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조르주 바타이유의 ‘에로티즘’과 소설『내 어머니』(Ma mère) 연구

        차지연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2011 탈경계 인문학 Vol.4 No.2

        This article examines the notion of érotisme in Georges Bataille’s philosophy and in his novel Ma mère. The primary aspect that Bataille’s unique concept of érotisme shows is the annihilation of limits. All individuals, as purportedly discontinuous beings, experience continuity by losing themselves at the summit of érotisme, which leads them to abolish the boundary between themselves and the other. And through erotic acts, those very individuals dissolve themselves and no longer recognize themselves as subjects and their partner an object. In other words, they stop distinguishing one from the other. And by examining the second aspect of érotisme, the violation of taboos, we will be able to grasp Bataille’s original definition of érotisme: the affirmation of life even until the moment of death. For Bataille, literature is the space where érotisme is shown, and an erotic deed in itself, because, similarly to executors and victims of the rite of sacrifice, the writer dissipates himself in his work, while the readers abandon themselves to the lecture. With this view of érotisme, we try to understand the movements of the protagonists in Ma mère. Pierre, an innocent boy who is bound to follow the path of debauchery prepared by his mother, Hélène, becomes a man who himself leads a dissolute life. Having experienced decadent feasts and erotic rites with his lovers, Réa and Hansi, Pierre finally ends up making love with his own mother and witnessing her suicide. In this story of destruction, we can see how Bataille’s autobiographical protagonist grows into a writer, overcoming his mother's fatal love and her death. His writing represents the debauchery and the death that he has experienced.

