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지적성평가의 지표추출 및 지표별 가중치 분석방법 고찰

        채미옥(Mie Oak Chae),오용준(Young June Oh) 대한지리학회 2003 대한지리학회지 Vol.38 No.5

        토지의 개발 또는 보전을 결정하는 적성은 토지가 가진 물리적 특성, 그 토지가 속해있는 주변지역의 특성, 토지의 공간 입지적 특성, 생태환경적 특성 등에 의해 결정된다. 이 논문에서는 전문가조사법과 AHP법을 활용하여 토지의 적성을 결정하는 지표를 분석하고 각 지표가 토지의 적성을 결정하는데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토지의 적성을 결정하는 지표는 개발적성 또는 보전적성별로 각기 다른 지표들이 분석되었고 지표별 영향력도 각기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개발적성을 결정하는 지표는 경사도, 표고, 인근용도간 부합성, 용도전용비율, 기개발지거리, 공공편익시설거리의 6개 지표로 분석되었고, 이 중에서 기개발지거리 지표와 공공편익시설거리지표의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농업성을 결정하는 지표는 물리적 조건 상 경사도가 높지 않은 지역이면서 제도적으로 농지를 보전하기 위해 지정한 농업진흥지역의 비율이 높은 지역이나 농업적투자를 한 지역(경지정리지역) 또는 그들 지역과 근접해있는 지역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보전지역은 생태자연도상의 상위등급지표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그 다음이 각종 법에서 보전지역으로 지정한 면적비율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지표별 영향력을 반영하여 적성평가를 실시해본 결과 적성을 판단하기 어려운 중간적성값의 필지보다 개발적성과 보전적성이 강조된 양극단의 적성값을 가진 필지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National Land Planning and Use Law Act at the beginning of 2002, introduced Land Suitability Assessment System(LSAS) in order to mitigate conflicts between development and consetvation needs for land. LSAS is to assess lan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its physical, location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then to classify it into several categories based on its usability.<br/>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factors to determine the suitability of the land and their weights. Land suitability is determined by a variety of factors, such as land-surface slope and altitude, the type of land use in neighboring areas, accessibility to public facilities and existing developed areas,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land. This article analyzed these factors and their influences by using the Delphi survey and Analytic Hierarchical Process.<br/> One of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the development suitability of land is the distance to developed areas and public facilities. On the other hand, the slope and altitude of the land have comparatively low influences on the land development. The coverage of prime cultivating land of the neighboring region and slope of the land are analyzed as important factors on the agricultural suitability of the land. The ecological features and the ratio of conservation area in the neighbourhood are count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the land for conservation. This article tested these factors and their weights in assessing land suitability of land as a case study.<br/> Key Words : Land Suitability Assessment, land classification, AHP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고령화 추세가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

        채미옥(Chae, Mie Oak),박진백(Park, Jin Baek) 한국부동산원 2018 부동산분석 Vol.4 No.1

        우리나라는 2016년부터 고령사회로 진입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고령화 추세가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연령대별 주택소유비율 변화, 아파트 매매 추이 및 매입비중 변화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60대 이상 고령층이 주택시장에서 나가지 않고 핵심 주택소유 계층으로 남아있으며, 주요 주택 매입 수요층으로서 그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부의 정책변화에도 일반 연령층과 유사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택 매매 및 보유비중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은 80세 이후부터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고령층의 주택시장 퇴출시점이 생애주기가설에서 얘기하는 직장 은퇴시점이 아니라, 사망 또는 건강수명이 크게 떨어지는 80대 이후라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기존의 생애주기가설은 기대수명 연장에 맞게 수정하여 적용되어야 할 필요가 있고, 생애주기가설에 기초한 주택시장 진단이나 장기 주택수급계획 및 주택정책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South Korea entered into an aged society from 2016. This paper analyzes according to age groups the changes in home ownership rates (2006-2017), as well as apartment sales trends and the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housing purchases (2012-2016),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opulation ageing on the housing market. The results show that senior citizens aged 60 or above still remain as the core homeowner age group in the housing market, and that their proportion as the main housing demand group is steadily growing. Their response to changes in government policies are also quite similar to those of younger age groups. A noticeable drop in housing sales and ownership is found from the age of 80. This implies that senior citizens exit from the housing market around or after their 80s due to reasons of death or decreased healthy life years, rather than from the age of retirement. This results strongly support the necessity of expanding the life span of the housing consumption population (life-cycle hypothesis) to reflect the increasing life expectancy, in analysing housing markets and housing policy.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지가자동산정방법의 개선을 통한 개별공시지가의 지가균형 제고방안

