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섬 지역 음식문화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 연구 -지자체 온라인쇼핑몰 BI의 시각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채지선,전형연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023 島嶼文化 Vol.- No.61

        The island region has important value as a core resource for regional branding with local food and special products based on locally grown, collected, and processed agriculture and livestock. In particular, as non-face-to-face consumption increases due to COVID-19 and regional specialties are provided as gifts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hometown love donation system, it is natural that regional island governments are interested in the opening and operation of online shopping mall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tatus of visual communication strategies of local government online shopping mall brand identity (BI) in seven island regions by taking online shopping malls in regions composed only of islands as the research subject. In other words, this study took seven regions of an island archipelago as the subject of research and analysis, and tried to find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each region through visual semiotic analysis of the BI appearing on the online shopping mall homepage of each regional government. In this process, each BI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plastic signs, iconic signs, and linguistic signs.

      • KCI등재
      • KCI등재

        도시 브랜드가치 평가를 위한 기호학적 접근: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채지선,전형연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3 감성연구 Vol.- No.26

        Regional governments at home and abroad are aware of the need to enhance the brand value of their cities and are seeking ways to increase the brand value. In order to enhance the city brand value, it is important whether the city brand assets differentiated from other cities can be perceived as attractive to visitors and investor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model to evaluate the value of a city brand using a semiotic analysis method targeting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reby suggesting a guideline to many domestic and foreign regional governments who want to strengthen the value of a city br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the development stage, brand value evaluation factors based on the city's brand identity were derived and a "Evaluation Model for City Brand Values(CBV)" was developed. In the application stage, based on the 30 derived brand value evaluation factors, we reviewed how much regional residents and strangers perceive the brand value of Gwangju City. As a result, both Gwangju residents and strangers showed an upward orientation toward the "project" area based on human values such as /community/, /friendship/, and /jeong/. On the other hand, non-orientation in the "euphory" area based on cultural values such as /fun/, /creativity/, and /cultural/ was confirmed. 국내외 지자체들은 도시의 브랜드가치 제고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브랜드 가치를 높일 방안을 모색 중이다. 도시 브랜드가치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타도시와 차별화된 도시 브랜드 자산이 방문객과 투자자 등에게 매력적으로 인식될 수 있느냐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를 대상으로 기호학적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도시 브랜드의 가치를 평가하는 모형 개발을 시도함으로써 도시 브랜드의 가치를 강화하고자 하는 많은 국내외 지자체들에게 하나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발단계에서는 광주광역시의 홍보 동영상을 중심으로 브랜드 정체성에 기반한 브랜드가치 평가 요소를 도출하여 “도시 브랜드가치 평가모형(CBV 평가모형)”을 개발하였다. 적용단계에서는 도출된 30여 개의 브랜드가치 평가 요소를 바탕으로 지역민과 타지인이 광주시의 브랜드가치를 얼마만큼 인식하고 있는지를 검토해보았다. 그 결과, 광주 지역민과 타지인 모두 /공동체성/, /친근성/, /정/ 등과 같은 인적 가치를 기반으로 한 “계획” 영역에 대한 우상향의 지향성을 보여주었다. 반면, /재미성/, /창의성/, /문화성/ 등과 같은 문화적 가치를 기반으로 한 “쾌락” 영역에 대한 지향성의 부족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지역의 음식문화브랜드로서 ‘시장’의 문화정체성 연구 - 광주광역시 문화관광 홈페이지 <오매광주>의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

