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発音指導実践における実習生と学習者のインタラクション-実習生の学びを中心に-

        천선영 한국일본어학회 2016 日本語學硏究 Vol.0 No.4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arning of practitioners in practice teaching of pronunciation they obtained through their interactions with Japanese language learners while teaching pronunciation. Based on the learning of practitioners, I discuss the practice teaching of Japanese pronunciation to support practitioner learning. I investigated a practice teaching specializing in pronunciation at the Graduate School in Tokyo. I took participant observations at the pronunciation class and interviewed the practitioners. In this paper, I focus on a practitioner who has experience as a Japanese language teacher.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Japanese language learners, I found that the practitioner learned about Japanese language learners. (1) Their devotion and achievement to learn pronunciation in learning pronunciation (2) Their flexible attitude towards learning pronunciation (3) Their self-correcting capabilities in Japanese pronunciation (4) Their anxiety about pronunciation Thus, the practitioner came to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the potential of Japanese language learners in learning pronunciation. This study shows that practice teaching can support practitioner learning when a practitioner finds and develops the potential of Japanese language learners in learning pronunciation. Hence, it is necessary for practitioners to be provided with an opportunity to develop the learners’ potential in order to develop themselves. 본고에서는 발음에 특화한 교육실천에서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교육실습생(이하, 실습생)이 무엇을 배워가는지에 대해 분석, 고찰한다. 본연구에서 분석대상으로 하는 연구필드는, 2012년도 도쿄 도내의 대학원에 설치된 발음지도에 특화한 실천이다. 실습생의 배움을 관여관찰하고 인터뷰를 실시했다. 본고에서는 교사경험을 지닌 한 명의 실습생의 배움에 착목한다.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실습생은 다음의 4가지의 발음학습실태에 대해 배워간 것으로 밝혀졌다. (1)발음학습에 열심히 임하는 학습자의 자세와 달성감(2)발음학습을 유연하게 받아들이는 학습자의 자세(3)발음학습에 있어서의 학습자의 자기수정능력(4)발음에 대한 불안감위와 같이 실습생은 학습자가 갖고 있는 발음학습에 관련된 가능성에 대해 깨닫고, 학습자에 대한 이해를 높여간 것으로 밝혀졌다.일본어교사를 위한 음성교육을 지원하기 위해서, 발음에 특화한 교육실천이 필요하고, 그 발음지도실천에 있어서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이디자인되어진 환경을 만들어갈 필요가 있다고 시사하였다.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이 디자인되어진 발음지도실천에서, 실습생 혹은 교사는 학습자가 갖고 있는 발음학습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고, 그 발음학습의 가능성을 이끌어내는 서포트를 실천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発音指導実践における実習生と学習者のインタラクション

        千仙永(천선영) 한국일본어학회 2016 日本語學硏究 Vol.0 No.48

        본고에서는 발음에 특화한 교육실천에서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교육실습생(이하, 실습생)이 무엇을 배워가는지에 대해 분석, 고찰한다. 본 연구에서 분석대상으로 하는 연구필드는, 2012년도 도쿄 도내의 대학원에 설치된 발음지도에 특화한 실천이다. 실습생의 배움을 관여관찰하고 인터뷰를 실시했다. 본고에서는 교사경험을 지닌 한 명의 실습생의 배움에 착목한다.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실습생은 다음의 4가지의 발음학습실태에 대해 배워간 것으로 밝혀졌다. (1)발음학습에 열심히 임하는 학습자의 자세와 달성감 (2)발음학습을 유연하게 받아들이는 학습자의 자세 (3)발음학습에 있어서의 학습자의 자기수정능력 (4)발음에 대한 불안감 위와 같이 실습생은 학습자가 갖고 있는 발음학습에 관련된 가능성에 대해 깨닫고, 학습자에 대한 이해를 높여간 것으로 밝혀졌다. 일본어교사를 위한 음성교육을 지원하기 위해서, 발음에 특화한 교육실천이 필요하고, 그 발음지도실천에 있어서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이 디자인되어진 환경을 만들어갈 필요가 있다고 시사하였다.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이 디자인되어진 발음지도실천에서, 실습생 혹은 교사는 학습자가 갖고 있는 발음학습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고, 그 발음학습의 가능성을 이끌어내는 서포트를 실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arning of practitioners in practice teaching of pronunciation they obtained through their interactions with Japanese language learners while teaching pronunciation. Based on the learning of practitioners, I discuss the practice teaching of Japanese pronunciation to support practitioner learning. I investigated a practice teaching specializing in pronunciation at the Graduate School in Tokyo. I took participant observations at the pronunciation class and interviewed the practitioners. In this paper, I focus on a practitioner who has experience as a Japanese language teacher.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Japanese language learners, I found that the practitioner learned about Japanese language learners. (1) Their devotion and achievement to learn pronunciation in learning pronunciation (2) Their flexible attitude towards learning pronunciation (3) Their self-correcting capabilities in Japanese pronunciation (4) Their anxiety about pronunciation Thus, the practitioner came to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the potential of Japanese language learners in learning pronunciation. This study shows that practice teaching can support practitioner learning when a practitioner finds and develops the potential of Japanese language learners in learning pronunciation. Hence, it is necessary for practitioners to be provided with an opportunity to develop the learners’ potential in order to develop themselves.

