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행과 번역 - 한국사회의 근대성 이해를 위한 방법론적 소고

        채오병(Ou-Byung Chae) 비판사회학회 2011 경제와 사회 Vol.- No.89

        이 글의 목적은 20세기 식민주의와 제국주의의 문화적 영향권 속에서 형성된 한국사회의 근대성이 보이는 특성을 비서구 사회의 범주를 통해 이론적으로 식별해보고, 그러한 특성을 보이는 한국의 근대성 형성을 이해하기 위한 방법론적 입장을 번역과 이행의 개념을 통해 시론적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우선 이 글은 안토니 기든스의 근대성과 성찰성의 관계에 관한 일반적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지구화에 관한 그의 수렴론적 관점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통해 혼종성의 개념을 부각시키고, 그 개념에 내재한 긍정성과 부정성을 이끌어낸다. 다음으로 이 글은 이행과 번역의 개념을 통해 비서구 사회로서의 한국사회의 변동과 근대성에 접근할 수 있는 단초를 찾는다. 이행과 번역의 개념은 한국사회의 사회변동과 근대성을 이해할 수 있는 방법론적 틀로 제시된다. 이어 이렇게 제시된 방법론적 입장은 한국사회의 노동계급 형성에 관한 간략한 사례를 통해 그 적용가능성이 타진된다. 마지막으로 이 글은 한국의 사회변동의 특징을 포착할 수 있는 개념으로 그림자 근대성의 비유를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theoretically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ity in Korean society which, as a non-Western society, has been under the cultural influence sphere of colonialism and imperialism in the 20th century, and in order to properly grasp the characteristics, to provisionally suggest a methodological approach with the concepts of transition and translation. For this purpose, first of all, this article begins with a critical review of Anthony Giddens’ general discu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rnity and reflexivity. Through critical reading of his convergence view on globalization, this article highlights the concept of hybridity in non-Western world from which its positivity and negativity are discussed. Then it gropes for clues to understand social change and modernity in Korea with the concept of transition and translation. These concepts are suggested as methodological frame to approach Korean social change and modernity. This methodological frame is then tested for its applicability in the example of Korean working class formation. Lastly, this article suggest a metaphor of shadow modernity to capture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change in Korea.

      • KCI등재

        지구화를 통한 지역화

        채오병(Chae Ou-Byung) 비판사회학회 2008 경제와 사회 Vol.- No.80

        지구화는 전반적 수렴의 과정인가, 아니면 지속적 재지역화를 수반하는 탈중심적 과정인가? 이 글은 이승만 정부 초기 국시였던 일민주의 국가문화와 국가형성을 분석함으로써 지구화와 지역화의 문제에 접근한다. 정부 수립 당시 남한에서 규범성을 획득하고 있던 입헌주의와 보편주의적 민주주의 정치 모델의 강력한 현전에도 불구하고 이승만 정부의 공식 국가문화는 전통주의적이며 특수주의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일민주의는 자본주의, 공산주의, 의회정치를 부정하면서 한국의 고대 전통에 바탕을 둔 유기체적 가족국가관과 신라식 민주주의를 제시했으며, 이 국가 관념은헌법상의 정치구조를 위배하는 다양한 유사·준국가조직으로 실현되고 있었다. 일민주의자들은 정부 수립 당시의 좌우 갈등을 외래 사상의 범람에서 기인한 것으로 이해하고, 이 문제의식에 의거하여 민족적 정치질서를 실현하고자 햇다. 이 글은 고대 전통의 물화를 통한 정치구조의 구축, 즉 지역화는 초현실적 정치 모델에 대한 전유와 반발을 통해 발생했음을 주장한다. 지역적 특수화는 지구화를 통해 가능했던 것이다. Is globalization a process of general convergence, or a decentralized process that accompanies continuous localization? Focusing on Ilminju?i state culture as the official national policy and state formation in postcolonial South Korea, this study addresses the question of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In spite of the strong and normal presence of the world political model of constitutionalism and universalist democracy, the official state culture of the Rhee Syngman regime took the feature of nativism. Renouncing capitalism, communism, and party politics, Ilminju?i advanced the model of organic family state and Silla democracy based upon ancient tradition of Korea, which were realized in the creation of quasi- and pseudo-state organizations. The advocates of Ilminju?i understood that the political conflicts of the left and right in the beginning of the Rhee regime originated from the overflow of foreign ideologies, from which they attempted to construct a nationalist political order.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building of postcolonial political structure through reification of ancient tradition, i.e., localization was born through local appropriation and rejection of hyperreal and global political models. Local particularization was enabled by globalization.

