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년기 결혼이주여성의 노후준비에 관한 탐색적 연구

        채은희,박미숙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9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s of the middle-aged in Korea, and to present the importance of preparation for old age of middle-aged women. To do this, research trends were explored by gender, generation, subject, research method, and the types of preparation for old age from 2013 to 2018,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of all, in gender, there were the most common studies on mixed-gender, and more studies on women than men. Second, the study of the generation showed the greatest number of middle-aged studies. Third, in subjects, most of the studies a permanent resident rather than migrants. Fourth, in research methods, although most of the research methods were conducted by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recently. Fifth, the type of preparation for old age was the most mixed study which was not put on either side, followed by the study on the economic preparation for old age. Sixth,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preparation for old age of middle-aged marriage immigrant women. In this regard, the research on marriage immigrant women who will live in Korea should be expanded in the long term. They recognize the need to prepare for old age, but the economic reality have failed to support it. Therefore, it suggests that the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 as well as individual should actively seek ways to prepare for old age of marriage immigrant women.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중년기 사람들의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동향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중년기 결혼이주여성의 노후준비 중요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연구동향을 성별, 세대별, 대상별, 연구방법별, 노후준비 유형별로 탐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먼저 성별에서는 남녀가 혼성으로 이루어진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남성보단 여성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둘째, 세대별 연구는중년기세대 연구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셋째, 대상은 이주자보다 정주자에 대한 연구가대부분이었다. 넷째, 연구방법은 대부분 양적연구로 이루어졌으나 최근 질적연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었다. 다섯째, 노후준비 유형은 어느 한쪽에 치우지지 않은 전체적인혼합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그다음 경제적 노후준비 관한 연구가 많았다. 여섯째, 중년기결혼이주여성의 노후준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이를 통해 볼 때한국에서 장기적으로 거주할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연구가 확대되어야 한다. 이들은 노후준비에 대한 필요성은 인식하지만 경제적인 현실은 이를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결혼이주여성의 노후준비 방안에 대해 개인은 물론 정부와 지자체가 함께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한국 속담의 다문화성 양상 탐색

        채은희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tent of Korean proverbs that contains multiculturalism. To do this, we first selected three Korean proverbs and searched proverbs based on the defined multicultural character. A total of 29 proverbs were found in the proverb dictionary, and 18 proverbs were finally found when using the peer exmination method. In the survey using the peer examination method, the proverb that got the most votes is ‘Water looks the same but looks different.’ This corresponds to 9.2% of the total.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Korean proverbs, multiculturalism was very limited. Second, diversity was found in interpreting proverbs. However, in this study, we hope to use 18 Korean proverbs as a tool for Korean and cultural education for foreigners, and to use them as a priori materials for dealing with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of Korean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속담 중 ‘다문화성’을 내포한 속담을 탐색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한국 속담 사전 3권을 선별하고 이론적 논의를 통해 도출된 다문화성의 정의를 바탕으로 속담을 탐색하였다. 속담 사전 3권에서 연구자가 탐색한 속담 내용은 총 29건이 발견되어 나타났으며, 타당성 확보를 위한 동료 검증법(peer examination)을 활동해 최종적으로 18건의 속담이 다문화성을 품은 한국 속담으로 도출되어 나타났다. 동료 검증법을 위한 설문조사에서 가장 많은 득표를 얻은 속담은 ‘물 퍼런 것도 잘 보면 여러 가지다./푸른 풀도 자세히 보면 다르다.’이다. 이는 전체 득표수 중 9.2%에 해당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속담 안에는 ‘다문화성’이 매우 제한적임이 확인되었다. 둘째, 속담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과정에서의 다양성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속담 18건은 추후 이주자에게는 한국어 교육과 한국 문화 교육을, 정주자에게는 우리 속담 안에 담긴 조상들의 다문화감수성에 대한 선험적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학문목적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속담’ 인지에 관한 연구

