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정보기술 사회의 윤리 -가상공간을 통한 정보기술 사회의 윤리적 조건

        천명주 ( Myung Ju Chu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5 윤리교육연구 Vol.0 No.8

        이 글은 가상공간을 통한 정보기술 사회가 도덕적으로 선한 것인지 아니면 악한 것인지 그것도 아니면 도덕과 무관한 것인지에 대한 고찰로 시작된다. 셀리 터클과 해체주의자들은 사이버 공간을 하나의 새로운 공간으로 인식하면서 컴퓨터 시대를 예찬하였다. 그러나 엠마누엘 레비나스의 관점에서 보면 얼굴과 얼굴의 만남이 윤리를 탄생시키기에 사이버 공간은 도덕적 악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논자는 가상공간에서의 인터페이스가 현현의 빛으로서 윤리를 연결해 준다면 새로운 윤리적 매체는 도덕적 악이 되지 않을 수 있는 경우도 설명할 것이다. 이를 위해 정보기술이 단지 세련된 도구인지 아니면 인간존재를 위협하는 도구 그 이상인지를 리차드 코웬, 마르틴 하이데거, 엠마누엘 레비나스를 통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결국 본 논문이 주장하는 것은 정보기술의 문제는 과학의 문제가 아니라 윤리의 문제임을 말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새롭고 온전한 정보기술 사회는 도덕 행위자를 전제하는 것이다. 이는 곧 레비나스의 윤리학적 입장을 받아들여 도덕 행위자가 되기 위한 윤리적 필요조건으로 다른 사람에 대한 책임과 고통에 대한 공감을 말하고자 한다. 정리하자면, 가상공간을 통한 정보기술 사회의 윤리적 조건은 첫째, 다른 사람에 대한 책임이며 이 책임은 ``다른 사람을 위해 죽을 수 있다``는 대속의 관점까지 확장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책임은 모든 창조물, 유기체, 비유기체까지 퍼져나가야 할 것이다. 둘째, 고통에 대한 공감이다. 타자의 고통에 대한 민감성을 바탕으로 공감능력을 키우는 것이야 말로 정보기술 사회의 윤리적 조건이 되는 것이다. The very beginning of this text starts with consideration of possibility for Information-technology society in cyberspace would be good or bad or even has nothing to do with morality. Sherry Turkle and deconstructers admired the age of computer with contemplation of cyberspace as a new space. From the Emmanuel levinas` point of view, cyberspace comes to the vice since meeting of faces generates ethics. Therefore I, the debater insist on that there`s a possibility the new ethical medium can avoid to be vice in the point morality in the case interface connect ethic with light. For this study, text has an attempt to study whether the Information Technology is only a polished tool or more than a tool which is even menace human being by Heidegger, Levinas. In the last analysis, this thesis tells Information Technology is not a subject for science, but ethics. Precisely, influx for a whole new age of cyberspace can be possible by presupposition of ethical transactor. Here comes a tryout that sympathy for responsibility for others comes to redemption on behalf of another i.e. possibility for the other people. The kinds of responsibility covers every creature, organism, non-organism. Secondary, sympathy for pain. To cultivate ability for sympathy under based on sensitivity for the other`s pain is moral proviso of IT society.

