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국어활동 교과서의 실천학습에 대한 고찰

        천경록 ( Gyeong Rok Cheon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5 청람어문교육 Vol.56 No.-

        이 연구에서는 초등 국어 교과서로 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에 처음 도입된 국어활동 교과서에 나타난 실천학습의 개념적 기반과 특성을 규명하고, 그러한 특성이 실천학습에 어느 정도 구현되었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실천학습’은 이해학습과 적용학습 중심으로 구성되어 왔던 그간의 초등 국어 교과서에서 새롭게 사용된 학습 개념이다. 이 연구에서는 비판적 문식성의 실천 개념, 액션러닝, 신교육목표분류학 등의 담론에서 실천 학습의 개념적 기반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천학습의 구현 정도를 진단하기 위해 초등학교 5학년 2학기 교과서를 표본으로 하여 11개 단원에 나타난 실천학습을 5점 척도의 리커르트 척도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수행성, 실제성, 통합성, 장기성 등과 같은 측면은 잘 구현되어 있었으나 비판성 부분에서는 개선할 점이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tion learning activity of Korean language art textbooks(ALKLT) which are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in 2009 National Curriculum. The theoretic grounds of it were critical literacy, action learning, and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fter B. S. Bloom. This paper suggests the performance, authenticity, integration, criticism and long-terms as the natures of ALKLT tasks. ‘Language activity in life’ in the 5th grade 2nd semester textbooks were used to evaluate the realization of ALKLT. Survey instrument of 5 scale Likert was used. As a results, action learning activities are well developed and represented in Korean language art textbooks generally. But the realization of criticism is lowly represented relatively.

      • KCI등재

        개별 논문 : 성취도 평가의 읽기 문항틀에 대한 고찰

        천경록 ( Gyeong Rok Cheon ) 한국독서학회 2008 독서연구 Vol.0 No.20

        이 연구에서는 읽기 평가의 문항틀을 발전시키기 위해 국어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사용되는 읽기 문항틀과 미국 연방 정부의 교육부가 주관하는 NAEP의 읽기 문항틀을 비교 분석하였다. 문항틀에 관한 연구는 이원분류표 작성과 관련된 연구 주제이다. 성취도 평가에서는 읽기 문항틀을 글의 종류와 읽기 수준을 토대로 이원적 문항틀을 사용하고 있었고, NAEP에서는 읽기 맥락과 읽기 관점을 토대로 이원적 문항틀을 사용하고 있었다. 성취도 평가의 읽기 문항틀은 부룸의 목표 분류와 바렛의 읽기 목표분류에 근거를 두고 있었다. 이는 읽기 목적, 읽기 과제, 읽기 맥락, 글과 독자 연결하기, 독자 반응 이론 등과 같은 최근에 읽기 연구의 이론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 못하였다. 그리고 읽기 기능을 요소적, 분절적, 단속적으로 인식하여 평가에 반영하고 있었다. NAEP의 문항틀은 이러한 점을 개선하고 있었다. 2007년에 개정된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를 반영하기 위해서도 성취도 평가의 읽기 문항틀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문항 유형과 관련하여 성취도 평가에서 수행형 문항의 양호도가 선택 형보다 좋았다. 수행형 문항의 비중을 늘려 나가고, 단문형 문항뿐만 아니라 구성형 문항도 점진적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d the reading framework of national level achievement assessment by comparing the Korean subjects` reading framework with the U.S.`s NAEP(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Progress). Framework is a kind of ``table of test item specification’. Korean framework is consist of ‘text type’ and ‘reading level’ but NAEP`s reading framework is consist of ‘contexts for reading’ and ‘aspects of reading’. Korean framework is based Bloom and Barrett`s taxonomy, which is not reflected the recent reading research such as, context, reader response, reader purpose, reading task, connecting reader and text. And specific reading skills were tested partially, disintegrated, discontinuously. It is not authentic. In Korea, it is needed to introduce the strong point of NAEP framework. In relation with item type, performance item should be more increased, and constructive item should be developed also in Korean reading achievement assessment.

