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세대론'에 관한 몇 가지 논의

        채백,Chae, Baek 한국대학교육협의회 1994 大學敎育 Vol.71 No.-

        요즈음 우리 사회에 유행하는 신세대론은 사회적 실체에 기반을 둔 분석적인 개념이라기보다는 상당 부분 매스컴이 만들어내는 가상현실에 기반하여 만들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어느 사회, 어느 시대에서나 존재하는 세대차이를 신세대라는 범주로 묶으려는 것은 바로 시장을 세대별로 세분화하여 상품의 영역을 확대함으로써 이윤을 극대화하려는 자본주의 시장논리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신세대라는 개념이 등장하게 되었고 뒤이어 미시족, 체크족, 트윈 X세대 등 여러 용어로 범주화되는 유사 세대개념들이 등장하며 또 이 개념들이 매스컴의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신세대론에 매몰되어 그들을 도덕적으로 판단하기보다는 변화되는 사회환경의 분석과 함께 그들의 문화를 이해하고 포용하여 눈높이를 맞추려는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동아일보』의 일장기 말소 사건 연구

        채백(Baek Chae) 한국언론정보학회 2007 한국언론정보학보 Vol.39 No.3

        『동아일보』의 일장기 말소 사건은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학계의 깊이 있는 연구 대상이 되지 못한 가운데 일방적으로 미화되거나 혹은 비판의 대상이 되어왔다. 이 논문은 이러한 일장기 말소 사건을 체계적으로 분석, 재평가해보려는 시도이다. 이 논문에서는 기존에 알려진 것과는 다른 새로운 사실도 밝히고 있다. 그동안 일장기 말소 사건에 대해서는 1936년 8월 13일에 『조선중앙일보』가 『동아일보』보다 먼저 했던 것으로 일려졌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 『동아일보』도 8월 13일자 조간 지방판에 『조선중앙일보』와 같은 사진이 실려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일제의 통제 의도와 이에 대한 동아일보사의 대응, 정간 해제가 이루어지게 된 배경과 경과에 대해서도 분석해보았다. 분석 결과 먼저 손기정의 마라톤 우승 소식 이후 『동아일보』의 보도 태도가 다소 달라져 보도에서 민족성이 되살아나는 보도들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보도 태도 때문에 일제도 방침을 바꾸어 일장기 말소 사건에 대한 탄압을 가했던 것이다. 일제는 이 사건을 계기로 해서 김성수와 송진우가 완전히 손을 떼게 힘으로써 『동아일보』를 환골탈태시키려 시도하였다. 이러한 통제에 대해 『동아일보』는 대립적인 태도를 보여주었다. 총독부의 의도는 『동아일보』의 실질적인 소유자인 김성수와 송진우로서는 수용하기가 어려운 것이었다. 이로 말미암아 『동아일보』의 무기 정간은 유례없이 9개월 넘게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1937년 6월 『동아일보』가 속간될 수 있었던 것은 여러 가지 현실적 여건 속에서 타협적인 태도로 선회하여 총독부의 의도를 수용하였기 때문이었다. This study tried to revaluate the Erasure of Japanese National Flag in Dong-A Ilbo. In spite of its historical significance, this event was not explored thoroughly by researchers. While it was known as Chosunjoongang-Ilbo erased the Japanese National Flag earlier than Dong-A Ilbo on August 13 1936, but this study found out that Dong-A Ilbo erased the Japanese National Flag in the local morning edition of the same day. With the victory of Kijeong Son in the Berlin Olympic Marathon the nationalistic coverage of Dong-A Ilbo seemed to be revived. And this change caused the severe suppression by the colonial Japanese government, The government intended to eliminate the influences of Seongsu Kim and Jinwoo Song to make Dong-A Ilbo more cooperative partner. But because the intention of the government was not acceptable to two men, Dong-A Ilbo posed a noncooperative stance. This resulted in the longest suspension over 9 months. Finally with the change of stance to a compromising one, Dong-A Ilbo could be released from the longest suspension on June 3rd, 1937.

