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후방 Bankart 병변을 동반한 후방 II형 SLAP 병변 - 증례보고 -

        천상진,윤명수,김휘택,서정탁,Cheon, Sang-Jin,Youn, Myung-Soo,Kim, Hui-Taek,Suh, Jeung-Tak 대한관절경학회 2008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2 No.2

        견관절 상완순 전후방(SLAP: Superior labrum anterior to posterior) 병변은 상부 관절와순 단독 손상으로 발견되기도 하고, 견관절 재발성 탈구 환자에서 전하방 관절와순의 파열, 즉 Bankart 병변의 연장으로 상부 관절와순까지 파열이 진행된 동반 손상으로 발생하기도 하며, 드물게 후방 Bankart 병변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다. 여러 가지 병변과 동반된 SLAP 병변이 보고되어 왔으나 그 중 후방 Bankart 병변과 동반하여 발생한 후방 II형 SLAP 병변에 대한 보고는 미미하고 그 병변에 대한 관절경적 복원술 시 봉합 나사(suture anchor)의 삽입과 봉합에 주의할 점이 있다. 저자들은 투구 동작과 같은 흔한 손상 기전이 아닌 팔을 뻗친 상태에서 넘어지면서 발생한 외상으로 야기된 본 증례에 대해 관절경적 복원술을 시행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SLAP(Superior labrum anterior to posterior) lesion is found in superior labrum injury alone and also combined with extension of the Bankart lesion(anteroinferior labral tear) in recurrent shoulder dislocation patients and rarely accompanied by the posterior Bankart lesion. There have been reports about SLAP lesions associated with various lesions, however, posterior type II SLAP lesion associated with posterior Bankart lesion has been rarely reported. In such a case, there are important technical tips in inserting anchors and suturing during arthroscopic repair. We experienced a rare case of posterior type II SLAP lesion associated with posterior Bankart lesion, occurred not after repetitive throwing(common mechanism) but after trauma in slipping down with the arm stretched during riding a bicycle. The satisfactory result was obtained after arthroscopic repair in this case.

      • 단일 입구를 이용한 내시경적 수근관 감압술

        천상진,김휘택,서근택,서정탁,유총일,Cheon Sang-Jin,Kim Hui-Taek,Suh Kuen-Tak,Suh Jeung-Tak,Yoo Chong-Il 대한관절경학회 2000 대한관절경학회지 Vol.4 No.2

