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Logo therapie와 독서치료의 접점 탐색(안)

        채연숙 한국독서치료학회 2015 한국독서치료학회 학술대회지 Vol.- No.13

        인간은 예나 지금이나 언어의 치유력과 파괴력을 동시에 경험하며 살아간다. 특히 ‘좋은 말’과 ‘나쁜 말’은 인간의 마음을 움직여 상처와 위안을 주곤 한다. 이처럼 우리 인간은 일 상의 말들 속에서 우리 자신을 잃어버리기도 되찾기도 한다. 이러한 언어의 마법 같은 힘 을 치유 및 치료적으로 활용하는 영역이 바로 독서치료나 문학치료일 것이다. 물론 우리나 라의 독서치료나 문학치료를 보면 이들 사이에도 미묘한 이론적 배경의 차이가 엄연히 존 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에 수용된 문학치료의 경우만 보더라 도 문학치료의 종류는 대개 통합이론을 토대로 한 통합문학치료학과 ‘자기서사 self-epic’를 주요개념으로 한 문학치료학 등 두 가지 주류로 발전을 하고 있다(채연숙 2015, 12).

      • KCI등재

        가족의 회상과 기억을 통해 복원된 어머니상 -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에서 어머니 삶을 근거로

        채연숙,권미자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tore new mother's image through the recollection and memory of family after disappearance of mother from the novel, Please Look After Mom, written by Shin, Kyung-Sook. Of course, the mother's image that the family recalled after her disappearance was reproduced with the scars and regret of each individual who never thought in everyday life. Because the mother's life is made up of excessive self-sacrifice and self-abuse that whole family can be happy by throwing herself. In other words, the mother's image which is described in the work is that she is willing to sacrifice her mind and body for the sake of family.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the scenes influenced by healthy mother's image which is opposed to the work and restore the mother's image based on them. In addition, this study seeks to reproduce the new mother’s image based on wish, hope, expectation, desire and dream of the mother's lost life described in the work. Also, this study attempts to show how the mother's image presented as a case can be reborn as a new mother's image in the frustrated situation. This will be a new message and meaning to all mothers who are living in this age beyond ‘your’ mother in the novel. Ultimately,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healthy and independent mother’s image of the present age through the mother’s image of novel which is redrawn by the family’s memory and reminiscence after the mother’s disappearance.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에서 어머니의 실종 이후 가족의 기억과 회상을 통해 새롭게 어머니 상을 복원하는데 있다. 물론 실종이후 가족들이 기억해낸 어머니의 상은 일상에서는 생각하지 못한 이들 개개인의 상처와 아쉬움으로 재현되어 있다. 왜냐하면 어머니의 삶은 자신을 던짐으로써 가족이 행복해질 수 있다는 과도한 자기 희생과 피학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이 작품에서 서사된 어머니의 상은 가족을 위해서라면 자신의 심신을 기꺼이 희생하는 모습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어머니의 상의 대립상인 건강한 어머니상은 어떤 장면에 녹아있는지를 찾고, 그것을 토대로 어머니 이미지를 복원하고자 하였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새로운 어머니의 상을 이 작품 속에서 기술된 어머니의 잃어버린 삶의 소망, 소원, 기대, 욕구, 바램 등을 중심으로 재현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사례로 제시되는 어머니상이 좌절된 상황에서 어떻게 새로운 어머니상으로 거듭나게 되는지를 보여주고자 한다. 이는 작중 주인공 ‘너’만의 어머니를 넘어 백세 시대를 사는 우리 모두의 어머니들에게 던지는 새로운 메시지이자 의미가 될 것이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실종이 된 후에야 비로소 가족들로부터 회상되는 어머니 이미지를 통해 우리 시대의 건강하고 자율적인 어머니상을 재구성하는데 있다.