      • KCI등재

        박정희 시대 신문 독자의 사회문화사

        채백(Baek Chae)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4 언론정보연구 Vol.51 No.2

        이 논문은 박정희 정권기를 대상으로 신문 독자집단의 신문에 대한 인식과 행동, 그리고 당시의 언론 상황으로 인한 문화적 산물을 살펴보았다. 정치 권력에 의해 언론이 철저하게 통제되고, 언론은 이에 협조하면서 기업적 성장에만 몰두하는 모습을 보이자 이에 대한 독자들의 불만과 비판은 매우 높았다. 독자들의 주된 불만은 첫째는 정치적 정보의 부족과 비판의 실종에 대한 것이었고 둘째는 신문의 획일화에 대한 것이었다. 이에 독자들은 구독 거부라는 소극적 대응을 비롯하여 각종 시위에서 언론을 규탄하고 급기야는 화형식까지 벌였다. 하지만 독자들은 언론인들에 대해 그래도 일말의 기대를 갖고 ‘행간 읽기’라는 독특한 패턴을 낳게 되었다. 또한 독자들의 기대는 『동아일보』의 광고 탄압 사태에서 의견 광고라는 형태의 적극적인 연대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박정희 정권의 극심한 언론 탄압과 대국민 선전은 유언비어의 횡행을 낳고 레드 콤플렉스를 심화시켰으며 칸막이 문화라는 독특한 양상을 낳았다. 권력의 탄압과 회유 속에 형성된 언론의 권위주의적 태도는 민주화 국면의 경쟁 체제 속에서도 쉽게 극복되지 못하고 오늘날 신문의 위기를 심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ociocultural history of newspaper audience in the era of Park Chung?Hee Regime. Because the mass media of that time was tightly controlled by the political power and devoted to only the commercial growth, the complaint and criticism of newspaper audience were remarkably increased. The main complaint of the audience was that the shortage of political information and the vacuum of critique to the political power. In addition audience had strong discontent to the homogeneity of newspaper contents which was an outcome of the cartel between major newspaper corporations. The reactions of audience contains the stop of subscription, impeachment in the demonstration by university students and the burning to death of the media in the public space. Meanwhile the audience had created the new type of reading between the lines. The severe press control and propaganda of Park chung?Hee Regime resulted in the overflow of rumors, deepening of overreaction for communism and new communication pattern in the compartmented rooms.

      • KCI등재

        일제기 부산 지역 언론인 연구

        채백(Baek Chae) 한국언론정보학회 2011 한국언론정보학보 Vol.56 No.4

        이 논문은 일제기 부산에서 활동한 언론인들을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의 부산 지국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동안 언론인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지 못했지만 특히 지방의 언론인에 대한 역사적 연구는 거의 없었다. 특히 일제기까지는 지방에서 발행된 한국 신문이 거의 없다 보니 이 부분은 학문적 논의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 본 연구는 일제기의 신문지면과 기타 문서 자료들을 중심으로 두 신문 부산 지국장의 출신 배경과 활동 경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부산 지국장은 「동아일보」가 9명, 「조선일보」가 6명이었다. 이들의 이념 성향을 보면 「동아일보」는 총 9명 중 사회주의 운동에 참여했던 인물이 김종범과 김용진, 노상건, 강영순, 강대홍의 5명이며 민족운동과 청년운동 계열이 안희제, 김준석, 서유성이고, 재계 인사가 문상우 1명이다. 사회주의 운동 세력이 절반이 넘는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조선일보」의 경우는 현재 파악되는 6명의 지국장 중 청년운동 출신이 안명환과 황기수, 최철룡의 3인으로 절반을 차지하며 사회주의권으로 분류될 수 있는 인물은 김영곤과 윤일이 있다. 그밖에 지영진은 재계 인사로 분류할 수 있겠다. 전체적으로 절반 정도가 사회주의자들이었으며 그밖에는 청년운동과 민족운동에 참여했던 인물들이다. 특히 사회주의자들은 「동아일보」가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당시 신문의 전체 사회 및 민족운동에서의 위상에 따라 부산 지국의 인적 구성도 달라졌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Korean journalists in Bus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 the managers of Busan branch of the Dong-A Daily News and Chosun Daily News. The personal history and ideological background of them show that the majority have the career of socialist or nationalist movement. In case of the Dong-A Daily News, at least five managers out of nine came from socialist movement. An Heeje and Kim Jongbeom of the Dong-A Daily News were a nationwide figure in nationalist and socialist movement.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the managers of the Dong-A Daily News were more progressive than those of the Chosun Daily News. This difference of two newspapers seem to be resulted from the characteristic and social reputation of them. The activists of that time viewed the newspapers as the most effective instrument to approach to mass. And the executives of two newspaper companies also viewed these activists have advantages to the sales promotion of the newspapers.