        Purpose : Endoscopic carpal tunnel release technique was developed and has being used to decrease postoperative morbidity and complic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s and clinical usefulness of endoscopic carpal tunnel release using single portal technique. Methods and Materials : 18 carpal tunnel syndrom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by means of clinical symptoms, physical examination, and electrodiagnostic study had endoscopic carpal tunnel release using single portal technique with about 1 cm oblique wrist incision on 30 hands. And then they were followed-up and reviewed in the same way. Late results of operation were analysed by grading system according to patient's own assessments of relief of symptoms at the final fellow-up. The follow-up period ranged 6 to 13 months from surgery. Results : There were postoperative improvements with respect to clinical symptoms, physical examination, and electrodiagnostic study. 23 of 30 hands$(76.7\%)$ had complete resolution of symptoms. 27 hands$(90\%)$ were able to return to normal activities and work within 6 weeks, and 30 hands$(100\%)$ returned within 8 weeks. In grip strength study, 29 hands$(96.6\%)$ regained preoperative strength in 6 months. 12 of 22 hands$(55\%)$ had improvement with respect to thenar atrophy within 6 months. Late results were as follows . 23 hands$(76.7\%)$ was graded as excellent, 6 hands$(20\%)$ graded as good and 1 hand$(3.3\%)$ graded as fair, and there was no poor result. Conclusion : We think that endoscopic carpal tunnel release with single portal technique is technically safe and simple, if the surgeon takes step to stay within the safety zone based on local anatomy and selects an appropriate patient and that endoscopic carpal tunnel release does have advantages over open release. We agree that the surgeon must be prepared to perform an open technique, if technical difficulties arise, difficulty in introducing the device into the carpal tunnel is encountered, or the transverse fibers of the transverse carpal ligaments are not clearly seen. 목적 : 전통적인 개방적 수근관 감압술 시행 후의 병적 상태와 합병증을 줄이고자 내시경적 수근관 감압술이 개발되어 시행되어지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단일 입구를 이용한 내시경적 수근관 감압술의 결과와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임상증상, 이학적 검사, 전기 진단학적 검사로 수근관 증후군으로 진단되고, 수근관절부에 전완부 종축에 대해 비스듬히 약 1cm 정도의 소절개를 가하여 단일입구를 만들고 수근관 감압술을 시행하였던 18명 30례에 대해 임상증상 및 이학적 소견과 전기 진단학적 검사소견의 결과를 분석하고 주관적 증상의 회복정도를 환자 스스로 평가하는 판정 기준을 이용하여 최종 추시시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추시기간의 범위는 술 후 6개월에서 13개월이었다. 결과 : 술 후 임상증상과 이학적 검사상 및 전기 진단적 검사에서 호전을 보였다. 최종 추시시 23례$(76.7\%)$에서 감각 이상증상이 완전히 해소되었고, 정상적인 일상활동 및 직장으로의 복귀는 27례$(90\%)$에서 6주 이내에 가능 하였고, 전례에서 8주 이내에 가능하였다. 악력은 6개월째에 29례 $(96.6\%)$에서 술전의 힘을 회복하였다. 무지구근의 위축을 보인 22례중에서 술 후 6개월 추시시 12례$(55\%)$에서 호전되는 소견을 보였다. Cseuz 및 Kelly의 판정 기준상 우수 23례 $(76.7\%)$, 양호 6례 $(20\%)$, 보통 1례$(3.3\%)$이었다. 결론 : 저자들은 단일 입구를 이용한 수근관 감압술은 술자가 적응증에 맞는 환자를 선별하여 손과 손목의 충분한 해부학적 지식을 가지고 안전 영역내에서 시행한다면 기술적으로 안전하고 간단한 수술방법이며, 개방적 방법에 비해 많은 장점이 있고 임상적으로 유용한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또한 기술적 문제점이 생기거나 기구를 수근관내로 삽입하기가 어렵거나 내시경 시야에서 횡수근 인대의 횡섬유가 분명히 보이지 않는 경우 등에서는 개방적 방법으로 전환할 준비가 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고령 환자의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의 결과

        천상진(Sang Jin Cheon),이동호(Dong Ho Lee),박용건(Yong Geon Park),손승민(Seung Min S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2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5 No.1

