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허균의 정감미학관 연구

        채미화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4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5-1

        본 논문은 17세기 조선문학의 일단을 대표한 허균의 미학사상의 특색으로 되고 있는 정감미학론의 내용체계 즉 정감의 본체화 의의와 정감의 심미적 경지 및 정감의 심미적 품격에 대한 탐구이다. 문학의 정감적 특성에 대해 고려시기의 시인들은 정감을 문학창작의 가장 기본적인 동기로 인식하였다. 고려말 이후 성리학이 수용되면서 허균 이전까지는 성리학적 사유체계 속에서 '성정(性情)'을 논하였다. 허균의 정감미학관은 성리학의 전성기를 맞이함에 따라 그 폐단이 날로 깊어가고 있던 시기에 제기되었다. 그는 자기 시대와 그 시대 인간들의 진실한 삶과 정감을 표달할 수 있는 문학을 주장하면서 성리학적 성정미학의 취지와는 어긋나는 허균식의 미학관을 피력하였다. 곧 시인의 개성을 남김없이 발로한 문학다운 문학을 창조 하겠다는 뜻으로 문학창작을 위한 미학사상이 바로 허균의 정감미학관의 본질이라고 하겠다. 허균은 '성정'에 대한 이해와 해석에서 정의 감성적 속성을 지적하고 '정'을 윤리적, 도덕적인 각도에서가 아니라 심미적 각도로부터 인식하였다. 그는 중국 한대, 위진이래의 시가창작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당한 평가를 통하여 정에 관한 미학적 견해를 밝혔고, 문학의 본체론적인 각도에서 '정'에 대한 관념을 천명하였다. 또한 송시보다 당시를 긍정하면서 '성정'에 대한 해설을 종래의 철학적, 윤리적인 시각으로부터 대담하게 미학적인 영역으로 끌어올렸다. 이러한 정감의 미적 품격으로서의 문채풍류를 제기하였으며 입신의 경지를 정감의 미적 본질의 실현형태라고 지적하였다. 정감미학관의 확립은 조선고대미학이론의 참신한 면모를 보여주는 일대 변혁이 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a content system of sentimental aesthetic that is becoming aesthetic features of Heo Gyun who stands for Joseon literature in 17th, that is meanings and essence of sentiment and charming dignity and a charming state of sentiment. Essence of Heo Gyun's sentimental aesthetic is to creat literature which express entirely poet's individuality. Heo Gyun asserted literature which can express true life and sentiment of people at that time, and establishment of this sentimental aesthetic became gigantic revolution showing fresh aspect of ancient Chosun's sentimental aesthetic.

      • 고려문학의 미적추구 : 화해미를 중심으로

        채미화 목원대학교 국어교육과 1993 목원어문학 Vol.12 No.-

        미적추구는 일정한 역사시대의 산물이다. 때문에 그것은 비교적 강렬한 역사적 구체성과 선명한 시대적 색채를 띠게 된다. 실질상 미적추구란 다름아닌 완미한 예술현상이 보여주는, 사회발전의 아름다운 미래가 예시된 예술이상이다. 그것은 예술작품에서 작품의 미적 경지와 인물형상의 사상 경향 및 그 형상이 지니고 있는 미적 가치에서 구체적으로 체현되며 또한 심미주체의 자연풍경에 대한 묘사와 사회환경에 대한 부각을 통해서도 나타난다. 한마디로 말해서 미적 추구는 심미 주체의 가장 높은 정신 수요 및 미래에 대한 탐색과 동경, 추구를 반영하며 심미와 예술창작의 주체성을 가장 집중적으로 구현하는 바 미의식 연구에서의 핵심적 부분이 아닐 수 없다.

