to mediate fu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rface acting and mental health.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ep acting (the sub-variables of emotional labor) and mental health, the effect size of deep acting decreased when the mindfulness(mediating variable) was controlled. Mindfulness was found to mediate parti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ep acting and mental healt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긍정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우울성향 초등학생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성미혜 ( Mi Hye Sung ),천성문 ( Seong Moon Cheon ),임옥경 ( Ok Kyoung Lim ),김은경 ( Eun Gyeong Kim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2 동서정신과학 Vol.15 No.1

        본 연구는 우울성향을 보이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긍정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초등학생의 우울,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B시에 위치한 S초등학교 5학년 아동들 중 우울성향 이 보이는 아동 20명을 선발하여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10명을 무선배치 하였다. 실험집단은 주2회 40분씩 10회기의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실시 전ㆍ 후에 아동용 우울 검사와 자아존중감 검사, 학교생활적응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SPSS/WIN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실험.통제 집단 간 비교를 위해 각 집단의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두 집단의 사후점수에 대해 각각 공변량분석(ANCOVA)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긍정심리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우울성향의 초등학생들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는 학생들보다 사후검사 에서 우울 수준이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 둘째, 긍정심리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우울성향의 초등학생들은 프로그램에 참여하 지 않는 학생들보다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긍정심리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우울성향의 초등학생들은 프 로그램에 참여하지 않는 학생들보다 학교생활적응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우울성향이 있는 초등학생 개인이 지니는 강점과 미덕을 계발하고 발휘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미래에 대하여 긍정적인 사고를 하여 삶이 행복하도 록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positive psychotherapy program on depression,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of depressiv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nts were 20 fifth grade students attending S elementary school in Busan.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10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10 in a controlled group. The program has been conduc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40 minutes twice a week (total 10 sessions) along with group counseling. Students were given scales assessing depression,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For analyzing of the research results, ANCOVA (Analysis of Covariance) that uses pretest results as covariance was us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udents` depress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while their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increased significantly. Consequently, the positive psychotherapy program is expected to be helpful to depressiv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유형과 인터넷 게임중독 성향 간의 관계: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김하나 ( Ha Na Kim ),김미옥 ( Mi Ok Kim ),김성희 ( Sung Hee Kim ),천성문 ( Seong Moon Cheon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유형과 자기통제력, 인터넷 게임중독 성향 간의 관계와 아동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유형과 인터넷 게임중독 성향 간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가 있는가에 대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4개의 공립초등학교 5∼6학년 학생 274명을 대상으로 아동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유형 검사, 인터넷 게임중독 검사, 자기통제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AMOS 7.0 프로그램을 통하여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실시한 결과, 첫째, 부모의 개방적 의사소통은 인터넷 게임중독 성향과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모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인터넷 게임중독 성향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모의 개방적 의사소통은 자기통제력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부모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자기통제력과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통제력은 인터넷 게임중독 성향과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아동의 자기통제력은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인터넷 게임중독 성향 사이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아동의 부모-자녀 의사소통은 인터넷 게임중독 성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보다는 자기통제력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부모-자녀 의사소통은 단독으로 인터넷 게임중독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니므로 아동의 자기통제력은 인터넷 게임중독 성향과 관련된 매우 중요한 변인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main variables and meditating process that influences internet-game addiction tendency among the upper graders in public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totally 274 students of four elementary schools placed in Busan. As the tools, the scale of communication style with parents, the scale of internet-game addiction tendency and self-control scale were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AMOS 7.0 were utilized for data analysis. The outcome of the study wa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pen communication style with parent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negatively related to internet-game addiction tendency, and dysfunctional communication style with parent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passively related to internet-game addiction tendency. Second, communication style with parents was found to influenc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net-game addiction tendency through self-control. Self-control was found to serve as a total intermediary between communication style with parents and internet-game addiction tendency.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confirme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control has a total intermediary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tyle with parents and internet-game addiction. It also suggests that a strategy and various program that enhanc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control during the treatment of internet-game addiction tendency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

        행복한 아버지 되기 훈련프로그램이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자녀 양육참여에 미치는 효과

        김지숙(Ji-sook Kim),설정희(Jeong-hui Seol),천성문(Sung-moon Cheon) 한국학부모학회 2023 학부모연구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행복한 아버지 되기 훈련프로그램이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자녀 양육참여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B시에 거주하는 어린이집에 다니는 자녀를 둔 아버지들 중 참여를 희망한 20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0명씩 배치하여, 주 2회 90분씩 총 8회기의 행복한 아버지 되기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을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증 및 공분산분석(ANCOVA)을 통하여 유의성을 확인하였으며, 회기별 경험보고를 통해 양적분석결과를 보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행복한 아버지 되기 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들의 양육스트레스가 감소되었다. 둘째, 행복한 아버지 되기 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들의 양육효능감이 증가 하였다. 셋째, 행복한 아버지 되기 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들의 자녀 양육참여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행복한 아버지 되기 훈련 프로그램이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들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양육효능감 및 자녀 양육참여를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밝혀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Happy Fatherhood Training Program on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paternal participation in parenting at early childhood stage. To this end,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of 20 fathers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years, 10 people each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 total of eight sessions were conducted twice a week for 90 minute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experiment-control group pre-identity verification and covariance analysis (ANCOVA)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Happy Fatherhood Training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the parenting stress of fathers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second, the fathers’ parenting efficac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ird,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parenting increa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is concluded that the Happy Fatherhood Training Program is an effective program that can reduce the parenting stress of fathers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and increase parenting efficacy and participation in parenting. Finally,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