        채지선,전형연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9 호남학 Vol.0 No.6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food culture branding strategy of Gwangju Metropolitan City's food culture identity that the city wants to express to citizens and visitors by analyzing the discourse of <Omae Gwangju>, the official website of cultural tourism in Gwangju. This study analyzed the texts and image signs of ‘market’-related discourses in which the core elements of food culture brands are embodied in a complex manner, and analyzed the signification of seven representative markets to find cultural identit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ultural identity and value orientation of the PR content for each market on Gwangju Metropolitan City's cultural tourism website, it was confirmed that they expressed a similar cultural identity in the pursuit of universal market values such as natural or economic values, in the modern values revealed by convenience and culturality, in the pursuit of social values as community spaces, and in the pursuit of symbolic values with locality and historicity.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Gwangju positioned the seven markets as old and inconvenient places, emphasizing the natural value of food ingredients, rather than as a core food culture brand through market- related discourse, and focused on convenience or modernity in order to offset negative perceptions. Therefore, in order for Gwangju to be recognized as an attractive regional food culture brand that can survive the competition with other region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exploring the traditionality of each market and expressing the regional symbolism of Gwangju and its unique food culture identity.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의 문화관광 공식 홈페이지인 <오매광주>의 담화 분석을 통하여 광주시가 지역민과 방문객에게 표출하고자 하는 광주라는 지역의 음식문화 정체성이 무엇인지 그 음식문화브랜딩 전략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음식문화브랜드의 핵심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구현되고 있는 ‘시장’ 관련 담화의 텍스트와 이미지 기호를 분석하고 그 의미작용을 해석하는 방식으로 광주시가 표출하고자 하는 광주시의 대표적 7개 시장의 문화정체성을 찾아보고자 시도하였다. 각 시장의 문화정체성과 지향가치 분석 결과, 본 연구는 광주시가 문화관광 홈페이지 홍보콘텐츠를 통해 광주시의 전통시장이 자연적 가치나 경제적 가치 같은 보편적 시장 가치에 대한 지향이나, 커뮤니티 공간으로서의 사회적 가치, 편리성이나 문화성에 대한 추구로 드러나는 현대적 가치, 그리고 향토성이나 역사성이 내포된 상징적 가치에 대한 지향을 추구하며 공통적으로 유사한 문화정체성을 표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광주시가 시장 관련 담화를 통해 7개 시장 전반을 핵심적인 지역의 음식문화브랜드로 간주하기보다는 단지 유통되는 식재료의 자연적 가치 지향과 이용하기에 낡고 불편한 장소라는 부정적 인식을 상쇄하는 차원에서 편리성 가치나 현대성 가치의 지향에만 초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따라서 광주시는 광주시의 시장을 다른 지역과의 경쟁 속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매력적인 지역의 음식문화브랜드로서 인식되게 하기 위해서는 각 시장의 전통성은 물론 광주라는 지역만의 지역적 상징성과 지역의 고유한 음식문화 정체성을 탐색하고 이를 표출하는 커뮤니케이션 전략 방안을 고민해야 할 필요가 있겠다.

      • KCI등재

        홍보콘텐츠 분석을 통한 지역의 음식문화브랜딩 구성요소 연구 - 전주시, 청두시, 교토시 등 한·중·일 3개 지역의 공식 웹사이트 분석을 중심으로

        채지선 ( Chae Ji-seon ),전형연 ( Jeon Hyeong-yeon ) 한국기호학회 2019 기호학연구 Vol.59 No.-

        국내외 지역 정부들은 지역의 음식을 관광지 선택의 핵심 요인으로 인식하고 적극적인 홍보에 나서고 있다. 실제로 음식문화는 지역의 브랜드 정체성을 드러내는 핵심 적이고 매력적인 지역문화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수단이자 지역 관광 활성화의 수단이 될 수 있다. 그렇다면 지역은 각 지역의 음식문화를 지역문화브랜딩 차원에서 표출하기 위하여 어떠한 구성요소까지를 포함시키고 있을까? 본 연구는 전주, 청두, 교토 등세 지역의 공식 홈페이지 속에 나타난 음식문화 관련 담화의 구조와 내용분석을 통해 지역문화브랜딩의 일환으로서의 음식문화브랜드의 핵심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그 정체성 역시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는 3개 지역이 공통적으로 음식문화브랜드의 핵심적 구성요소를 “식재료”, “음식”, “이벤트”, “음식 공간”, “문화시설”, “레시피”, “커뮤니케이션”, “특산물” 등 8가지로 범주화하여 커뮤니케이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음식문화브랜드를 지자체 지역문화브랜딩의 핵심 요소로 간주하면서, 8가지의 지역음식문화 핵심 구성요소의 문화적 지향가치 역시 정리해보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식재료와 음식이라는 음식문화의 핵심 구성요소는 “계획” 영역의 지향가치와 부합하며, 이벤트와 음식 공간은 “쾌락” 영역의 지향가치와 부합하고, 문화시설과 레시피는 “정보” 영역의 지향가치와 부합하며, 커뮤니케이션과 특산물은 “비전” 영역의 지향가치와 부합함을 파악함으로써 지역의 음식문화브랜드 8각형 구조를 도출할 수 있었다. Domestic and overseas governments recognize regional food, as a key factor in the selection of tourist attractions and are actively promoting them. Indeed, food culture can be a means of revitalizing regional tourism as well as a key and attractive regional cultural brand communication tool that reveals the region’s brand identity. What compon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region to express the regional food culture in terms of region’s cultural bran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key components of food culture brand as a part of regions’ cultural branding through the structure and content analysis of food culture related contents in the official web sites of Jeonju, Chengdu and Kyoto.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three cities categorized the core components of the food culture brand into eight categories as “food ingredients”, “food”, “events”, “food spaces”, “cultural facilities”, “recipe”, “communication” and “regional product”.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summarize the core values of the eight regional food culture components while considering the food culture brand as a core element of regional culture branding. This study was able to derive the octagonal key components structure of regional food culture brand.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food ingredient and food are consistent with the oriented values of the “Project” domain, the events and food spaces are consistent with the oriented values of the “Euphory” domain, cultural facilities and recipe are consistent with the oriented value of the “Information” domain, and the communication and regional products were found to be consistent with the oriented values of the “Vision” area.