      • KCI등재

        자기 몸 상해 완화를 위한 문학치료 -옐리넥의 소설 『피아노 치는 여자』에서 에리카의 내면 서사 분석을 근거로

        채연숙,박성숙 한국독서치료학회 2022 독서치료연구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엘프리데 옐리넥의 소설 『피아노 치는 여자 Die Klavierspielerin』(1983)에서 주인공 에리카가 어머니의 억압적인 양육 태도로 인해 자기 몸 상해, 강박, 가피학적 행동을 보이는 배경을 그녀의 내면 서사를 토대로 탐색하고 이에 대한 문학치료적 대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에리카가 자기의 몸에 상해를 하는 행동은 서사 중 4개의 장면에서 두드러지게 서술되고 있으며, 에리카의 이러한 행동의 배경에는 서사를 근거로 분석을 해보았을 때 모녀간의 과도한 애착과 어머니의 억압적인 양육 태도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에리카의 자기 몸 상해의 행동들이 악화 일로에 놓여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이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을 에리카의 내면 서사를 통해 밝히되 그에 대한 문학치료적 개입에 대한 제안도 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다루는 에리카의 자기 몸 상해의 과정들의 근원들은 우선 첫째, 유년기부터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어머니의 철저한 감시와 통제로 인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한 관계 형성의 실패가 가피학적 행동으로 발전되었다고 본다. 둘째, 에리카는 ‘자기의 몸에 대한 소유권’을 스스로 가지려는 충동으로 자기의 몸을 상해하는 행동을 한다. 마지막으로 에리카가 보이는 자기 몸 상해의 행동들은 우울이나 강박, 가피학적 행동, 관음 등과도 복합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에리카의 자기 몸 상해 행동이 제1장에서 제 8장까지의 소설 전체의 내면 서사 분석을 통해 그녀의 이러한 행동들이 어디에서 시작되었으며, 이러한 행동을 어떻게 완화할 수 있는지를 문학치료적으로 제안한다. 이러한 문학치료적 제안들, 즉 에리카가 유년기부터 억압되어 온 소망들을 소급하여 ‘재경험’함으로써 에리카와 유사한 자기 몸 상해 행동을 하는 내담자들을 행동을 이해하고 지원하는 데 유의미한 사례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자기의식화로 보는 치유 체험 과정

        채연숙,박미정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2

        Self-Consciousness as a Healing Experience Process. The primary base in the integrative poetry & bibliotherapy on whether or not having experienced healing and remedy is to understand(verstehen) whether a participant oneself came to properly know all these processe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healing process happens through a self-consciousness pattern, which is the development process of a participant's consciousness in literary therapy, while writers regard this process as same as the development process in human consciousness of being mentioned in the phenomenology of spirit. A human being comes to be developed consciousness through diverse self experiences of being faced in the middle of life. Especially, the consciousness, which was developed through reflection and introspection, is considered to lead to the true self-consciousness pattern, and to the possibility of increasing quality of life through proceeding with realizing self. This self-consciousness pattern, above all, may be a major variable in which a participant judges the experience of healing and remedy. Also, the literary therapy functions as helping a human being's subjective substantialization so that a participant oneself can experience healing after passing through the process of the self-consciousness pattern. Hence,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how the self-consciousness pattern takes place in her whole life through Hanna who is a female character in a movie titled <The Reader>, and also how the healing experience is embodied through such process. That is because Hanna, who is a character in a movie, could not feel all the conscience or responsibility, and guilt in her illiterate state, and came to read and write letters, thereby coming to finally get Deep Conscience, which is 'human dignity.' Consequently, this study aimed to see Hanna's this process from the perspectives of sense, interrelation, auto-regression, and deep-conscience detection as the healing experience on the one hand and as an aspect of the self-consciousness pattern on the other hand. In this way, the process of the self-consciousness pattern may occur through various routes. However, what there is not this process is considered to lead to being incapable not only of being experienced either healing or remedy, but also of being happened a growth as an individual. 통합문학 치료학에서 치유 및 치료체험을 하였는가 또는 하지 못하였는가에 대한 주요 기준은 참여자 스스로 이 모든 과정을 제대로 알게 되었는가 verstehen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필자들은 이러한 과정을 정신현상학에서 말하는 인간 의식의 전개과정과 동일한 것으로 보고, 문학치료에서 참여자 의식의 전개과정인 자기의식화를 통한 치유과정이 어떻게 일어나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자기의식화는 참여자가 치유 및 치료체험을 판단하는데 있어 주요 변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문학치료는 참여자 스스로가 자기의식화의 과정을 거쳐 치유경험을 할 수 있도록 인간의 주체적인 실체화를 돕는 기능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화, <책읽어주는 남자>에서 여성 인물, 한나를 통해 그녀의 삶 전반에서 어떻게 자기의식화가 일어나며, 또한 그러한 과정을 통해 치유적 체험이 어떻게 구현되어가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왜냐하면 영화 속 인물, 한나는 자신이 문맹상태에서는 일체의 양심이나 책임, 그리고 죄의식을 느낄 수 없었고, 문자를 읽고 쓰게 됨으로써 비로소 ‘인간의 존엄’인 참양심 Deep Consience을 얻게 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감각, 상호관계 그리고 자기회귀 및 참자아 발견의 관점으로 본 한나의 이러한 과정이 한편으로는 치유체험이 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자기의식화의 한 측면으로 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언어의 위기와 형이상학의 종말 : 크라우스의 문화비판과 극작품 『 인류 최후의 날들 』 Die letzten Tage der Menschheit von Karl Kraus