        목적: 65세 이상 고령의 회전근 개 전층파열 환자에 대해 일열 봉합술 또는 교량형 봉합술을 시행하고 최소 2년간 추시한 임상적 결과와 영상의학적 결과를 분석한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8월부터 2017년 8월 사이에 본원에서 회전근 개 전층파열로 진단하고 보존적 치료 시도에 불응하는 65세 이상 환자에 대해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을 시행하였다. 과도하지 않은 일정한 장력하에 견인하여 회전근 개 건이 족문 절반 이상을 덮으면 교량형 봉합술을, 절반 이상을 덮지 못하면 일열 봉합술을 시행하였다. 술 후 6개월째 시행한 추시 자기공명영상과 술 후 2년째 시행한 임상적 평가 지표(The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score, Constant Shoulder Score, visual analogue scale)를 참고하여 분석하였다. 환자의 술 전후 임상적 평가 지표, 술 후 구조적 연속성 분포 및 재파열 빈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대상 기준을 충족한 환자는 모두 158예로 일열 봉합술 93예, 교량형 봉합술 65예였다. 임상적 지표는 전례에서 술 후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구조적 연속성의 Sugaya 분류 분포는 1형 49예(31.0%), 2형 62예(39.2%), 3형 30예(19.0%), 4형 11예(7.0%), 5형 6예(3.8%)를 보였고 재파열률은 일열 봉합군에서 9.7% (93예 중 9예), 교량형 봉합군에서 12.3% (65예 중 8예)를 보였다. 결론: 65세 이상 고령 환자의 회전근 개 전층파열 환자에 대한 관절경적 봉합술 결과, 우수한 임상적 및 방사선적 결과를 얻었으며 일열 봉합술과 교량형 봉합술 모두 유용한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o examine the clinical and structural outcomes of an at least two-year follow-up of arthroscopic full-thickness rotator cuff repairs with a single-row or suture-bridge technique in patients more than 65 years of age.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diagnosed with a full-thickness rotator cuff tear who were more than 65 years of age, underwent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after at least six months of conservative treatment, agreed to take a follow-up 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six months postoperatively, and visited outpatient for at least two year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Clinical evaluations were done using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score, Constant Shoulder Score, and visual analogue scale evaluated two years after the surgery. The structural integrity was analyzed using follow-up MRI. During surgery, a suture-bridge technique was used if the rotator cuff tendon could cover half of the footprint under constant tension. Otherwise, single-row repair was performed. Results: The samples were 158 cases, consisting of 93 single-repairs and 65 suture-bridge repairs. A preoperative comparison of the age distribution, fatty degeneration of supraspinatus and infraspinatus muscle, medial retraction of torn cuff tendon, and tear size between the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 The clinical scores were improved significantly in all cases. The distribution of the structural integrity by Sugaya classification were 49 cases in type 1 (31.0%), 62 cases in type 2 (39.2%), 30 cases in type 3 (19.0%), 11 cases in type 4 (7.0%), and six cases in type 5 (3.8%). The re-tear rate of the single-row group was 9.7% (nine out of 93 cases) and 12.3% (eight out of 65 cases) for the suture-bridge group. Conclusion: Satisfactory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were achieved after arthroscopic full-thickness rotator cuff repair in patients more than 65 years of age. Both single-row and suture-bridge techniques would be beneficial for the elderly.

      • KCI등재

        Ehlers-Danlos Syndrome에서 무지의 수근 중수 관절 탈구

        천상진(Sang Jin Cheon),조재영(Jae Young Cho),강정한(Jeong Han Kang),김휘택(Hui Taek Kim),유총일(Chong Il Yoo)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7

        무지 수근 중수 관절의 단독 아탈구나 탈구는 드문 손상이며 대부분 외상에 의해 발생한다. 특히 Ehlers-Danlos syndrome에서 발생한 예에서의 수술 결과는 드물게 보고되었고, 수술적 치료에 관하여 저자들이 아는 한 Ehlers-Danlos syndrome 환자의 수부에서 자가 건을 이용한 관절낭 인대 재건술에 대한 보고는 없었다. 저자들은 Ehlers-Danlos syndrome 환자에서 서서히 진행되어 발생한 무지 수근 중수 관절 탈구에 대하여 요 수근 굴곡건의 원위 일부분을 이용하여 관절낭 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후 추시 관찰 중 수술 후 6개월에 아탈구 소견 및 집기동작시의 동통을 호소하여 무지 수근 중수 관절 고정술을 시행하였던 1예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A subluxation or dislocation of the carpometacarpal joint of the thumb is a rare injury, which usually occurs from trauma. There is a relative dearth of literature about the results of hand surgery for the treatment of Ehlers-Danlos syndrome.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re has been no report on capsular ligament reconstruction in the hand using an autogenous tendon graft for the treatment of Ehlers-Danlos syndrome. We describe a case of atraumatic dislocation of the carpometacarpal joint of the thumb that had gradually progressed in a patient with Ehlers-Danlos syndrome; and which was treated with capsular ligament reconstruction by use of a portion of the flexor carpi radialis tendon. Six months after surgery, a trapeziometacarpal arthrodesis was performed secondarily, because of subluxation and pain in the carpometacarpal joint of the thumb, with a pinching motion.