      • KCI등재

        실증주의에서 실재론으로

        채오병(Chae Ou-Byung) 한국사회학회 2007 韓國社會學 Vol.41 No.5

        역사 연구에서 법칙정립과 개성기술, 구조와 행위/과정, 결정론과 확률론의 인식론적 구분, 그리고 과학성의 문제는 이론과 역사의 통합과 관련한 중요한 방법론적 논쟁점들을 형성해 왔다. 이 글의 목적은 영미권 비교 ― 역사사회학에서 논의되어 온 방법론적 흐름을 이 논쟁점들을 중심으로 재구성해 보고, 그 과정에서 제시된 해결책들을 평가해 보려는 데 있다. 이 글은 그 흐름을 세 시기로 나누어 고찰한다. 첫 시기는 방법론적 실증주의의 주도기로서 테다 스카치폴의 거시인과분석이 대표적인 방법으로 검토된다. 거시인과분석은 대단히 야심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비과학적이며 비역사적이라는 많은 비판을 유발하였다. 실재론적 접근은 이렇게 곤경에 처한 방법론적 실증주의 역사사회학에 대한 반성이자 대안으로 등장하였다. 두 번째 시기의 이론실재론적 접근은 인과기제에 대한 강한 이론적 확신을 통해 역사사회학의 과학성을 강조하고자 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론과 역사의 인식론적 통합의 문제에 몇 가지 한계를 보여주었다. 세 번째 시기에 두드러지고 있는 최근의 비판 실재론은 개방체계의 개념과 새로운 과학관으로 방법론적 실증주의와 이론 실재론에서 해결되지 못했던 인식론적 대립의 문제를 해결하려 함으로써 역사와 이론의 화해를 모색하고 있다. The epistemological divides between nomothetic and idiographic, structure and agency/process, determinism and probabilism, and the problem of scientificity in historical inquiry have constituted the points of methodological debates on the issue of the integration of theory and history. Reconstructing the methodological trend on this issue in comparative-historical sociology, this article critically evaluates solutions suggested so far. The trend is reviewed in three phases. The first phase was led by methodological positivism, represented by Theda Skocpol’s method of macro-causal analysis. Although the method was ambitiously suggested and applied, it soon invited many criticisms that it was neither scientific nor historical. Realist approaches emerged as responses and alternatives to the impasse of methodological positivist historical sociology. Theoretical realist approach of the second phase attempted to emphasize the scientificity of historical sociology through firm theoretical belief in particular causal mechanisms, which nonetheless resulted in sacrificing the task of the integration of theory and history. Critical realist approach that is salient in the third phase, with the notion of open system and the novel view on science, attempts to synthesize theory and history by dissolving the epistemological divides.