      • KCI등재

        콜레트 페뇨 유고 연구(2) : 로르의 글들에 새겨진 죄책감의 기록들

        차지연 프랑스학회 2020 프랑스학연구 Vol.0 No.93

        Cette étude a pour but d’envisager les écrits posthumes de Colette Peignot dans la perspective de la mort et de la culpabilité. En relisant ses textes de Laure Écrits Complets, le livre publié en 2019, nous examinons surtout les épisodes racontant la mort des autres et les réflexions de l’écrivaine qui se prend pour une coupable. Pour se révolter contre sa mère qui contraint Laure à la morale bourgeoise et au catholicisme, elle préfère mener sa vie à l’abjection. Nous remarquons que cette révolte résulte de la culpabilité compulsive : elle trouve sa vie à elle-mê̂me est indigne et mê̂me coupable, en voyant autour d’elle des morts innoncents. D’où l’angoisse de justifier la vie, exprimée dans ses textes. Les écrits de Laure révèlent cette culpabilité ressentie par l’écrivaine : la responsabilité par rapport aux enfants ou aux nouveau-nés qui sont disparus trop tô̂t ; le regret pour les victimes de guerre ; l’auto-punition auprès de femmes pauvres et abjectes. Elle veut se racheter par l’auto-destruction ou l’auto-sacrifice, et par là incarner le sacré. Tous ses textes sont auto-référentiels dans leurs diverses formes ― roman, poème, fragment ―, et montrent cette vie remplie de culpabilité. On peut donc conclure que ces écrits consistent en une « auto-hagio-graphie », c’est-à-dire une autobiographie écrite par une sainte maudite. 본 연구에서는 2019년 출간된 『로르 전집』을 기준으로 하여 콜레트 페뇨의 유고들을 다시 독해하면서, 특히 그녀의 죄책감이 드러난 대목들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작가는 어머니에 의해 강요된 부르주아 윤리와 가톨릭 종교에 반항하고 비천한 삶을 살기로 선택하였는데, 그러한 반항의 기저에는 강박적인 죄책감이 자리하고 있었다. 누군가의 죽음과 희생에 빚진 자신의 목숨이 부당하다고 느낀 그녀는 언제나 삶을 정당화해야 한다는 불안을 느낀다. 그녀의 텍스트들은 그러한 불안과 죄의식들을 보여주는데, 그 죄책감은 다음의 대상들을 향한다. 우선, 태어나자마자 혹은 태어나기도 전에 죽은 어린아이들을 떠올리며 느끼는 원죄의식이 있다. 다음으로, 자신의 아버지와 삼촌들을 비롯하여 전쟁 때문에 희생된 자들에 대한 부채 의식이 있다. 한편, 그녀는 가난한 계급의 여성들의 모습을 묘사하고 그것을 상류 계급인 어머니의 모습과 대조시키며, 자신의 계급적 현실을 비판하고 반성한다. 이처럼 타인의 생명과 노동에 빚지면서 삶을 이어나가는 것에 죄책감을 느낀 그녀는 자기파괴와 자기희생으로 속죄를 기도하고, 스스로를 비천하게 만듦으로써 죽음과 신성을 탐색한 것이다. 로르의 글들은 이처럼 삶을 죽음으로 내몰아야 했던 불안과 영원히 해소되지 않는 죄책감을 증언한다. 소설, 시, 메모들 등 다양한 형태로 남겨진 이 자기참조적인 텍스트들은 그리하여 한 명의 저주받은 성자가 쓴 자서전으로도 읽어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불안정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차지연,김정규 한국임상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ol.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adult attachment (anxious attachment, avoidant attachment), social anxiety (interaction anxiety, performance anxiety) and mediating variable such as self-compassion. A total of 352 Korean undergraduat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completed demographic information and the follow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Revised (ECR-R), Social Interactive Anxiety Scale (SIAS), Social Phobia Scale (SPS), and Korean Self-Compassion Scale (K-SCS). Only 334 students (121 males, 213 females) were chosen for data analysis. SPSS 18.0 and Mplus 6.0 statistical programs were used for performing the analysis. Additionally, bootstrapping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significanc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dult attachment (anxious attachment, avoidant attachment) correlated positively with social anxiety (interaction anxiety, performance anxiety). Second, self-compassion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adult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Third, self-compass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n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suggested. 본 연구는 불안정한 성인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 자기자비 및 사회불안(상호작용 불안, 수행 불안)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역할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애착이론과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불안정한 성인애착을 예측변인으로, 자기자비를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대학에 재학 중인 성인 남녀 352명을 대상으로 친밀관계경험검사(ECR-R),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SIAS), 사회 공포증 척도(SPS), 한국판 자기자비심 척도(K-SCS)를 활용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334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18.0과 Mplus 6.0(Muthen & Muthen, 2012)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불안정 성인애착은 사회불안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불안정 성인애착은 자기자비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자기자비는 사회불안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넷째, 불안정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는 유의미하게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불안정한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성인들을 위한 심리적 개입으로써 자기자비의 유용성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발자크의 『황금 눈의 여인 La Fille aux yeux d`or』과 정념의 글쓰기