      • KCI등재

        박정희 정권의 언론 정책과 지역 신문

        채백(Baek Chae) 한국언론정보학회 2013 한국언론정보학보 Vol.62 No.2

        이 논문은 박정희 정권의 언론 정책에서 지역 신문이 어떻게 다루어졌고, 그것이 지역 신문들에게는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를 분석하였다. 5.16쿠데타 직후 언론통폐합을 단행한 군사정부는 1962년 6월과 7월에는 새로운 언론정책의 방향과 그 시행 기준을 발표하였다. 이 시행 기준은 지역 신문에 심각한 파급효과를 가져왔다. 시설 기준과 단간제, 지역의 취재 활동 제한, 기자 급료와 사이비 기자 문제 등의 조항들이 지역 신문의 경영난을 가중시키고 언론 활동을 위축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부산의 부산일보, 부산문화방송을 한국문화방송과 함께 강압적으로 빼앗아 5.16장학회의 소유화함으로써 부산의 언론을 왜곡하였다. 박정희 정권이 언론사에 제공했던 차관의 혜택에서도 지역 신문들은 배제되어 윤전기 도입을 위해 타인 자본에 의존함으로써 경영난을 더욱 악화시켰다. 1971년에도 언론계의 자율정화결의라는 형태로 지역 신문의 보급 범위를 해당 도와 인접도로 국한시켜버리며 지사와 지국의 취재 활동을 전면 금지시키고, 주재 기자의 숫자와 배치도 제한하였다. 이러한 조치들을 통해 언론 분야에서도 중앙집중화가 본격화될 수밖에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 policy of the Third Republic and its influence on local newspapers in Korea. Just after the May 16th coup Military Government enforced the press merger and abolition and in 1962 announced the direction of the media policy and its implementation standards. These standards had a serious impact on local newspapers. It had resulted in weakening the reporting activities and aggravating the financial difficulties of the local newspapers. The media policy in 1971, which was in the form of self-purification resolutions of media corporations limited the dissemination and weakened the activities of local newspapers. By these measures the centralizing to Seoul of the media had to be deepened. The industrialization policy promoted by the Third Republic exacerbated this centralizing process.

      • KCI등재

        일제 강점기의 신문불매운동 연구

        채백(Baek Chae)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한국언론정보학보 Vol.28 No.-

        이 논문은 1924년부터 1927년까지 독자들이 특정 신문을 대상으로 집단적인 불매운동을 벌였던 다섯 사례를 분석했다. 1924년 《동아일보》의 사설 ‘민족적 경륜’을 둘러싸고 벌였던 불매운동과 1925년 혁청단의 《동아일보》 불매운동과 진남포 객주조합의 《조선일보》 불매운동, 1926년과 1927년 마산 지역의 유지들이 벌였던 《남선일보》 불매운동, 그리고 1927년 부강 청년회가 벌였던 《조선일보》 불매운동이 본 논문에서 분석되었다. 1920년대 중반 신문 불매운동의 특징으로는 이전 시기에 비해서 훨씬 활발해졌으며 대상 신문도 다양화되었다. 1920년대 초반의 신문불매운동은 주로 《동아일보》가 대상이 되었지만 1920년대 중반으로 오면서 《조선일보》에 대한 불매운동도 나타났으며 지방지에 대한 불매운동도 벌어졌다. 지역적으로도 널리 확산되었다. 1920년대 초반에는 서울의 운동 단체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1920년대 중반에는 서울뿐만 아니라 마산과 진남포, 부강, 김천, 부산 등 지방으로까지도 확산되었던 것이다. 신문불매운동이 이루어졌던 배경도 이념투쟁 보다는 집단적 이해관계의 의해서 이루어진 것들이 많았다. 본 논문에서 분석한 사례 중 1924년의 《동아일보》 불매운동을 제외하고는 거의 모두 자신들 집단에 대한 보도 태도가 직접적인 이유가 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리는 1920년대 중반으로 접어들면서 1920년대 초반에 비해 수용자 집단의 저변도 확대되고 이에 따라 수용자들의 적극적 인식도 심화되었다고 결론지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historical cases of audience's boycott movement to the Korean newspapers in the mid-1920s. Five historical cases from 1924 till 1927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se cases have a few differences in comparison with the cases of the early 1920s. Firstly, the boycott movement was activated considerably, and the target of movement was diversified. The number of cases in early 1920s was only two, and the target of both cases were The Dong-A Ilbo. But we could confirm at least 7 cases in mid 1920s through this study. In addition to The Dong-A Ilbo, the target included The Chosun Ilbo, and The Namsun Ilbo published in Masan. The location of the movement was not restricted to Seoul. It was also executed at the small cities and rural areas, such as Masan, Jinnampo, Bugang. The analysis of the context of the boycott reveals that most cases were caused mainly by the conflict of interest between parties. Some parries that dissatisfied with the coverage of a newspaper resolved and executed the boycott to that newspaper.