      • KCI등재

        한나 아렌트의 고독(solitude) 속의 도덕적ㆍ치유적ㆍ정치적 기능에 대한 연구

        천명주(Chun, Myung-Ju)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8

        오늘날 우리는 고독이 더욱 요구되면서도 고독의 기회를 상실해 가는 역설적 시대를 살고 있다. 고독의 상실은 인간성과 도덕성의 상실, 그리고 정신건강의 위기로 연결된다. 그럼에도 우리사회의 정신건강담론은 고독의 의미와 기능을 온전히 이해하지 못하고, 고독의 부정적 의미에 집중하거나 고독을 병리학적인 현상이라는 잘못된 인식을 하고 있다. 이에 고독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올바른 인식의 전환이 요청되며, 정신건강의 고양을 위해 고독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와 그것을 적용할 인문학적 토대를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는 한나 아렌트의 입장에서 본 정신건강의 의미를 토대로 하여 아렌트의 고독의 의미를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고독의 도덕적, 치유적, 정치적기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아렌트의 정신건강론이 인문치료와 어떻게 접목 가능한지를 논의하고, 나아가 아렌트의 인문치료가 지니고 있는 도덕교육적 함의를 논의한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아렌트의 고독개념과 다양한 기능을 토대로 하여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고양하기 위한 인문치료의 방향성과 구체적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Today we live in a paradoxical period when there are increasing demands for solitude on one hand, but decreasing chances of solitude on the other hand. The loss of solitude leads to that of humanity and morality and further to the crisis of mental health. Nevertheless, however, our social discourses on mental health are focusing on negative implications of solitude or making it wrongly recognized as a pathological phenomenon, rather reaching a full understanding of the proper meaning and function of solitude. Now it is time to recognize the very meaning and value of solitude in a right way. In addition,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solitude and setting a humanist base on which that understanding is applied are needed to raise mental heal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d the moral, therapeutic and political functions of solitude in organized manners by investigating Hannah Arendt"s meaning of mental health and thereon her meaning of solitude. In association, the study discusses how Arendt"s theory of mental health can be combined with humanities therapy and then stipulates on implications that the philosopher"s humanities therapy may have in relation to moral education. Thus, this study ultimately seeks to propose th direction and methods of humanities therapy that can help improve young people"s mental health on the basis of the concept and functions of solitude that were suggested by Hannah Arendt.

      • KCI등재

        《교과내용학》 : 한나 아렌트의 공적 행복과 도덕교육적 함의

        천명주 ( Myung Ju Chu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4 윤리교육연구 Vol.0 No.34

        오늘날 현대인들은 공적 영역에서 정치적 행위를 통해서 경험하는 공적 행복의 정치적, 윤리적 의미를 충분히 알지 못한다· 이에 본 연구는 행복개념에서 소홀히 취급되었던 공적 행복의 개념과 그 실천적 가치를 한나 아렌트의 공적 행복 개념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아렌트는 『혁명론』의제3장 행복 추구 에서 미국혁명을 통해 공적 행복의 개념과 정치윤리적 가치를 설명해 놓았다· 아렌트에게 있어 행복은 사적 행복과 공적 행복으로 나누어지며, 인간다운 삶의 행복은 공적 행복이다· 공적 행복은 공적 영역에서 정치적 행위를 통해서 얻게 되는 감정이다· 그런데 아렌트의 공적 행복 개념은 도덕성을 담보한 행복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그 첫 번째 근거는 공적 행복의 형태로 존재하는 판단(judgment) 개념속의 상상력(imagination)이 도덕성을 담보하게 하는 도덕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점이다· 두 번째의 근거는 공적 행복이 도덕성을 갖춘 시민들만이 경험할 수 있는 행복을 의미한다는 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아렌트의 공적 행복의 개념을 도덕성을 함축한 공적 행복의 개념으로 재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 개념이 도덕교육적 함의를 가짐을 토대로 하여 도덕교육의 새로운 목표를 정립하고, 도덕교육에서 공적 행복의 위상과 윤리적 실천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을 궁극목적으로 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at concept and its practical value with reference to Hannah Arendt`s concept of public happiness. In the 3rd chapter of On Revolution, which is titled Pursuit of Happiness, Arendt takes the American Revolution as an example of explaining the concept and political and ethical values of public happiness. As far as Arendt is concerned, happiness has two types, or private happiness and public happiness. She suggests that the happiness of human life lies in public happiness. Public happiness is a feeling from political actions in the public realm. However, what is inherent in Arendt`s concept of public happiness is morality. This is attributed to her claims that judgement is a form of public happiness and that a prerequisite for public happiness is judgement. According to Arendt, judgement is not only political, but also ethical. This study primarily seeks to reconstruct Arendt`s concept of public happiness into the concept of public happiness based on morality. With the implications of the reconstructed concept for moral education, then, the study ultimately aims to set the new goals of moral education and find how to firmly position and ethically practice public happiness in the public realm.