      • KCI등재

        소아의 양측 Galeazzi 골절의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한 양측 부정 유합과 원위 요척 관절 탈구

        천상진 ( Sang Jin Cheon ),강동준 ( Dong Joon Kang ),문남훈 ( Nam Hoon Moon ),차승한 ( Seung Han Cha ),조희명 ( He Myung Cho ) 대한골절학회 2009 대한골절학회지 Vol.22 No.4

        Galeazzi fractures in child is rare and seldom necessary of operative treatment because the result of conservative treatment is good. We present the patient who was a 11-year-old male and fell onto his both hands during a hundred-meter dash. His diagnosis was bilateral Galeazzi fractures and limited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Kirschner pins was initial treatment at local hospital. After 4 weeks postoperatively, Kirschner pins were removed and rehabilitating exercise was started. After 4 months postoperatively, he was transferred to our hospital due to malunion with severe angular deformities and distal radioulnar joint (DRUJ) dislocation. He was treated with corrective osteotomy. Thus, as in this case, we suggest more careful treatment and observation if conservative method of Galeazzi fracture in child is chosen and consider operative method as treatment according to age and pattern of fracture.

      • KCI등재

        변형된 Mac 교량형 봉합술

        천상진(Sang Jin Cheon),이효열(Hyo Yeol Lee),안성진(Sung Jin Ah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2 No.5

        목적: 저자들은 건의 상태가 불량한 회전근 개 파열 환자에서 재파열을 줄이기 위해 변형된 Mac 교량형 봉합술을 고안하였고 임상적 및 영상학적 치료 결과를 분석하여 새로운 봉합법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에서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을 시행한 환자들 중 수술 전 시행한 자기공명영상 검사와 수술 중 관절경 소견을 종합 평가한 결과 건의 상태가 불량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변형된 Mac 교량형 봉합술을 시행하였다. 이 중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환자 5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남자 25명, 여자 27명, 평균 연령은 60세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0개월이었다. 임상적 결과는 술 전 그리고 최종 추시 시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 (ASES) score,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UCLA) score, Constant shoulder score (CSS), visual analogue scale (VAS), 관절운동 범위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수술 후 평균 7개월째 자기공명영상 추적관찰을 시행한 42예에서는 Sugaya 분류를 이용하여 구조적 상태를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후 시행한 추적 자기공명영상상 치유 정도는 I형은 15명(35.7%), II형은 22명(52.4%), III형은 3명(7.1%), IV형은 2명(4.8%), V형은 없었다. I, II, III형으로 병변의 회복상태로 판단되는 환자는 40명으로 전체의 95.2%에 해당하였다. 재파열(IV, V형)은 2명(4.8%)에서 관찰되었다. 재파열 환자 2명 중 1명은 대파열, 1명은 광범위 파열 환자였다. 최종 추시 시 ASES score는 평균 56.75점에서 83.44점으로, UCLA score는 20.52점에서 29.23점으로, CSS는 64.04점에서 80.90점으로, VAS는 술 전 6.17점에서 술 후 1.62점으로 유의하게 호전되었다(p<0.001). 관절운동 범위는 전방거상 108°에서 158°, 외전 109°에서 160°, 외회전(외전) 27°에서 50°, 내회전(외전) 31°에서 57°로 유의한 회복을 보였다(p<0.001). 결론: 건의 상태가 불량한 회전근 개 파열에서 변형된 Mac 교량형 봉합술은 임상적 및 영상학적 회복 측면에서 기존에 알려진 봉합법들에 대한 유용한 대안이 될 수 있다. Purpose: Base on the concept of the Mac stitch, we designed the modified Mac-suture bridge technique to improve the outcome of arthroscopic repair of rotator cuff tear with poor tissue quality. Moreover, we evaluated both the radiological and clinical outcomes of the surgery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newly designed techniqu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14, a total of 52 patients (25 males, 27 females) with rotator cuff tear, with poor tissue quality according to both radiological and intraoperative findings, who underwent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using the modified Mac-suture bridge technique and followed-up for at least 1 year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mean patient age at the time of surgery was 60 years.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20 months. We evaluated the clinical outcomes by checking the range of motion and compared the following, both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 (ASES) score,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UCLA) score, Constant shoulder score (CSS), visual analogue scale (VAS). In addition, we analyzed 42 series of postoper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by using the Sugaya’s classification for the evaluation of the repair integrity. Results: All clinical score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SES score improved from 56.75 to 83.44, UCLA score from 20.52 to 29.23, CSS from 64.04 to 80.90, and VAS from 6.17 to 1.62; p<0.001). The range of motion was also improved; forward flexion improved from 108° to 158°, abduction from 109° to 160°, external rotation from 27° to 50°, and internal rotation from 31° to 57° (p<0.001). Satisfactory radiologic results were noted on postoper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consisting of 15 cases (35.7%) type I, 22 cases (52.4%) type II, 3 cases (7.1%) type III, 2 cases (4.8%) type IV, and no type V, according to the Sugaya’s method. Conclusion: The modified Mac-suture bridge technique provided satisfactory results both radiologically and clinically for the treatment of rotator cuff tear with poor tendon tissue quality. It could possibly be a good alternative to previous techniques of arthroscopic repair.