        채연숙 한국독어독문학회 2000 獨逸文學 Vol.75 No.1

        Die Forschung u¨ber Karl Kraus and vor allem u¨ber seine Werke ist immer noch sehr beschra¨nkt, and dies nicht nur in der koreanischen Germanistik. sondern auch im deutschsprachigen Raum. Ein Grund, weshalb er im Vergleich mit den Arbeiten seiner Zeitgenossen wie Hofmannsthal, Schnitzler u. a. sogar in der o¨sterreichischen Germanistik vernachla¨ssigt wird, liegt darin, dass sich Kraus mit exzentrischen Kunstmitteln bescha¨ftigte: Satire and Kulturkritik. Als Kulturkritiker and auch als Moralist versucht Kraus vor allem, seine kulturkritische Position and die Wahrheit ex negativo zum Ausdruck zu bringen. Mit den Satiren artikuliert er seine Einstellung zum kommenden Untergang der Menschheit, and zwar im Modus der Beerdigung der Metaphysik. Auf die Erfahrungen des Sprachverfalls durch den Journalismus and die Verfa¨lschungen der Presse reagierte er mit seiner scharfen Sprachkritik. Er sieht ein, daß die Entwicklung der damaligen Sprache weder aufzuhalten, noch ruckga¨ngig zu machen ist, daß sie durch die Wissenschaften in die Spezialisierung and aus der Aufkla¨rung in die instrumentelle Verfu¨gbarkeit u¨ber Menschen getrieben wird and daher nicht mehr Ausdruck der Menschenseele ist. Aus dieser Einsicht heraus versucht er der Sprache neue Flexibilita¨t zu verleihen. Seine zentrale Absicht mit diesem Engagement war die Emanzipation durch Sprache. Mit dieser Einstellung schreibt Kraus in seinem Theaterstu¨ck Die letzten Tage der Menschheit seine eigenen Gedanken nieder. Darin versucht er, nicht nur, die Verku¨mmerung der erlebten zur gebrauchten Sprache zu kritisieren, sondern auch zu beka¨mpfen. Die in dieser Arbeit eingehend untersuchten Darstellungen Bind nur die Fetzen von Bildern der untergehenden habsburgischen Monarchie im Ersten Weltkrieg. Vom Sar~,jewo-Attentat bis zum milita¨rischen Zusammenbruch werden u¨ber 220 Szenen dargestellt. Die Handlungen zeigen Vielheit and Dispersion, wodurch die Zusammenha¨nge aber verdeckt werden. Sie geben solcher atektonischen Dramenstruktur den Charakter des Unabgerundeten. Das Geschehen setzt unvermittelt ein, and es bricht unvermittelt ab. Die Geschehnisse sind innerhalb dieser Scheingrenzen nicht kontinuierlich schlu¨ssig, sondern punktuell interruptiv, nicht einer Entwicklung folgend, sondern Gleichwertiges reihend. Kraus kritisierte mit dieser dramatischen Form die Zeit, indem er die kritische Situation bloß darstellt, aber nicht direkt interpretiert. Dieser Struktur entspricht es, dass er sich anstrengt, ku¨nstlerische Autonomie der Sprache herzustellen, ohne ihrem mitteilenden Aspekt Gewalt anzutun. Und ferner entspricht sie seinem Gedanken, loss die metaphysische Welt der Habsburgischen Tradition verfallen ist. Diese Absicht wird in Form des Integrationspunktes angedeutet, daß die Menschheit beinahe vor der Tu¨r des Unterganges steht and nicht mehr davon loslassen wird. Die Kraus-Auslegung wird erst dadurch sinnvoll, loss man ihn nicht b1oß aus dem erkenntnistheoretisch-a¨sthetischen Versta¨ndnis, sondern aus dem kulturell-semiotischen Erlebnis zu erschließen sucht.