      • KCI등재

        섬 지역의 음식문화 커뮤니케이션 전략 연구 ― 신안군·완도군·진도군 홈페이지의 특산물 담화를 중심으로 ―

        채지선 ( Chae Ji-seon ),전형연 ( Jeon Hyeong-yeo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1 호남학 Vol.- No.70

        바다에 둘러싸인 화려한 풍광과 풍부한 해산물에 기반한 음식문화는 섬 지역 관광의 핵심 요소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섬을 많이 보유한 전남의 섬 지역 중에서 보유한 섬의 수가 가장 많은 도서군이며, 지역민의 인구수 역시 가장 많은 신안군, 완도군, 진도군 등의 기초자치단체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섬 지역의 음식문화 커뮤니케이션 전략 현황을 분석해보았다. 분석 결과, 세 지역 모두 지자체 공식 홈페이지 및 문화관광 홈페이지 구조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특산물’ 관련 담화를 섬 지역의 음식문화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핵심 요소로 고려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역이 홈페이지를 통해 표출하고 있는 ‘특산물’ 담화의 이미지 기호와 텍스트 기호의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섬 지역 ‘음식문화’의 공통적 정체성과 지향 가치는 물론 각 지역의 음식문화 정체성 및 지향 가치 역시 파악할 수 있었다. 즉, 신안군, 완도군, 진도군 공통으로 섬 지역 특산물의 /우수성/, /환경성/, /기능성/, /정보성/ 등의 가치를 지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 지역의 음식문화 정체성 차원에서는 신안군의 경우 /효용성/, /미학성/, /감각성/을 바탕으로 한 ‘조리된 요리 지향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완도군의 경우에는 바다에서 그대로 건져 올린 수산물의 /생동성/과 /바다성/을 기반으로 한 ‘자연 그대로의 신선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진도군의 경우에는 특산물의 /우수성/, /기능성/을 바탕으로 한 ‘해조류의 상품성’ 지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섬 지역 역시 각 지역의 음식문화와 관련한 차별적인 브랜드 가치를 지향해야 하며, 이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 역시 심층적으로 고민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Spectacular scenery surrounded by the sea and food culture based on abundant seafood are key elements of island tourism.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food culture communication strategies of the regional governments such as Shinan-gun, Wando-gun and Jindo-gun, which have the largest number of islands among the island regions of Jeollanam-do and have a large population of regional residents.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the official website of regional governments and cultural tourism in the three island regions, it is confirmed that the discourses on “special products” are mainly being discussed in food culture communication in the island regions. In addition, this study was able to identify not only the common identity and orientation value of “food culture” in the island regions, but also the identity and orientation value of “food culture” in each region through an analysis of the image signs and text signs of the “special product” discourses expressed by the region on the homepage.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Sinan-gun, Wando-gun, and Jindo-gun all aim for the values of /excellence/, /environmental/, /functional/ and /information/. Also, in terms of the food culture identity of each region, Shinan-gun aims for “cooked dishes” based on /utility/, /aesthetic/ and /sensibility/, and the characteristic of Wando-gun is the “natural freshness” based on the /vitality/ and /marine/ of marine products recovered from the sea, and the characteristic of Jindo-gun is the “commercialization of seaweed” based on the /excellence/ and /functionality/ of special product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sland regions should pursue differentiated brand values related to the food culture of each region, and also considered the communication strategies in depth.

      • KCI등재

        고등학교 영어 정기고사 평가 문항분석

        채지선(Chae, Jisun) 한국영어평가학회 2011 영어평가 Vol.5 No.1

        As testing has significant effects on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s well as teaching and learning, intramural regular English tests should be examined to see if they measure what they intend to measure. This study is aimed at reporting the results of item analysis on an intramural regular English test that is periodically administered for Korean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nalyze the items of the regular test, three standards are used: item facility, item discrimination and distractors’ attractive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29 third-grade high-school students who took the midterm examination in U city,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of item facility was 74.9%, which means that the test was considered neither too difficult nor too easy. The average of item discrimination was 0.47, so the test had quite a high discrimination power. However, considering the distractors’ attractiveness, a couple of question items were found that needed improvement. Through this study, all of the test items were thoroughly examined and analyzed. To maximize reliability and validity, teachers should analyze the results of the test and try to improve the test items after administering the regular t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