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채성욱,곽길호,조용일,박광림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5 No.2
본 연구에서는 사장교 케이블의 풍진동에 대한 유지관리사례를 분석 및 조치 결과를 제시하였다. 사장교의 내측 최장 케이블에 설치된 가속도센서에서 약 14m/s의 고풍속에서 4g 이상의 가속도 데이터가 계측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석결과 고주파 와류진동 특성을 나타내며 케이블의 최대변위는 사용성 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케이블 정착구에서 타격 소음에 대한 현장점검 결과는 고감쇠 고무 댐퍼가 이탈 및 변형이 확인되어 원위치로 복구 및 교체, 댐퍼 고정 작업을 실시하였으며 교체한 댐퍼에 대한 감쇠 성능은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게임 사용자의 이타주의적 행위가 게임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채성욱,강윤정 한국경영정보학회 2014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
최근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이하 SNS)의 성장을 배경으로 급성장한 소셜 네트워크 게임(이하 SNG)은 게임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이자 게임업체들의 신비즈니스모델로 주목 받고 있다. 사람들 사이의 상호작용성을 활용한 SNG는 SNS의 장점과 게임의 재미를 결합한 서비스로 SNG를 통해 의미 있는 비즈니스모델을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사용자들의 지속적인 사용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SNG의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게임사용자의 이타주의적 행위에 주목하고, 이타주의적 행위가 어떻게 SNG의 지속사용의도로 연결될 수 있는지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하였 다. 기존문헌연구를 통해 조직행동이론 및 사회적 자본이론을 토대로 연구모형을 구성하였으며, 사회적 자본은 결속과 연결의 두 가지 하위 개념으로 변수화하여 모형에 반영하였 다. 모바일 SNG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으며, 총 223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 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결과, 게임사용자의 이타주의적 행위는 사회적 자본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이렇게 형성된 사회적 자본은 사용자 만족을 통해 간접적으로, 그리고 동시에 직접적으로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상팀 업무 환경에서 교류기억시스템이 창의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적 정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채성욱,서영욱 한국경영정보학회 2015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11
조직의 생존과 발전을 위해 창의적 성과가 더욱 요구되는 최 근, 조직의 다양한 비즈니스 문제에 대한 창의적인 해결 방안을 찾아내는데 가상팀을 활용하면 보다 수월하게 조직원들의 흩어져 있는 지식과 관점을 연결할 수 있 다. 본 연구에서는 대면 접촉에 의한 팀 활동이 제약 받는 가상팀 업무 환경에서 팀 구성원의 긍정적 정서가 어떻게 개인의 창의적 성과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지 교류기억시스템 이론(전문성파악, 신뢰, 업무조정)의 관점에서 그 메커니즘을 살펴본다. 본 연구를 통해 팀 구성원들의 창의적 성과 창출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 고, 긍정적 정서의 가상 업무환경에서의 효과적인 실무 운영전략 및 관련 이론 체계에 대한 학문적인 공헌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자들의 자기노출과 집합적 효능감에 관한 연구
채성욱,서영욱 한국산업경영학회 2017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1
정보기술의 발달과 함께 페이스북, 트위터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보편화 되면서 많은 사용자들은 본인의 개인정보를 비롯한 사진, 위치정보 등 자아를 드러내는 다양하고 민감한 활동정보를 게시글 작성 및 공유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NS에서 자기노출로 인한 잠재적 위험 가능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인의 정체성을 지속적으로 공 개하고 표출하는 현상을 기존 연구에서 바라보는 프라이버시 패러독스로 보기보다 개인들의 합리적인 판단에 따른 당연한 결과로 해석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프라이버시 우려와 프라이버시 위험 변수의 차이, SNS상에서 사용자들이 인지하는 집합적 효능감 변수를 도입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대인관계 형성과정에서 자기 노출여부를 결정하는 것과 관련된 개인의 인지적 과정을 설명하는 커뮤니케이션 프라이버시 관리이론을 토대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페이스북을 이용하는 19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표본을 수집 분석할 예정이다. 예상되는 분석결과는 프라이버시 위험은 자기노출에 부정적 영향을, 집합적 효능감은 자기 노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개인들의 주관이 반영된 프라이버시 우려는 자기노출에 직접적인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고, 집합적 효능감이 프라이버시 우려와 자기노출간의 관계를 조절한다.
소셜미디어에서 프라이버시 염려가 자기노출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관련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채성욱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2019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Vol.19 No.3
Today, many users use social media such as Facebook, Twitter, etc. to form, maintain and manage relationships with others. To maintain social relationships, social media users are disclosing a variety of information such as profiles, posts, comments, and photographs that reveals themselves online. However, this self-disclosure also carries with it a potential risk of privacy breach. This study examines the reasons why social media users disclose sensitive personal information despite their concerns about privacy. Furthermore, we also discuss the phenomenon of privacy paradox that has been covered in previous research.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and empirically tested with cross-sectional data from 359 Facebook use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social releva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elf-disclosure and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cy concerns and self-disclosure. In the case of high level of social relevance, self-disclosure occurs regardless of whether privacy concerns are high or low. When social relevance is low, the higher the concern for privacy, the less self-disclosure, users have been found to be self- disclosure at least by reasonable judgment.
Effect of Glycemic Control on the Incidence of Dental Implant Complications in Diabetic Patients
채성욱,김영성,김원경,이영규,김수환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 2023 대한구강악안면임프란트학회지 Vol.27 No.4
Purpose: This retrospective cohort study aimed to explore the impact of glycemic control on the survival of dental implants and the rates of post-loading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well to fairly well-controlled diabetes. Although diabetes is acknowledged as a relative risk factor for dental implants,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incidence of complications or implant survival in individuals with treated diabete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28 patients with 347 implants were enrolled. Patients and implants were grouped into two categories based on glycated hemoglobin (HbA1c) values in the pre- or postoperative period within two months: < 7% (well-controlled group) and 7% to < 9% (fairly well-controlled group). Comparative analyses included cumulative survival rates (CSR) and the occurrence of biological and technical complications between the two HbA1c levels. Results: After six years, implant survival was 98.0% in the well-controlled group and 98.8% in the fairly well-controlled group, wit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p = .853). The higher HbA1c level group exhibited a greater incidence of soft tissue complications than the lower HbA1c level group (p < .005). Conclusion: Implant therapy demonstrates predictability and satisfactory survival rates in patients with controlled diabetes. However, individuals with higher glycemic levels are more susceptible to soft tissue complications and bone loss following implant thera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