      • KCI등재

        전위된 상완골 근위부 이, 삼분 골절에서 세 가지 고정술 간의 비교

        천상진(Sang Jin Cheon),이지민(Ji Min Lee),이정섭(Jung Sub Lee),김휘택(Hui Taek Kim),서정탁(Jeung Tak Suh) 대한정형외과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6 No.5

        목적: 전위된 상완골 근위부 이, 삼분 골절에서 비관혈적 정복 및 경피적 핀 고정술(Ⅰ군), 이분굴곡날 금속판 및 강선 장력대 고정술(Ⅱ군), 잠김 압박 금속판 고정술(Ⅲ군)간의 치료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위돈 상완골 근위부 이, 삼분 골절로 수술적 치료를 받고 1년 이상 추시관찰이 가능하였던 Ⅰ군 16예, Ⅱ군 19예, Ⅲ군 1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학적 결과는 골유합 시기 및 Paavolainen의 방법으로 상완골 경간각을 평가하였고, 임상적 결과는 Neer의 기능적 평가법을 사용하였으며, 각 군을 다시 65세 이상과 65세 미만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결과: 골유합률 및 골유합기간, 상완골 경간각, Neer의 평가법 상 임상적 결과에서 Ⅱ, Ⅲ군이 Ⅰ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p<0.05). Ⅱ군과 Ⅲ군 사이에서는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65세 이상의 환자에서 65세 이하의 환자보다 임상적 결과가 불량하였으며(p=0.02), 65세 이상 환자에서는 Neer의 평가법 상 Ⅲ군(평균 87.5점)이 Ⅰ군(평균 77.2점), Ⅱ군(평균 79.3점)보다 우수한 임상적 결과를 보였으나 각 군의 증례 수가 적어 통계학적인 의미를 가지지 못하였다. 합병증은 Ⅱ, Ⅲ군에서 발병률이 유의하게 적었다.(p=0.005). 결론: 방사선학적 결과 및 임상적 결과에서 Ⅱ, Ⅲ군이 Ⅰ군에 비해 더 좋은 결과를 보였고 Ⅱ군과 Ⅲ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전위된 상완골 근위부 골절에 잠김 압박 금속판 고정술과 이분굴곡날 금속판 및 강선 장력대 고정술 모두 유용한 치료 방법으로 판단된다. Purpose: To analyze and compare the results of three different surgical methods-closed reduction and percutaneous pinning(Group Ⅰ), bifurcated plate and tension band wiring (Group Ⅱ), locking compression plate (Group Ⅲ), -for displaced two- and three-part proximal humeral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Sixte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a closed reduction and percutaneous pinning, 19 with bifurcated plate and tension band wiring and 18 with locking compression plate. All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1 year, and were reviewed and evaluated with respect to radiological and clinical results. The radiological results were evaluated by bony union and humerus neck shaft angle using the Paavolainen method.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by Neer’s evaluation criteria. Results: Bony union rate, time period to achieve bony union, neck shaft angle and clinical results in Groups Ⅱ and Ⅲ were better than those in Group Ⅰ (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Ⅱ and Ⅲ. We observed trends for worse clinical outcomes in patients older than 65 years compared with those in patients younger than 65 years. Clinical outcome for patients older than 65 yea rs in Group Ⅲ (average 87.5 points) was better than that for the same age group in Groups Ⅰ (average 77.2 points) and Ⅱ(average 79.3 points l, but the cohorts were too small to obtain statistical significance. Complication rate in Groups Ⅱ, Ⅲ was lower than that in Group Ⅰ (p=0.005). Conclusion: The radiological and clinical results in Groups Ⅱ and Ⅲ were significantly better than those in Group Ⅰ,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Ⅱ and Ⅲ. We thought that bifurcated plate and tension band wiring and lock ing compression plate were useful surgical methods for displaced two- and three-part proximal humeral fractures.