        채은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3

        이 연구는 TOPIK 급수 3급 이상의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전자설문을 활용한 ‘한국 속담’ 인지 정도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응답자 53명 중 해당 급수에 해당하는 응답자는 45명이 되었으며, 기본정보 외에 추가질문을 통해 자료를 얻었다. 연구결과, 한국어 학습 방법으로는 모국과 한국의 교육기관에서의 수업이 80.0%로 나타났으나 교육기관을 통한 속담 학습은 57.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 속담에 대한 높은 관심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그 기대에 부응하는 체계적 속담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리고 이들은 한국 속담의 비유적 표현을 어렵게 인식하였다. 또한 이들의 TOPIK 급수 소지에 비해 한국 속담을 이해하는 수준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계적 속담 교육의 부재는 한국 속담의 비유적 표현을 이해하기 힘들게 하는 원인으로 파악된다. 학업 후 한국어 교수자가 되고자 하는 외국인 유학생의 수가 많은 만큼 속담 학습이 개인학습으로 그치기보다 한국어 교육과 같이 한국 속담 교육의 체계적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international students with over the TOPIK level 3 recognize Korean proverbs. Among the 53 students, 45 students had the qualification of the TOPIK levels.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80.0 percentages of those students have studied Korean languages in the language institutes in Korea or their homelands. Only 57.8 percentages of them have learned Korean proverbs. Despite the high interest of foreign students on Korean proverbs, education on their expectations has not been achieved. And they had difficulty recognizing the circumstantial expression of the Korean proverb. Their degree of understanding of Korean proverbs is lower, compared to their TOPIK levels. The absence of systemic education on Korean proverbs makes international student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figurative expression of Korean proverbs. Since many international students want to become Korean language teachers after their studying, the education of proverbs needs to be conducted systematically rather than individually.

      • 우리나라 정신요양시설의 이용현황 및 평가에 관한 연구

        채은희,서동우,이효영 대한보건협회 2003 대한보건연구 Vol.29 No.1

        After the Mental Health Act was established at 1995, mental health service in korea has continuously been changed. The demand for long-term mental health care is on rise as the number of patient among population and social costs increases. In addition, as social concern about patient s quality of life enlarged, people give weight to quality management and evaluation of long term mental health care facilities. Through the evaluation of long-term mental health care facilities, the quality of mental health care can be improved and the function of long-tern mental health care facilities will be identified in mental health care system. Therefore this article will be used as a basic data for not only enhancing their service quality, but setting role and function of long-term mental health care facilities in health care delivery system. From the evaluation of long-term mental health care facilities, the eighty percents of a total 55 facilities was high or middle level. Physical environment items were at the highest level in evaluation parts but system management items were at the lowest level. So system management should be improved. The evaluation of long-term care facilities is a chance for checking the system and finding out problems in running the facilities. Also this evaluation will help to identify the role and function of long-term mental care facilities in the health care system.

      • KCI등재

        우리나라 정신보건전문요원 수련제도 현황 및 개선방향

        채은희,이효영 보건의료산업학회 2014 보건의료산업학회지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esent state of training system for mental health professionals. There are some topics which must be improved in the training system, like as reinforcement of qualification of the trainers, introduction of assessment system of the training, and other the quality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training system. Finally, the speciality and capability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will be promoted by supplements of the problematic matters and these efforts will be directly helpful to the people who has mental illnesses.

      • KCI등재

        선행연구의 주제어 분석을 통해 본 노후준비의 의미

        채은희 ( Eunhie Cha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5

        이 연구는 채은희·박미숙(2019)의 선행연구에서 연구 자료로 사용되었던 176편의 논문을 활용하여 ‘노후준비’에서 나타난 주제어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통해 얻은 결과는 노후준비의 의미를 이해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사회적 함의를 이끌어내는 것에 의의가 있다. 176편의 논문 중 주제어가 탐색된 논문은 총 156편이며 주제어 발생 건수는 659건이 되었다. 탐색된 자료 중 2건 이상 발생된 주제어를 분류 정리하였을 때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어 나타났다. 예상대로 주제어 중 ‘노후준비’가 전체의 10.8%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삶의 만족도, 베이비부머, 경제적 노후준비, 노후준비도, 베이비부머 세대 순이었다. 또한 탐색된 주제어를 범주화하여 분류하였을 때, 노후준비 내용과 그 대상과 시기, 연구 분석 내용으로 나누어 나타남이 확인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후준비에 관한 한국의 선행연구들은 노후준비가 개인적 차원에서의 삶의 만족도와 성공적 노화, 자기효능감 등과 연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노후준비는 인간 삶의 질과 가장 밀접하게 연관되는 만큼, 국가적 차원에서의 노후준비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더 나아가 개인의 삶의 질 개선이라는 개인적 차원에서의 노력과 보다 더 이른 시기부터의 노후준비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key words related to ‘old age preparation’ using 176 papers which were used as research data in Eunhie Chae & Misuk Park (2019).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preparing for old age and drawing appropriate social implications for it. Among 176 papers, 156 papers were found in which the subject words were searched, and 659 subjects were found. When the same subject words were found more than twic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As expected, ‘old age preparation’ accounted for 10.8% of the total, followed by life satisfaction, baby boomer, economic old age preparation. Also, when the searched subject words were categorized and categorized, they were divided into old age preparation contents, subject and timing, and research analysis contents.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confirmed that old age preparation is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successful aging, and self-efficacy. The preparation of old age, which is most closely related to the quality of human life, should be educated at the national level. Preparation for old age requires preparation from an earlier time with personal effort.