      • KCI등재

        국어과 ‘핵심개념’의 의미 탐색

        천경록 ( Cheon Gyeong-rok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7 청람어문교육 Vol.0 No.63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새롭게 도입된 ‘핵심개념’의 의미 명료화를 시도하였다. 핵심개념은 2015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서 교과주의 전통을 개선하기 위해 교육학 총론 연구자들이 요구하였고, 각 교과에서 수용한 개념이다. 그러나 단기간에 하향적, 획일적으로 도입되었기 때문에 각 교과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했고 개념의 모호성을 남겨서 도입 취지에 부응하고 있지 못하고 있었다. 이를 해소하고자 국어과 핵심개념을 ‘국어과 내용을 통합적, 생성적, 영속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개념, 원리, 기능, 태도’로 정의하였다. 핵심개념의 이론적 연원은 역방향 설계에서 사용된 빅 아이디어이다. 2015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에 제시된 핵심개념은 수가 지나치게 많고, 영역 내에서 제시되었기 때문에 진정한 ‘국어과’ 핵심개념으로서 역할을 수행하기가 어렵게 되어 있었다. 핵심개념은 국가수준 교육과정과 개별 수업 수준 등과 같이 사용 맥락의 수준에 따라서도 구별하여 이해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clarified the meaning of the ‘Core concept’ introduced in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arts(2015 KLA) curriculum. The general curriculum theorists requested the core concept to improve the subject curriculum, and each discipline researcher accepted it. However, there were no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It lacked the ambiguity of the concept. So, this paper defined it as ‘the concepts, principles, skills, and attitudes to understand Korean language contents integrated, generated, enduring. Its theoretical origin was a Big idea used in backward design. The core concepts presented in the 2015 KLA curriculum were too numerous, and were not subject core concepts but the area core concepts because they were presented in the area. Also, the core concepts needs to be identified and understood according to the level of contexts, such as national level curriculum and individual classes.

      • KCI등재

        초등교사의 국어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인식 조사

        천경록 ( Cheon¸ Gyeong-rok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20 청람어문교육 Vol.0 No.76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교육을 개선하기 위해 초등교사의 국어교육 역량 발달의 실태와 개선 요구를 조사하였다. 280명의 초등교사가 참여하였다. 초등교사의 교사 발달 단계는 준비기(잠재기, 양성기), 실현기(수습기, 심화기), 정리기(관리 및 전수기)로 설정하였다. 초등교사들은 자신들의 국어교육 역량을 다른 교과 교육 역량에 비해 높게 평가하고 있었고, 이렇게 형성된 국어교육 역량은 주로 동료 교사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형성하였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전통적으로 초등교사 역량 형성에 담당해 왔던 교육대학의 예비교사교육, 임용단계, 시도교육청의 1급 자격연수 등이 역량 형성에 미치는 영향 정도에 대해서는 긍정적 의견보다 부정적 의견이 높았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대학의 양성교육, 초등교사 임용단계, 1급 정교사 자격연수 교육의 개선 방안과 교원평가의 정책 방향을 각각 제안하였다. This paper surveyed the status of teacher development to reinforce the elementary teachers' Korean language education(KLE). 280 elementary school teachers(EST) participated. ESTs' competency related KLE is developing into a latent period, a build up period, a probationary period, a full bloom period, a management and a transfer period. ESTs rated their competency in KLE higher than that of other subjects, and they formed it mainly through interaction with their fellow teachers. However, there were many negative opinions on the extent to which the pre service teacher education of education colleges, the recruitment examinations, and the first-degree qualification in service education had an impact on their competency building. Based on the results, a few plans were proposed to improve them, and the policy direction of the teacher evaluation.

