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정원 적정규모 분석

        차지철(Cha, Jicheol) 한국교육행정학회 2021 敎育行政學硏究 Vol.39 No.4

        본 연구는 대학 효율성을 중심으로 대학 정원의 적정규모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대학 정원정책의 변천, 대학 정원규모 변화 추이, 대학 효율성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분석대상은 총 162개 일반대학이며, 2019년 기준 대학정보공시 데이터 중 대학 입학정원, 신입생수, 재학생 수, 취업 및 진학자 수, 1인당교육비 자료를 분석 변수로 활용하였다. 대학 효율성 분석에는 투입최소화 모형을 적용한 DEA를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 첫째, 대학 효율성 분석 결과 전체 대학의 효율성 점수 평균은 98.02점이며, 소재지, 규모에 따라 효율성 점수의 통계적 차이가 확인되었다. 둘째, 비효율대학으로 분석된 149개 대학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정원감소분은 3,913명으로 약 1.46%의 감축규모가 필요함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언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정원감축 의사결정에 필요한 기초자료가 다양하게 제시될 필요가 있다. 둘째, 대학 정원규모 적정화를 위한 학계의 실증적 논의가 확장될 필요가 있다. 셋째, 축소 지향적인 대학 정원정책은 상생적 관점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ize of the university quota, focusing on the efficiency.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changes in university quota policy, changes in size of quota, and university efficiency were analyzed. The analysis data used admission quota, freshmen, students enrolled, employed, and educational cost. And the university efficiency analysis utilized the minimum input DEA.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average efficiency score of the university was 98.02 points, and the difference in efficiency score was confirmed depending on the district and scale. And the reduction in the quota of inefficient universities is 3,913, requiring 1.46% reduction. Relying 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rovided: First, a large number of empirical data for decision-making to reduce university quota should be presented.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empirical discussions to optimize size of the university capacity. Lastly,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university quota policy, which is oriented toward reduction.

      • KCI등재

        대학생의 학업중단 영향요인 분석

        차지철 ( Cha¸ Jicheol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20 공공정책연구 Vol.37 No.2

        본 연구는 국내 대학 및 A지방사립대학 학생들의 학업중단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지방대학의 학업중단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학차원의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국내대학의 학생 학업중단 영향요인 분석에서는 신입생 경쟁률, 기회균형 선발학생 입학비율은 부적 영향요인, 휴학률, 특성화고 출신입학비율은 정적 영향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영향요인의 상반된 영향력은 대학생 학업중단 방안 모색을 위한 대학의 전략별 방향성을 의미한다. A지방사립대학의 학생 학업중단 영향요인 분석에서는 입학연령, 성별, 재적기간, GPA, 교내장학금, 입학특성 등 다양한 요인이 영향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일관적인 정책이 아닌, 학생 맞춤형 정책이 필요함을 암시한다. 연구결과에 기초한 지방대학의 학생 학업중단 대응 방안으로 첫째, 대학이탈 위험성을 지닌 학생들에 대한 선제적인 지원 고려, 둘째, 기숙형 대학프로그램(RC) 도입 고려, 셋째, 대학 인지도 향상을 위한 홍보방안 발굴, 넷째, 학업중단 원인 파악을 위한 추적체계 확립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tial factors of dropout at Korea universities and A local private university, and to find improvements to reduce the number of students who have dropout at local universitie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influence factors on dropout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in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dropout at Korea universities, the admission rate and the proportion of students admitted through affirmation action were negative correlation. And the ratio of stopout and the proportion of students admitted through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positive correlation. Next, in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dropout at A local private university, various factors such as age of admission, gender, GPA, scholarship, and admission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Relying 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rovided : First, there need a preemptive support system for students who are at risk of dropout. Second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adoption of the boarding college program(RC). Third, various promotion strategies should be discovered to raise awareness of universities. Lastly, a tracking system should be prepared to find out the cause of dropout.