      • KCI등재

        병원장례식장, 그 기이하고도 편안한 동거 : 상징기호 충돌’ 개념을 중심으로 한 시론적 탐색

        천선영 東洋社會思想學會 2014 사회사상과 문화 Vol.30 No.-

        현재 대한민국의 대표 장례식장은 질문할 여지없이 병원이다. 병원장례식장은 우리에게 아주 자연스럽다. 이 글은 그 ‘자연스러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것을 1차적 목적으로 한다. 그 의문의 가장 중요한 근거는 공간기호론적 입장에서 찾아진 것이다. 글쓴이가 보기에 병원과 장례식장은 본질적으로 상충되는 상징기호를 표출하는 공간들 이다. 병원은 기본적으로 사람을 살리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곳이고 장례식장은 이미 사 망한, 더 이상 삶의 기호로 읽어질 수 없는 시신을 물리적으로, 의미론적으로 ‘처리’하는 사회적 메커니즘을 실행하는 곳이다. 즉 이 두 장소는 공간기호학적 관점으로 볼 때 화해 할 수 없는 관계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는 극적으로 상충하는 공간 기호가 물리적으로 동일한 공간 에 자리 잡고 있는 상황을 ‘아무 생각 없이’ 받아들여 온 것으로 보인다. 그렇게 주장하는 까닭은 병원이라는 장소에서 ‘공식적으로’ 장례가 치러지기 시작한 시점에서부터 사회 구성 원 다수의 장례가 병원에서 치러지게 된 현재까지 별다른 ‘인식론적 반응’이 없(었)던 것으 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물론 병원장례식장이 일반화된 과정은 사회사적으로 이해 가능한 부분도 있고, 병원 측의 경제적인 이익과 정부의 정책적 개입이라는 변수로 설명될 수 있 는 측면도 있다. 그러나 그럼에도 글쓴이는 병원장례식장이라고 하는 것이 ‘서로 모순되는 상징기호’를 포함하고 있는 공간이며 그것이 별다른 저항은커녕 공론장에서의 아무런 반향 없이 안착한 것은 우리 사회의 자기성찰성 결핍 징후로 읽어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Unlike in many other countries, funeral halls are very common in hospitals in modern Korea. This paper serves to question why, from a sociological perspective. Hospitals and funeral halls serve entirely different purposes. A hospital is a place that is symbolic of life, but a funeral hall is a place that is symbolic of death. Therefore, these places serve contradictory purposes. Winston Churchill once said, “We shape our buildings; thereafter they shape us.” If we consider this quote, it is surprising that our society has not discussed the abovementioned incongruity until now. I argue that this signifies a lack of introspection in our society. There may be historical reasons for this phenomenon, of course, but these are not sufficiently explanatory. The fact that funeral halls exist inside hospitals is not necessarily “wrong”, but deserves some discussion. With this thesis, I will reflect upon the social meaning of these distinctly different uses of spac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The Possibility of Constructing Different Subjectivity: ‘Asianness' and Asian American Identity in Julia Cho's The Architecture of Loss

        천선영 한국현대영미드라마학회 2011 현대영미드라마 Vol.24 No.1

        The critical issues surrounding ‘the universality’ in Julia Cho’s plays—how her works successfully evoke sympathy from white American as well as Asian American audiences, and obtain recognition from the mainstream theatre in the U.S.—are directly related to the politico-literary dilemma of portraying the diasporic identity of Asian Americans. With respect to this, some critics call on question about Cho’s theatrics: if her plays aptly account for the issues of Asian American identity and are neatly categorized as Asian American plays. Therefore, in this paper, I depicts how Cho suggests the different tactic of claiming Asian American subjectivity from former Asian American playwrights’ tactic of constructing self identification (of insisting their cultural intimacy with their ancestor’s Asian homeland) by analyzing one of her desert trilogies, The Architecture of Loss. Cho’s play also suggests ‘different’ subjectivity (displaced subjectivity) and debunks the unstable nature of it by expanding the terrain of marginality—the particularity of Asian Americans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reincarnated ‘Asianness’: traumatic memory of the past which comes from diasporic experience of their ancestors and innate self-repulsion of their physical appearance which marks their difference)—to the extent of all American individuals. In so doing, her play blurs the difference between Asian American difference and white American norm displaying the reality of the constructing process of all individuals’ subjectivity of the U.S. nation—the displaced id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