      • KCI등재

        제 4+5 신전 구획 동맥 유경 골이식술을 이용한 키엔벡병의 치료 : 초기 경험

        천상진(Sang Jin Cheon),임종민(Jong Min Lim),김휘택(Hui Taek Kim),서정탁(Jeung Tak Suh) 대한정형외과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5 No.4

        목적: 키엔벡 병에 대한 유정 골이식술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는 환자의 수근관절의 증상을 완화시키고 월상골의 붕과를 막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제 4+5 신전 구획 동맥 유경 골이식술을 시행한 초기 경험으로서 환자의 수근관절의 기능과 주관적인 만족도를 평가하여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농법: 키엔벡 병으로 제 4+5 신전 구획 동맥 유경 골이식술을 시행받은 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3명, 여자가 3명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37.5세(21-49세)였다. 병기는 Lichtman 분류를 이용하였으며, Lichtman 병기 Ⅱ가 3명, ⅢA가 3명이었다. Cooney 평가법을 이용하여 통증의 경중, 기능의 정도, 운동 범위 및 파악력의 변화에 대하여 평가하였으며, 환자의 주관적 만족도와 단순 방사선 사진상 capal height ratio의 변화 및 골유합 여부, 합병증 발생 유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추시 기간은 평균 2년 6개월이었다. 결과: Cooney 평가법상 4예에서 우수, 2예에서 양호의 결과를 보였다. 환자의 주관적 만족도는 우수가 3예, 양호가 3예를 보였다. 방사선 소견상 유경 골이식술을 시행받은 환자에서 만족할 만한 골유합 소견을 보였고 더 이상의 골 괴사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Carpal height ratio의 측정 상 수술 전후의 변화는 거의 없어 수근골의 붕괴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Lichtman 병기 ⅢA인 2예에서 수술 전 보였던 월상-유두관절의 경한 관절염 소견은 변화가 없음을 관찰할 수 있었고, 피부괴사나 감염 등의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키엔벡 환자에서 제 4+5 신전 구획 동맥 유경 골이식술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는 Lichtman 병기 Ⅱ와 ⅢA인 환자에서 통증 경감과 운동범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방사선 소견상 수근골간 관계를 유지할 수 있으며 합병증의 발생이 드물어 유용한 방법 중 하나로 사료된다. Purpose: Kienbock's disease can be treated with a vascularized bone graft to provide relief of wrist joint symptoms and prevent collapse of the lunate. We evaluated the functional outcome and subjective satisfaction in patients with Kienbock's disease treated with the 4+5 extensor compartmental vascularized bone graft. Materials and Methods: We included 6 patients in the study. 3 males and 3 females with an average age of 37.5 years (range 21-49). Kienbock's disease was staged by Lichtman classification based on plain radiography. Three patients were in stage Ⅱ and three in stage ⅢA. Cooney's wrist function score was used to evaluate changes in severity of pain. functional status, range of motion, and grip strength We also assessed subjective patient satisfaction, carpal height ratio and bone union on the radiographs, and the occurence of complication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30 months. Results: Four patients had excellent and two had good outcomes of wrist function. Three patients showed excellent subjective satisfaction, and three were good. All patients showed radiographic bone union and no further progression of lunate necrosis. The presurgical carpal height ratio was similar to the value at last follow-up, and there was no radiographic carpal bone collapse. For two cases of Lichtman stage ⅢA, the slight degenerative arthritis at the lunocapitate joint observed preoperatively did not change. Skin necrosis and pin track infection were not observed. Conclusion: The 4+5 extensor compartmental vascularized bone graft is a reliable procedure for Lichtman stage Ⅱ and ⅢA patients with Kienbock's disease, as it achieved not only pain relief and improvement of range of motion but also maintenance of the intercarpal bone relationship on radiographs, with relatively few complications