      • KCI등재후보

        충북대학교 학생들의 학생생활·교유경험 실태분석

        나민주(Nah MinJoo),최원석(Choi Wonseok),차지철(Cha Jicheol),이길재(Lee Gilgae)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16 한국교육논총 Vol.3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충북대학교 대학생들의 학생생활과 교육경험 인식조사를 통해 대학 만족의 정도를 도출하여, 대학 교육의 질향상을 위한 정책결정을 이끌어냄과 실태분석의 발전적 방향 모색에 있다. 연구 과정에서 드러난 몇 가지 시사점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충북대학교 학생들은 자신들의 팀과제수행능력이나 인터넷활용능력을 높게 평가하는 반면에 자신들의 외국어 능력이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대학생활을 통해서도 외국어 실력과 관련해서는 교육성과가 상대적으로 낮다고 인식하고 있다. 취업과 관련하여 자신의 논리적 사고능력, 개성, 적극성 등을 높게 평가하고 있는 반면, 사회봉사, 해외연수, 인턴체험 등 자신의 취업관련경험에 대해서는 낮게 평가하고 있다. 장학금, 아르바이트, 교육 성과와의 관계 분석에서 언급하였듯이 학생의 경제적 수입원의 종류 및 비율에 관한 문항이 추가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재정 상태와 관련한 정보를 보다 정교화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교육 성과 관련 변인 탐색 등 다양한 연구에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학생 유형화 연구에서 언급하였듯이, 학생들의 협력 학습, 교수와의 관계, 다양한 배경의 동료와의 협력, 다양한 교육 현장의 경험과 같은 문항들이 추가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정규 교육과정 이외의 영역에서 학생들이 어떤 교육경험을 하고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보다 풍부하게 할 수 있다.

      • KCI등재

        대학생 핵심역량에 따른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장벽의 차이 분석

        하정윤(Jungyoun Ha),김정민(Jeongmin Kim),강지연(Jiyeon Kang),차지철(Jicheol Cha)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5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핵심역량에 따른 진로 변인과의 차이를 분석하여 대학에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설계·운영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K-CESA 진단도구를 통해 대학생 핵심역량을 확인하였고 진로준비행동,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장벽 등의 검사 결과를 수집하여 대학 유형에 따른 변인들 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일원변량분석과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대학생 핵심역량의 자기관리역량, 대인관계역량, 의사소통역량은 4년제 대학생들보다 지방 전문대 학생들이, 자원·정보·기술활용역량과 글로벌역량은 4년제 대학생들이 더 높은 역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 변인들은 대학 간 차이가 분명히 나타나지 않았지만, 진로장벽 변인은 수도권 4년제 대학생들이 지방소재 4년제 및 전문대 학생들에 비해 더 큰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핵심역량 상위집단 학생들이 하위집단 학생들보다 높은 수준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을 보였고, 낮은 진로장벽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에서 일률적이고 단편적인 진로 프로그램보다는 학생들의 핵심역량과 진로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한 진로 프로그램을 설계·운영하는 것이 대학생들의 진로를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get necessary information for designing the systematic and practical career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by checking the differences among core competency of collegiate and career variables. In order to do that, the core competence of collegiate was identified through Korea collegiate essential skills assessment(K-CESA), and the survey results abou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career barriers were collected. And then the data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differentiate relationships among core competency of collegiate and career variables, based on the university types and the locations. The data were analyzed by ANOVAs and t-tests using the SPSS 21.0 program. According to the analysis, firstly,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collegiate essential skill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s. Secondly, the students at metropolitan four-year universities feel more difficulties primarily in the variable of career barriers than the students at local universities and students at colleges. Thirdly, the students of high rank at core competence showed highe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an the students of low rank, and they feel less difficulties in the matter of career barrier. This study shows that in order to support students career efficiently, it is necessary for each college and university to design career program by considering the core competency and the level of career development of students, instead of providing them with a unified and fractional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