        차지연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0 용봉인문논총 Vol.37 No.-

        본 연구는 오노레 드 발자크의『인간극』 중『13인의 이야기』에 실려 있는 중편 『황금 눈의 여인』을 대상 텍스트로 하여, 작품의 세 주인공인 드 마르세와 파키타, 상 레알 부인의 정념이 드러나는 양상을 분석하고, 그것을 발자크의 글쓰기가 가지는 의미와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리는 특히 발자크가 작품의 발문에서‘문학이 끔찍한 정념 앞에서 물러섰다’고 말한 부분에 주목하여 텍스트를 분석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조르주 바타이유가 사용하는 주요 개념인 이질성, 금기와 위반, 에로티즘 등의 관점들을 원용하였다. 우리는 우선,『황금 눈의 여인』의 배경이 되는 도시인 파리에 대해 발자크가 묘사한 내용을‘이질성’의 개념으로 살펴보았다. 바타이유에게 있어 이질성이란, 인간의 노동으로 이루어지는 현재의 삶을 유지하기 위해 억압해 왔던 폭력과 죽음을 드러내 보이고 기존의 질서를 전 복시키고자 하는 힘을 가리킨다. 발자크는 파리를 묘사하면서 아름답고 선한 면보다는 오히려 추하고 비천하고 악한 모습들을 부각시킨다는 점에서, 바타이유가 말한 이질성의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주인공들의 행보를 정념의 분출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남성 주인공인 드 마르세는 귀족 신분의 사생아로서, 세상이 정해 놓은 금기를 위반하고자 하는 욕망으로 인해 여주인공 파키타와의 결합을 바라게 된다. 한편 작품의 제목과도 같이 황금빛 눈을 가진 파키타는, 발자크가 파리의 특정으로 수차례 언명하는‘황금’과 ‘쾌락’을 동시에 상정하는 여인으로서, 동성애자인 상 레알 후작 부인의 숨겨진 정부이기 때문에 노예처럼 감금된 삶을 살면서도, 욕망의 주제로서 드 마르세를 유혹하고자 한다. 우리 는 후에 드 마르세의 이 복누이로 밝혀지는 상 레알 후작 부인과 위에 언급한 두 주인공들 사이의 삼각관계를‘에로티즘’의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이들의 정념의 폭발은 서로에 대한, 더 나아가 자기 자신의 파괴를 향해 있다는 점을 밝힐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사실은, 인간의 정념이 결국 죽음으로 가닿게 된다는 것을 여러 다른 작품들 통해서도 보여준 발자크의 글쓰기와 연결 된다. 발자크의 독특한‘정념의 글쓰기’는, 이렇듯 도시의 이질성이나 사랑하는 연인들의 에로티즘이 지니는 폭력적이고 전복적인 힘을 드러냄으로써 고립된 개체들을 가두어 놓은 경계를 무너뜨리고, ‘무한’의 세계를 향해 있는 것이다. 우리는 이와 같이『황금 눈의 여인』을 독서함으로써, 인간의 정념이 결국 죽음과 맞닿아 있음을 날카롭게 보여주고, 또한 그 스스로의 정념을 문학으로 승화시켰다는 점에서, 발자크의 글쓰기야말로 진정한 의미에서 발자크의 리얼리즘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 조르주 바타이유의 ‘에로티즘’과 소설『내 어머니』(Ma mère) 연구

        차지연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2011 탈경계인문학 Vol.4 No.2

        This article examines the notion of érotisme in Georges Bataille’s philosophy and in his novel Ma mère. The primary aspect that Bataille’s unique concept of érotisme shows is the annihilation of limits. All individuals, as purportedly discontinuous beings, experience continuity by losing themselves at the summit of érotisme, which leads them to abolish the boundary between themselves and the other. And through erotic acts, those very individuals dissolve themselves and no longer recognize themselves as subjects and their partner an object. In other words, they stop distinguishing one from the other. And by examining the second aspect of érotisme, the violation of taboos, we will be able to grasp Bataille’s original definition of érotisme: the affirmation of life even until the moment of death. For Bataille, literature is the space where érotisme is shown, and an erotic deed in itself, because, similarly to executors and victims of the rite of sacrifice, the writer dissipates himself in his work, while the readers abandon themselves to the lecture. With this view of érotisme, we try to understand the movements of the protagonists in Ma mère. Pierre, an innocent boy who is bound to follow the path of debauchery prepared by his mother, Hélène, becomes a man who himself leads a dissolute life. Having experienced decadent feasts and erotic rites with his lovers, Réa and Hansi, Pierre finally ends up making love with his own mother and witnessing her suicide. In this story of destruction, we can see how Bataille’s autobiographical protagonist grows into a writer, overcoming his mother's fatal love and her death. His writing represents the debauchery and the death that he has experienced.