      • KCI등재

        비교사의 시각에서 본 한국의 파시즘과 권위주의

        채오병(Chae, Ou-Byung) 비판사회학회 2016 경제와 사회 Vol.- No.111

        이탈리아와 독일의 역사적 원형으로서의 파시즘 체제 이후 전 세계적으로 등장한 ‘유사하지만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은’ 정치체제는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가? 유럽의 경험에 근거하여 비유럽의 정치경험을 파시즘 유무 여부로 접근하는 이분법적 분석논리를 넘어, 이 글은 그것이 다층적으로 조망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한다. 이 글은 파시즘이라는 것이 사상, 운동, 체제의 세 수준으로 접근 될 수 있음을 소개하고, 이어 체제로서의 파시즘과 권위주의 독재와의 차이에 대해 논의한다. 그리고 이 글은 이러한 비유럽권에서 나타나는 ‘파시즘의 다양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행이라는 정치경제학적 조건과 번역이라는 문화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고려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는 해방정국과 초기 이승만 정권기(1948~1953)에 예시적으로 적용된다. 사상으로서의 일민주의는 이행의 조건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이었음에도 파시즘적 성격을 보여주고 있는데, 그것은 상당 부분 유럽, 중국, 그리고 특히 일본으로부터의 번역의 결과였다. 운동으로서의 파시즘은 적어도 정부수립 전까지는 대단히 미약하게 나타났다. 일민주의가 초기 이승만 정권의 지도이념이었고 아래로부터의 운동이 미약했다는 사실은, 이승만 정권기 파시즘화가 이승만 및 족청계의 권위주의적 반동에 의해 추동되었음을 의미한다. 일민주의와 함께 이중국가화 및 동형 기구의 설치, 대중동원과 강제적 동질화를 위한 관변 단체의 설치는 파시즘화의 진전이었지만, 그것은 파시즘 체제로 완성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이 글은, 체제로서의 파시즘이 없었던 한국에서도 여전히 파시즘 논의가 유효함을 주장한다. How can we understand the ‘almost the same but not quite’ political regimes that have been globally established ever since the historical formation of the original fascism in Italy and Germany? Beyond the binary analytical logic that, based on European experience, judges whether non-European experiences were fascism or not, this article argues that they need to be approached from many angles. This article shows that fascism can be seen from the three levels of ideology, movement, and regime, and makes a distinction between fascist regime and authoritarian dictatorship. Moreover, in order to understand non-European ‘varieties of fascism,’ this article suggests that both ‘transition’ as politico-economic conditions and ‘translation’ as cultural influence need to be considered. As an exemplar, the theoretical discussion is then applied to the period of liberation and the early Rhee Syngman regime in Korea. Ilminchuŭi as an ideology, despite of insufficiency of structural conditions, reveals considerable fascist characteristics, which was the result of translation from Europe, China, and particularly Japan. Fascism as a movement, at least until the formation of the Rhee regime, was quite weak. The fact that Ilminchuŭi was official national policy of the Rhee regime and fascist movement from below was weak means that fascization under the regime was initiated as an authoritarian reaction by Rhee Syngman and Chokchŏng faction. Although Ilminchuŭi, the existence of the dual state, parallel organizations, mass mobilization and compulsive homogenization were certainly advancement of fascization, they did not result in fascism as a regime. Lastly, this article argues that discussion of fascism is still valid in the case of Korea that lacked fascism as a regim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냉전과 지역학 -미국의 헤게모니 프로젝트와 그 파열, 1945-1996

        채오병 ( Ou Byung Chae ) 한국사회사학회 2014 사회와 역사 Vol.0 No.104

        이 글의 목적은 전후 미국에서 발전한 지역학의 성격에 대한 상반된 시각을 인지하고, 20세기 중반에서 후반에 이르는 미국 내 지역학의 궤적에 대한 재해석을 시도하는 것이다. 먼저 이 글은 미국의 헤게모니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육성된 지역학의 탄생을 그것을 실질적으로 관장했던 사회과학연구협의회의 활동과 국가방위 교육법을 통한 연방정부의 기금, 그리고 주요 민간재단의 지원을 중심으로 개괄한다. 다음으로 이 글은 지역연구 분야를 라틴 아메리카, 중동, 아프리카, 소비에트와 동유럽,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및 남아시아의 여섯 개로 나누어 구체적 전개 양상을 검토한다.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점은 초기의 냉전적 기조에도 불구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많은 경우 미국의 냉전 의도와 상충하거나 이에 저항하는 결과로 귀결되었다는 것이다. 이어 이 글은 그 원인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는데, 그것은 무엇보다도 지역학을 둘러싼 미국의 헤게모니 프로젝트와 현실의 괴리였다. Recognizing the opposite opinions regarding the character of area studies in the US after the Second World War,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interpret the trajectories of the area studies. This article begins with the birth of area studies as a US hegemonic project, focusing on the activities of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the funding of the National Defence Education Act, and supports from private foundations. Next, it examines the concrete trajectories of area studies, dividing it into six categories of Latin America, Middle East, Africa, Soviet and Eastern Europe, East Asia, and South(East) Asia. What appears common to them is that, in spite of initial Cold War ascendence, gradually area studies produced results that often contradicted with the Cold War intention, or that resisted against it. Finally this article attempts to locate the cause, which is the gap or contradiction between hegemonic project and realities.