      • KCI등재

        문학치유적 의미접근으로 본 독일문학

        채연숙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2

        Healing function of German literature has recently gained increasing attention. For example, this function has begun with Hesse and Kafka, and it is even expanding throughout overall German literature. This paper discussed five German literary episodes moving from psychopathological point of view “pathogenese" to mental health perspective “salutogenese”. For instance, five episodes include 1. Injured Werther, 2. Wilhelm with broken heart, 3. Painful Anton, 4. Alienated and oppressed Peter, 5. Illiterate Hanna. The psychopathological flow of these characters transforms into various images (1-1. Werther who reads Homer and obtains comfort, 2-2. Wilhelm who gains comfort by his daughter Minon’ s song, 3-3. Anton who grew up as he hoped for his childhood, 4-4. Peter who acquires consolation by mourning Boppi’s death about sense of lose about mother’s death in childhood, 5-5. Hanna who truly sympathizes with the death of Jewish girls by reading and writing) through characters’ diverse way to overcome. This study focused on the vitality of life that characters suggested. Consequently, this paper will be able to provide a useful framework to utilize German literature as therapeutic Archiv. 최근 들어 독일문학이 갖는 치유적 기능이 주목을 받고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능은 헤세와 카프카에서 시작되어 심지어 독일문학 전반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신 병리적 측면 pathogenese에서 정신 건강학적 측면 salutogenese으로 이동하는 5개의 독일문학 에피소드를 논의의 대상으로 삼고자 하였다. 예를 들어 본 연구에서 다룬 5개의 작중 에피소드는 ① 상처받은 베르터, ② 실연을 당한 빌헬름, ③ 고통을 받은 안톤, ④ 소외와 억압을 당한 페터, ⑤ 문맹 상태의 한나) 등이다. 이러한 인물들의 정신 병리적 흐름은 인물들의 다양한 극복방법들을 통해 ⓵ ㅡ1. 호머를 읽고 위안을 얻는 베르터, ⓶ ㅡ2. 딸 미뇽의 노래로 위로를 받는 빌헬름, ⓷ ㅡ3. 유년시절 소망하던 자신의 모습대로 성장하게 되는 안톤, ⓸ ㅡ4. 어린 시절 어머니 죽음에 대한 상실감을 보피의 죽음을 애도함으로써 위로를 받게 되는 페터, ⓹ ㅡ5. 글을 읽고 씀으로써 유대인 소녀들의 죽음을 진정으로 공감하게 되는 한나의 모습 등으로 변화하게 된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인물들이 보이는 삶의 활력에 초점을 두어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독일문학을 치유적 아카이브로 활용하는 데 유용한 분석 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독일 문학의 자기 치유적 기능 - 영화 <타인의 삶 Das Leben der Anderen>(2005)에서 비슬러를 사례로