      • KCI등재

        내시경적 수근관 감압술 후 임상 증상과 신경 전기생리학적 검사 소견의 장기 추시 변화

        천상진(Sang Jin Cheon),문규필(Kyu Pill Moon),임종민(Jong Min L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6 No.6

        목적: 특발성 수근관 증후군으로 내시경적 수근관 감압술을 시행받은 환자군에서 수술 전과 수술 장기 후의 임성 및 신경 전기생리학적 검사 소견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단일 입구를 이용한 내시경적 수근관 감압술을 시행한 48명의 특발성 수근관 증후군 환자, 88예 손목에서 수술 전과 수술 평균 3년 5개월의 장기 추시 후에 Boston 수근관 설문지를 이용하여 임상 증상 및 기능을 평가하고 Bland 평가법을 이용하여 신경 전기생리학적 검사소견을 평가하여 그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전 Bland 등급이 2, 3, 4, 5, 6인 경우 장기 추시시 변화된 정도는 임상 증상이 각각 1.38, 1.68, 2.40, 1.61, 1.28이었으며, 기능이 각각 0.60. 1.34. 1.58. 0.93, 0.88이었다. 장기 추시시 임상 증상은 수술 전 Bland 등급이 2, 3, 4, 5일 때 의미있게 호전되었고, 기능은 모든 Bland 등급에서 의미있는 호전을 보였다. 장기 추시 신경 전기생리학적 검사상 운동신경의 원위부 잠시와 감각신경의 전도속도 및 진폭이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호전을 보였다. 수술 전 Bland 등급이 2, 3, 4, 5, 6일 때 호전되는 등급의 정도는 장기 추시시에 각각 0.60, 0.75, 2.17, 2.87, 4.25로 나타나 3, 4, 5, 6등급에서 의미있는 호전을 보였다. 최종 추시시 Bland 등급과 입상 상태와는 의미있는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 내시경적 수근관 감압술 후 장기 추시 결과 임상적 상태 및 신경 전기생리학적 상태가 유의하게 호전되었다. 수술 전 Bland 3, 4, 5등급에서 장기 추시시 임상 증상과 기능, 신경 전기 생리학적 검사 모두에서 의미있는 호전을 보였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linical symptoms and function and the nerve electrophysiological changes between the pre-operative and long-term post-operative states of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with endoscopic release of the carpal tunnel for idiopathic carpal tunnel syndrome.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in 48 patients and 88 wrists with idiopathic carpal tunnel syndrome All patients were treated with endoscopic carpal tunnel release using a single portal. The preoperative and the 3 years 5 months long-term postoperative clinical symptoms and function were evaluated using the Boston carpal tunnel questionnaire. The nerve electrophysiological status was evaluated using the Bland grade system. Results: When the preoperative Bland grade was 2, 3, 4, 5, and 6, the range of the change of the symptom severity score was 1.38, 1.68, 2.40, 1.61 and 1.28, respectively, and the range of the change of the functional status score was 0.60, 1.34, 1.58, 0.93 and 088, respectively, at the long-term follow-up The clinical symptom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t the final follow-up when the preoperative Bland grade was 2, 3, 4 and 5 The funct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for all the preoperative Bland grades On the nerve electrophysiological study, there was statistical improvement of the distal motor latency of the motor nerve and the nerve conduction velocity and amplitude of the sensory nerve. When the preoperative Bland grade was 2, 3, 4, 5 and 6, the extent of improved grade was 0.60, 0.75, 2.17, 2.87 and 4.25, respectively, at the long-term follow-up, and the Bland grade was significantly improved when the preoperative Bland grade was 3, 4, 5 and 6.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Bland grade and the clinical state at the long-term follow-up. Conclusion: The clinical and nerve electrophysiological stat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t the long-term follow-up after endoscopic carpal tunnel release. When the preoperative Bland grade was 3, 4 and 5, the clinical symptoms, function and the nerve electrophysiological stat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t the long-term follow-up.