      • KCI우수등재

        부르디외 글로벌화하기 : 상징권력과 국가, 그리고 제국

        채오병(Ou-Byung Chae) 한국사회학회 2021 韓國社會學 Vol.55 No.4

        ‘사회학을 어떻게 탈식민화할 것인가?’라는 질문을 중심으로 사회학에서는 자체에 스며든 제국의 무의식을 드러내려는 작업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이 글은 동일한 문제의식에서 피에르 부르디외의 사회이론, 특히 그의 국가론에 대한 경험적 비판을 통해 그의 상징권력 이론의 글로벌한 재구성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우선 이 글은 국제단위계의 사례를 통해 상징권력의 궁극적 수렴지가 ‘국가’보다는 ‘제국-국가’일 수 있음을 지적한다. 다음으로 이 글은 ‘상징권력과 국가’의 제목으로 그의 초기 작업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통해 그의 방법론적 국가주의 혹은 제국의 무의식이 상징권력과 제국의 관련성에 관한 상상력을 제한했음을 지적한다. 이어 이 글은 ‘상징권력과 제국’의 제목으로 그 제한된 상상력을 다시 풀어 그의 상징권력에 관한 논의가 글로벌한 차원으로 확대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한다. 네 가지 가설적 논의가 제시된다. 마지막으로 이 글은 부르디외 이론의 비판적 재구성이 갖는 함의를 포스트 식민주의와의 관련성과 함께 간단히 논의한다. Numerous studies actively tried to locate and unveil the imperial unconscious that has permeated sociology as a discipline by raising the question, how to decolonize sociology?. Following these attempts, this article critically reviews social theory of Pierre Bourdieu, particularly on the state theory, to explore a possibility of a more global reconstruction of the theory of symbolic power. This research composes of three fold of logical process. First, it takes a case of “International Standard (SI)”, to illustrate that the empire-state is indeed where the ultimate convergence of symbolic power occurs, rather than in the ‘nation-state’. Next, under the title of ‘symbolic power and the state’, and based on the review of his earlier works, a subsection of this study points out that his methodological nationalism or his imperial unconscious limited him from activating imag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ymbolic power and empire. Then, another subsection under the title of ‘symbolic power and empire’ explores a possibility that the discussion of symbolic power extends its range on a global scale by suggesting four streams of hypothetical discussions. Lastly, this article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e critically reconstituted Bourdieu’s theory concerning postcolonialism.

      • KCI등재

        ‘생명사회성’론의 성과와 한계

        채오병(Chae, Ou-Byung),배태섭(Bae, Tae-Sup) 한국이론사회학회 2013 사회와 이론 Vol.22 No.-

        유전학을 중심으로 한 생명공학의 급속한 발전은 인문사회학 분야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대표적 논의 중 하나가 폴 래비노우에 의해 제안된 생명사회성으로서, 그는 새로운 유전학의 발달이 새로운 개인 정체성 및 집단 형성의 근간이 될 것이라고 전망하였다. 이 글의 목적은 생명사회성 개념에 영감을 받은 경험 연구들을 토대로 이 개념의 유용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우선 이 글은 생명사회성론의 의의와 성과를 정체성의 실천, 자연/문화 이분법 극복, 푸코의 생명 정치 논의의 계승이라는 세 가지 주제로 살펴본다. 다음으로 이 글은 생명사회성론의 한계를 개념의 외연 문제, 포스트게놈시대의 도래와 그에 따른 생명사회성 형성의 더딤, 생명사회성 형성의 복합적 요인 및 서구 중심주의, 그리고 생명사회성론의 정치적 함의라는 네 가지 주제로 살펴볼 것이다. 결론에서 이 글은 생명사회성 개념의 유효성이 래비노우가 예상했던 결정론적 세계관 속에서가 아닌, 대단히 제한되고 소박한 범위 내에서 유지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The rapid development of biotechnologies led by new genetics has profound impact on human sciences. Among the representative works is the concept of biosociality proposed by Paul Rabinow who suggested that the new genetics would be a basis for individual identities and group formation. Based on the reading of empirical studies inspired by the concept of biosocialit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use of this concept. First, this article reviews the implications and achievements of the concept in terms of identity practices, the overcoming of nature/culture dichotomy, and extension of Foucauldian biopolitics. Next, this article points out four limits of the use of this concept, namely, the problem of the boundary of the concept, post-genome complexity and unexpected rarity of biosociality, the complex factors in the formation of biosociality and its eurocentrism, and biosociality’s political implication. Finally, in conclusion, we suggest that the concept of biosociality, being no more within the worldview of determinism once held by Rabinow, will be meaningful when used restricted and humble way.