      • KCI등재후보

        `자율성 중심의 성윤리`에서 `관계성에 입각한 행위자 중심의 성윤리`로: 성윤리 교육에의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천명주 ( Chun Myung Ju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6

        본 논문은 현대의 다원주의 사회에서 청소년들이 날로 다양해지는 섹슈얼리티(Sexuality)의 출현에 대해 어떤 도덕적 관점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 지에 대해 논의해 본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은 우선적으로 자율성중심의 자유주의 성윤리를 살펴본다. 자율성중심의 성윤리는 성적 자기결정권을 소중하게 생각하는 오늘날의 현실에 적합한 성도덕이다. 그런데, 자율성중심의 성윤리는 그 적용대상이 성인이라는 점에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성윤리교육에 적합하지 않다. 하지만 자율성중심의 성윤리의 강점, 즉 자발적 동의가 지니는 도덕적 함의가 크다. 이에 본 논문은 자율성중심의 성윤리의 도덕적 가치를 충분히 살리기 위해서 관계의 윤리인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를 토대로 하여 새로운 성윤리를 모색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에 토대를 둔 `관계성에 입각한 행위자중심의 성윤리`는 성적 활동에 참여하는 행위자들이 그 특수한 관계성에 입각하여 어떻게 하면 자신의 성적 욕망과 자율성, 그리고 타인의 성적 욕망과 자율성을 존중하면서 성적 즐거움을 추구할 수 있는지를 덕 윤리의 관점에서 말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관계성에 입각한 행위자중심의 성윤리`가 성윤리교육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본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관계성에 입각한 행위자중심의 성윤리`는 자율성중심의 성윤리가 지니는 한계점을 극복하며, 성의 이해와 성윤리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성윤리교육에 도덕교육적 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moral perspectives from adolescent should approach increasingly diverse types of sexuality in this modern society that is characterized by pluralism. For this purpose, the study first examined autonomy-oriented sexual ethics that is liberalistic. The sexual ethics of that kind is sexual morals that comply with the current times when sexual self-determination is considered important. But it is not appropriate for the sexual ethics education of adolescents because it is just applicable to adults. Nevertheless, the very strong point of autonomy-oriented sexual ethics, that is, informed consent has lots of moral implications. In order to validate the moral value of autonomy-oriented sexual ethics enough, this study tried to provide another sexual ethics based on a part of relationship ethics, that is, Aristotle`s ethics of virtue. Thus, this study applied Aristotle`s ethics of virtue to sexual ethics, and set up so-called relationship-based actor-centered sexual ethics that provide participants of sexual activ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virtue ethics how they can pursue sexual pleasure while respecting the sexual desires and autonomy of their and others` own. Finally, the study examined whether it`s possible to apply such actor-centered sexual ethics in educating adolescents about sexual ethics. The relationship-based actor-centered sexual ethics offered by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valuable as part of moral education in sexual ethics education for young people because it allows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autonomy-oriented sexual ethics and making better understood both sex and sexual ethics.

      • KCI등재

        세계화 시대의 다문화 윤리: 아렌트의 ‘타자의 권리’ 개념을 중심으로

        천명주 ( Chun Myung Ju ) (사)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1

        21세기는 세계화 시대, 다문화사회이다. 다문화사회로의 전환은 기존의 도덕적 규범이나 가치에 여러 혼란을 야기하며, 새로운 윤리적 고민을 우리에게 던져준다. 이런 윤리적 고민으로 등장한 이론이 다문화 윤리이다. 세계화 시대의 다문화 윤리는 아직 연구가 미진한 상태이다. 이에 본 논문은 정치사상가인 아렌트의 ‘타자의 권리’ 개념을 토대로 하여 다문화 윤리를 모색한다. 아렌트의 ‘타자의 권리’ 개념은 ‘권리를 가질 권리’로, 정치적이고 윤리적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타자의 권리’ 개념은 다문화 윤리의 윤리학적 자원이 된다. 끝으로 본 논문은 아렌트의 다문화 윤리가 세계화 시대, 다문화사회에서 살아가고 있는 수많은 약자들인 타자들에게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논의하며, 이런 논의가 윤리학적으로 정당한지를 살펴본다. 본 논문은 아렌트의 다문화 윤리가 세계화 시대의 보편적 인권을 실현할 수 있는 다문화 윤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21st century is an era of globalization and multiculturalism. The shift to a multicultural society causes many confusions in conventional moral norms or values, and it brings us new ethical concerns. The theory which appeared in such ethical concerns is ‘multicultural ethics’, which relatively does not have many research outcomes. This paper is based on the concept of ‘rights of others’ by a political theorist Hannah Arendt, and it is dealing with the topic, ‘multicultural ethics.’ Arendt’s concept of ‘rights of others’ is ‘the right to have rights’, which has a political and ethical meaning. Therefore, the concept of ‘right of others’ is a significant ethical resource for multicultural ethics. We will see how Arendt's ‘multicultural ethics’ works on a number of socially vulnerable who are living in the globalized world and we will take a look at whether these discussions are ethically justifiable or not. Arendt’s ‘multicultural ethics’ is expected to be the general multicultural ethics that can realize universal human right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 KCI등재
      • KCI등재