      • KCI등재

        동아시아 한국학 방법의 모색

        채미화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7 한국학연구 Vol.17 No.-

        동아시아의 맥락 속에 한국학을 환원시키고 동아시아 시각으로 한국학을 재구축하는 동아시아한국학의 취지는 화해로운 세계를 건설하려는 중국의 지향과 서로 융합된다. 중한수교 이후 전면적으로 흥기된 중국의 한국학은 21세기에 들어와서 중국학파를 형성하여, 이미 자기의 학술역사를 축적하였고 특성화한 연구방향과 연구 방법으로써 해외 한국학연구에서 뚜렷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 중국의 한국학은 순 학문적인 연구이자 지역학의 성격을 띠고 있다. 중국 한국학의 입각점은 두말할 것도 없이 중국문화이다. 중국의 한국학 학자들은 중국에 입각하여 중국인의 미학관념과 가치관으로 한국의 인문과학을 연구하는 것이다. 중국의 한국학자들 앞에 제출된 과업은 연구시각의 확충이다. 한국학을 한국이라는 본토에서 자생하고 자국에만 영향 주는 문화라고만 여기던 틀에서 벗어나 동아시아의 맥락 속에 놓고 그 종적, 횡적인 관계를 객관적으로 고찰하면서 그것을 중국문화를 비쳐보는 거울로 생각하는 것이 중국 한국학의 동아시아적 시각이 아닐까 한다. 중국 한국학은 중국에 立足하면서도 중국은 항상 문화의 발신자로, 한국은 수신자로 있다는 관념을 극복하면서 한국학에 수용된 중국 전통문화의 변용을 이해하고 그것을 통하여 중국문화에 대한 타자의 시각을 이해하고 反觀적인 측면으로 중국문화의 심층연구를 추진하는데 기여해야 할 것이다. The objectives of East Asian Korean studies, which intends to place Korean studies in an East Asian context, and reestablish the presence of Korean studies from the 'East Asian' perspective, are actually compatible with the aspirations now featured by China, which tries to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a peaceful globe. Korean studies in China, which have grown significantly since Korea and China formed a diplomatic relationship, came to witness the formation of the 'Chinese group' in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and have continued to establish their own historical and academical achievements. In other words, Korean studies in China successfully formed an identity of their own, and also obtained a unique place among foreign Korean studies, through developing specialized academic approaches and methodologies. China's Korean studies feature a pro-academic quality, and also the color of 'regional studies'. The Korean studies in China is also undoubtedly based upon the 'Chinese perspectives' that were bred inside the Chinese culture. Therefore, the Korean scholars in China study the humanity-scientific topics of Korea from no other than the aesthetic perspective and value system generally possessed by a Chinese individual. The task the Chinese scholars engaged in Korean studies should tackle upon in the future, is to broaden their own research perimeters, and employ new perspectives. They should escape their own traditional view, which perceived Korean studies as a cultural asset that originated solely in the Korean peninsula and also affected solely the Korean people. Then they should newly review Korean studies and the Korean culture in the context of East Asian history and East Asian culture, which would allow them to examine the vertical and horizontal relationships that had been exhibited by the Koreans and the Chinese, and also to use it as a mirror which would provide the Chinese people with the opportunity to reexamine and rediscover the Chinese culture of their own. Chinese Korean studies will always be based upon Chinese culture and Chinese perspectives, but it should also escape the perspective viewing China as the eternal generator or provider of culture and Korea as the eternal receiving end of that culture. They should try to understand the variations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al aspects embedded inside Korean studies, try to understand the outsiders' view of Chinese culture through such variations, and use such insights to enhance and deepen their own researches and studies of the Chinese cultu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중국에서의 韓國 漢文學 연구 현황과 과제

        채미화 한국한문학회 2004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34

        본 연구는 중국에서의 한국 한문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및 그 특색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본고는 해방 후 근 반세기 동안 중국에서의 한국 한문학 연구 역사를 세 개 발전단계-1949년∼1970년대, 1970년대 말∼1980년대, 1990년∼현재까지로 나누고 각 시기의 주요한 연구 성과와 특징을 고찰하였다. 고전 작가 작품연구와 시화 시론연구 그리고 중한문학의 비교연구는 한국 한문학 연구에서의 연구범위와 내용으로 되어 있다. 특히 중한 비교문학 연구는 중국학자들의 우세와 특색으로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룩하였음을 밝혔다. 또한 역사 유물주의와 변증 유물주의 미학적 원칙 하에서 서방의 다양한 현대 비평방법을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전통문화 가운데서의 중한 문화와 문학의 관련양상을 해명하고 한국문학의 민족적 특색을 연구하며 나아가 올바른 동방문학의 체계를 구축하는 것은 당면 중국학파의 주요한 연구 과제와 전망임을 언급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중국에서의 중한 고전 번역 현황과 향후 과제

        채미화,한계호,미화 한국고전번역학회 2023 고전번역연구 Vol.14 No.-

        본고에서는 1949년 이후 중국의 고전이 한국어(조선어)로 번역된 양상과, 한국의 고전이 중국어로 번역된 양상에 대한 고찰을 그 목적으로 한다. 중국에서 이미 출판된 중국 고전문학 관련의 韓譯本, 한국 고전문학의 中譯本 가운데서 대표적인 작품을 선택하여 역문을 검토하고, 나아가서 문제의 해결책을 찾아보고자 한다. 또한 번역자와 번역사업 지원 프로젝트에 관한 고찰과 중한 번역연구 이론을 검토함으로써 현재 진행되고 있는 중한 고전 번역양상과 현황을 파악함과 아울러 향후 중한 고전번역의 과제와 그 전망에 대해 탐구해 보려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aspects of Chinese classics translated into Korean (Korean) after 1949 and the aspects of Korean classics translated into Chinese. At the same time, I would like to review the translation by selecting representative works from Korean texts related to Chinese classical literature, Chines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hat have already been published mainly in China, and further find solutions to problems that exist in Chinese classical translation. In addition, by reviewing the translator and project to support the translation business and the theory of translation research in China and Korea, we will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classical translation and explore the challenges and prospects of China and Korea’s classical translation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