      • KCI등재

        민족형식과 민족주의

        채오병(Chae Ou-Byung) 한국사회학회 2007 韓國社會學 Vol.41 No.4

        어떻게 제국의 문화는 반식민 민족주의 내부에 자신을 배태시키는가? 이 글은 식민화 초기 한국의 종족적 민족 담론의 형성을 검토하면서, 제국의 식민ㆍ민족 담론과 한국의 민족 담론 사이에 상동적 관계가 성립되었음을 제시한다. 한국의 정치 엘리트들은 일본으로부터 핵심적인 정치개념들을 받아들였고, 이에 기초하여 식민화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저항을 시도하였다. 이 과정은 동시적인 제국문화의 헤게모니적 인각과 그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반발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 반식민주의적 민족의 상상은 일본에서 종족적으로 가공된 서구의 번역어들이 공리적 보편 개념들로 한국에 수용되었다는 점에서 헤게모니적 인각의 과정이었고, 동시에 이 개념들의 활용에 의해 식민화에 대한 저항담론이 생산되었다는 점에서 이데올로기적 반발의 과정이었다. 이 동시적 인각과 반발은 민족주의 전파에 대해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즉 반식민 민족주의의 형성은 제국문화의 일방적인 모방 혹은 거부에 의해서만은 설명될 수 없다. 이 글은 구체적인 반식민 담론이 식민 문화를 이데올로기적으로 거부 혹은 모방한다면, 인식론적 도식으로서의 제국의 민족 형식은 헤게모니적으로 인각되며, 이것은 제국문화와 반식민 문화 사이에 존재하는 동시적인 형식적 유사성과 내용적 대립 ― 상동성 ― 을 가능케 한다는 것을 주장한다. 헤게모니적으로 인각된 제국의 문화는 식민주의자의 강제를 통해서가 아니라, 피식민지인의 자발적 유포를 통해, 즉 반식민 담론의 유포를 통해 그들 자신의 의식 내면에 안착된다. How does imperial culture manage to embed itself in anticolonial nationalism? Examining the formation of Korean nationalist discourse during the initial period of colonization, this paper shows the homological relationship established between Japanese colonial/ethnic and Korean ethnic nationalist discourses. Korean nationalists adopted key political and nationalist concepts from Japan, upon which ideological contestation against colonization was deployed. This process can be characterized as a simultaneous hegemonic inscription and ideological contestation of imperial culture. Anticolonial nationalist imagination was a process of hegemonic inscription in the sense that ethnically processed Western political terms in Japan were introduced in Korea as if they were axiomatic universal concepts; it was also a process of ideological contestation in the sense that anticolonial discourses were formulated from these terms. This double process of inscription and contestation suggests a theoretical implication regarding the issue of diffusion of nationalism. The formation of colonial nationalism cannot solely be explained either by imitation or rejection of imperial culture. Rather, while concrete anticolonial discourse refutes or imitates imperial culture, in the process of this contestation or mimicry, nation form as epistemological schema is hegemonically inscribed, which together establishes the homological relationship of similarity in form and opposition in content between the two antagonistic cultures. The imperial culture is, then, internalized among the colonized not through the coercion of the colonizer, but through the former's voluntary proliferation of anticolonial discourse.

      • KCI등재

        이승만 정권의 사회정책, 1948-1958

        채오병(Ou Byung Chae) 한국사회이론학회 2014 사회이론 Vol.- No.46

        해방 후 한국의 복지는 민간주도의 특징을 갖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미 제헌헌법에는 상당한 사회정책적 함의가 담겨 있었다. 이러한 간극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으며, 또한 그 간극 속에서 이 승만 정권기 민간주도 복지가 한국 사회복지의 원형을 이루게 된 경위는 무엇인가? 이 질문에 답을 구하기 위해 우선 이 글은 ‘사회적인 것’의 발견 및 그것의 사회정책과의 관련성을 서구의 사례와 한국의 식민지기를 통해 간단히 살피고 이로부터 당시 정치문화에 주목해야 할 단초를 찾는다. 다음으로 이 글은 제헌헌법에 나타난 사회정책적 함의를 일별하고 그 이념적 성격과 현실과의 괴리 문제에 대해 논의한다. 이어 이 글은 1954년 개헌의 경제조항 개정을 균등경제로부터 시장경제로의 전환으로 이해하고, 그 전환의 배경을 당시의 이념적이고 정치적인 지형의 변화, 즉 1950년대 중후반의 자유주의와 발전담론의 득세 및 족청계와 혁신계의 몰락에서 찾는다. Although social welfare in post-liberation South Korea is understood as private welfare, its Constitution prepared for comprehensive social policy. How can we understand this discrepancy, and in spite of this gap, what precipitated the ascendance of private-led welfare that became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social welfare? In order to answer this question, first, this article briefly reviews the discovery of ‘the social’ and its implications for social policy in Western cases and colonial Korea from which it locates a clue to pay attention to political culture. Next, this article reviews the implications for social policy in the first Constitution and discusses the discrepancy between its ideology and realities. It then understands the revision of amendments regarding economy in the Constitution in 1954 as a shift from equitable to market economy, and looks for the background of the shift in the changes in ideological and political terrain, namely the rise of liberalism and developmentalism, and the downfall of jokch`ng faction and radic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