        채미옥(Chae, Mie Oak) 한국부동산연구원 1996 부동산연구 Vol.6 No.1

        개별공시지가는 연도별로 지가가 불균형(시계열적 불균형)해 지는 문제와 필지간·지역간 지가가 불균형(공간적 균형)해 지는 문제로 많은 지적을 받아왔다. 개별공시지가의 시계열적·공간적 불균형 문제는 지역특성을 반영하는 표준지 분포, 적정한 표준지평가, 토지가격비준표를 비롯한 제반 지가산정지침의 적정성, 담당공무원의 전문성 등이 전반적으로 갖추어졌을 때 수정되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반 장치들은 상호 복잡하게 얽혀있어 개선하는 데에 상당한 현실적 제약조건을 갖고 있어 단시일내에 개선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다. 본고에서는 피상적이고 단편적으로 거론되어 오던 표준지공시지가와 개별공시지가의 불균형 실태를 구체적인 수치로 분석하고, 이러한 불균형문제를 시정할 수 있는 장치로서 지가자동산정방법의 개선방안을 검토하였다. 지가자동산정방법은 그 기능의 일부를 보완시킴으로써 기존의 제도나 제반장치의 대대적인 변화를 수반하지 않고도 개별공시지가의 균형성 제고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계산기의 기능에 머물고 있는 ALPA Sysetm(Automatic Land Price Appraisal System) 의 기능 중에서 비교표준지선정방법과 지가산정방법을 변경함으로써 산정지가의 지가균형상태를 검토한 결과 필지간 지가불균형이 많이 시정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ALPA System을 단순한 지가산정 수단으로서 만이 아니라 개별공시지가의 적정성 제고수단의 하나로 활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기도 하다. 앞으로 ALPA System의 기능 개선과 함께 표준지분포나 비준표의 개선이 동시에 이루어 진다면 개별공시지가의 적정성 문제가 크게 좋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산림 휴양기능의 거시적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채미옥 ( Mie Oak Chae ),이길용 ( Ki Yong Lee ),전은선 ( Eun Sun Jun ),송하승 ( Ha Seung Song ) 한국산림과학회 2015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4 No.2

        This study suggests a macroscopic method of evaluating forest recreation function based on physical characteristics of forests. The method was verified by a correlation between forest recreation function in popular top 45 mountains and popularity among them, with using data-mountain area, height, distance between mountain and cities, population around mountain, and size of public service. According to analysis of the forest recreation function, it is shown that top 8 mountains, including Jirisan and Seoraksan, provide over 64% of total recreation function, while they serve the function relatively lower than mountains near mega cities-Bukhansan in Seoul-do, in terms of the function per unit area (km2). It is because, in a case of national and provincial mountains, the size of mountain is likely a critical factor for determining recreation function and the distance influences on it relatively lower. These findings implicate that a large size of forests bring the recreation function to visitors on nationwide level, whileas forests in suburban provide intensively it to near population to near population.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자연환경 보전지역 설정기준에 관한 기초연구

        성현찬 ( Hyun Chan Sung ),황소영 ( So Young Hwang ),채미옥 ( Mie Oak Chae ),박은석 ( Eun Suk Park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10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13 No.6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development status of surroundings of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reas and securing an adequate distance from development activities to conserve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reas efficiently or developing an improvement plan for setting conservation areas. Findings from the study shows that 1) rather than simply designating a legal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rea, a conceptual scope approach of a “core area”, “buffer area”, and “transition area” such as in zoning of a “biosphere reserve” by UNESCO is recommended; 2) when setting an adequate range in a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rea, it should be set by fully considering locational situation and the regional and environmental features of surroundings rather than setting a certain distance uniformly; 3) instead of designating wetlands only as a conservation area, entry and exit areas should be also included as buffer areas and in the case of wild animals, not only habitats but also feeding areas should be designated as conservation areas; and 4) an adequate horizontal separation space is important in the case of ground development, but for natural resources related to subterranean water and geological situation such as wetlands, an adequate vertical separation space should be fully 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