      • KCI등재

        반민특위에 대한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의 보도 태도

        채백(Baek Chae) 한국언론정보학회 2018 한국언론정보학보 Vol.88 No.-

        한국 사회가 친일 청산에 실패했던 가장 직접적인 계기는 반민특위의 실패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연구는 반민특위의 운영 과정에서 언론은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가를 분석하였다. 일제기부터 오늘날까지 대표적 언론으로 자리하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당시 반민특위의 활동을 어떻게 보도하였는가를 양적 · 질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반민특위에 대해서 〈조선일보〉가 더 적극적 · 긍정적으로 보도하였다. 두 신문의 차이는 기사의 위치나 단수, 정보원, 태도 등의 차원에서 유의적이었다. 정보원에서〈조선일보〉는 국회와 특위 중심으로 보도한 반면, 반민특위에 매우 부정적이던 정부에 대해서는 〈동아일보〉가 더 적극적이었다. 보도 태도도 〈조선일보〉가 〈동아일보〉보다 더 긍정적이었다. 질적 분석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여 〈조선일보〉는 사설로도 여러 번 다루면서 반민특위의 활동에 긍정적이었다. 〈동아일보〉는 명시적 반대는 아니지만 모호한 태도를 취하면서 반민법이 갖는 특별법으로서의 문제를 지적하거나 정부의 반대 입장을 간접적으로 뒷받침하였다. 이러한 보도 태도의 차이는 두 신문이 갖는 정치적 입장, 즉 〈동아일보〉는 친일 세력 중심의 한민당을, 〈조선일보〉는 당시 친일 청산에 가장 적극적이던 김구 중심의 임시 정부 세력을 지지하던 데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동아일보〉는 반민특위 해산의 결정적 계기가 되는 국회 프락치 사건을 검찰의 수사보다도 앞서서 국회의원 김준연의 칼럼을 통해 보도함으로써 반민특위 실패의 주요 계기를 제공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verage on the Special Committee for Investigation of National Traitors by Dongailbo and Chosunilbo.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is study reveals that Chosunilbo was more active and positive than Dongailbo to the Special Committe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newspapers in the size and location of related articles, sources of information and attitude toward the Special Committee.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is study reached the same conclusion. Chosunilbo showed positive stance to the Committee by editorials several times. Dongailbo was not explicitly negative but very passive and indirectly supported the government’s opposition to the Committee. The differences of two newspapers can be explained by the political stances of them. Dongailbo supported the Korean Democracy Party which was the core group of pro-Japanese, but Chosunilbo supported the Korean Independence Party which was most active group to resolve the pro-Japanese traitors.