      • KCI등재

        주관절 일차성 골관절염 환자에서 관절경적 전방 구획 변연 절제술 및 후방 구획 최소 절개 절제술과 관절경적 전 · 후방 구획 변연 절제술의 임상적 결과의 비교

        천상진(Sang Jin Cheon),문규필(Kyu Pill Moon),서한얼(Han Eol Seo),강준호(Jun Ho K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2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7 No.1

        목적: 중등도 이하의 주관절 일차성 골관절염 환자의 수술적 치료 방법 중 관절경적 전방 구획 변연 절제술 및 후방 구획 최소 절개 절제술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관절경적 전 · 후방 변연 절제술과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주관절 골관절염으로 진단되어 관절경적 전방 구획 변연 절제술과 후방 구획 최소 절개 절제술 또는 관절경적 전 · 후방 변연 절제술을 시행 받은 46명 중 27명을 최종 대상으로 선정하여 관절경적 전방 구획 변연 절제술과 후방 구획 최소 절개 절제술을 받은 16명의 환자를 1군, 관절경적 전 · 후방 변연 절제술을 시행한 11명을 2군으로 구분하여 의무기록 조사를 통해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수술 전과 수술 후 최종 추시에서의 주관절 굴곡 및 신전관절 운동 범위(range of motion, ROM), 시각통증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 메이요 팔꿈치 성능 점수(Mayo Elbow Performance Score, MEPS)를 이용하여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추시 기간은 21개월(15-32개월)이었으며, 임상적 지표인 ROM, VAS, MEPS는 1, 2군 모두 수술 후 유의하게 향상되었고(p<0.05), 두 군의 비교에서는 굴곡(p-value=0.001) 및 전체 ROM (p-value=0.011)가 1군에서 좀 더 유의한 증가폭을 보였으며 신전, VAS, MEPS는 유의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결론: 주관절 일차성 골관절염 환자에서 시행한 관절경적 전방 구획 변연 절제술 및 후방 구획 최소 절개 절제술은 수술 후 임상적 결과가 우수하였으며, 특히 굴곡 및 전체 ROM 향상에 도움이 되는 유용한 술식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arthroscopic anterior compartment debridement with posterior mini-open debridement in patients with mild or moderate primary elbow osteoarthritis (OA). The clinical results of arthroscopic anterior compartment debridement with posterior mini-open debridement were compared with that of arthroscopic both compartments debridement.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10 and December 2016, 46 patients diagnosed with elbow OA underwent arthroscopic anterior compartment debridement with posterior mini-open debridement or arthroscopic anterior and posterior compartments debridement arthroscopic surgery. Of these, 27 patients were finally includ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retrospectively from the medical record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surgical procedure: group 1 (n=16) received arthroscopic anterior compartment debridement with posterior mini-open debridement surgery, and group 2 (n=11) received arthroscopic anterior and posterior compartments debridement surgery. The elbow flexion-extension range of motion (ROM), visual analog scale (VAS),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MEPS) were analyzed for the clinical outcome before surgery and the last follow-up visit after surgery. Results: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21 months (15-32 months). All clinical outcomes (ROM, VAS, and MEPS) were improved after surgery compared to those before surgery (p<0.05) in both groups. Group 1 showed further improvement in flexion (p=0.001) and total ROM (p=0.011) than group 2.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xtension, VAS, and MEP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In patients with primary elbow OA, arthroscopic anterior compartment debridement with posterior compartment mini-open technique produced an excellent clinical outcome after surgery and was particularly helpful in increasing flexion and the total R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