      • KCI등재

        기획주제: 교과 교육과 독서 지도의 방향 : 독서이력철의 구성과 평가 방안

        천경록 ( Gyeong Rok Cheon ) 한국독서학회 2005 독서연구 Vol.0 No.14

        이 연구는 독서활동의 과정과 결과를 평가하는 방안으로서 독서이력철 평가의 개념을 탐구하고, 구성과 평가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적용 사례를 분석하였다. 독서이력철 평가를 ‘평가용’에 초점을 맞추어 대규모로 적용할 경우로 전제하였다. 독서이력철 평가는 단순히 평가 활동으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독서 활동의 목적 수립, 도서 선정, 독서 지도 기회 제공, 독서에 관한 성찰과 협의를 반영하는 통합된 교육 활동을 뜻한다. 독서이력철의 평가 영역은 독서에 관한 정의적 영역, 지식 영역, 수행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반영할 수 있는 구성 요소로 필수 요소와 선택 요소로 구분하였다. 필수 요소에는 도서 목록, 독서 목록, 요약문·감상문 작성, 도서 추천서 작성, 논술문 작성, 독서토론회 등을 제안하였다. 선택 요소로는 교과 독서 프로젝트와 다양한 독서 활동을 들었다. 각 요소별로 학생의 수행 결과를 양적 기준과 질적 기준에 의해 상보적으로 평가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평가 결과는 척도에 따른 등급화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3점 척도에 의해 ‘우수, 적정, 노력요함’으로 할 것과 각 등급별 평가기준을 제안하였다. 독서이력철 평가와 독서 활동의 내용의 명료화를 위해, 독서이력철 평가기록표를 시안적으로 제시하였다. This paper studied the strategies of reading portfolio. Main questions are these. What is reading portfolio? How does it be constructed? How does it evaluated? What is criteria? Who does it evaluated? Specially, I presuppose large scale reading assessment for evaluation. Reading portfolio is not only a container which collects results of reading process but also philosophical term which is related good educating plan and process of reading. I presented essential elements and supplement parts for reading portfolio. Essential elements are book list, reading logs, books summary, book recommendation, conference, book essay writing. Supplemental parts are various post reading activity such as drawing, book club projects. I develop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 criteria which is 3 scales("Excellent, Normal, Need efforts"). And I developed reporting card for reading portfolio. In this paper, I analyzed metro city elementary school reading portfolio examples.

      • KCI등재

        기초문식성 관련 연구의 실태와 쟁점 탐구

        천경록 ( Cheon Gyeong Rok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2 No.-

        학교교육 설계에 의하면, 기초문식성 교육의 책무성은 초등 국어과에 있다. 그러나 중요성에 비해 용어, 개념, 내용, 지도 자료, 지도 방법, 평가 방법 등과 관련하여 아직 연구 공동체에서 합의가 부족하여 교육 실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정책 효과도 낮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기초문식성 관련 연구의 실태를 분석하고, 쟁점을 도출한 후에 초등국어교육 관점에서 해결 방안을 제안하였다. 기초문식성 관련 논문의 발표 편 수는 증가 추세에 있었지만, 연구 방법 면에서 인과성을 관찰하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관련 용어와 지칭 내용에서도 발생적 문식성, 초기문해력, 초기아동기문식성, 기초문식성 사이에 혼란이 있었다. 이 중에 초등 저학년을 대상으로 할 때는 기초문식성이 가장 적절하였다. 정책 효과를 높이기 위해 기초문식성 교육의 내용은 한글해득, 유창성, 글씨쓰기, 받아쓰기로 제한하고, 그 대상도 글자에서 짧은글(문단) 수준으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기초문식성을 발생적 문식성, 초기문해력(초기문식성), 기능적 문식성과 내용적으로 구별하고, 지도 방법은 발음중심의 지도 방법을 더 강화하며, 기능적 문식성과 관련지어 역방향으로 설계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reviewed the basic literacy related researches and drew a few issues. As a results, there are a lack of consensus in the research community regarding terms, concepts, contents, instruction and assessment methods and materials related it. Among emergent literacy, earaly literacy, early childhood literacy, and basic literacy, ‘basic literacy’ is the most appropriate when referred to elementary 1st and 2nd graders. The content of it should be limited to Hangul(Korean alphabets) decoding, fluency, and transcribing about alphabets, syllables, words, phase, sentence, and short passage. Developmentally, we make distinction between basic literacy and emergent literacy(the roots of literacy), early literacy, and functional literacy(meaning construction of text). To teach basic literacy, sound directed instruction and bottom up process model should be reemphasized. Finally more experimental research should be executed, and backward curriculum design from functional literacy be adopt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독서 능력 표준화 검사 도구의 연구 개발