      • KCI등재

        3·1운동기 한국 간행물에 대한 역사적 재평가 : ‘지하신문’이라는 개념에 대한 문제 제기

        채백(Baek Chae),허윤철(Yun-Cheol Heo),강승화(Seung-Hwa Kang),윤상길(Sangkil Yoon) 한국언론정보학회 2021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05 No.-

        이 논문은 3·1운동기에 발행된 여러 간행물들을 지하신문이라 보는 학계의 기존 인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이 간행물들에 대한 역사적 재평가를 시도하였다. 이 간행물들을 지하신문이라고 평가하는 배경을 일제의 법적 절차를 밟지 않았다는 사실과 제한된 여건에서 급조되어 형식적으로 미비했다는 사실에 기인한다고 보았다. 이 중 두 번째 차원에 대해 매체사적 관점에서 재검토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스미스(A. Smith)가 제시한 서양 근대 신문의 초기 발전 4단계론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3·1운동기의 간행물 대부분이 사용한 등사도 인쇄술의 기본을 갖춘 것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신문의 발행 형식과 지면 편집, 내용, 배포 지역 및 수용자 등의 측면에서 다양한 편차를 보였지만 초창기 서구 근대 신문의 렐라치온에서 머큐리까지 형식적 요건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3·1 운동기의 간행물들은 근대 신문으로서의 요건을 갖추었기에 더 이상 ‘지하신문’이 아니라 ‘신문’으로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ttempted to reevaluate publications published during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by critically examining the existing understanding of the academic community that regarded these as underground newspapers. The background of evaluating these publications as underground newspapers was attributed to the fact which they did not take legal steps at that time and which they were urgently produced under restricted conditions, which made them incomplete in form. Particularly, this study seeks to reexamine the aspects of publications as print media in this period based on the framework of the four stages of the early development of Western modern newspapers suggested by Anthony Smith. According to the analysis, even though most publications were made of mimeograph, it can be evaluated as having qualifications as a newspaper. It was also found that the newspaper had various variations in terms of publication format, paper editing, contents, and distribution areas, but had de facto requirements ranging from Relation to Mercury in the early Western modern newspapers. Based on these results, the publications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period met the requirements of modern newspapers, so they should no longer be evaluated as “underground newspapers” but as “newspapers.”

      • KCI등재

        3·1운동기 〈대동신보〉에 관한 연구

        채백(Chae, Baek) 한국언론정보학회 2021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10 No.-

        〈대동신보〉는 3·1운동기에 발행된 다수의 신문 중 3·1운동의 주체들이 주도한 〈조선독립신문〉 창간호를 제외하면 유일하게 활판 인쇄로 1만 부 인쇄되어 전국 여러 곳에 배포된 신문이다. 하지만 그동안 자료의 부족으로 학계에서 거의 연구되지 못하였으며 그 창간 시점도 서로 다른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제한된 자료이지만 세밀한 분석을 통해 〈대동신보〉의 창간과 배포, 그 역사적 의미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대동신보〉의 창간은 대동단에 의해 1919년 4월부터 최익환 등의 주도로 1차 시도되어 조판까지 마친 상태였으나 5월에 주역들이 체포됨으로써 인쇄되지는 못하고 말았다. 바로 뒤이어 정필성 등에 의해 다시 신문 창간 작업이 시작되어 1919년 8월 10일에 창간호 1만부를 발행하여 전국 여러 지역에 배포되었다. 따라서 〈대동신보〉의 창간은 1919년 8월 10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대동신보〉는 주역들이 체포되는 10월까지 경성뿐만 아니라 국내 여러 지역을 포함해서 상해의 임시정부까지 배포되어 당시 사회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밝혀졌다. 〈Daedong Sinbo〉 of the March 1st Movement period is the only newspaper published by printing press except for the first issue of 〈Chosun Independence Newspaper〉 led by the leaders of March 1st Movement. All other papers of that period were made by mimeograph with restricted circulation. However, due to the lack of data,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nd different arguments have been made on the time of its first issue. This study analyzed the making and distribution of Daedong Sinbo and its historical significance through detailed analysis of limited data. The foundation of the Daedong Sinbo was first attempted from April 1919 under the leadership of Choi Ik-hwan and completed the editing and typesetting process. But it could not be printed and distributed because the main members were arrested by Japanese police in May. So it cannot be said that the newspaper was published. Soon after, preparations for the newspaper restarted by Jeong Pil-sung and others, and on August 10, 1919, 10,000 copies were published. Therefore, the date of first publication of 〈Daedong Sinbo〉 should be considered as August 10, 1919. This study found that 〈Daedong Sinbo〉 was distributed not only in Seoul but also to various parts of Korea, and even to interim government in Shanghai until the main members were arrested in Octob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