      • 강자성공명을 이용한 Fe-Al-O 나노결정 박막의 자기적 특성연구

        채은희,김영호,김기현 명지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99 자연과학논문집 Vol.18 No.-

        고밀도 기록용 박막형 연자성 재료인 Fe를 기지금속으로 하는 Fe-Al-O박막을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법으로 제작하여 강자성공명기법과 시료징동형 자속계(VSM)를 이용하여 그들의 자기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Fe100-χAlOχ 나노 결정박막의 AlO 조성비에 따른 실험 결과 조성비 χ=20일때 lOe 이하의 낮은 보자력과 6Oe의 낮은 이방성자기장, 그리고 높은 포화자속밀도를 동시에 나타내며, 100 MHz어서 3000 이상의 고투자율값을 보이는 우수한 연자성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자장을 가한 박막 경우 AlO 조성이 χ=18.3일때와 자장을 가하지 않은 박막 경우 χ=23.4일때 보자력은 각각 0.8Oe, 0.7Oe, 포화자화는 각각 17.2kOe, 17.88kOe, 이방성자기장은 각각 15Oe, 10Oe그리고 투자율은 각각 2452,2457(100 MHz)로 1Oe이하의 낮은 보자력과 15Oe 이하의 낮은 이방성자기장 그리고 2000 이상의 고투자율을 나타내는 아주 우수한 연자기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Nanocrystalline Fe-Al-O hyper-fine thin film structure which is acquainted with one of the good soft magnetic materials was prepared by reactive rf magnetron sputtering method, and investigated for magnetic properties due to compositional variation of AlO. Saturated magnetization and coercive force of the samples were determined by the vibrating sample method(VSM) at room temperature (T=300 K). The spectroscopic splitting a factor which shows the resonance field, magnetic anisotropy and relative spin contribution was calculated. The resonance line-width which implies the loss of the eddy current was investigated from the ferromagnetic resonance curves. The study of the properties of high frequency permeability was done from the calibration of pemeabilities and specific resistances.