        성매매 청소년의 ‘마음의 병’에 대한 영상서사치료 연구

        천명주(Chun, Myung-Ju)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과학연구 Vol.0 No.31

        청소년기의 다양한 경험은 개인의 지적, 정서적, 행동적 영역을 비롯한 전반적인 발달의 기폭제이자 건강한 성인으로 성장하는데 큰 영향을 끼친다. 그러나 인터넷의 발달과 경제위기와 맞물러 청소년의 성매매가 급증하고 있다. 성매매의 경험은 청소년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의 위기를 초래한다. 이에 신체의 병뿐만 아니라 마음의 병, 즉 우울증, 자아 존중감 상실, 불안, 폭력적인 행동에 대한 정신건강의 돌봄이 요청된다. 마음의 병 안에서 발생하는 고통은 청소년의 신체의 병을 야기하며, 올바른 삶의 선택을 방해한다. 이런 맥락에서 근본적인 성매매 근절을 막을 수 있는 법적·복지적 방안에 대한 다양한 접근이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가장 근본적인 접근은 성매매 청소년을 윤리적 돌봄의 대상으로 인식해야 하고, 마음의 병을 치료할 수 있는 윤리적 돌봄의 방식으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윤리적 접근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마음치료의 한 분야에서 시도되고 있는 영화치료 중에 하나인 ‘영상서사치료’의 학문적 타당성과 실효성을 밝혀내어 성매매 청소년의 ‘마음의 병’을 치료하기 위한 윤리적 돌봄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다. 말하자면 인간 삶의 서사(narrative)가 마음의 병과 그 치료에 대한 이해의 핵심이라는 토대를 바탕으로 하여 서사치료의 다양한 가치를 밝혀내어, 그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분야 중에서 영화치료분야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 개발한 영상서사치료는 영상서사가 마음의 병으로 고통받는 이들의 긍정적이지 못한 ‘자기서사’를 개정하고 보충하도록 도와주어 건강한 자기서사의 회복을 도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논의한다. 또한 본 논문은 논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포스트모던적 서사치료의 방향으로 정했으며 각 단계별 영상서사치료의 단계도 설정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검토된 영상서사치료는 영화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활용하는데 있어서 이론적 근거와 학문적 타당성을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한나 아렌트의 ``사유하는 시민``과 도덕교육적 방법

        천명주 ( Myung Ju Chu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2 윤리교육연구 Vol.0 No.28

        본 연구는 "한나 아렌트의 ``사유하는 시민``을 도덕교육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 가"를 모색하는 연구이다. 말하자면, 아렌트의 ``사유(thinking)``개념 속에는 도덕적 의미가 포함되어 있음을 토대로하여 도덕교육의 새로운 목표정립과 도덕교육적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아렌트의 사유는 도덕적 사유로, 인간이 사악한 짓을 하지 못하게 하는 관념이고,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도덕적 능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유하는 시민``은 정치공동체 속에서 악행을 행하지 않고, 타인의 입장에서 생각할 수 있으며, 그리고 자신의 행위에 대해 책임지는 도덕적 존재이다. 본 연구는 아렌트의 ``사유하는 시민``이 도덕교육에서 요청되는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의 조화, 도덕성과 시민성의 조화를 통한 광범위하고 통합적인 도덕성을 갖춘 시민을 의미한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는 도덕교육의 목표를 아렌트의 ``사유하는 시민``으로 정립하며, ``사유하는 시민``을 함양하기 위한 방법으로 아렌트의 정치윤리를 활용한 도덕교육적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아렌트적인 도덕교육적 방법은 학교를 ``행복의 도덕공동체``로 만드는 방안과 ``이야기하기``를 활용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how to apply ``the thinking citizen``, suggested by Hannah Arendt, to moral education". In other words, the study is going to set up the new goals and methods of moral education on the basis of Arendt`s ``thinking`` that she suggested imply moral thinking, Being moral, the female philosopher`s thinking is not only an idea that prohibit man from doing evil deeds, but also a moral ability to do right judgment, Thus, ``the thinking citizen`` becomes a moral beings who does no evil deed in the political community, can think from others` view and take ultimate responsibility for what he did. This study assumes that Arendt`s ``the thinking citizen`` means a citizen of comprehensive and integrative morality who meets requests by moral education like harmony between individualism and communitarianism and between morality and citizenship. Thus, the study sees ``the thinking citizen`` as the ultimate goal of moral education and proposes to take Arendt`s approach to moral education as the way to achieve that goal. Making school as the moral community of happiness and utilizing ``storytelling`` may comply with that approach.