        채연숙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동서인문학 Vol.- No.63

        This study examined how Wiesler empathizes with the artistic sensibility of Dreyman as a person under surveillance and proceeds with being changed, by tracking Wiesler’s process of an emotional change in <The Lives of Others(Das Leben der Anderen)>. The results that were elicited through the proces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 about three things. First, the literary sensitivity, namely, the artistic sensibility of being erupted by Dreyman led to being able to be changed Wiesler’s language and behavior. Second, Wiesler’s cold-bloodedness and solitude were transformed gradually into the mental-health aspect dubbed the consideration and empathy. Third, it is general for German literature to traditionally show the narrative of growth. Still, even this movie was regarded as being involved in such tradition. Also, in this study, what Dreyman browsed his past records(primary literature: records for the Barbados Secondary Teachers' Union STASI) and published a book titled <Sonata For A Good Man(Die Sonate vom guten Menschen)> (secondary literature: ‘figurative language(Gestaltete Sprache)’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ities therapy or literary therapy was already deemed itself as the process of the self-healing experience. Especially, a fact that Dreyman dedicated his book to Wiesler (HGW XX/7) was considered to possibly become a mutual reward for the past and a sense of reconciliation as for both of these men. In addition, this study regarded Wiesler’s story of growth and change of having been made in a short period as being in line even with the history of the times when the unified Germany was brought in those days. This point was also seen to have a considerable political and social significance. 본 연구는 독일영화 『타인의 삶』에서 비슬러의 정서적 변화 과정을 추적하여 그가 피 감시인 드라이만의 예술적 감성에 어떻게 감정이입이 되고 변화되어 가는지를 다룬다. 본 연구의 과정을 통해 도출한 결과는 약 3가지 정도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문학적 감수성, 즉 드라이만이 분출하는 예술 감성으로 인해 비슬러의 언어 및 행동이 변화될 수 있었다. 둘째, 비슬러의 냉혈함과 고독은 점차 배려와 공감이라는 정신 건강학적인 측면으로 변화되었다. 셋째, 독일 문학은 전통적으로 성장 서사를 보이는 것이 일반적인데, 본 영화 또한 그러한 전통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인문치료나 문학치료적 관점에서 드라이만이 자신의 과거 기록물을 열람하고(1차 문학: 슈타지 문서보관청 기록문), <선한 사람의 소나타 Die Sonate vom guten Menschen>라는 책을 출판(2차 문학: ‘형상화된 언어 Gestaltete Sprache’)한 것은 이 자체가 이미 자기 치유 체험의 과정으로 간주하였다. 특히 드라이만이 자신의 책을 비슬러(HGW XX/7)에게 헌정하였다는 사실은 이 두 사람 모두에게 과거에 대한 상호 보상이자 화해의 의미가 될 수 있었다고 본다. 아울러 본고에서는 단기간 내에 이루어진 비슬러의 성장 및 변화 서사가 당시 통일 독일을 이룬 시대사와도 그 맥이 닿아있다고 보았으며, 이 점 또한 상당한 정치・사회사적 의의를 갖는다고 보았다.