      • KCI등재

        콜레트 페뇨의 유고 연구 (1) : ‘과정 중의 주체’ 로르의 “진짜 삶”을 찾아서

        차지연 한국불어불문학회 2019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118

        Cette étude a pour but d’envisager Écrits de Laure, le recueil des textes posthumes de Colette Peingnot, activiste politique et écrivaine des années 30, qui est plus bien connue comme «Laure», la fameuse amante de Georges Bataille et l’amie de Michel Leiris. Nous analysons ses textes autour de la notion de sacré et d’abjection au sens de Julia Kristeva. Ce sont Bataille et Leiris qui ont découvert les cahiers et les notes laissés par Laure après sa mort et qui ont mis au jour ces textes posthumes pour la première fois avec leur commentaire. Puis, le neveu de Laure, Jérô̂me Peignot les a réédités et publiés plus récemment. Parmi ces écrits de Laure, nous examinons le récit Histoire d’une petite fille, en le considérant comme l’esquisse d’un roman autobiographique. Dans ce texte, Laure raconte ses expériences auprès du catholicisme. Laure comme petite fille se révolte contre la croyance obligée par sa mère en catholicisme. Cette religion et son prê̂tre ne lui donnenet que le sentiment de répugnance. Alors, Laure devenant une jeune militante se jouit de ce qui est exclu et interdit par la religion et encore par la bourgeoisie. Elle mène une vie sexuellement débauchée et elle se lance dans des circonstances misérables des pauvres russes en tant que révolutionnaire communiste. Elle essaie ainsi d’incarner le sacré dans et par les choses abjectes. En nous référant au concept d’abjection de Kristeva, nous analysons le mouvement contradictoire de Laure, ce va-et-vient inlassable entre les deux pô̂les extrê̂mes : l’infâ̂me et le sublime, l’abject et le sacré. Ce mouvement nous semble manifester ce qu’est le “sujet en procès” au sens de Kristeva. A travers les textes de Laure, on peut poursuivre le parcours de cette femme devenant le vrai sujet qui ne se laisse jamais ê̂tre saisie ou fixée dans un lieu. Elle est une sainte qui ne cesse de chercher la “vraie vie”, tout en sachant que cette vie ne sera qu’absente à jamais.

      • KCI등재

        조르주 바타유의 카뮈 읽기 : 혁명의 시대, 반항하는 인간

        차지연 한국불어불문학회 2019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120

        Comment définir et distinguer ces deux notions : révolte et révolution? Pour répondre à cette question, nous envisageons L’Homme révolté d’Albert Camus et les critiques sur cet ouvrage par Georges Bataille, lecteur des oeuvres de Camus. Après une brève révision du débat entre Camus, Francis Jeanson et Jean-Paul Sartre, notre recherche porte sur la tentative bataillienne de relier son concept de souveraineté avec la morale de révolte camusienne. Puis, nous discernons les points communs et les différences entre la notion de révolte chez Bataille et celle de Camus. D’abord, Camus, tout en protestant contre les communistes qui, au nom de la cause de la révolution pour accomplir l’Histoire, justifient le meurtre et la violence, insiste sur la mesure dans l’esprit révoltant. Par contre, Bataille fait du déchaîement des passions, du pouvoir du sacré, et de la liberté démesurée l’essentiel de la révolte. Ensuite, alors que Camus exige la solidarité entre les hommes pour défendre les valeurs universelles telles que la justice, l’amitié et la santé, Bataille suggère qu’il serait mieux de souligner la complicité des hommes révoltés, car, selon lui, la révolte se retrouve essentiellement dans la transgression et le crime. Ainsi se contredisent-ils apparemment, ils s’accordent pourtant au fait qu’ils cherchent tous à établir la morale de révolte, au sens à la fois de l’éthique individuelle et de la morale communautaire. Et en mê̂me temps, ils pensent tous les deux que c’est dans et par la littérature que la révolte se produit et se pratique dans le monde réel. En somme, à l’époque où l’on prétend la révolution qui est tout de mê̂me subordonnée aux fins politiques, L’Homme révolté de Camus et l’homme souverain de Bataille en tant que lecteur de ce livre affirment le sens de la révolte au sein de l’art et la litté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