        천경록 ( Gyeong Rok Cheon ) 한국독서학회 2006 독서연구 Vol.0 No.15

        독서 능력 표준화 검사 도구의 연구 개발천경록이 연구에서는 독서 능력을 측정하는 표준화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검사 도구의 타당화 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검사 도구는 3~6학년을 대상으로 학년별로 2종씩 모두8종을 개발하였으며, 4지 선다형 2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독서 능력을 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어휘력과 독해력으로 보았으며, 독해력은 다시 내용확인, 추론, 평가와 감상으로 구분하였다. 교과서와 교과서 밖의 지문을 주제와 장르를 고려하여 균형 있게 선정하여 문항을 출제하였다. 표준화 검사로서 요건을 갖추기 위해 고전검사 이론에 입각하여 검사 도구의난이도, 신뢰도, 변별도, 오답 매력도, 타당도를 분석하였다. 광주지역 참여자(1, 755명)를 대상으로2차례에 걸쳐 검사를 시행하고, 결과를 분석하면서 도구의 양호 정도를 향상시켰다. 지문의 난이도 결정은 6차 교육과정기의 해당 학년 교과서에서 고르거나 개발자들의 전문적 식견에 의해 선정하였다. 검사 도구를 진단 검사로 활용하기 위해 각 검사 도구에서 학년별로‘자기주도적 독자, 교사 조력적 독자, 보정적(補正的) 독자’수준을 구분할 수 있는 분할 점수를 결정하였다. 점수 결정은 상대적인 규준을 이용하는방법, 관련 전문가의 판단에 의한 절대적인 방법(북포트폴리오 방법)을 사용하였다.본 연구에서 개발된 표준화된 형식 검사 도구는 교사의 전문적 판단에 의거한 비형식적 진단과 상보적으로 활용되는 것이 좋다. This paper developed 8 sets standardized reading tests for 3, 4, 5, 6 grade(two sets per each grade), administrated tests two times in elementary school(1,755 students joined), analyzed test results, revised tests items, studied validating tests, and presented developing process. Each test set consists of 25 items multiple choiced test. Texts of items were carefully selected for genre, theme, ethics, type, and readability. Achievement standards, taxonomy of items were developed also. Reading ability defined vocabulary and reading comprehension. Reading comprehension is subdivided literal, inference, evaluation, and appreciation skill of text comprehension. This perspective is based 7th national Korean language curriculum. Difficulty, reliability, discrimination index, variance, validity of tests were analyzed and revised tests items to qualify standardized test. Cut off score was decided for using these tests as diagnostic reading assessment. Each grade`s reading ability is divided three level, which is above grade, at grade, below grade. Cut off score was decided two methods cooperatively norm referenced test as well as criterion referenced test(book portfolio method). Formal reading tests, include this study`s results, should be used compensate for informal reading assessment such as teacher`s question, observation, think aloud, and conversation.

      • KCI등재

        읽기의 의미와 읽기 과정 모형에 대한 고찰

        천경록 ( Gyeong Rok Cheon ) 청람어문교육학회 ( 구 청람어문학회 ) 2008 청람어문교육 Vol.38 No.-

        이 연구에서는 읽기 교육의 발전을 위해 현 시점에서 읽기의 의미와 읽기 과정 모형에 대하여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읽기 지도의 원리를 모색하였다. 읽기와 독서의 관계에 대하여 교육계 내에서도 다섯 가지 정도로 서로 달리 쓰이고 있었다. 읽기에 대하여 일반인들과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읽기 교육의 발전을 위해 의미 관계를 정리할 필요가 있다. 읽기는 초중등학교에서 국어과 교육과정의 한 영역으로 국어과 수업에서 실현되는 활동이며, 독서는 국어과 수업 외에 학교, 가정, 사회 등에서 수행되는 활동으로 구별하였다. 둘 사이에 겹치는 부분은 독해인데, 독해는 텍스트의 의미를 구성하는 사고 활동이다. 읽기 과정 모형에 대하여 살펴본 바, 1990년대 이래로 인지과정 중심의 상향식, 하향식, 상호작용 모형으로 설명하는 것이 여전히 국내의 저술의 주를 이루고 있었다. 이는 언어 사용 상황과 맥락을 강조하는 최근의 이론적 동향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의미의 사회적 구성을 강조하는 교섭 모형을 추가로 제시하고 네 모형을 비교하였다. 읽기 의미와 읽기 과정 모형에 대한 검토를 토대로 읽기 지도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읽기 지도의 요인을 설정한 다음, 좋은 읽기 지도의 실제를 유도할 수 있는 읽기 지도 원리를 일곱 가지로 제안하였다. This paper investigated the meaning relations of reading related terms which Korean reading educators use, analyzed the models of reading process, and presented the seven principles of reading instruction for the development of reading education. There are five types of meaning relation between `읽기[ilkki]` and `독서[dokseo]`. It is needed to differentiate the two terms. The former is to read text for `learning to read` at Korean language art subject based on national curriculum. The latter is to read text at school, family, and society for reading various purpose. Comprehension is common factor of the two. There are mostly three types of process models of reading in Korean reading articles. They are bottom up, top down, and interactive model. These are a kind of cognitive model. Beside them, there are many reading process models such ad sociocognitive model, attitude model, dual coding model, and transactional model. In this paper cognitive model and transactional model were compared to present reading instruction principle. Based on these arguments, five factors and seven principles of reading instruction were presented to guide best reading pract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