      • KCI등재

        작가의 표상으로서 새로운 인간상 – 독일문학속의 인물들을 사례로

        채연숙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3

        Regardless of any age, it is obvious that a human being is available for re-education. That is because the human mind is being breathed Being/Dasein and Deep Conscience peculiar to a human being. This is also a human being's differentiation from artificial intelligence and robot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ask about a human being's role and function in the 21st century due to the recent appearance of AI(artificial intelligence) or robot engineering as for a writer's attention here, and to examine how we humans will be able to coexist with these AI and robot. Hence, with paying attention to a new human image in German literature going along with a flow of the learning in whic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emerging as an urgent concern these days, this study aims to make a suggestion through seeking this in Karl Philipp Moritz's full-length novel 『Anton Reiser』(1785)』 and Hesse's 『Peter Camenzind』(1904). In terms of pursuing a new human image, the characteristics, which were found in these two characters, can be arranged as the following 3 things. Under this context, a common ground in the main characters of these two novels can be arranged as the following 3 things. First, these leading characters are recording each one's life. For instance, Anton records own life through a medium dubbed a poem. On the other hand, Peter leaves the processes of a life for self-growth and development in the form of a travel diary. What is more interesting between these two is that both main characters have a goal and a dream of a life ultimately as becoming a poet. These characters' dream is realized, of course. Thus, these two result in becoming a generally admitted poet. Second, both characters proceed with seeking their own method of independent life with leaving home. Especially, Anton makes a hard life enough to necessarily skipping meals as well as living in other person's house in order to go to school. On the other hand, even Peter comes to proceed with resulting in seeking own way following all kinds of hardships. Third, nevertheless, these characters select a life of returning to his hometown(in case of Peter) and or of devoting himself to community(Anton). This can be considered that these characters show an open human image of ultimately living with people in their livelihood without being frustrated even amidst the process of a tough life.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인간은 재교육이 가능하다는 사실은 자명하다. 왜냐하면 인간 내면에는 인간만이 가지는 고유의 참자아 Being/Dasein와 참양심 Deep Consience이 숨쉬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또한 인간이 제 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공지능 및 로봇과는 차별화된 점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필자가 여기서 주목을 하고자 하는 것은 최근 인공지능(AI)이나 로봇공학의 등장으로 21세기 인간의 역할과 기능에 관해 묻고 우리 인간이 이러한 인공 지능 및 로봇들과 어떻게 공존할 수 있을까 하는 것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제4차 산업혁명이 초미의 관심사로 대두하고 있는 학문의 흐름에 편승하여 독일문학에서의 새로운 인간상에 주목을 한 바 이를 칼 필립 모리츠 Karl Philipp Moritz의 장편 소설, 『안톤 라이저 Anton Reiser』(1785)』와 헤세의 『페터 카멘친트 Peter Camenzind』(1904)에서 찾아 제시하고자 한다. 새로운 인간상 모색과 관련하여 이 두 인물들에서 찾은 특징들은 아래와 같이 3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 하에서 본 이 두 소설의 주인공들의 공통점은 아래와 같이 3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이들 주인공들은 각각의 삶을 기록하고 있다. 예를 들어 안톤의 경우, 시라는 매체를 통해 자신의 삶을 기록하는가하면 페터의 경우, 자기 성장 및 발전을 위한 삶의 과정들을 여행일지라는 형식으로 남긴다. 이들 사이에서 더욱 흥미로운 점은 이들 주인공 모두가 궁극적으로는 시인이 되는 것이 삶의 목표이자 꿈이다. 물론 이들의 꿈은 실현되어 이 둘은 결국 자타가 인정하는 시인이 된다. 둘째, 이들은 모두 집을 떠나 자기만의 독립적인 삶의 방식을 찾아간다는 점이다. 특히 안톤의 경우, 학교를 가기 위해 남의 집 생활을 하는 것은 물론 끼니를 굶어야할 정도로 힘든 생활을 하는가하면 페터의 경우도 갖은 고생 후에 결국 자신의 길을 찾아가게 된다. 셋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자신의 고향(페터의 경우)으로 회귀하거나 살고 있는 지역사회를 위해 헌신하는 삶(안톤의 경우)을 선택한다는 점이다. 이는 이들이 고된 삶의 과정 속에서도 좌절하지 않고 궁극적으로는 이들의 삶의 터에서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가고 있는 열린 인간상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