      • KCI등재

        농촌 노인의 건강 및 보건복지 욕구에 관한 연구

        채은희(Eun Hee Chae),이효영(Hyo Young Lee) 한국노년학회 2006 한국노년학 Vol.26 No.4

        농촌지역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는 건강문제와 함께 보건복지 서비스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농촌노인의 생활 특성별 주관적인 건강상태 및 일상생활수행 등의 신체적 건강상태, 스트레스와 우울 등의 정신적 건강상태 및 보건복지요구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러한 여러 변인들이 농촌노인의 보건복지 욕구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분석하여 농촌 노인의 인구ㆍ사회학적 특성과 그 욕구에 부합하는 보건사업과 보편적 사회복지정책의 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경기도 일부 농촌지역인 Y군의 60세 이상 노인인구 19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조사결과 대상자의 약 40%가 주관적인 건강상태와 일상생활 수행 정도가 나쁘거나 일상생활에 방해를 느낀다고 답하였다. 또한 잠재적 스트레스 군이 전체 대상자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였으며 우울은 15% 정도만이 우울의 문제가 없는 경우로 나타나서 농촌노인의 정신건강상의 문제가 매우 심각함을 알 수 있었다. 농촌 인구ㆍ사회학적 특성별 일상생활 수행정도는 유배우자인 경우 일상생활 수행 정도에 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50만원 미만의 낮은 소득 수준의 대상자가 건강문제를 더 많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낮은 소득이 건강불평등의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엿볼 수 있었다. 보건복지 욕구는 남녀 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소득이 낮거나 배우자가 없는 경우 보건복지 욕구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보건복지 욕구와 다른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에서 우울이 높을수록 보건복지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농촌 노인의 건강증진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농촌지역의 특성에 맞는 체계적인 건강관리와 스트레스 및 우울의 중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통합적 관점의 건강증진정책에 관한 연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With extension of life expectancy and increase of aged population, the health and welfare affairs of the aged became main concerns of the elder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relationship living conditions with self-reported health, mental health and welfare need of the aged in the rural community. Especially th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living conditions, self-reported health, mental health, health and welfare need of 192 aged peopl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003 through February, 2004 for three months by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s included items about socioeconomic status, living conditions, health related issues and health and welfare ne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health status of the aged was examine in self-reported health, stress, depression. In the self-reported health, 39.1% had 'bad health status' and in ADL level, 'moderate dependency' level were 24.5% and 'severe dependency' level were 18.8%. Stress and depression problem of the aged was serious; 'Potential stress group' was 59.7% and 'high risk stress group' was 33.5%. 84.8% of the aged had depression problem. 'Couples' had higher ADL level than other groups. In other hands, lower income group, especially below 500 thousands won, had the lowest ADL level. In addition, 'single' and 'living alone' group had more depression problem than other groups. Self- reported health as expected was bad in lower income group and we knew health inequality also exist in the aged. The relationship health status with health and welfare need i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But health and welfare need tended to increase by lower income group, living without husband. The depression level tended to increase with health and welfare need on the increase. Health and welfare need has reduced by age increased. For the health promotion of the aged in rural community, intervention program of stress and depression should be provided with strategies for decreasing health and welfare need.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속담’ 학습 경험에 관한 연구

        채은희(Chae, Eun-hie),김영순(Kim, Youngsoon),박미숙(Park, Mi-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유학하는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속담에 대한 학습경험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 속담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기간은 2017년 9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진행하였고 3개국 외국인 유학생 5 명을 심층 인터뷰하여 이들의 사례를 사회적, 교육적, 교훈적 경험 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사회적 경험’의 경우, 같은 속담이라도 연구 참여자 개인의 경험에 따라 속담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들이 한국인들 사이에서 속담을 사용함은 ‘인정’ 또는 ‘멋짐’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적 경험’에서는 체계적 속담학습의 부재와 함께 속담학습은 TOPIK시험 대비에만 집중될 뿐, 이후 활용이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도출되었으며, ‘교훈적 경험’에서는 속담의 교훈적 내용을 통해 현재 유학생활의 어려움을 자기성찰과 미래에 대한 희망으로 연결시키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속담학습에 대한 교육적 방법을 모색해 보면, 콘텐츠 및 미디어를 활용한 수업을 통해 학습자의 이해를 돕고, 한국어 교수자들의 수업장면 내·외에서의 적극적 활용을 통해 학습자들에게 동기부여하고 교수자를 통한 모방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적극적 활용의 노력이 필요함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earning experiences of Korean proverbs by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Korea and present a way to teach Korean proverbs to foreigners. The research period was from September 2017 to December 2017 and five foreign students from three countries were interviewed in depth. The subjects’ experienc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 social, educational and instructional -and each category was further divided into nine sub-categories. In the ‘social experience’ category, it turned out that the same proverbs are understood and interpreted differently by individuals, depending on their personal experience. The subjects said that they felt ‘accepted’ or ‘cool’ when they used proverbs in their interaction with Koreans. An analysis of their ‘educational experiences’ revealed that there is a lack of a systematic methodology to learn proverbs and that their study of proverbs is only geared toward TOPIK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and their knowledge is not put to any good use once the test is over. In the ‘instructional’ context, the subjects learn life lessons from proverbs and apply them to the personal struggles they endure as foreign students so that they reflect on themselves and foster hope for a better future.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as effective methods for teaching proverbs: 1) Use media content in the classroom to help with the students’ understanding; 2) Use proverbs both in and out of the classroom to provide motivations; and 3) Have the students imitate their teacher’s use of proverb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