      • KCI등재

        영상이미지와 사이버스페이스의 존재론 : 살아남는 존재'에서 '살아가는 실존'으로

        천명주(Chun Myung-Ju) 새한철학회 2008 哲學論叢 Vol.4 No.54

        본 논문은 하이데거식 피투된 영상이미지와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존재가 그저 살아남는 존재로 머물 것인가? 혹은 주체적인 기투성을 가진 살아가는 실존으로 버틸 것인가? 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영상이미지로 가득 찬 사이버스페이스의 세계는 지금껏 우리가 살아온 세계와는 전혀 '다른' 세계, 즉 시·공간의 특성을 지닌 세계이다. 문제는 사이버스페이스의 세계에서 우리는 '살아가는 실존'이 아니라 '살아남는 존재'로 전락할 운명에 놓여 있다는 점이다. 특히 레비나스적 반영을 통해 살펴보면, 사이버스페이스의 세계는 상대방의 얼굴을 볼 수 없는 상황, 즉 비대면성으로 인해 윤리성의 타락에 직면했다. 그러나 우리는 현실의 세계뿐만 아니라 사이버스페이스의 세계에서도 살아가는 하는 것이 자명한 사실이다. 이에 본 논문은 영상이미지로 가득 찬 사이버스페이스의 존재론을 하이데거의 기초존재론을 바탕으로 창의적으로 적용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하이데거의 실존적 명제들은 사이버스페이스의 존재들이 단순히 '살아남는 존재'가 아니라 '살아가는 실존'이 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인간이해를 대한 물음과 그 물음에 해답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인공적 도덕 행위자에 관한 도덕철학·심리학적 성찰

        최용성 ( Choi Yong-seong ),천명주 ( Chun Myung-ju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7 윤리교육연구 Vol.0 No.46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적 도덕 행위자의 개발에 있어서 도덕철학적·도덕심리학적 성찰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덕적 인공지능의 개발이 제기하는 도덕성 문제가 무엇인지를 밝혀냄과 동시에 도덕적 인공지능의 개발과정에서 제기되는 여러 문제들을 성찰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우선 전통적인 공리주의나 의무론적 윤리이론에 기반을 둔 하향식 접근, 발달적·발전적·진화적 접근을 추구하는 상향식 접근, 그리고 이 두 접근을 융합하려는 혼합식 접근을 살펴보았다. 또한 도덕적 정서를 고려하는 접근이 보완적으로 왜 필요한지를 살피고자 하였다. 특별히 최근의 신경과학이나 도덕심리학적 입장은 이성과 사고하는 능력 중심의 기존 관점에서 벗어나 감정이나 직관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하는 경향성을 가지기에 이성과 직관·정서의 상호보완적 접근을 추구하는 AMA의 도덕성 구축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여러 접근에서 모두 한계점과 문제점을 가지고 있지만 이것을 도덕철학적으로 또 도덕심리학·신경과학·신경윤리학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반성적 성찰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The moral decision-making abilities in AI is necessary. Robots with the ability to make moral judgments on its own is called AMA. In this paper I research that in certain circumstances AMA can be seen as real moral agents. For this, I will suggest four approaches when it comes to establishing an ethics for the AMA. First, the top-down approach makes use of the traditional ethical theories such as utilitarian or deontological theories. The role of the ethical theory in this approach is to provide the AMA with rules to follow in morally complex situations. Second, the bottom-up approach follows the central ideas proposed by developing various machine-learning methods for the AMA to learn ethical reasoning without giving it any available rules at hand. The basic idea for this approach is to regard the AMA as a human child who has the potential of obtaining moral reasoning as the child grows up according to proper developmental stages of morality. Third, the hybrid approach is an attempt to unite the top-down and the bottom-up approaches. Fourth, I argue that emotions, intuitions, and feelings are very important for AMA to be truly ethical. From a neuroscientific perspective and moral psychology, moral emotions have a scientific basis worthy of consideration. After all, I wish to provide some direction for AMA by outlining the value and limitations inherent in each of these approac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